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026B1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 Google Patents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3026B1 KR101193026B1 KR1020100077943A KR20100077943A KR101193026B1 KR 101193026 B1 KR101193026 B1 KR 101193026B1 KR 1020100077943 A KR1020100077943 A KR 1020100077943A KR 20100077943 A KR20100077943 A KR 20100077943A KR 101193026 B1 KR101193026 B1 KR 101193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dio
- audio data
- mixing
- broadcast
- output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지정된 출력경로로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가 중복되는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 또는 출력장치로 정확하게 송출한다.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supporting audio m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audio input terminals; A storage unit storing a mixing matrix in which at least one output path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And forming an input signal line corresponding to each input terminal of the audio input unit. When audio data is input from the audio input unit, the output path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line to which the audio data is input is checked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The audio data is output to the output path, and whether or not the output path designated as the output path of the plurality of audio data exists based o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and if present, the plurality of audio data are mixed to mix the specified output path. It includes an audio mixing control unit for send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mixes some audio data of which a destination is duplicated among a plurality of audio data, and accurately transmits the mixed audio data to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or an output device designated as a destin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저장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technology for supporting audio mix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analog and digital audio data and digital audio data stored in a storage device.
기업, 관공서, 호텔, 콘도 또는 학교 등의 업무용 빌딩 또는 교육용 빌딩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구내방송 시스템 장치를 이용하여 주요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방송 관리자는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일과 통보, 화재 훈련 통보 또는 듣기평가 수행 등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각 교실에 구비된 스피커로 송출한다. In business buildings such as corporations, government offices, hotels, condominiums or schools, educational buildings are used to deliver major messages to members in order to deliver important messages to members. For example, the broadcasting manager transmits audio data related to the main routine notification, fire training notification, or listening evaluation performance to the speakers provided in each classroom using the campus broadcasting system.
한편,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mixing)하여 스피커에 출력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may mix a plurality of audio data into one audio data and output the same to a speaker.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믹싱 장치(1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이 중 어느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달하고, 더불어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The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The
한편,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수업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시보음원을 저장하고, 더불어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시보음원이 송출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해당 시보음원을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로 전송한다. 그러면, 믹싱 장치(110)는 현재 송출중인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시보음원을 믹싱하고, 이렇게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한다. 또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믹싱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체 방송으로 송신할 수 있어도,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600-N)로 지정하여 방송할 수 없다. 즉,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지정하여 출력할 수 없고,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든 스피커 또는 모든 단말기로만 출력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f the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transmits the mixed audio data through the entire broadcast, it cannot be designated and broadcast to the specific terminal or the audio distributor 600-N. That is, in the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the mixed audio data cannot be designated and output to specific terminals or
또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오디오 믹싱 장치(110),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 스트리밍 서버(130) 등을 구축하여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구성원들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고, 방송을 위한 기기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is an analog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오디오 분배기 또는 방송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that transmits mixed audio data to a designated audio distributor or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각 오디오 데이터의 믹싱 여부를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mixing audio data and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audio data when a plurality of audio data are recei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지정된 출력경로로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supporting selective audio m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audio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audio input terminals; A storage unit storing a mixing matrix in which at least one output path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And forming an input signal line corresponding to each input terminal of the audio input unit. When audio data is input from the audio input unit, the output path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line to which the audio data is input is checked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The audio data is output to the output path, and whether or not the output path designated as the output path of the plurality of audio data exists based o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and if present, the plurality of audio data are mixed to mix the specified output pa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dio mixing control unit for sending out.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가 중복되는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 또는 출력장치로 정확하게 송출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electively mixing some audio data of which a destination is overlapped among a plurality of audio data, and accurately transmitting the mixed audio data to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or an output device designated as a destination.
아울러,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장치를 이중화하여, 액티브 방송 수단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 방송 수단에서 중단없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user with a broadcast service without duplication in the standby broadcast means by duplexing the broadcast service device,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active broadcast mean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의 스탠바이 방송 수단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을 대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matters.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xing matri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table in which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an audio mix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an audio mix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an audio mix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dundant audio mix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on behalf of an active broadcast means by a standby broadcast means of a redundant audio mix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수신단말(200-N), 오디오믹싱 서버(300), 방송제어 서버(400), 입력장치(500-N) 및 오디오분배기(60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믹싱 서버(300), 방송제어 서버(400), 복수의 방송수신단말(200-N)은 내부 네트워크인 인트라넷(70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As shown in FIG. 2, the premise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roadcast receiving terminals 200 -N, an
방송수신단말(200-N)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즉, 방송수신단말 ID)를 가지고 있으며, 오디오믹싱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수신단말(200-N)은 스피커를 탑재하거나 스피커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에 출력한다.Each of the broadcast receiving terminals 200 -N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ID)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nd reproducing packetized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방송제어 서버(400)는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송출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방송제어 서버(400)는 시보 방송, 동보 방송, 비상 방송, 예약 방송, 그룹 방송과 관련된 시나리오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제어 서버(400)는 선택적 믹싱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오디오 입력에 대한 실시간 볼륨제어, 오디오 입력에 대한 ON/OFF 제어, 단독 오디오입력을 위한 ON/OFF 제어, 오디오 데이터의 믹싱을 위한 믹싱 버스의 선택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방송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오디오믹싱 서버(400)로 전송한다.The
각각의 입력장치(500-N)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마이크, 아날로그 테이프 재생 장치 등의 아날로그 기반의 입력수단 또는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MP3(MPEG Audio Layer-3) 재생 장치 등의 디지털 기반의 입력수단이 채택된다. 이러한 입력장치(500-N)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구비된 다수의 입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Each input device 500-N transmits analog audio data or digital audio data to the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는 장치로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구비된 다수의 출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이러한 오디오분배기(600-N)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로 분배한다. 한편,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믹싱 서버(300)로부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을 수신하면,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The audio distributor 600 -N is a device for distributing audio data to a plurality of speakers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provided in the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선택적으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더불어 오디오분배기(600-N)측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다수의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믹싱 데이터를 오디오분배기(600-N)측으로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입력단자와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5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하여 오디오분배기(600-N) 또는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전송한다.The
특히,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전송한다. In particular, the
한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하는 도중에, 새로운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이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Meanwhile, when new second audio data is received while transmitting the first audio data to at least one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200 -N or the audio distributor 600 -N, the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오디오 입력부(310), 패킷 수신부(320), 오디오 출력부(330), 패킷 전송부(340), 저장부(350) 및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오디오 입력부(3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이렇게 구비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입력부(31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장치(500-N)와 연결되고, 해당 입력장치(500-N)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하여 오디오 입력부(310)로 전달한다. 아울러, 오디오 입력부(310)는 각각의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오디오믹싱 처리부(360)와 입력신호라인(IN1 ~ IN4)을 형성한다. 상기 입력신호라인 각각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The
오디오 출력부(330)는 오디오 출력경로인 복수의 출력단자(OUT1 ~ OUT4)를 구비하고,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부연하면, 오디오 출력부(330)에 구비된 각 출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분배기(600-N)와 일대일 연결되고, 해당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 출력부(330)로부터 송출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30)에 구비된 각각의 출력단자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The
패킷 수신부(32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되고,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방송제어 서버(400)와 통신한다. 특히, 패킷 수신부(32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및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출력경로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상기 패킷 수신부(320)와 오디오믹싱 제어부(360) 사이에 형성된 입력신호라인에는 고유의 식별정보(IN8)가 부여된다. The
패킷 전송부(34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되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에 의해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패킷으로 생성하고, 이 패킷을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The
저장부(350)는 시보음, 듣기평가 사운드, 경보음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350)의 방송 콘텐츠에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출력단자 식별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다. 아울러, 저장부(350)는 예약방송 시각, 오디오 방송 편성표 등의 방송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한다.The
특히, 저장부(350)는 오디오 믹싱 제어의 기초가 되는 믹싱 매트릭스 및 각 입력신호라인(IN1~IN8)과 대응하여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In particular,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xing matri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50)는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출력경로(OUT1~OUT4) 정보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한다. 부연하면,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출력경로(OUT1~OUT4)로 출력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4에서, 숫자 '1'은 온(ON) 상태를 나타내고, 숫자 '0'은 오프(OFF)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6(IN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출력단자3(OUT3)으로 출력된다. 또한,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 1,3,5,8(IN1, IN3, IN5, IN8)에서 동시에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 처리되어, 오디오 출력단자1(즉, OUT1)로 출력된다. 이러한 믹싱 매트릭스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table in which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50)는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여기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는 오디오 입력부(310)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부(310)와 형성된 입력신호라인(IN1~IN4) 및 패킷 수신부(320)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신호라인(IN8)에 각각 부여된다. 또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 중 일부(IN5~IN7)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의 입력신호라인으로 예약된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가 해당 입력신호라인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한다.Here, each of the input signal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1 to IN8 corresponds to each input terminal of the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신호라인1(IN1)은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신호라인1(IN1)을 통해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7(IN7)은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즉, 사전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 각각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입력신호라인5(IN5)에서 입력신호라인7(IN7)까지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한다. 또한, 입력신호라인8(IN8)은 인트라넷(700)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의 입력신호 경로, 즉 패킷 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5, the
또한,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에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 목록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라인2(IN2)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로서 '2st0021' 및 '2st0022'가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의 유형에 따라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8(IN8)은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옵션 정보(optional)만이 기록되어 있다. 즉, 입력신호라인이 인트라넷(700)을 통해 수신되는 경로를 나타내거나 저장부(350)의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된 경우, 해당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매핑테이블에 기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신호라인에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다. In addition, in the mapping table of the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인트라넷(700)과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더불어 다수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구체적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수신부(320)에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연결된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In detail, when the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5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로 송출하고, 더불어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와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 또는 방송수신단말(200-N)로만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패킷 전송부(340)를 통하여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가 송출되는 도중에, 특정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를 참조하여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면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로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특정 출력단자로 송출하거나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수신단말(200-N)로 송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udio data is received from a specific input signal line while specific audio data is being transmitted, the audio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고,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330)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조정 모듈(360a)을 포함한다. 상기 볼륨조정 모듈(360a)은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입력신호라인1(IN1)의 음량증감정보가 '+10dB'인 경우, 입력신호라인1(IN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10dB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볼륨조정 모듈(360a)은 오디오 출력부(330)의 각 출력단자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출력단자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출력단자2(OUT2)의 음량증감정보가 '-5dB'인 경우, 출력단자2(OUT2)에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5dB만큼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the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수신단말1(200-1)과 방송수신단말2(200-2)의 식별정보, 출력단자1(OUT1)과 출력단자2(OUT2)의 식별정보 및 제2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가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하는 도중에, 패킷 수신부(32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제2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 식별목록, 단말 식별목록이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다(S601, S603, S605). Referring to FIG. 6, the
그러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 OUT2)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IN8)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607).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Then, the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8)와 대응하여 출력단자(OUT1, OUT2)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 즉,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로가 'IN8'이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출력단자 식별정보로서 'OUT1, OUT2'가 기록됨에 따라,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입력신호라인 'IN8'과 대응하여 'OUT1'과 'OUT1'의 활성화 정보(즉, 숫자 1)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Subsequently, the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9). 즉,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새로운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1(200-1) 중에서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Next, the audio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6에서는 방송수신단말1(600-1)과 오디오 분배기1(6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장치로서 표현된다.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30)의 특정 출력단자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Next, if there is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200-N designated as a destination of both the first audio data and the second audio data, or the output terminal designated as an output path of both audio data, The first audio data and the second audio data are determined as audio data to be mixed. In FIG. 6, the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1 600-1 and the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면,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즉,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611).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613).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615).If there is audio data to be mixed, the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되어 수신하지 않고 제2오디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2(2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617).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만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619).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출력단자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력단자2(OUT2)로 송출되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In addition, the audio
한편, S605 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송출하고, 상기 출력단자2(OUT2)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2(600-2)는 상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Meanwhile, the broadcast content received in step S605 may include a speaker output identification list. In this case,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the
도 7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예약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7, the
도 7을 참조하면, 저장부(350)는 방송 시각,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목록, 출력단자 식별목록,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및 제2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예약방송 콘텐츠를 사전에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이렇게 예약방송 콘텐츠가 저장된 상태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 및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한다(S701, S703).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예약방송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한 경우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를 저장부(350)에서 추출한다(S705, S707). In this state in which the reserved broadcasting content is stored, the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 OUT2)와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709). 여기서,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내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호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즉, 방송 관리자는 예약 시각이 지정된 방송 콘텐츠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함께 입력한다.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에 의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Next, the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출력단자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11). 즉,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ubsequently, the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들(200-N) 중에서 제2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7에서는 방송수신단말1(6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고, 출력단자1(OUT1)이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로이다.The audio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즉,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713).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5).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17).If it is determined that a plurality of audio data to be mixed exists, the audio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하여 수신하지 않고,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2(200-2)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9).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만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21).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출력단자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력단자2(OUT2)로 송출되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In addition, the audio
한편, 예약방송 콘텐츠에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송출하고, 상기 출력단자2(OUT2)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2(600-2)는 상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The reserved broadcast content may include a speaker output identification list. In this case,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vely mixing and transmitting audio data in the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고 동시에 방송수신단말2(200-2)와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2)로 송출되는 제3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1(500-1)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8, the
도 8을 참조하면,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가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하고,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200-2)와 오디오분배기2(600-2)로 송출하는 도중에, 오디오 입력부(310)는 외부 입력장치1(5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로 전달한다(S801, S803, S805, S807, S809). Referring to FIG. 8, the audio
입력장치1(5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즉, IN1)를 확인한다(S811).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The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3)와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부연하면, 외부 입력장치(500-N)가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달할 뿐 추가적인 단말 식별목록, 출력단자 식별정보 등의 정보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로인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S813). Subsequently, the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5). 구체적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즉,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추출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토대로,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 또는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200-N) 중에서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Next, the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817). 도 8에서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출력단자1(OUT1)이 지정되고,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 단말로서 방송수신단말1(200-1)이 지정된다. Subsequently, if there is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200-N designated as a destination of all the plurality of audio data or an output terminal designated as an output path of the plurality of audio data, the audio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819).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단자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821).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200-2)와 출력단자2(OUT2)로 지속적으로 송출한다.Next,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이중화되어, 서비스 제공중인 액티브 방송 수단에서 방송중단이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 방송 수단이 정상적인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dundant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 오디오 입력부(910), 패킷 수신부(920), 오디오 출력부(930) 및 패킷 전송부(9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redundant
오디오 입력부(910), 패킷 수신부(920), 오디오 출력부(930) 및 패킷 전송부(940)는 도 3을 참조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게 동작하며, 액티브 방송 수단(950a)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 의해 공유된다. 게다가, 오디오 입력부(910)는 각각의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및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와 동일한 입력신호라인(IN1~IN4)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신호라인을 통하여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각각 전달한다. 아울러, 패킷 수신부(920)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및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와 동일한 입력신호라인(IN8)을 형성하고, 인트라넷(700)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각각 전달한다.The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저장부(951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의 제2저장부(952a)는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저장부(951a)와 제2저장부(952a)는 믹싱 매트릭스(도 4 참조), 매핑테이블(도 5 참조), 방송 콘텐츠 등의 각종 데이터를 서로 동일하게 저장한다. 특히, 제1저장부(951a)와 제2저장부(952a)는 타임스탬프 정보가 부가된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기능을 수행한다. 게다가,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951a, 951b)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예컨대, 10Kbyte)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 각각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를 부가하여 저장부(951a, 951b)에 각각 저장한다. 즉,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952b)는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재생구간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타임스탬프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저장부(951a, 952b)에 각각 저장한다. The first audio mixing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포함된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전달받은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포함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전달한다.The first duplexer 953a included in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continuously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to the second duplicater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 In addition, the second redundant unit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determines whether a failure occurs in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received from the first redundant part 953a. Perform the function to check. In detail, the first redundant unit 953a acquires state inform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cluded in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second duplicater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또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서비스 활성화를 지시함으로써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행되게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redundant unit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unit 950b analyzes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redundant unit 953a,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active broadcast unit 950a, the standby unit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performs the broadcast service by instructing the second audio mixing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redundant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을 대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on behalf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in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of the redundant
도 10을 참조한 설명에서, 제1오디오 데이터는 제1저장부(951a), 제2저장부(951b)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제2오디오 데이터는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first audio data is data stored in each of the
도 10을 참조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예컨대, 10Kbyte)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 정보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제1저장부(951a)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제1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 정보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제2저장부(952a)에 저장한다. 부연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저장부(951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저장부(952a)에는 일정 크기로 분할되어 타임스탬프 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게 저장된다.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first audio mixing
이렇게 동일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저장한 상태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와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분할하여 제1저장부(951a)에 저장한 제1오디오 데이터 추출한다(S1001).In this state of storing the same first audio data, the first audio mixing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출력단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출력부(930)의 출력단자(OUT1)로 상기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출한다(S1003). 아울러,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저장부(951a)에서 추출한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전송한다(S1005). 이때,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각각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스탬프 정보에 근거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확인하고, 이 재생순서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단자1(OUT1) 또는 방송수신단말1(200-1)로 송출한다. Next, the first
이렇게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의해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CPU, 메모리 등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더불어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송출되고 있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제1이중화부(953a)는 획득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와 제1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지속적으로 전달한다(S1007).When the broadcast service is provided by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the first duplexer 953a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obtains state information such as CPU, memory, etc.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The time stamp information of the second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active broadcasting means 950a is continuously checked. The first redundant unit 953a continuously transmits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and the time stamp information of the first audio data to the second redundant portion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b. S1007).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가 제1저장부(951a)에 저장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분배기(600-N) 또는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는 도중에, 오디오 입력부(910)는 자신과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9). 그러면, 오디오 입력부(910)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 및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과 각각 형성된 입력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전달한다. While the first audio mixing
그러면,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오디오 입력부(910)로부터 전달받은 제2오디오를 수신받되 출력하지 않은 서비스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반면에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제1저장부(951a)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Then, the second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제1저장부(951a)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번호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제1저장부(951a)의 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1(200-1)이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Next, the first
그리고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 존재하면, 제1오디오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대상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10에서는 방송수신단말1(2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수신하는 단말로 표현된다.If the first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함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고,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 대신에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로 전송한다(S1011). Next, the first
한편,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a)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제2이중화부(953b)는 상기 분석 결과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로 서비스 중단을 지시하고 더불어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로 서비스 활성화를 지시한다(S1013, S1015, S1017). 이때,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uplexer 953b of the standby broadcast means 950a continuously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from the first duplicater 953a, and analyzes the state information, thereby analyzing the active broadcast means. At 950a it is continuously checked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ilure occurs in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cond redundant unit 953b instructs the active broadcast means 950a to stop the service and activates the service in the second audio mixing controller 952. (S1013, S1015, S1017). In this case, the second duplexer 953b transfers the time stamp information last received from the first redundancy unit 953a to the second audio mixing controller 952.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지시받은 제1이중화부(953a)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로 방송 서비스 수단을 지시하여,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의해 방송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아울러,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a)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서비스 대기 상태에서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더불어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전달받은 토대로 제2저장부(951b)에 저장된 제1오디오 데이터 전체 중에서 송출할 제1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S1019). 즉,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전달받은 타임스탬프 정보를 토대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제공한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제2저장부(951b)에서 추출한다. The first duplexer 953a,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stop service by the second redundant unit 953b, instructs the first audio mixing
다음으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952a)에 저장된 믹싱 매트릭스 및 매핑테이블을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21). 즉,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 제1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과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방송수신단말1(2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수신하는 단말임을 확인한다. Next, the second
이어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타임스탬프 이후의 재생구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입력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한다(S1023). 다음으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025). Subsequently, the second
아울러,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951b)에서 상기 타임스탬프 이후의 재생구간에 해당하는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930)의 출력단자1(OUT1)로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을 대신하여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S1027). 즉,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장애 발생하기 전에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이 오디오 분배기1(600-1)로 제공한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구간을 타임스탬프 정보를 통해 인지하여, 이 재생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분배기1(600-1)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udio mixing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형성된 입력신호라인이 8개이고 출력경로가 4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본 발명의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를 포함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로 이해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방송제어 서버(400)와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서로 독립되어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두 서버(300, 400)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nput signal lines formed in the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singular < Desc / Clms Page number 5 > embodiments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sequence of sequential orders, or a desired result .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200-N : 방송수신단말 300 : 오디오믹싱 서버
310 : 오디오 입력부 320 : 패킷 수신부
330 : 오디오 출력부 340 : 패킷 전송부
350 : 저장부 360 : 오디오믹싱 제어부
400 : 방송제어 서버 500-N : 입력장치
600-N : 오디오분배기 200-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300: Audio mixing server
310: audio input unit 320: packet receiving unit
330: audio output unit 340: packet transmission unit
350: storage unit 360: audio mixing control unit
400: broadcast control server 500-N: input device
600-N: Audio Splitter
Claims (7)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을 식별하여 이 식별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출력경로가 중복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출력경로별로 확인하여 존재하면, 동일한 출력경로를 가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1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이 제1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에 속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와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는 패킷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패킷 수신부를 통해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면 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경로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출력경로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패킷 수신부와 형성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시켜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하여 믹싱 매트릭스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믹싱 매트릭스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출력경로가 중복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출력경로별로 확인하여 존재하면, 동일한 출력경로를 가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2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A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device supporting selective audio mixing,
An audio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audio input terminals;
A storage unit storing a mixing matrix in which at least one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An input signal line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input terminal of the audio input unit; Outputs the audio data to the output path by checking a path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of audio data having duplicate output paths based on the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An audio mixing control unit which selects a plurality of audio data having the same output path as the first mixing target audio group and mixes and transmits the audio data belonging to the first mixing target audio group into one audio data if it exists after checking for each path. ; And
And a packet receiver connected to a network and forming an input signal line with the audio mixing controller.
The audio mixing control unit,
When the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packet receiver, the output path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is checked, and activation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output path is matched with the input signal line formed with the packet receiver to record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The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mixing matrix is updated, and based on the updated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mixing matrix,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of audio data having duplicate output paths for each output path, The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udio data having a second audio object to be selected as a mixing group and to output a single audio data.
상기 저장부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 정보가 포함된 제2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제2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 정보를 확인하고, 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상기 제2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경로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하여 믹싱 매트릭스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믹싱 매트릭스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출력경로별로 확인하여 존재하면 이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3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stores the second broadcast content including input signal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utput path information,
The audio mixing controller checks input signal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utput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broadcast content, and activates information on the output path included in the second broadcast conte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put signal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mixing matrix of the storage unit to update the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mixing matrix, and whether the output path designated as the output path of the plurality of audio data exists based on the updated output path 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mixing matrix is output. And if there is a specific check, the plural audio data are selected and mixed as the third mixing target audio group.
상기 저장부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기록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고 믹싱하여 해당 방송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torage unit stores the broadcast receiv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signal line,
The audio mixing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re is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audio data at the same time with reference to the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and, if present, mixes the plurality of audio data for mixing. The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transmitting to the correspond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각각의 출력경로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audio mixing control unit,
Audio volume for storing each input signal line and output path,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of audio data input from each input signal line based on the volume increase information, and outputting audio to each output path.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data.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로 이중화되고,
상기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상기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서비스 대기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에서 송출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송 서비스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대기 상태에서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획득된 타임스탬프 정보를 토대로 오디오 데이터의 송출구간을 확인하여 이 송출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audio mixing control unit is duplicated into a first audio mixing control unit and a second audio mixing control unit,
The first audio mixing controller is set to a service activation state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ivided audio data,
The second audio mixing controller is set to a service standby state, obtains time stamp information of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audio mixing controller, and monitors a broadcast service performed by the first audio mixing controller to monitor the broadcast ser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is performed, the service transition state from the service standby state to the service activation state to check the transmission section of the audio data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time stamp information to extract and transmit the audio data after this transmission section On-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device.
상기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 다른 오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송출되는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audio mixing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extracted audio data, if the presence of an output path through which other audio data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is determined, and if present, the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comprising selecting and mixing the extracted audio data and the other audio data as a mixing target audio group.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7943A KR101193026B1 (en) | 2010-08-12 | 2010-08-12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7943A KR101193026B1 (en) | 2010-08-12 | 2010-08-12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5657A KR20120015657A (en) | 2012-02-22 |
| KR101193026B1 true KR101193026B1 (en) | 2012-10-22 |
Family
ID=458382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77943A Active KR101193026B1 (en) | 2010-08-12 | 2010-08-12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930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24065B1 (en) * | 2020-07-30 | 2021-11-10 | 동양엘리베이터앤아이씨티솔루션(주) | Audio Mixing Recording Engine System for Simultaneous multi-channel audio monitoring and timebase integrated file creation |
| CN114416011B8 (en) * | 2021-11-12 | 2024-04-05 |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 Terminal, audio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17753A (en) * | 2000-01-31 | 2001-08-10 | Toshiba Corp | Active / backup switching device for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
-
2010
- 2010-08-12 KR KR1020100077943A patent/KR1011930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17753A (en) * | 2000-01-31 | 2001-08-10 | Toshiba Corp | Active / backup switching device for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5657A (en) | 2012-02-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11837B2 (en) | Redundant media packet streams | |
| KR101284134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in hybrid network | |
| JP694559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between multiple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 |
| KR100923490B1 (en) | Public address system using network | |
| KR100917716B1 (en) | Local broadcasting device of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using network | |
| CA2756558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otion signals in a multi-seat environment | |
| KR101193026B1 (en)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 |
| KR101021198B1 (en) | Network-based intelligent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 |
| JP487189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 |
| KR10140199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uffering of data in audio transmitter/receiver based on network | |
| KR101170340B1 (en)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contents mixing | |
| KR101220487B1 (en)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in hybrid network | |
| JP3879949B2 (en) | Multi-channel digital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
| JP2017041743A (en) | Content distribution device | |
| KR101221639B1 (en) |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contents mixing in hybrid network | |
| KR102819600B1 (en) | A broadband network-based audio streaming broadcasting system that supports time synchronization of audio packets | |
| JP3880134B2 (en) |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
| KR20230001982A (en) | Hybrid network-based 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system | |
| JP3433555B2 (en) | Video editing system | |
| JPH07212737A (en) | Data transmitter | |
| JP2813625B2 (en) | Video distribution system | |
| JPH10336564A (en) | Data transmitter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 |
| JPS59225442A (en) | Sound data base system | |
| HK1130911B (en) | Control of a plurality of motion platforms in synchrony with an audio tra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