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443B1 - Pusher - Google Patents
Pu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1443B1 KR101191443B1 KR1020040106179A KR20040106179A KR101191443B1 KR 101191443 B1 KR101191443 B1 KR 101191443B1 KR 1020040106179 A KR1020040106179 A KR 1020040106179A KR 20040106179 A KR20040106179 A KR 20040106179A KR 101191443 B1 KR101191443 B1 KR 101191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pad
- pusher
- contact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실란트를 이용한 캡의 부착 공정에서 캡의 상승 과정에서 캡의 흔들림 또는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는 푸셔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셔는 캡과 접촉하는 캡 접촉부 상단부에 마찰 계수가 큰 탄성체로 제조된 패드가 장착되어 있어 캡 부착 공정시 캡 표면과 패드가 접촉된다. 캡 접촉부는 상단부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패드가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패드는 평면의 캡 접촉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usher capable of suppressing the shaking or slipping of the cap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cap in the cap attaching process using the sealan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EL device. According to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d made of an elastic body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cap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the cap, so that the pad surface contacts the pad during the cap attaching process. The cap contact may have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end such that the pad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or the pad may be attached to a flat cap contact surface.
캡, 푸셔Cap, pusher
Description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n organic EL devi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캡을 제거한 상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ith the cap removed,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캡 트레이, 캡 부착 장치의 푸싱 유니트 및 기판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p tray, a pushing unit of a cap attaching device, and a substrate.
도 4는 일반적인 푸셔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push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셔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구조의 푸셔를 도시한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usher of yet anoth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푸셔(push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의 상승시 캡의 미끄러짐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푸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유기 전계 발광은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I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through a cathode and an anode are recombined to form an exciton in an organic (low molecular or polymer) thin film, and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s generated by energy from the excitons formed. It is a phenomenon.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리 기판(1), 유리 기판(1) 상부에 형성되어 애노드(anode) 전극으로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2; Indium Tin Oxide film ; 이하, "ITO 층"이라 칭함), 절연층과 유기물층(3) 및 캐소드(cathode) 전극인 금속 전극(4)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The organic EL device using this phenomenon has a basic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is an indium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캡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에 형성된 다수의 ITO층(데이터 라인)과 금속층(스캔 라인)은 액티브 영역(A) 외곽으로 연장되며, 각 단부가 기판(1)의 한 부분으로 집중되어 패드부(P)를 형성하게 된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llustrated in FIG. 1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ap is removed for convenience.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ITO layers (data lines) and metal layers (scan lines) formed in the active region A extend outside the active region A, each end of which is a part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요소들(2, 3, 4 및 W)로 이루어진 액티브 영역(A)을 형성한 후, 실란트(5; sealant)를 이용하여 금속 캡(6)을 기판(1)의 외곽부에 부착한다. 캡(6)이 부착되는 영역은 기판 외곽부, 즉 액티브 영역(A) 외측 영역이다. 금속 캡(6)에 의하여 액티브 영역(A)은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며,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집중된 패드부(P)만이 캡(6)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After forming the active region A consisting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과 기판(1) 사이에는 소정의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이 밀폐 공간 내에 위치한 상술한 요소들은 습기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캡(6)의 중앙부 저면에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테이프(7)에 의하여 흡습(吸濕)제인 게터(8; getter)가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predetermined seal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이상과 같이 기판에 부착되는 캡들은 캡 트레이(cap tray)에 다수가 적재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 표면에 실란트가 도포된다. 캡 트레이는 평면형 플레이트 상 에 다수의 개구들이 행렬 상태로 형성된 부재로서, 각 개구에 캡이 안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ps attached to the substrate are coated with a sealant on the edge surface thereof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ps are stacked in a cap tray. The cap tray is a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a matrix state on a flat plate, and a cap is seated in each opening.
도 3은 캡 트레이의 정단면도로서, 캡 트레이(20)에 형성된 각 개구(21)에 캡(6)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편의상 캡 트레이(20)의 한 행에 6개의 캡(6)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그 하부에는 푸싱 유니트(10)가, 상부에는 기판(1)이 각각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였다.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ap tray,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캡 트레이(20)의 각 개구(21)에 안착된 캡(6)은 그 가장자리면(실란트 분배면의 배면)이 캡 트레이(20)의 개구(21) 연변과 접촉함으로서 다수의 캡(6)들이 캡 트레이(20)에 적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트레이(20)에 다수의 캡(6)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기판(1)에 캡(6)을 부착하는 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캡 트레이(20)에 다수의 캡(6)들을 적재한 후, 캡 트레이(20)를 자외선 경화 챔버 내에 설치된 캡 부착 장치의 푸싱 유니트(10) 상에 위치시킨 후, 캡 트레이(20) 상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액티브 영역들이 형성된) 기판(1) 및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킨다. After loading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캡 트레이(20) 하부의 푸싱 장치를 가동하여 푸싱 유니트(10)를 상승시킴으로서 캡 트레이(20)에 적재된 다수의 캡(6)들은 기판(1)을 향하여 상승하게 된다.In this state, by operating the pushing device under the cap tray 20 to raise the push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유니트(10)는 플레이트(12) 및 플레이트(12) 표면에 장착된 다수의 푸셔들(11; pusher)을 포함한다. 캡 트레이(20)에 형성된 개구(21)들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푸셔(11)들은 그 규격이 각 개구(21)보다 작으며, 따라서 푸싱 유니트(10)가 상승함에 따라 각 푸셔(11)는 개구(21)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캡(6)을 밀어 올리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pushing
푸싱 유니트(10)의 상승, 즉 각 푸셔(11)의 상승에 따라 위로 상승된 각 캡(6)은 기판(1)의 설정 영역(도 2의 액티브 영역(A) 외곽에 형성된 캡 부착 영역(S1 및 S2))에 대응한다. 이후, 푸싱 유니트(10)의 계속적인 상승에 따라 기판(1)과 접촉하는 각 캡(6)에는 소정의 압력이 작용하며, 따라서 캡(6)들은 동시에 기판의 설정 영역에 부착된다.Eac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부착 공정 초기에 푸싱 유니트(10)와 캡 트레이(20)는 서로 수평 상태를 이룬 상태로 정렬되며, 푸싱 유니트(10)가 상승하는 동안에도 이러한 정렬 상태를 유지해야만 각 캡(6)이 기판(1)의 캡 부착 영역에 정확하게 대응, 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t the beginning of the cap attaching process, the pushing
상술한 바와 같은 푸셔(11)는 캡(6)과 단순 접촉한 상태에서 캡(6)을 위로 밀어 올리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푸셔(11)에 의하여 캡(6)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푸셔(11)의 상부 표면과 캡(6)의 저면 사이에는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푸셔(11) 표면에서의 캡(6)의 미끄러짐에 의하여 캡(6)은 트레이(20) 상에서 흔들리게 된다.The
캡(6)이 흔들린 상태에서는 푸셔(11)를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캡(6)의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따라서 균일한 밀봉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캡(6)에 의한 소자의 완벽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없다. In the state that the
한편, 캡(6)은 금속 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가공 한 계에 의하여 그 중앙부 표면이 평면이 아니라 하향(도면 기준)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캡(6)의 볼록면과 푸셔(11)의 평면 표면의 접촉시 캡(6)은 쉽게 유동하게 되며, 그 결과 기판(1)의 설정 위치에 캡(6)이 정확하게 부착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the
이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11)의 상부 중앙부에 소정 깊이 및 면적의 요부(11A)를 형성함으로서 캡(6)의 중앙부 볼록면 일부가 이 요부에 대응된다. 따라서 캡(6)이 푸셔(11) 상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푸셔(11)를 사용하여 캡(6)을 상승, 가압할 때, 요부(11A)의 외곽부가 캡(6)의 외곽부 표면과 접촉함으로서 푸셔(11)에 의한 압력은 캡의 중앙부가 아닌 외곽부에 가해지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4, a
캡(6)을 기판(1)에 균일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캡(6)의 중앙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위의 구성에서는 캡(6)의 외곽부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서 위의 부착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In order to uniformly attac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실란트를 이용한 캡의 부착 공정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의 상승 과정에서 캡의 흔들림 또는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는 푸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ap using the sealan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provides a pusher that can suppress the shaking or slip of the cap during the cap raising process. Its purpose is to.
본 발명에 따른 푸셔는 캡과 접촉하는 캡 접촉부 상단부에 마찰 계수가 큰 탄성체로 제조된 패드가 장착되어 있어 캡 부착 공정시 캡 표면과 패드가 접촉된다. 캡 접촉부는 상단부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패드가 요부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패드는 평면의 캡 접촉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d made of an elastic body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cap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the cap, so that the pad surface contacts the pad during the cap attaching process. The cap contact may have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end such that the pad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or the pad may be attached to a flat cap contact surf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셔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셔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푸셔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도 3의 12)및 캡(도 3의 6)은 도시하지 않았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5,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late (12 in Figure 3) and cap (FIG. 6)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푸셔(30)의 가장 큰 특징은 상부에 마찰 부재인 패드를 장착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iggest feature of the
푸셔(30)는 푸싱 유니트(도 3의 10)의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지지부(31) 및 지지부(31) 상부에 구성되어 캡(6)과 접촉하는 캡 접촉부(32)로 구분되며, 캡 접촉부(32)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셔(30)에서는, 캡 접촉부(32)의 요부(33) 내에 소정 면적의 패드(34)를 캡 접촉부(32)의 표면 위로 돌출된 상태로 장착하였다. The
패드(34)는 마찰 계수가 큰 재료, 예를 들어 탄성체인 우레탄으로 제조되며, 캡의 구조적 특성상 캡 접촉부(32)의 표면상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푸셔(30)의 캡 접촉부(32)와 접촉하는 캡의 표면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34)가 캡 접촉부(32)의 표면보다 낮게 장착될 경우, 캡의 외곽부가 캡 접촉부(32)의 표면, 즉 패드(34) 외곽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패드(34)의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없다.The
한편, 도 6에서는 패드(34)가 캡 접촉부(32)에 형성된 요부(33) 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7에서와 같이 캡 접촉부(32)에 요부를 형성하지 않고 소정 두께의 패드(34A)를 캡 접촉부(32) 표면에 부착함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FIG. 6, the
이와 같이 푸셔(30)에 마찰 계수가 큰 패드(34)를 장착함으로서 캡(6)은 푸셔(30)의 캡 접촉부(32)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패드(34)와 접촉하게 된다. By attaching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푸셔에 장착된, 마찰 계수가 큰 재료로 제조된 패드와 캡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서 기판으로 캡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푸셔의 표면에서의 캡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의 설정된 위치에 캡을 정확하게 그리고 완전 밀봉 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pad and the cap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mounted on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haking of the cap on the surface of the pusher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ap to the substrate. have.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of attaching the cap accurately and completely in the sealed position of the substrate.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6179A KR101191443B1 (en) | 2004-12-15 | 2004-12-15 | Pu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06179A KR101191443B1 (en) | 2004-12-15 | 2004-12-15 | Push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67409A KR20060067409A (en) | 2006-06-20 |
| KR101191443B1 true KR101191443B1 (en) | 2012-10-16 |
Family
ID=371619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106179A Expired - Lifetime KR101191443B1 (en) | 2004-12-15 | 2004-12-15 | Push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91443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14618A (en) * | 2001-01-12 | 2002-07-31 | Sony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04
- 2004-12-15 KR KR1020040106179A patent/KR1011914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14618A (en) * | 2001-01-12 | 2002-07-31 | Sony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67409A (en) | 2006-06-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057340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
| CN100364133C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2216369B1 (en) | Led chip transferring method and adevice using foam and photoresist,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 WO2005119803A2 (en) | Encapsulating oled devices | |
| CN109411622B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 |
| US1167850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09148518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US7038376B2 (en) | Device, particularly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 |
| KR101191443B1 (en) | Pusher | |
| KR100669195B1 (en) | Pusher | |
| US11716872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060058503A (en) | Cap attachment | |
| KR100875098B1 (en) | Electroluminescent device assembly tray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assembly device having same | |
| KR101076433B1 (en) | Method for adhering a cap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
| KR20180065524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0702517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 |
| KR100623355B1 (en) | Cap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
| KR100450460B1 (en) | Soft Mol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JP2007048474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 |
| KR20060058505A (en) | Cap attachment | |
| KR100634680B1 (en) |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cap with a support formed therein | |
| KR20060075761A (en) | Cap alignment device | |
| KR10113054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used for display device | |
| KR101191447B1 (en) | Plate for pressurizing a mask | |
| KR100682762B1 (en) | Sealant Curing Mas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730 Appeal identifier: 2011101010208 Request date: 20111223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5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5061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