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766B1 - Conveyor - Google Patents
Convey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7766B1 KR101207766B1 KR1020100125647A KR20100125647A KR101207766B1 KR 101207766 B1 KR101207766 B1 KR 101207766B1 KR 1020100125647 A KR1020100125647 A KR 1020100125647A KR 20100125647 A KR20100125647 A KR 20100125647A KR 101207766 B1 KR101207766 B1 KR 101207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support member
- conveying belt
- conveying
- convey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이 과적 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송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콘베이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베이어장치는 이송벨트(C)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0); 및 상기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벨트(C)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게 상기 이송벨트(C)의 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벨트가이드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이드부(300)는 이송벨트(C)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측부가이드롤러(310)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가이드롤러(310)는 이송벨트(C)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M)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벨트(313)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 방지시 이송벨트의 진동에 의해서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이송벨트로부터의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송벨트에 의한 이송 중에 이송벨트로부터의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작업부하가 감소될 수 있고, 이송물의 낙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veyor apparatus that prevents the conveying belt from being knitted or meandered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and prevents the drop of the conveyed material conveyed by the conveying belt.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body 200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veying belt (C); And a belt guide part 300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ide of the transfer belt C such that the transfer belt C is not knitted or meandered. It includes, The belt guide portion 300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310 for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C), The side guide roller 310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belt (C) A belt connection portion 312 may be formed to which the drop preventing belt 313 is connected to prevent the water M from falling.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even when the conveying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Falling can be prevented, and even if a long time elapses, knitting and /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can be prevented, and thus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conveying belt can be prevented, and during conveying by the conveying belt, The fall of the conveyed material can be prevented, the workload of processing the dropped conveyed material can be reduce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물이 과적(過積) 되거나 편적(偏積)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가 편기(진행방향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되거나 사행(경사지게 진행하는 것)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송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nveying belt from knitting (moving to the left or right of the traveling direction) or meandering (beveling)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It relates to a conveyor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transported by.
콘베이어장치는 코크스 또는 광석 등의 이송물을 이송물이 적치된 장소에서 이송물이 사용될 장소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The conveyor device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a conveyed material such as coke or ore from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material is placed to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material is to be used.
이러한 콘베이어장치는 일반적으로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이송벨트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송벨트의 무한궤동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콘베이어장치에는 이송벨트의 상,하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포함된다. Such a conveyor apparatus generally includes a conveyance belt for crawling motion. In addition, the conveyor device includes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nveying belt in order to guide the endless movement of the conveying belt.
한편, 이송물은 슈트 등을 통해서 이송벨트 위에 올려져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물이 슈트 등에 의해서 이송벨트에 올려질 때,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물의 과적이나 편적에 의해서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되면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yed material is placed on the conveying belt through a chute or the like and conveyed. As such, when the conveyed object is placed on the conveying belt by a chute or the like, the conveyed material may be overloaded or stack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fer belt is knitted or meandered by the overload or knitting of the conveyed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conveying belt is knitted or meande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yed object falls from the conveying belt.
이러한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콘베이어장치에는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을 검출하는 검출롤러와, 검출롤러에 연결되며 검출롤러에 의해서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이 검출되면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롤러스탠드에 연결된 자동조심롤러가 구비되어 있었다. In order to prevent the knitting belt and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a conventional conveyor apparatus includes a detecting roller which detects the knitting belt and the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and is connected to the detecting roller and detects the knitting belt or the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by the detecting roller. The self-aligning roller was connected to a roller stand that could move back and forth to correct the knitting and meander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베이어장치는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 방지시 이송벨트가 진동되어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오랜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송물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이 자동조심 롤러스탠드 베어링부에 고착되어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nveyor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conveying belt is vibrated when the conveying belt is prevented from knitting or preventing meandering, so that the conveyed object falls from the conveying belt. In additio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generated in the conveyed material is stuck to the self-aligning roller stand bearing part and the function is lost.
따라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을 바로잡을 수 없기 때문에, 이송벨트의 편기나 사행에 의해서 이송벨트로부터 이송물이 낙하되고 이와 같이 낙하한 이송물을 처리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낙하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작업부하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고, 낙하한 이송물에 의해서 환경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long-term use cannot correct the knitting and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ying material falls from the conveying belt due to the knitting and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and thus, the conveyed product which has been dropped thus needs to be process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load for processing the dropped conveyed object is large, and the environment may be contaminated by the dropped conveyed obj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arising from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 방지시 이송벨트의 진동에 의해서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nveyed material from falling from the conveying belt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ing belt when knitting or preventing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even after a long time passe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에 의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rop of the conveyed material by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에 의한 이송 중에 이송벨트로부터의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conveying belt during conveying by the conveying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작업부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workload for handling dropped feed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이송물의 낙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베이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도록 이송벨트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so that the conveying belt is not knitted or meandered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콘베이어장치는 이송벨트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게 이송벨트의 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벨트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벨트가이드부는 이송벨트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측부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측부가이드롤러는 이송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벨트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body configured to move the conveying belt; And a belt guide part connected to the apparatus body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so that the conveying belt is not knitted or meandered. It includes, the belt guide portion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the side guide roller is formed with a bel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all prevention belt to prevent the conveyed material is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belt Can be.
이 경우, 상기 측부가이드롤러는 이송벨트의 측부에 접촉하여 이송벨트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측부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de guide roller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sid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또한, 상기 측부가이드롤러는 이송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벨트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guide roller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belt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rop prevention belt to prevent the conveyed material is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belt.
그리고, 상기 벨트가이드부는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지지부재; 제1지지부재에 힌지연결되며 제1지지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측부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장착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belt gui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the first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second support member hing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roller moun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guide roll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벨트가이드부는 제2지지부재와 롤러장착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lt guide portion cushion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roller mounting member;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이송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낙하방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fall preven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conveyed by a conveying bel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벨트가이드부 다음에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portion may be located after the belt guide por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부는 일측이 이송벨트의 측부에 접촉되는 낙하방지판; 을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fall prevention portion is one side of the fall prevention plat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veyance belt; . ≪ / RTI >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는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지지부재; 제1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지지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에 연결되며 낙하방지판의 타측이 연결되는 판지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second support member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paperboard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rop preventing plate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 방지시 이송벨트의 진동에 의해서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veyed object from falling from the conveying belt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ing belt when the knitting belt or the meandering prevention of the conveying bel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long time pas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에 의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by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의한 이송 중에 이송벨트로부터의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conveyance belt during the conveyance by the conveyance bel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작업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load of processing the dropped conveyed material can be reduc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의 낙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콘베이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be exempl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ber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도록 이송벨트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so that the conveying belt is not knitted or meandered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장치(100)는 장치본체(200)와, 벨트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장치본체(200)는 이송벨트(C)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장치본체(2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프레임(211)과, 하부중앙가이드롤러(212), 하부측부가이드롤러(213) 및 리턴롤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프레임(211)은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와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중앙가이드롤러(212)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에서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로 이동하는 이송벨트(C)의 하부중앙을 가이드하도록 장치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또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부측부가이드롤러(213)는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에서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로 이동하는 이송벨트(C)의 하부측부를 가이드하도록 장치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측부가이드롤러(213)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부중앙가이드롤러(212)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장치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2 and 3, the lower
리턴롤러(214)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에서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로 되돌아가는 이송벨트(C)의 하부를 가이드하도록 장치프레임(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중앙가이드롤러(212)와 하부측부가이드롤러(213) 및 리턴롤러(214)는 장치프레임(211)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와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 사이에서 이송벨트(C)가 순환궤도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물(M)이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에서 슈트 등에 의해서 이송벨트(C)에 올려져서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C)에 의해서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로 이송된 이송물(M)은 이송물(M)이 사용될 장소에 내려놓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C)는 이송물(M)이 적치된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veyance belt C may perform a circular orbital movement between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M is placed and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M is to be used. Therefore, the conveyed object M can be conveyed to the conveyance belt C by a chute or the like at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M is placed so that the conveyed object M can be conveyed to the place to be used. In addition, the conveyed material M transferred to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M is to be used by the conveying belt C may be put down at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M is to be used. Then, the transfer belt (C) can be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transfer (M) is stacked.
벨트가이드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C)의 양 측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송벨트(C)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벨트가이드부(300)는 측부가이드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부가이드롤러(310)에 의해서 이송벨트(C)의 측부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C)에 이송물(M)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C)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도록 이송벨트(C)의 측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물(M)이 슈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이송벨트(C)에 올려지는 부분과 같이 이송물(M)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가 많은 부분에서의 이송벨트(C)의 편기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에 의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물(M)의 낙하에 의한 분진 등이 고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이송벨트(C)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2, the
이를 위해서, 측부가이드롤러(31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부가이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C)의 측부는 이러한 측부가이드롤러(310)의 측부가이드부(311)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벨트(C)가 이동하면 이에 따라 측부가이드롤러(310)가 회전되어 이송벨트(C)의 측부가 가이드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한편, 측부가이드부(311)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가이드부재(31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가이드부재(311a)가 측부가이드부(311)에 구비됨에 따라, 측부가이드롤러(310)의 측부가이드부(311)에 의한 이송벨트(C) 측부의 가이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가이드부재(311a)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조가이드부재(311a)의 재료는 우레탄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벨트(C)의 측부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부가이드롤러(310)에는 벨트연결부(3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연결부(312)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낙하방지벨트(313)가 연결될 수 있다. 낙하방지벨트(313)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C)의 일측에 이송벨트(C)의 진행방향의 전후로 구비된 2개의 측부가이드롤러(310)의 벨트연결부(3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C)가 이동되면 측부가이드롤러(310)의 측부가이드부(311)에 의해서 측부가이드롤러(310)가 회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측부가이드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측부가이드롤러(310)의 벨트연결부(312)에 연결된 낙하방지벨트(313)가 2개의 측부가이드롤러(310) 사이에서 무한궤도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낙하방지벨트(313)의 무한궤도운동에 의해서, 이송벨트(C)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이송물(M)이 이송벨트(C)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이러한 낙하방지벨트(313)의 재료는 고무일 수 있다. 그러나, 낙하방지벨트(313)의 재료는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측부가이드롤러(310)의 벨트연결부(312)에 연결되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면서 벨트(C)의 진동에 의해서 이송물(M)이 이송벨트(C)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벨트가이드부(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320)와, 제2지지부재(330) 및, 롤러장착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320)는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지지부재(3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320)는 장치본체(200)에 연결된 고정부재(321)와, 고정부재(321)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322) 및, 이동부재(322)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323)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321)와 이동부재(322)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323a)와 링크부재(323a)에 연결된 조절부재(32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수단(323)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재(32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 the
제2지지부재(33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320)에 힌지연결될수 있다. 즉, 제2지지부재(3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320)의 이동부재(322)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330)는 제1지지부재(3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지지부재(330)와 제1지지부재(320), 즉 제1지지부재(320)의 이동부재(322)의 힌지연결부에 고정핀(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제2지지부재(330)가 제1지지부재(320),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재(320)의 이동부재(322)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지지부재(330)가 제1지지부재(32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과 제1지지부재(3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하는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The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롤러장착부재(340)는 제2지지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롤러장착부재(340)는 나사봉 등에 의해서 제2지지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장착부재(340)에는 전술한 측부가이드롤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롤러장착부재(34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어링(341)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벨트가이드부(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지지부재(330)와 롤러장착부재(34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C)의 측부에 의해서 측부가이드롤러(310)에 작용하는 힘이 완충부재(350)에 의해서 완충될 수 있다. 완충부재(35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3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벨트(C)의 측부에 의해서 측부가이드롤러(310)에 작용하는 힘이 완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장치(100)는 낙하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낙하방지부(400)에 의해서 이송벨트(C)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M)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벨트(C)의 이송 중에 이송벨트(C)로부터의 이송물(M)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낙하방지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벨트가이드부(300) 다음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가이드부(300)의 낙하방지벨트(313)에 의해서 방지되지 않은 이송물(M)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낙하방지부(400)는 낙하방지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낙하방지판(410)의 일측은 이송벨트(C)의 측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C)에 이송물(M)이 과적되거나 편적되어도 그리고 이송벨트(C)에 의한 이송 중에 이송벨트(C)로부터의 이송물(M)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3, the
한편, 낙하방지부(4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와, 제2지지부재(430) 및, 판지지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는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지지부재(4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는 장치본체(200)에 연결된 고정부재(421)와, 고정부재(421)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422) 및, 이동부재(422)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4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423)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421)와 이동부재(422)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423a)와 링크부재(423a)에 연결된 조절부재(42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수단(423)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재(42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제2지지부재(43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에 힌지연결될수 있다. 즉, 제2지지부재(4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의 이동부재(422)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430)는 제1지지부재(4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420), 즉 제1지지부재(420)의 이동부재(422)에는 스토퍼(4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지지부재(430)가 제1지지부재(420), 즉 제1지지부재(420)의 이동부재(422)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지지부재(330)가 제1지지부재(32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과 제1지지부재(3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하는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The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판지지부재(440)는 제2지지부재(4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지지부재(440)에는 전술한 낙하방지판(41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서 낙하방지판(410)의 타측이 판지지부재(440)에 연결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장치를 사용하면, 이송물이 과적되거나 편적되는 경우에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 방지시 이송벨트의 진동에 의해서 이송물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벨트의 편기 또는 사행에 의한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By using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nveyed material is overloaded or kn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itting or meandering of the conveying belt, the conveyed material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ing belt when the conveying belt is prevented from knitting or meandering Falling from this conveyance belt can be prevented, and even if a long time passes, the knitting belt or meandering of a conveying belt can be prevented, and the fall of a conveyed material by the knitting or meandering of a conveying belt can be prevent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의한 이송 중에 이송벨트로부터의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작업부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송물의 낙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conveying belt during the conveying by the conveying belt, the workload of processing the dropped conveyed material can be reduced,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콘베이어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yor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콘베이어장치 200 : 장치본체
211 : 장치프레임 212 : 하부중앙가이드롤러
213 : 하부측부가이드롤러 214 : 리턴롤러
300 : 벨트가이드부 310 : 측부가이드롤러
311 : 측부가이드부 311a : 보조가이드부재
312 : 벨트연결부 313 : 낙하방지벨트
320, 420 : 제1지지부재 321, 421 : 고정부재
322, 422 : 이동부재 323 423 : 이동수단
323a, 423a : 링크부재 323b, 423b : 조절부재
330, 430 : 제2지지부재 340 : 롤러장착부재
341 : 베어링 350 : 완충부재
400 : 낙하방지부 410 : 낙하방지판
422a : 스토퍼 440 : 판지지부재
C : 이송벨트 M : 이송물100: conveyor device 200: device body
211: device frame 212: lower center guide roller
213: lower side guide roller 214: return roller
300: belt guide portion 310: side guide roller
311: side guide
312: Belt connection 313: Drop prevention belt
320, 420:
322, 422: moving
323a, 423a:
330, 430: second support member 340: roller mounting member
341: bearing 350: buffer member
400: fall prevention part 410: fall prevention plate
422a: stopper 440: cardboard member
C: conveying belt M: conveyed material
Claims (9)
상기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벨트(C)가 편기되거나 사행되지 않게 상기 이송벨트(C)의 측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벨트가이드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이드부(300)는 이송벨트(C)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측부가이드롤러(310)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가이드롤러(310)는 이송벨트(C)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송물(M)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벨트(313)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장치.Apparatus body 200 configured to move the conveying belt (C); And
A belt guide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ide of the transfer belt C such that the transfer belt C is not knitted or meandered; Including,
The belt guide part 300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310 for guiding the side of the conveying belt (C),
The side guide roller 310 is a convey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12 is connected to the drop preventing belt 313 is connected to prevent the conveying material (M)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belt (C) is formed. .
상기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지지부재(320);
상기 제1지지부재(320)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3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지지부재(3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330)에 연결되며 상기 측부가이드롤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장착부재(3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elt guide portion 300
A first support member 320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second support member 330 hing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320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320; And
A roller mounting member 340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330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guide roller 310;
Convey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지지부재(420);
상기 제1지지부재(42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42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지지부재(4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430)에 연결되며 상기 낙하방지판(410)의 타측이 연결되는 판지지부재(4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rop prevention unit 400
A first support member 420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second support member 430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420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420; And
A cardboard member 440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op preventing plate 410;
Convey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5647A KR101207766B1 (en) | 2010-12-09 | 2010-12-09 | Convey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5647A KR101207766B1 (en) | 2010-12-09 | 2010-12-09 | Convey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4419A KR20120064419A (en) | 2012-06-19 |
| KR101207766B1 true KR101207766B1 (en) | 2012-12-04 |
Family
ID=466845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256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766B1 (en) | 2010-12-09 | 2010-12-09 | Convey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07766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12375A (en) * | 2017-07-27 | 2019-02-11 | 김종석 | Urethane foam 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20230099710A (en) * | 2021-12-27 | 2023-07-05 | 김양호 | Automatic self-aligning apparatus of belt conveyor |
| KR20230103040A (en) * | 2021-12-31 | 2023-07-07 | 최용남 | An Anti-Swerving Device For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Having Anti-Swerv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720122B (en) * | 2017-09-27 | 2024-02-23 | 安徽中科光电色选机械有限公司 | Belt deviation preventing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67272Y1 (en) | 2001-12-19 | 2002-03-12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Apparatus driven without power for preventing the drop of ore in a belt conveyor |
| KR100908089B1 (en) * | 2002-08-30 | 2009-07-16 | 주식회사 포스코 | Central guide device for conveying material on conveyor belt |
-
2010
- 2010-12-09 KR KR1020100125647A patent/KR1012077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67272Y1 (en) | 2001-12-19 | 2002-03-12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Apparatus driven without power for preventing the drop of ore in a belt conveyor |
| KR100908089B1 (en) * | 2002-08-30 | 2009-07-16 | 주식회사 포스코 | Central guide device for conveying material on conveyor belt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12375A (en) * | 2017-07-27 | 2019-02-11 | 김종석 | Urethane foam 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1979506B1 (en) * | 2017-07-27 | 2019-05-16 | 김종석 | Urethane foam 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20230099710A (en) * | 2021-12-27 | 2023-07-05 | 김양호 | Automatic self-aligning apparatus of belt conveyor |
| KR102714815B1 (en) * | 2021-12-27 | 2024-10-10 | 김양호 | Automatic self-aligning apparatus of belt conveyor |
| KR20230103040A (en) * | 2021-12-31 | 2023-07-07 | 최용남 | An Anti-Swerving Device For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Having Anti-Swerving Device |
| KR102712984B1 (en) | 2021-12-31 | 2024-10-04 | 최용남 | An Anti-Swerving Device For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Having Anti-Swerv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4419A (en) | 2012-06-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07766B1 (en) | Conveyor | |
| JP5616938B2 (en) | Conveying equipment | |
| KR102110660B1 (en) | Belt conveyor | |
| KR20110047040A (en) | Injury prevention device of belt member | |
| KR20100076419A (en) | A belt conveyor apparatus with the return belt turned over | |
| KR101299048B1 (en) | Tripper | |
| KR100815729B1 (en) | Falling material blocking device of skirt box of belt conveyor | |
| KR101938065B1 (en) | Belt conveyor | |
| KR20130046565A (en) | Chute for belt conveyor | |
| KR101399884B1 (en) | Chute for belt conveyor | |
| KR200352833Y1 (en) |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ath of carrying materials on the belt automatically | |
| KR101605230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alance of tension weight | |
| KR101436544B1 (en) | Antidrop unit of overhead hoist transport | |
| KR100756616B1 (en) | Belt conveyer | |
| KR100608299B1 (en) | Horizontal cart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for belt conveyor | |
| KR101129284B1 (en) | Belt conveyor | |
| KR200169343Y1 (en) | Buffer of conveyer belt for raw material moving | |
| KR101424467B1 (en) | Shock absorbing device of belt for tripper | |
| KR20160037674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a coveyor | |
| KR100908089B1 (en) | Central guide device for conveying material on conveyor belt | |
| KR20030048590A (en) | Apparatus for alignment of belt conveyor swerving | |
| KR101355546B1 (en) | Device for preventing deviation of belt conveyor | |
| KR101597430B1 (en) | Coneveyer apparatus | |
| KR10216661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en ore of tripper car | |
| CN211140512U (en) | Conveyor belt tail end buffering device used in wood board paper pasting proces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1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12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