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7305B1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305B1
KR101207305B1 KR1020070076993A KR20070076993A KR101207305B1 KR 101207305 B1 KR101207305 B1 KR 101207305B1 KR 1020070076993 A KR1020070076993 A KR 1020070076993A KR 20070076993 A KR20070076993 A KR 20070076993A KR 101207305 B1 KR101207305 B1 KR 10120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chamber
opening
hot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827A (ko
Inventor
김태우
홍석원
손종철
김향기
전기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305B1/ko
Priority to US12/155,313 priority patent/US8212188B2/en
Priority to EP08157482.4A priority patent/EP2020574B1/en
Priority to CN2008101103368A priority patent/CN101356934B/zh
Publication of KR2009001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3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열원을 사용하면서도 디바이더를 사용하여 넓은 조리공간을 분할하고 분할된 조리실 공간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조리를 행하거나,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조리공간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와, 상부 및 하부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분할되는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분할된 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온도에 부합하도록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풍량조절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조리실에 온도가 설정된 경우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2조리실에 온도가 설정된 경우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조리실
23: 디바이더 30: 도어
40: 열풍공급장치 41: 히터
42: 송풍팬 50: 팬커버
52: 팬커버흡입구 54: 팬커버 토출구
60: 풍량조절장치 61: 구동모터
62: 스위치 70: 개폐커버
73: 개폐커버 흡입구 75: 개폐커버 토출구
76: 연동부 80: 연결부재
81: 몸체부 82:캠부
83: 편심축부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조리물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류현상을 이용하는 종래의 조리기기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 캐비티와, 오븐 캐비티에 구비되어 오븐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송풍팬과, 주로 캐비티 후면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으로 대류되는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하 는 컨벡션 흡입구 및 토출구와, 조리물을 올려 조리실에 위치시키는 복수의 트레이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오븐 캐비티에 넣고 조리명령을 입력하면 송풍팬이 구동되어 캐비티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를 캐비티내로 토출하도록 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은 고온의 공기와 계속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고, 그 열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기는 단일의 오븐 캐비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용량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도 조리실 전체를 가열해야 하므로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전력사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44217호에는 구획판을 마련하여 조리실을 상부/하부 조리실로 구획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실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간 및 전력사용을 줄일 수 있는 전기오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전기오븐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마련되어 조리실을 가열하는 히터유닛과, 조리실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을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구획판이 분리된 싱글타입의 조리실 및 구획판이 장착된 더블타입의 조리실에 해당하는 조리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싱글타입 및 더블타입에 사용 가능하게 마련된 모드선택유닛과, 구획판의 착탈 상태를 인 식하여 모드선택유닛을 싱글타입 및 더블타입 중 하나에 대응되게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오븐은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실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구획판에 의해 분리되는 제1,2조리실 각각에 히터 및 송풍팬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싱글타입 또는 더블타입에 대응하여 각각의 타입에 맞는 모드선택유닛을 구비해야 하는 등 그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송풍팬의 온/오프 또는 히터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조리실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온도제어를 하기 위해 히터 또는 송풍팬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리실내의 온도변화폭이 커지게 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조리물의 조리시 조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열원을 사용하면서도 디바이더를 사용하여 넓은 조리공간을 분할하고 분할된 조리실 공간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동일 열원을 사용하면서도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조리공간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리실내의 온도변화폭을 줄일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하여 조리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통풍구를 구비하는 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하여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한다.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의 통풍구에 대응하는 통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의 전방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개폐커버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동일축선상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편심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편심축부와 결합하는 장방형 홈을 구비한 연동부를 포함한 다. 상기 구동모터는 일방향 회전가능한 모터 또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이며, 상기 개폐커버가 최대 높이 또는 최소 높이를 감지하도록 온/오프 변화를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몸체부 후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변화를 일으키는 캠부가 형성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스텝모터로 구성하면 스위치나 캠부의 구서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개폐커버는 후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는 상기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는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테두리부에 형성된 토출구이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와, 상부 및 하부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분할되는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분할된 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온도에 부합하도록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통풍구 중 어느 하나의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하여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한다.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의 열풍공급하는 통풍구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제1,2조리실과,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제2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상기 제2조리실의 설정목표온도와 부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의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이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로부터 소정 범위 이하이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고 제1조리실의 조리를 계속하여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조리실에만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조리실만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제1,2조리실과,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제2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완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의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고 제1조리실의 조리를 계속하여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실(20)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조리실(20)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20)을 복수의 조리공간으로 구획하는 디바이더(23)와, 조리실(2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40)와, 디바이더(23)에 의해 구획되는 조리실(20) 중 어느 일부의 조리실(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열풍공급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조리실(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11)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2)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종류,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3)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1)는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20)을 형성하고, 내부케이스(11)의 양측면(11a)에는 조리물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트레이(14)의 착탈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15a,15b)가 형성되며, 복수의 가이드부(15a,15b)중 중앙측에 마련된 중앙가이드부(15b)는 트레이(14) 뿐 아니라 조리실(20)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디바이더(23)의 슬라이딩 착탈을 안내한다.
따라서 디바이더(23)를 중앙가이드부(15b)에 삽입하여 조리실(20)내에 장착하면 조리실(20)은 상부에 형성된 제1조리실(21)과, 하부에 형성된 제2조리실(22)로 구획된다.
디바이더(2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에 장착하는 경우 제1,2조리실(21,22)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풍공급장치(40)를 감싸도록 돌출된 열풍공급장치(40)에 대응하는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디바이더(23)의 내부에는 제1,2조리실(21,22)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마련된다.
또한,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에는 조리실(2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6,17)가 마련되는데, 온도센서(16,17)는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상부에 마련되어 디바이더(23)의 장착시 제1조리실(21)의 온도를 측정하며 디바이더(23)의 미장착시 단일의 조리실(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6)와,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 하부에 마련되어 디바이더(23)의 장착시 제2조리실(2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7)를 포함한다. 이때, 디바이더(23)의 미장착시 제2온도센서(17)를 이용하여 단일의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 중앙측에는 조리실(20)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40)가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와 풍량조절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장치(40)는 히터(41)와, 히터(41)의 내부 에 설치되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42)과, 송풍팬(42)을 커버하며 흡입구(52:52a,52b) 및 토출구(54:54a,54b)가 형성된 팬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히터(41)는 조리실(20) 후면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송풍팬(42)에 의해 팬커버(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러한 환형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풍팬(42)은 조리실(20)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즉 조리실(20)내에 수용된 조리물 등에 열풍을 공급하여 열전달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송풍팬(42)은 원심팬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히터(41)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터(41)가 구동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단독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2)의 후측에는 이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43)가 마련된다.
송풍팬(42) 및 히터(41)의 전방에는 송풍팬(42) 및 히터(41)를 커버하는 팬커버(50)가 마련된다.
팬커버(50)는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긴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조리실(2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송풍팬(42)에 의한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52:52a,52b)와 토출구(54:54a,54b)가 마련된다. 팬커버(50)의 형상은 송풍팬(42)과 히터(41)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구(52:52a,52b)는 송풍팬(42)의 전방측에 대응하는 전면 중앙부(51)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조리실(20)내의 공기를 흡입하며 대략 팬커버(5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마련된 상부흡입구(52a)와, 하측에 마련된 하부흡입구(52b)로 이루어진다.
토출구(54:54a,54b)는 송풍팬(42)의 측방측에 대응하는 측면 테두리부(53)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로 토출하며 대략 팬커버(5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마련된 상부토출구(54a)와, 하측에 마련된 하부토출구(54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팬커버(50)는 팬커버(50)의 대략 하반부에 형성된 하부흡입구(52b)와 하부토출구(54b)를 포함하는 하부통풍구(52b,54b)를 구비하고, 팬커버(50)의 대략 상반부에 형성된 상부흡입구(52a)와 상부토출구(54a)를 포함하는 상부통풍구(52a,54a)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디바이더(23)의 장착에 의해 제1조리실(21)과 구획되는 제2조리실(22)의 온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60; 도 1 참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풍량조절장치(60)는 하부토출구(54b)를 통해 제2조리실(22)로 배출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여 제2조리실(22)의 온도를 제어한다.
풍량조절장치(6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커버(50)의 전방 하측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커버(70)와, 개폐커버(7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1)와, 구동모터(61)의 구동력을 개폐커버(70)에 전달하는 연결부재(80)와, 연결부재(80)의 회전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62)를 포함한다.
개폐커버(70)를 팬커버(50)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팬커버(50)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홈부(55)가 복수개 마련되고, 팬커버(50)의 홈부(55)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이부(71)가 개폐커버(70)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커버(70)의 복수의 걸이부(71)가 팬커버(50)의 홈부(55)에 삽입 결합되어 홈부(55)가 걸이부(7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개폐커버(70)의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폐커버(70)는 대략 팬커버(50)의 하반부를 커버하며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와 대응하도록 통풍구(73,75)가 형성된다.
통풍구(73,75)는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와 대응하도록 개폐커버(70)의 전면부(72)에 형성된 흡입구(73)와, 팬커버(50)의 하부토출구(54b)와 대응하도록 개폐커버(70)의 테두리부(74)에 형성된 토출구(7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개폐커버(70)는 팬커버(5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4와 같이, 개폐커버(70)의 통풍구(73,75)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에 일치하게 되면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 개방시킬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개폐커버(70)의 통풍구(73,75)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히 어긋나게 배치시키면 개폐커버(70)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커버(70)의 통풍구(73,75)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의 위치 및 이격간격과 개폐커버(70)의 걸이부(71)와 팬커버(50)의 홈부(55) 등의 위치를 조절하여 개폐커버(70)가 팬커버(50)에 대해 최대상승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 폐쇄시키고, 개폐커버(70)가 팬커버(50)에 대해 최대하강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개폐커버가 팬커버에 대해 최대상승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팬커버의 하부통풍구를 완전 개방시키고, 최대하강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팬커버의 하부통풍구를 완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개폐커버의 통풍구 및 걸이부와 팬커버의 하부통풍구 및 홈부 등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개폐커버(70)는 상하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개폐커버(70)의 통풍구(73,75)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와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배치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커버(7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개폐커버(70)의 테두리부(74) 하단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61)의 회전운동을 개폐커버(70)의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구동모터(61)의 구동과 연동하여 개폐커버(70)가 상하 운동하도록 연동부(76)가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동부(76)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홈(77)이 마련되는데, 장방 형홈(77)에는 후술할 연결부재(80)의 편심축부(83)가 삽입된다. 구동모터(61)에 의해 편심축부(83)가 원운동하게 되면 편심축부(83)는 장방형홈(77)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과 동시에 연동부(76)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개폐커버(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 조절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회전 운동하는 구동모터(61)와, 구동모터(61)와 결합하며 편심축부(83)가 형성된 연결부재(80)와, 편심축부(83)의 회전에 따라 개폐커버(70)의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개폐커버(70)에서 연장된 연동부(76)를 포함하여 구동모터(61)의 회전운동을 개폐커버(7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한다.
구동모터(61)는 연결부재(80)를 회전시켜 개폐커버(7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의 rpm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로 마련되어 개폐커버(70)의 연동부(76)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본체(10)의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 외측에 적절히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61)의 회전축(61a)과 개폐커버(70)의 연동부(76)사이에는 연결부재(80)가 마련되어 구동모터(6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연결부재(80)는 구동모터(61)의 회전축(61a)에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61)의 회전축(61a)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몸체부(81)와, 몸체부(81)의 후면에 형성된 캠부(82)와, 몸체부(8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편심축부(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81)는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 외측에서 후면(11b) 내측으로 돌 출되는데,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은 몸체부(81)가 회전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홈(11c)이 형성된다. 이때 조리실(20)내의 가열공기가 삽입홈(11c)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홈(11c)과 몸체부(81)사이의 틈을 최소화하도록 삽입홈(11c)의 직경과 몸체부(81)의 직경을 적절히 조절한다.
몸체부(81)의 후면에 형성된 캠부(82)는 몸체부(81)와 일체로 회전하는데, 몸체부(81)가 회전함에 따라 캠부(82)가 스위치(62)를 가압하거나, 스위치(62)의 가압을 해제하여 스위치(62)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편심축부(83)는 개폐커버(70)의 연동부(76)에 형성된 장방형홈(77)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8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8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편심축부(83)는 몸체부(81)의 전면 중심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부(81)의 회전시 원운동을 하게 되는데, 편심축부(83)의 회전직경은 개폐커버(70)의 상하 직선운동의 행정거리에 대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구동모터(61)가 구동하면 구동모터(61)와 축결합된 연결부재(80)가 회전하고, 연결부재(80)의 일단에 돌출된 편심축부(83)가 회전을 하면서 연동부(76)의 장방형홈(77)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동부(76)와 일체로 형성된 개폐커버(70)는 편심축부(83)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어 팬커버(50)에 형성된 하부통풍구(52b,54b)를 개폐하거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블록도로서, 입력부(12), 감지부(91), 제어부(92), 구동부(93), 히터(41), 송풍팬(42), 구동모터(61), 및 스위 치(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부(12)는 조리의 시작신호를 입력하거나, 디바이더(23)가 분리된 상태의 조리실(20) 전체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디바이더(23)에 의해 구획된 제1,2조리실(21,22) 각각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본체(10)의 전면에 버튼 또는 노브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입력부(12)는 제1,2조리실(21,22)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각각의 온도설정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단일의 온도설정부를 마련하여 제1조리실(21)의 온도를 입력한 후 제2조리실(22)의 온도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감지부(91)는 조리실(20)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된 제1온도센서(16)와 조리실(20)의 하부에 마련된 제2온도센서(17)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92)는 입력부(12) 및 감지부(91)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토대로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디바이더(23)가 장착된 상태로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면 제어부(92)는 입력부(12)로부터 제1조리실(21)의 온도가 입력되었는가 및 제2조리실(22)의 온도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때, 제1조리실(21)의 온도만이 설정된 경우 구동모터(61)를 제어하여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하고 송풍팬(42)을 구동하고 히터(41)를 온/오프하여 제1조리실(21)의 온도를 제어하고, 제1,2조리실(21,22)의 온도가 모두 설정된 경우에는 송풍팬(42)을 구동하고 히터(41)를 온/오프하여 제1조리실(21)의 온도를 제어하고 구동모터(61)를 제어하여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2조리 실(22)의 온도를 제어한다.
구동부(93)는 제어부(92)의 신호에 따라 송풍팬(42)과 히터(41) 및 구동모터(61)를 제어한다. 구동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62)가 온/오프의 변동이 생기게 되며, 이 신호는 제어부(92)로 인가되어 구동모터(6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사용자가 제1조리실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제1,2조리실을 모두 사용하는 각각의 경우와 관련하여 동력에 의해 풍량조절장치를 구동하여 팬커버의 하부통풍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바이더(23)를 장착하고 조리를 시작하면 제어부(92)는 제1조리실(21)만이 작동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아니면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22)이 모두 작동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각각의 작동상태에 부합하도록 구동부(93)를 통해 구동모터(61)를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61)와 축결합하는 연결부재(80)는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재(80)에 형성된 편심축부(83)의 회전에 의해 개폐커버(70)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캠부(82)의 회전에 의한 스위치(62)의 온/오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스위치(62)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는 다시 제어부(92)로 제공된다. 이 스위치(62)의 온/오프 발생 신호에 의해 개폐커버(7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개폐커버(70)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62)가 오프에서 온으로 변동되는 시점(도 9의 A지점) 에서 개폐커버(70)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하부통풍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연결부재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초기구동에 의해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으로 변동시키기는 시점에서 팬커버의 하부통풍구를 개방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사용자가 디바이더(23)를 장착하고 제1조리실(21)의 온도만 설정하고 조리를 시작하는 경우(즉, 제2조리실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92)는 구동모터(61)를 구동시켜 제2조리실(22)을 폐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92)는 구동부(93)을 통해 구동모터(93)를 구동을 하게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조리실을 분할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폐커버(70)는 하부 통풍구(52b, 54b)가 최대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도 8의 B지점)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 연결부재(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부(82)도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 위치(A)에 다다르면 캠부(82)가 스위치(62)를 가압하여 스위치(62)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동작하게 된다(도 9 참조). 그러면 스위치(62)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제어부(92)에 인가되고, 제어부(92)는 이 신호를 전송받음으로써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하였음을 감지하고 구동모터(61)의 동작을 종료시켜 개폐커버(70)가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21)내부로만 열풍을 공급하고 제2조리실(22)내의 열풍 공급을 차단하여 전체 조리실(20)의 일부분인 제1조리실(21)내 부만을 가열하여 조리를 수행하여 소량의 조리물의 조리시 제1조리실(21)만을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리시간을 단축하며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2조리실(21,22)의 온도를 모두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2조리실의 온도는 제1조리실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없고 제1조리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조리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제1,2조리실은 동일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고 제2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하부통풍구의 개도 조절을 통해 제어되는 것이므로 제2조리실의 온도가 제1조리실의 온도보다 높을 수 없기 때문이다. 조리시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2조리실의 조리시간은 제1조리실의 조리시간 범위내에서만 설정된다.
조리를 시작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어부(93)는 구동모터(61)를 초기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초기구동은 이전 상태에서 개폐커버(70)의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개폐커버(70)가 최대 높이(하부통풍구의 완전 폐쇄)에 위치하거나 또는 최소 높이(하부통풍구의 완전 개방)에 위치하도록 만드는 과정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통풍구의 완전 폐쇄상태를 초기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제어부(92)는 구동모터(61)를 구동시켜 캠부(82)가 회전하여 스위치(62)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스위치(62)가 오프에서 온으로 변동하게 되고, 제어부(92)는 이 신호를 전송받음으로써 개폐커버(70)가 상향 이동하여 팬커버(50)의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하는 상태로 초기 구동한다(도 9 상태).
초기 구동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2조리실(21,22)의 온도를 제어부(92)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정된 온도와 온도차비율에 상응하는 개도로 하부통풍구(52b,54b)를 열어 주기 위해 제어부(93)는 구동모터(61)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적절한 개도량은 제1,2조리실(21,22)의 설정 온도와 온도차비율에 따른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량이 실험에 의해 데이타화되어 제어부(92)에 미리 저장된다. 제1,2조리실(21,22)의 설정온도 차이가 클수록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설정온도 차이가 작으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제2조리실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가열초기부터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시키면, 제1,2조리실(21,22)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비슷하게 맞추게 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제2조리실(22)의 온도상승을 완만하게 하여 조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달리, 초기 가열동안에는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가열하다가, 제2조리실이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하부통풍구(52b,54b)를 완전 폐쇄 및 완전 개방을 반복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제2조리실이 목표온도에 근접하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식 등 여러가지 제어방식이 가능하다.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방식은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에 의해 조절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에 해당하는 편심축부(83)의 회전각도(a)를 계산한 후, 편심축부(83)의 회전각도(a)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rpm을 갖는 구동모터(61)의 소정의 구동시간을 산출하 여 소정 구동시간동안 구동모터(61)를 구동함으로써 요구되는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최대 개도의 1/2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61)를 회전시켜 캠부(82)가 스위치(62)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가압한 후(도 9 상태)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에 상응하는 구동모터(61)의 회전각도(90ㅀ)만큼 구동모터(61)를 구동하도록 소정 rpm을 갖는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만큼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과 회전각도와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와의 관계가 미리 제어부(92)에 저장되어, 요청되는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 또는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제어부(92)는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서 회전각도와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와의 관계는 초기상태를 완전폐쇄상태(도 9 상태)로 한 경우를 기초로 한다.
조리 시작시의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유지하여 제2조리실(22)로 열풍을 공급하고, 이와 같이 공급된 열풍으로 인하여 제2조리실(22)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는 제2조리실(22)의 설정온도와 제2조리실(22)내부의 감지온도를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즉, 제2조리실(2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제2조리실(2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게 되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증가시키는데,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 증 가폭 및 감소폭은 되도록이면 작아지도록 구성하여, 제2조리실(22)의 조리온도의 온도편차가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일방향 회전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증가시키고자 하는 만큼의 개도량에 해당하는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을 구하여, 해당 시간만큼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캠부(82)가 스위치(62)의 오프상태에서 스위치(62)를 온시키는 시점(도 9의 A 지점)의 초기 상태로 구동한 후, 원하는 개도에 대응하는 회전각도 및 구동시간을 구하여 구동모터(61)를 구동함으로써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이때, 구동모터(61)가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이용한다면 개도 증가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감소시키고자 하는 만큼의 구동모터(61)의 구동시간을 구하여 해당 시간만큼 역회전 시킴으로써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의 경우에서는 하부통풍구의 완전 폐쇄상태를 초기 상태로 구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완전 개방상태를 초기 상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풍량조절장치의 경우도 랙과 피니언 또는 다양한 종류의 캠 등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든 기구적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풍량조절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소정 전압에서 일정한 rpm을 가지 는 모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도 가능하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스텝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통풍구의 개도위치 및 개도량을 직접 제어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캠부(82) 나 스위치(62)와 같은 구성 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조리실에 온도가 설정된 경우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제1,2조리실에 온도가 설정된 경우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실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하부통풍구를 완전 폐쇄하게 되면 제1조리실(21)내부로만 열풍을 공급하고 제2조리실(22)내의 열풍 공급을 차단하여 전체 조리실(20)의 일부분인 제1조리실(21)내부만을 가열하여 조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조리실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제2조리실(22)의 온도는 히터 또는 송풍팬을 온/오프함이 없이 하부통풍구(52b,54b)의 개도를 증감함으로써 제1조리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열풍이 공급되게 하여 제1,2조리실이 각각 상대적으로 조리온도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디바이더가 장착된 경우로서 사용자가 제1조리실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제1,2조리실을 모두 사용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한 제어 동작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제1조리실에만 목표온도(Ts1)가 설정되었는지 아니면 제2조리실까지 목표온도(Ts2)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100 및 S110). 앞에서 기 술한 바와 같이, 제2조리실의 목표온도는 제1조리실의 목표온도 이하에서만 설정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조리시간도 제2조리실의 조리시간은 제1조리실의 조리시간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만 설정되도록 한다.
제1조리실만 온도가 설정되고 제2조리실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엔 S111로 진행하여 조리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조리시작신호가 입력되면 히터 및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하부통풍구(52b,54b)를 폐쇄한 후(S112) 제1조리실에 대한 조리를 진행한다(S114). 여기서 제1조리실의 온도조절은 통상적인 방식 즉, 히터의 온/오프 또는 송풍팬의 온/오프를 통해 온도조절한다. 그 후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16) 히터 및 송풍팬을 오프시키고(S118) 조리를 종료한다.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이 모두 사용되도록 온도가 설정된 경우엔 S120으로 진행하여 조리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조리신호가 입력되면 S130으로 진행하여 히터 및 송풍팬을 온 시키고, 하부통풍구는 소정 개도로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하부통풍구의 개도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조리실의 목표설정온도와 제2조리실의 목표설정온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될 수 있고 해당 개도량에 대한 구동모터의 회전각도 및 구동시간등을 구하여 하부통풍구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S130단계에서 작동초기부터 하부통풍구를 소정 개도로 조절하지 않고 초기에는 완전 개방하여 가열을 진행한 후 제2조리실이 목표설정온도에 도달한 후에 하부통풍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나 하부통풍구의 완전 개방 또는 폐쇄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제1,2조리실에 대한 조리를 진행한다.(S140) 이때, 제1조리실에 대한 온도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히터의 온/오프 또는 송풍팬의 온/오프를 통해 온도조절하게 된다. 제2조리실의 경우에는, 제2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2조리실의 온도(T2)가 목표설정온도(Ts2)+α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60), 제2조리실의 온도(T2)가 목표설정온도(Ts2)+α이상이면 하부통풍구의 개도를 감소시킨다(S180). 다음으로 제2조리실의 온도(T2)가 목표설정온도(Ts2)-α 이하인지를 판단하여(S200), 제2조리실의 온도(T2)가 목표설정온도(Ts2)-α 이하이면 하부통풍구의 개도를 증가시킨다(S220). 여기서 α값은 풍량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제2조리실의 온도변화폭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이후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 후(S240), 제2조리실의 조리가 여전히 진행중이면 S140으로 진행하여 위 과정을 반복하고,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하부통풍구를 폐쇄(S260)한 후, 제1조리실에 대한 제어 단계(S114)로 진행되어 제1조리실에 대한 운전제어 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 및 제어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의 변형을 통해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 및 풍량조절장치가 조리실 캐비티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팬커버와 개폐커버 및 디바이더에 통상의 변형을 가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하부통풍구의 개도 조절 대신 상부통풍구의 개도 조절을 통해 상부 조리실의 조리실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방식도 구현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동일 열원을 사용하면서도 디바이더를 사용하여 넓은 조리공간을 분할하고 분할된 조리실 공간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동일 열원을 사용하면서도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조리공간을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히터 또는 송풍팬의 온/오프의 반복에 의한 조리실 내부의 온도조절의 경우보다도 조리실로 열풍을 흡입, 토출하는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조리실내의 온도변화폭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8)

  1.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와,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통풍구를 구비하는 팬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의 통풍구에 대응하는 통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의 전방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개폐커버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동일축선상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편심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편심축부와 결합하는 장방형 홈을 구비한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일방향 회전가능한 모터 또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이며,
    상기 개폐커버가 최대 높이 또는 최소 높이를 감지하도록 온/오프 변화를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몸체부 후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변화를 일으키는 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후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는 상기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는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와 테두리부에 형성된 토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와,
    상부 및 하부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분할되는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분할된 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온도에 부합하도록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통풍구 중 어느 하나의 통풍구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실로의 열풍공급하는 통풍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제1,2조리실과,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제2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상기 제2조리실의 설정목표온도와 부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의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이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로부터 소정 범위 이하이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고 제1조리실의 조리를 계속하여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실에만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조리실만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7.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제1,2조리실과, 통풍구를 구비한 팬커버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제2조리실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에 목표온도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완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1,2조리실의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2조리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작동하여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조리실로의 통풍구를 폐쇄하고 제1조리실의 조리를 계속하여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76993A 2007-07-31 2007-07-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93A KR101207305B1 (ko) 2007-07-31 2007-07-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2/155,313 US8212188B2 (en) 2007-07-31 2008-06-02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8157482.4A EP2020574B1 (en) 2007-07-31 2008-06-03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8101103368A CN101356934B (zh) 2007-07-31 2008-06-04 烹饪设备和控制所述烹饪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93A KR101207305B1 (ko) 2007-07-31 2007-07-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27A KR20090012827A (ko) 2009-02-04
KR101207305B1 true KR101207305B1 (ko) 2012-12-03

Family

ID=3995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305B1 (ko) 2007-07-31 2007-07-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2188B2 (ko)
EP (1) EP2020574B1 (ko)
KR (1) KR101207305B1 (ko)
CN (1) CN1013569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0727B1 (en) * 2008-01-28 2014-12-10 Duke Manufacturing Company Convection oven
CN103429130A (zh) 2011-02-15 2013-12-04 杜克制造公司 保存烤箱
US20140044850A1 (en) * 2012-02-03 2014-02-13 William J. McMahon Oven for cooking multiple food types with different start and stop times
KR101513456B1 (ko) * 2013-04-30 2015-04-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564505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13402B1 (ko) 2015-03-06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0890336B2 (en) 2015-06-08 2021-01-12 Alto-Shaam,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multizone oven
US9879865B2 (en) 2015-06-08 2018-01-30 Alto-Shaam, Inc. Cooking oven
US9677774B2 (en)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10088172B2 (en)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KR101707749B1 (ko) * 2015-09-21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556536B1 (ko) 2016-09-30 202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CN108236386A (zh) * 2016-12-23 2018-07-0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箱微波炉一体机
USD832986S1 (en) * 2017-01-20 2018-11-06 Taiji & Co., Ltd. Towel steamer
IT201700059845A1 (it) * 2017-05-31 2018-12-01 De Longhi Appliances Srl Apparato autonomo per la cottura di alimenti
EP3638987B1 (en) * 2017-06-14 2025-01-01 Cytochip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ell analysis
CN110123159A (zh) 2017-08-09 2019-08-1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CN110960106B (zh) * 2018-09-28 2022-03-2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烤箱控制系统、方法及电烤箱
CN110960107B (zh) * 2018-09-28 2021-08-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烤箱控制系统、方法及电烤箱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2788226U (zh) *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10883721B2 (en) * 2019-03-25 2021-01-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cavity oven appliance with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KR102769717B1 (ko) * 2019-04-24 2025-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CN112584727A (zh) 2019-07-15 2021-03-30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装置及其部件
CN114174724A (zh) * 2019-07-31 2022-03-11 夏普株式会社 加热烹调器
CN110693342B (zh) * 2019-09-30 2021-01-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箱的控制方法及具有其的烤箱
CA3166281A1 (en) * 2020-01-30 2021-08-05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aratus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4001773A1 (de) * 2020-11-20 2022-05-25 BSH Hausgeräte GmbH Garraumeinsatz mit integriertem heizelement und austauschbarer energieabgabeeinheit, anordnung, gargerät und verfahren
US12137838B2 (en) 2020-12-30 2024-11-1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3623246A (zh) * 2021-08-05 2021-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组件、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US20230314005A1 (en) * 2022-04-01 2023-10-05 Conair Llc Dual door oven
EP4506620A4 (en) * 2022-09-15 202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food materials by using grill heater
GB2625996B (en) * 2023-01-04 2025-01-01 Jackson Garry Air displacement device for oven
EP4403834B1 (en) * 2023-01-17 2025-10-15 Renta Elektrikli Ev Aletleri Sanayi Ve Dis Ticaret Limited Sirketi Oven with variable air flow distribu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9962A1 (de) 1993-09-04 1995-03-09 Licentia Gmbh Elektrischer Back- und Bratofen
KR20050079522A (ko) 2004-02-06 200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DE102004046437A1 (de) 2004-09-24 2006-04-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einer Gargeräteluftführungseinheit
KR20060044217A (ko)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
KR100757120B1 (ko) 2005-07-25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TR200908301T1 (tr) 2007-06-08 2010-03-22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fırı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2521A1 (en) 2009-02-05
EP2020574B1 (en) 2013-09-18
CN101356934A (zh) 2009-02-04
CN101356934B (zh) 2012-07-11
EP2020574A2 (en) 2009-02-04
US8212188B2 (en) 2012-07-03
KR20090012827A (ko) 2009-02-04
EP2020574A3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05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7304B1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1185557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6730880B2 (en) Oven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EP1657493A1 (en) Electric oven with partition plate
EP20872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oven
US6346691B2 (en) Convection fan control method of microwave oven
US20060137675A1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CA2461591C (en) Proofer
JP6761977B2 (ja) 加熱調理器
KR20080095551A (ko) 오븐
KR20200124499A (ko)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6020349B2 (ja) 加熱調理器
US20030140796A1 (en) Bread maker with hot air circulation means
KR100643883B1 (ko) 피자 오븐
KR100667197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635909B1 (ko) 전기오븐
KR100456585B1 (ko) 제빵기
JP2017003263A (ja) 加熱調理器
KR100984216B1 (ko) 오븐 및 오븐의 제어방법
KR100564405B1 (ko) 후드겸용 다기능 전자 레인지의 배기 구조
JP2003254537A (ja) ファン装置とそれを用いた加熱調理器
JP2014059113A (ja) 加熱調理器
KR20120084027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1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