[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8621B1 -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21B1
KR101198621B1 KR1020110052441A KR20110052441A KR101198621B1 KR 101198621 B1 KR101198621 B1 KR 101198621B1 KR 1020110052441 A KR1020110052441 A KR 1020110052441A KR 20110052441 A KR20110052441 A KR 20110052441A KR 101198621 B1 KR101198621 B1 KR 10119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eam
plastic composite
insert
beam body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훈
함요한
맨슨 얀-앤더스
존슨 토니
Original Assignee
이이엘씨이이 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엘씨이이 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이엘씨이이 사
Priority to KR102011005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21B1/ko
Priority to US13/238,501 priority patent/US8376426B2/en
Priority to DE102011083617.9A priority patent/DE102011083617B4/de
Priority to CN201110330636.9A priority patent/CN10280687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 B60R2019/185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of reinforced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비해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구조 강성, 충돌 성능을 제공하여 범퍼의 돌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범퍼의 돌출량 감소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향상과 상품성 향상의 이점을 가지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퍼 빔 형상으로 제작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재질의 범퍼 빔 본체와, 상기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루프 형상을 가지면서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Bumper beam for vehicle using plastic composit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충돌 성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 어셈블리는 차체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충격을 흡수해줌으로써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고 차체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는 차체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 전체를 감싸는 범퍼 커버(10)와, 상기 범퍼 커버(10)의 출렁거림 및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20)와, 상기 에너지 업소버(20)의 뒤쪽에 위치되어 충돌로부터 차체를 보호하는 범퍼 빔(또는 백 빔이라 함)(30)과, 상기 범퍼 빔(30)을 차체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스테이(stay)(4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소형차에서는 중량을 저감하기 위해 에너지 업소버를 제외하고 범퍼 커버와 범퍼 빔, 스테이로만 구성하기도 한다.
상기한 구성 중 범퍼 빔은 충돌에너지를 잘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고, 차종이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복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자동차용 범퍼 빔의 선행기술로, 미국특허 제5,290,079호, 미국특허 제6,286,879호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6,817,638호에는 C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GMT로 성형되고 보강 시트가 부착된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특허 제0945253호에는 폴리올레핀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GMT 복합재의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2007-0111812호에는 외부에 GMT 재질의 빔 부재를 배치하고 내부에 스틸 재질의 빔 부재를 배치한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특허공개 제2010-0104457호에는 GMT 또는 장섬유 강화 복합재를 사용한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2010-0006672에는 시트 형태의 일방향 보강재를 LFT-D 공정을 통해 설치하거나 일체 성형한 범퍼 빔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의 경우 주로 일방향(uni-directional)의 연속섬유를 포함하는 GMT(Glass Mat Reinforced Thermoplastic) 소재를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압축 성형) 공법으로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GMT 범퍼 빔의 경우 강성 및 충돌 성능의 확보를 위해 대개 4 ~ 15 mm의 두께로 제작되는데, 충돌에너지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켜 수리비 감소 등의 효과를 얻으면서, 범퍼 돌출량의 감소를 통한 범퍼 디자인의 자유도를 좀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비해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구조 강성, 충돌 성능을 제공하여 범퍼 돌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범퍼 돌출량의 감소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향상과 상품성 향상의 이점을 가지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퍼 빔 형상으로 제작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재질의 범퍼 빔 본체와, 상기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루프 형상을 가지면서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는 GMT,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및 단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범퍼 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는 연속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 본체와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에서 보강 섬유는 유리섬유, 천연섬유 또는 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성형시 인서트 보강재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범퍼 빔 본체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와 상기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가 동일한 기재의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표면에 직조 섬유로 된 보강 시트 또는 연속섬유로 강화된 보강 시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와 더불어 불연속의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의 인서트 부재가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추가로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은 기계적 물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3차원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를 범퍼 빔 본체에 인서트시켜 제작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충돌 성능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범퍼 빔은 동등 수준의 성능 대비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구조 강성, 충돌 성능을 가지므로 범퍼 돌출량을 줄일 수 있고, 범퍼 돌출량 감소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향상과 상품성 향상의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통상적인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인서트 보강재와 보조 보강재를 혼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에 관한 것으로서, 범퍼 빔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구조 강성, 충돌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범퍼 빔 내부에 루프(loop)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를 인서트시켜 보강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범퍼 빔은, 범퍼 빔 형상으로 제작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재질의 범퍼 빔 본체와,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서트 보강재가 루프 형상을 가지면서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인서트된다.
이때, 인서트 보강재는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단수 또는 복수의 위치에 인서트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위치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인서트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퍼 빔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빔(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범퍼 빔(30)에서 인서트 보강재(35)를 분리하여 추가로 도시하였으며, 실제 인서트 보강재(35)는 범퍼 빔 내부(35)(범퍼 빔 본체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화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범퍼 빔(30)이 좌우 대칭인 구조이므로 전체 범퍼 빔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얻은 일측의 절반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범퍼 빔(30)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인서트 보강재(35) 역시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일측의 절반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범퍼 빔(30)은 대략 '
Figure 112011041055731-pat00001
' 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데, 범퍼 빔(30)의 형상을 이루는 본체(이하, 범퍼 빔 본체라 칭함)는 전체적인 형상이 돌출 전면부(31)의 전 둘레를 따라 측면부(32,33)가 연속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측면부(32,33) 끝단을 따라서는 플랜지부(34)가 연속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 2에서 범퍼 빔 본체의 상하 측면부와 양단 측면부를 각각 도면부호 32와 33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인서트 보강재(35)는 고강성 소재로 별도 제작된 뒤 범퍼 빔 본체의 성형시에 범퍼 빔 본체 내부로 인서트되는 보강 부재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3차원 루프 형상(즉, 고리 모양)을 가지도록 제작된다(도 2에서는 전체의 절반 구조를 나타낸 것임).
상기 인서트 보강재(35)는 범퍼 빔(30)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고 충분한 구조 강성과 충돌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범퍼 빔 본체를 성형할 때 그 표면이 아닌 범퍼 빔 본체 내부에 전체가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일체화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보강재(35)는 범퍼 빔 본체의 좌우 길이방향과 범퍼 빔 본체의 양단부 상하 방향을 따르는 루프 경로로 연속 배치되도록 인서트된다.
이와 같이 범퍼 빔 본체를 성형할 때 미리 제작된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를 범퍼 빔 본체의 필요한 부위에 인서트시켜 보강해줌으로써, 범퍼 빔(30)의 전체적인 구조 강성과 충돌 성능, 더 나아가 범퍼 어셈블리의 구조 강성과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주 소재가 되는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재질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GMT(Glass Mat Reinforced Thermoplastic), 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및 SFT(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단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중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간재가 되는 3차원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는 범퍼 빔 본체의 소재가 되는 주 소재에 비해 고강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이때 주 소재와 마찬가지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인서트 보강재(35)의 소재로 연속섬유로 강화된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주 소재(범퍼 빔 본체의 소재)와 중간재(인서트 보강재)의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인 PP(polypropylene), PA(polyam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기재로 하는 복합재가 될 수 있고, 주 소재와 중간재의 소재에서 보강 섬유로는 유리섬유(glass fiber), 천연섬유(natural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UHMWPE)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보강재(35)에서 주 소재(범퍼 빔 본체의 소재)와 동일한 기재(matrix)의 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범버 빔 본체와 인서트 보강재(35)의 소재로 동일한 기재의 복합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또는 융착(welding)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계면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인서트 보강재(35)의 경우 주 소재에 비해 강성을 높인 것, 즉 보강 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GMT, LFT, SFT를 사용하는 경우, 범퍼 빔 본체의 소재, 즉 범퍼 빔(30)의 주 소재로 보강 섬유의 함량이 범퍼 빔 본체 전체 100 중량%에 대해 5 ~ 60 중량%, 더욱 좋게는 30 ~ 45 중량%인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인서트 보강재(35)의 소재로는 40 ~ 80 중량%, 더욱 좋게는 50 ~ 70 중량%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속섬유로 보강된 복합재료의 물성이 단섬유나 장섬유로 보강된 복합재료의 물성보다 우수하므로, 주 소재가 단섬유나 장섬유를 사용한 것이고 인서트 보강재(35)의 소재가 연속섬유를 사용한 것이라면, 인서트 보강재(35)의 섬유 함량이 반드시 높을 필요는 없다.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성형시에는 압축 성형(프레스 성형)뿐만 아니라 사출 성형, 압출-압축 성형, 압출-사출 성형과 같은 다양한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기재(36)에 보강 섬유(37)가 보강된 인서트 보강재(35)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인서트 보강재(35)의 단면 형상은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각형의 단면 형상, 즉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범퍼 빔(30)은 기계적 물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3차원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를 표면이 아닌 내부의 소정 위치에 인서트시켜 제작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충돌 성능을 갖게 된다.
고강성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한 인서트 보강재(35)가 3차원 루프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이를 사용할 경우 범퍼 빔(30)의 충돌 에너지 흡수 측면에서 훨씬 유리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경우 섬유의 길이 및 함량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데, 인서트 보강재(35)에 연속섬유를 고함량으로 사용한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 보강 효과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3차원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는 단면 구조나 두께, 형상 등을 변화시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의 적합한 금형 설계를 통해 범퍼 빔 본체에서 다양한 위치에 인서트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빔의 횡단면로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의 실시예는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가 스테이가 결합되는 플랜지부(34)와 측면부(32) 사이의 경계 부위에 인서트된 실시예로서, 단면의 직경이 큰 인서트 보강재(35) 1개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또한 도 4의 실시예는 인서트 보강재(35)를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의 인서트 보강재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범퍼 빔(30)에서 스테이가 장착되는 쪽으로 인서트 보강재(35)를 설치하여 보강해줄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직경이 같거나 다른 복수의 인서트 보강재(35)를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보강한 실시예로서, 플랜지부(34)와 측면부(32) 사이의 경계 부위에 인서트하는 것과 더불어 전방 돌출되는 전면부(31)에 인서트 보강재(35)를 설치한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범퍼 빔(30)에서 스테이가 장착되는 쪽과 더불어 전방 돌출되는 쪽에도 인서트 보강재(35)가 설치되어 보강되며, 여기서 스테이가 장착되는 쪽의 인서트 보강재가 삭제되고 전방 돌출되는 전면부(31)에만 인서트 보강재(35)를 설치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는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35)와 보조 보강재(38)를 혼용한 실시예로서, 보조 보강재(38)로는 직조 섬유 또는 연속섬유 보강 테이프 형태의 보강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방 돌출되는 전면부(31)의 외측면에 설치되거나(도 6 참조), 전면부(31)의 내측면에 설치된다(도 7 참조).
상기 보강 테이프 형태의 보강 시트로는 범퍼 빔의 길이방향으로 일방향(UD) 섬유 보강된 보강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보강재(38)는 범퍼 빔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데, 범퍼 빔 본체의 성형시 내부가 아닌 표면에 인서트시켜 고정하거나 접착부재로 접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에 보조 보강재(38)를 추가한 것으로, 인서트 보강재(35)와 보조 보강재(38)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 밖에 루프 형태의 인서트 보강재(35)와 더불어, 전체가 연속된 루프 형상이 아닌, 불연속의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을 갖는 추가적인 인서트 보강재를 범퍼 빔 본체 내부에 동일 방식으로 인서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는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인서트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범퍼 커버 20 : 에너지 업소버
30 : 범퍼 빔 40 : 스테이
31 : 전면부 32, 33 : 측면부
34 : 플랜지부 35 : 인서트 보강재
38 : 보조 보강재(보강 시트)

Claims (15)

  1. 범퍼 빔 형상으로 제작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재질의 범퍼 빔 본체와, 상기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루프 형상을 가지면서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가 범퍼 빔 본체의 내부에 단수 또는 복수의 위치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가 각 위치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범퍼 빔 본체는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측면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측면부를 따라 플랜지부가 연속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서트 보강재가 상기 측면부와 플랜지부 사이의 경계 부위에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가 범퍼 빔 본체의 전면부에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범퍼 빔 본체는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측면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측면부를 따라 플랜지부가 연속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서트 보강재가 상기 측면부와 플랜지부 사이의 경계 부위, 및 상기 전면부에 각각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는 GMT,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및 단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범퍼 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는 연속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 본체와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에서 보강 섬유는 유리섬유, 천연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성형시 인서트 보강재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범퍼 빔 본체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와 상기 인서트 보강재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가 동일한 기재의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기재가 PP, PA, PBT, 또는 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 본체의 표면에 직조 섬유로 된 보강 시트 또는 연속섬유로 강화된 보강 시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상의 인서트 보강재와 더불어 불연속의 직선 또는 곡선 형상의 인서트 부재가 범퍼 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추가로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는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KR1020110052441A 2011-05-31 2011-05-31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Active KR10119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441A KR101198621B1 (ko) 2011-05-31 2011-05-31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US13/238,501 US8376426B2 (en) 2011-05-31 2011-09-21 Plastic composite bumper beam for vehicle
DE102011083617.9A DE102011083617B4 (de) 2011-05-31 2011-09-28 Kunststoff-Verbund-Stoßstangenträger für ein Fahrzeug
CN201110330636.9A CN102806877B (zh) 2011-05-31 2011-10-20 车辆用塑料复合保险杠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441A KR101198621B1 (ko) 2011-05-31 2011-05-31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621B1 true KR101198621B1 (ko) 2012-11-07

Family

ID=4717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441A Active KR101198621B1 (ko) 2011-05-31 2011-05-31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76426B2 (ko)
KR (1) KR101198621B1 (ko)
CN (1) CN102806877B (ko)
DE (1) DE102011083617B4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29B1 (ko) * 2011-12-20 2013-12-0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충돌성능을 향상시킨 보강리브
KR101398433B1 (ko) 2013-04-22 2014-06-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KR101470144B1 (ko) * 2013-04-17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용 로드 스티프너
KR101475358B1 (ko) * 2013-05-02 2014-12-2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컴포짓 로드를 이용한 경량화 범퍼빔
KR101484227B1 (ko) * 2013-07-09 2015-0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WO2016048071A1 (ko) * 2014-09-24 2016-03-31 (주)엘지하우시스 시트백 프레임,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시트백
US9694773B2 (en) 2014-10-28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Rod stiffener for bumper of car
KR101780567B1 (ko) * 2015-12-30 2017-09-2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9646B1 (ko) * 2016-08-10 2018-01-17 한화첨단소재(주) 차량용 범퍼빔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435A (ko) 2017-02-15 2018-08-23 이이엘씨이이주식회사 고분자 복합 재료를 활용한 3d 입체물 제조 로봇 시스템
DE112016006226T5 (de) 2016-01-14 2018-10-11 Qeestar Co. Ltd. Kopfeinheit und Kopfzuführungseinheit zur Steuerung des Austritts eines Werkstoffs aus verformbaren Kunststoffmaterialien
KR20180126129A (ko) 2017-05-16 2018-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물 제조장치
KR20190051427A (ko) 2017-11-07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용 로워 스티프너
KR20190106252A (ko) 2018-03-08 2019-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정형 보강재 인서트 사출성형 장치
KR102194789B1 (ko) 2019-12-12 2020-12-23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분리형 몰드를 이용한 복합재 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중공형 복합재 빔
KR20210047515A (ko) * 2019-10-22 2021-04-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빔 시스템
KR20220136318A (ko) * 2020-06-30 2022-10-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6326B1 (en) * 2011-12-20 2017-12-13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fiber-strengthening resin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automobile fiber-strengthening resin member
US9815424B2 (en) * 2013-03-07 2017-11-14 Toray Carbon Magic Co., Ltd. Bumper device for automobile
KR101470174B1 (ko) 2013-06-26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어스티프너 및 그 제조방법
LT3024644T (lt) 2013-07-24 2018-08-10 Integrated Composite Products Inc. Sudėtinis konstrukcinis gaminys
US20160101543A1 (en) * 2013-12-03 2016-04-14 The Boeing Company Hybrid Laminate and Molded Composite Structures
DE102014009941A1 (de) 2014-07-04 2016-0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toßfängeraufbau für ein Kraftfahrzeug
US10195818B2 (en) 2014-08-13 2019-02-05 Integrated Composite Products, Inc. Reinforcing article
JP6370690B2 (ja) * 2014-11-21 2018-08-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装置
US20160221519A1 (en) * 2015-02-02 2016-08-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rbon glass fiber pultrussion bumper beams
US10086571B2 (en) 2015-02-12 2018-10-02 Integrated Composite Products, Inc. Pre-stressed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1776389B1 (ko) * 2015-07-28 2017-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유닛 및 그 제조방법
DE102016002635A1 (de) * 2016-03-03 2017-09-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toßfängermodul
KR101743458B1 (ko) 2016-03-24 2017-06-0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복합재 프리폼 제작용 부싱
RU168680U1 (ru) * 2016-07-22 2017-02-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композитов" (ООО "НЦК") Композитный бампер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8078501A2 (en) * 2016-10-31 2018-05-03 Isinex Manna Ltd Process and/or substrate and/or sheet for a composite article
CN106828616A (zh) * 2016-12-31 2017-06-13 石恬瑜 拉链咬合碳纤维编织结构件及环接制备的立体框架和应用
FR3064228B1 (fr) * 2017-03-24 2021-05-21 Valeo Systemes Thermiques Poutre de pare-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8482282B (zh) * 2018-03-30 2021-05-18 江苏理工学院 一种新型结构复合材料汽车前防撞梁
KR102497030B1 (ko) * 2018-05-17 202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백빔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차량의 운용 시스템
CN109306166A (zh) * 2018-09-27 2019-02-05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保护盒体的复合材料、保护盒体及制备方法
DE102019102898B4 (de) * 2019-02-06 2025-01-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toßfänger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S11358647B1 (en) 2021-01-12 2022-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ally reinforced foam-filled composite components for vehicle body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420683B2 (en) 2021-01-20 2022-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components for vehicle body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3085939B (zh) * 2021-05-06 2023-03-2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排障装置和轨道车辆
US12344192B2 (en) 2022-06-17 2025-07-01 Bryan Witchey Wheel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0079A (en) * 1992-12-22 1994-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inforced composite impact beam for a bumper assembly and method
DE4328309C2 (de) 1993-08-23 1998-02-19 Haslbeck Technik Gmbh Stoß- und/oder schlagabsorbierendes Bauteil, insbesondere Frontschutzbüg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318428B2 (ja) 1994-02-28 2002-08-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ブロー成形バンパービーム
JP2976913B2 (ja) 1997-01-13 1999-11-1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複合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スタンパブルシート及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バンパービーム
TW557315B (en) 1998-03-27 2003-10-11 Azdel Inc Filled composite material
EP1514738B1 (en) * 1999-02-24 2009-05-27 Azdel, Inc. Method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n I-section automotive bumper formed from mineral-filled glass mat thermoplastic (gmt) composite
US6286879B1 (en) 1999-02-24 2001-09-11 Azdel, Inc. I-Section automotive bumper formed from mineral-filled glass mat thermoplastic (GMT) composite
US6692064B1 (en) * 1999-08-13 2004-02-17 Conix Corporation Reinforced blow-molded bumpers
EP1342623A1 (en) 2002-03-08 2003-09-10 N.V. Bekaert S.A. Reinforced impact beam
US7111882B2 (en) 2002-03-08 2006-09-26 N. V. Bekaert S.A. Reinforced impact beam with woven fabric
KR100517904B1 (ko) 2003-06-27 2005-10-0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범퍼 시스템
US8353995B2 (en) * 2005-07-15 2013-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utomobile panel repair laminate
KR100793894B1 (ko) 2005-11-08 200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범퍼의 임팩트빔
KR101235140B1 (ko) 2006-05-19 2013-02-2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KR101215113B1 (ko) 2008-07-10 2012-12-24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1095988B1 (ko) 2009-03-18 2011-12-2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크래쉬 박스형 범퍼
KR101037609B1 (ko) 2009-05-14 2011-05-3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충돌 성능이 우수한 복합소재
CN101590835A (zh) * 2009-06-30 2009-12-02 哈尔滨工业大学 基于形状记忆材料的汽车保险杠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29B1 (ko) * 2011-12-20 2013-12-0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충돌성능을 향상시킨 보강리브
KR101470144B1 (ko) * 2013-04-17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용 로드 스티프너
KR101398433B1 (ko) 2013-04-22 2014-06-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KR101475358B1 (ko) * 2013-05-02 2014-12-2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컴포짓 로드를 이용한 경량화 범퍼빔
KR101484227B1 (ko) * 2013-07-09 2015-0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9073496B2 (en) 2013-07-09 2015-07-07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bumper beam for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bumper beam unit thereof
KR101616634B1 (ko) * 2014-09-24 2016-04-29 (주)엘지하우시스 시트백 프레임,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시트백
KR20160036191A (ko) * 2014-09-24 2016-04-04 (주)엘지하우시스 시트백 프레임,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시트백
US10118523B2 (en) 2014-09-24 2018-11-06 Lg Hausys, Ltd. Seat-back fram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eat-back for vehicle
CN106573562A (zh) * 2014-09-24 2017-04-19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座椅靠背框架、其制造方法及车辆用座椅靠背
JP2017525612A (ja) * 2014-09-24 2017-09-07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シートバッグフレーム、こ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バッグ
WO2016048071A1 (ko) * 2014-09-24 2016-03-31 (주)엘지하우시스 시트백 프레임,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시트백
US9694773B2 (en) 2014-10-28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Rod stiffener for bumper of car
KR101780567B1 (ko) * 2015-12-30 2017-09-2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빔 및 이의 제조방법
DE112016006226T5 (de) 2016-01-14 2018-10-11 Qeestar Co. Ltd. Kopfeinheit und Kopfzuführungseinheit zur Steuerung des Austritts eines Werkstoffs aus verformbaren Kunststoffmaterialien
KR101819646B1 (ko) * 2016-08-10 2018-01-17 한화첨단소재(주) 차량용 범퍼빔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435A (ko) 2017-02-15 2018-08-23 이이엘씨이이주식회사 고분자 복합 재료를 활용한 3d 입체물 제조 로봇 시스템
KR20180126129A (ko) 2017-05-16 2018-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물 제조장치
KR20190051427A (ko) 2017-11-07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용 로워 스티프너
US10640065B2 (en) 2017-11-07 2020-05-05 Hyundai Motor Company Lower stiffener for bumper of vehicle
KR102518187B1 (ko) 2017-11-07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용 로워 스티프너
KR20190106252A (ko) 2018-03-08 2019-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정형 보강재 인서트 사출성형 장치
US11230038B2 (en) 2018-03-08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inserting atypical stiffener
KR20210047515A (ko) * 2019-10-22 2021-04-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빔 시스템
KR102539225B1 (ko) * 2019-10-22 2023-06-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빔 시스템
KR102194789B1 (ko) 2019-12-12 2020-12-23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분리형 몰드를 이용한 복합재 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중공형 복합재 빔
KR20220136318A (ko) * 2020-06-30 2022-10-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87390B1 (ko) * 2020-06-30 2024-07-2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6877B (zh) 2016-04-06
US20120306222A1 (en) 2012-12-06
DE102011083617B4 (de) 2024-04-18
DE102011083617A1 (de) 2012-12-06
US8376426B2 (en) 2013-02-19
CN102806877A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621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범퍼 빔
KR10148422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9821739B2 (en) Automobile bumper
KR102050849B1 (ko) 차량용 시트 쿠션 프레임
KR20180015729A (ko) 에너지 흡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JP6433609B2 (ja) フロントエンドキャリアを備えた乗用車
KR20160020431A (ko) 자동차용 측벽 조립체
US9828030B2 (en) Integral longitudinal member for motor vehicles
JP2019506577A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部材の作成方法
KR102524446B1 (ko) 하이브리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8147A (ja)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US9327631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KR20170073137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61516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자동차용 범퍼빔
US7726725B2 (en) Vacuum-formed “firm-feel” reinforcement for bumper fascias
KR10245187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CN104661902A (zh) 下部包括复合材料制成的纵梁加强件的机动车辆车厢侧部
US20190359019A1 (en) Hybrid towing bumper beam assembly
KR102107070B1 (ko)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009809B1 (ko)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JP2023553627A (ja) 衝突エネルギーを吸収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KR20190071988A (ko) 차량의 루프 패널 어셈블리
KR101215113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US11110875B2 (en) Vehicle frame tie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