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286B1 -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 Google Patents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7286B1 KR101217286B1 KR1020110064138A KR20110064138A KR101217286B1 KR 101217286 B1 KR101217286 B1 KR 101217286B1 KR 1020110064138 A KR1020110064138 A KR 1020110064138A KR 20110064138 A KR20110064138 A KR 20110064138A KR 101217286 B1 KR101217286 B1 KR 1012172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edestal
- workpiece
- plate
- work obj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 발명은 공정 제어 실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공정 제어 실습 중에서 하나의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을 다음의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 운반하는 공정의 실습을 할 때, 오작동이나 파손에 의한 외부 이탈에 따른 실습자의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모션 작동 상태를 확인 및 분석해 볼 수 있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control practice, and more specifically, when performing a process of transporting a work object that has passed one step out of the entire process control practice to enter the next process, external deviation caused by malfunction or da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practice that can safely check and analyze the motion operation state while preventing injuries of the trainees.
산업의 발달과 함께 여가 활용이나 보다 향상된 생활을 위하여 3D 직종에 종사하지 않으려는 현상이 늘어나면서 사람이 직접 작업하기 어려워 회피하는 작업 공정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자동화가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increasing tendency to not engage in 3D occupations in order to utilize leisure or improve life is becoming more common and the automation of mechanical processing of work processes that are difficult for humans to work directly is widely applied.
이로부터 각 산업체에서는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한다. 여기에 각 산업체의 공정 제어 개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도 공정 자동화에 관한 실습을 위한 공정 자동화 교육용 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습을 하고 있다.From this, each industry programmatically controls all or part of the system for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cess control development personnel of each industry,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re also carrying out various exercises using the process automation education facility for the practice of process automation.
이와 같이 교육을 이수한 후 현장에 투입하면 실제 공정 자동화를 위해 가공품의 저장과, 저장된 가공품의 공급, 공급되는 가공할 가공품의 가공, 가공된 가공품의 이송, 이송되는 가공품의 검사, 검사 완료된 가공품의 분류 작업과 같이 복잡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자동화 라인의 이해뿐만 아니라 조작 또한 쉽게 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training is completed, it is put in the field to store the processed products, supply the stored products, process the processed products to be supplied, transfer the processed products, inspect the transferred products, and classify the finished products for actual process automation.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automation lines that maintain complex relationships like work, but also the operation can be easily done.
이러한 실습은 학생이나 연구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실제와 같은 조건으로 해당 공정의 장치 작동 과정을 보고 분석하면서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This practice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and research developers to improve their development skills by viewing and analyzing the device's operation process under realistic conditions.
예를 들어 일반적인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automation training system)은 생산 자동화의 기본 공정인 작업 대상물의 투입, 가공, 이송, 검사, 분류 및 저장 공정에 사용되는 각종 산업용 장치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For example, a general automation training system can be used to design various scenarios by operating various industrial devices used for the input, processing, transport, inspection, sorting and storage of work objects, which are basic processes of production automation. By doing so, it helps with the actual system configuration.
이러한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은, 소정의 판재 형상을 갖는 작업대 상에 각각의 모듈, 예를 들어 컨베이어 모듈, 센서 모듈, 가공 모듈, 이송 모듈, 검사 모듈, 분류 모듈, 저장 모듈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고정 설치하여 소정의 공정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선,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 및 제어 방법을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공정 개발, 자동화 시스템 관련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와 연관된 분야의 자동화 실무 기술과 이론을 습득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제작, 운용, 유지, 관리에 필요한 자동화 기술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n automated training system can be fixed by installing various modules such as a conveyor module, a sensor module, a processing module, a transfer module, an inspection module, a classification module, and a storage module on a work table having a predetermined plate shape. In order to perform a certain process system, various mechanisms and control methods are acquired and applied to the site to improve and build the automation system required in the industrial site, thereby inducing the faithful development of the process and automation system related tasks. In addition, this course is designed to train automation engineers who are required to design, manufacture, operate, maintain, and manage automation systems by acquiring automation practical skills and theories in related fields.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11-0030104호(발명의 명칭 :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용 모듈 위치 가변장치)에서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대(5) 상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 상에 배치되고 모터(131)의 구동력을 통해 모터축(7a)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모듈(9)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모듈가변부(20)와, 이 모듈가변부(2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 모듈가변부(20)에 대해 멀어지고 가까워지도록 위치 가변되고 일측면에 모듈(9)이 장착되는 모듈장착부(30) 및 상기 모듈가변부(20)와 모듈장착부(30)를 연결하고 이 모듈가변부(20)의 왕복 움직임을 모듈장착부(30)로 전달하여 모듈(9)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다양한 모듈이 모듈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대로부터 멀어지고 가까워지게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모듈 제작 없이 단일 크기의 모듈만으로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실무 기술과 이론 습득이 다양화되도록 함은 물론 모듈 제작비도 경감시킬 수 있게 한다.In this regar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0104 (Inventive Name: Module Positioning Device for Automated Training System), as shown in FIGS. 1 to 2B, a base plate fixedly installed on a work table 5 ( 10) and a module variable portion 20 arranged on the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40)는 큰 힘을 발휘하게 적용되는데, 유동블록(134)이 나사 이동되면서 전진할 때 이와 연동하여 각각의 제1, 2링크(41,42)들도 그 양단부가 서로 좁혀지면서 결과적으로 모듈장착부(30)를 모듈가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Here, the connecting link 40 is applied to exert a great force, the first and
이 때 오작동이나 파손 등에 의해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장치가 외부로 이탈하여 실습자 또는 주변의 다른 모듈에 큰 힘이 가해질 수 있어 안전상 커다란 위험으로 된다.In this case, if the smooth control is not performed due to malfunction or damage, the device may be detached to the outside and a great force may be applied to the trainee or other modules in the vicinity, which is a great risk for safety.
이로부터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공정 제어 실습 중에서 하나의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을 다음의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 큰 힘을 들여 운반하는 공정의 실습을 할 때, 오작동이나 파손에 의한 외부 이탈에 따른 실습자의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모션 작동 상태를 확인 및 분석해 볼 수 있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From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performing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workpiece with a large force in order to put the work object that passed through one step out of the entire process control practice to the next ste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practice that can safely check and analyze the motion operation state while preventing injuries of trainees due to external deviation caused by damag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상판, 하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도록 다수 설치되는 수직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의 하측을 실습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게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판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일 측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적재부에 작업 대상물을 적재시키는 작업 대상물 받침대; 상기 프레임 상판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승강시키게 작동되는 받침대 승강 작동부; 및,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와 받침대 승강 작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의 승강 작동을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에 전달하는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의 일 측에 연결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는 일 측에 모터를 구비하고, 타 측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축 회전되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유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블록의 하부에 연결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는 양 측에 연결 브라켓을 설치하되, 타 측의 연결 브라켓에는 일 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시키면서 승강 가이드 장공을 내부에 형성시키며,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 상판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타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의 승강 가이드 장공에서 왕복 슬라이딩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유동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는 제1 및 제2링크의 중앙 교차점을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핀을 포함하여, 최대로 확장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가 상기 프레임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게 하는 한편 최소로 축소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가 최대로 상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 is provided to mainta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rame for fixing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to the training table; A work object pedestal for placing a work object on a loading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A pedestal elevating operation unit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and is operated to elevate the work object pedest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work target pedestal to the pedestal lifting operation unit to transf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edestal lifting operation unit to the work pedestal,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racket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The pedestal lifting operation unit has a motor on one side, the screw shaft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e of the motor on the other side, and a screw coupled to the screw shaft and the flow block reciproc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It includes, the connec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block, the work object suppor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s while extending the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side to form a lifting guide hole therein The connecting link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upper plate. A first link that is hing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reciprocally slid in a lifting guide hole of a connecting bracket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workpiece pedestal, and the first link is intersected with one end of the workpiece pedestal. A second link hinged to a connection bracket installed at one side and hinged to a connection bracket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low block, and a center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bove; A hinge hinged central hinge pin that allows the workpiece pedestal to be positioned above the bottom of the frame when fully extended and to maximize the workpiece pedestal when minimized; Provided is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controlled practic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블록의 이동에 따른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승강 상하한 범위를, 상기 유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검출 제어하는 상하한 감지 센서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상기 센서 접촉부의 이동을 확보하는 센서 접촉부 이동 가이드 장공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work object pedest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low block by the contact with the sensor contact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block on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And a sensor contact part movement guide hole for securing a movement of the sensor contact part on an upper plate of th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 측의 외부로 배출되게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용 푸셔를 더 포함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transfer pusher for moving the workpiec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one side to be loaded on the loading portion of the workpiece target pedestal.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에 의하면, 적재 운반하는 공정에 큰 힘을 들이는 실습을 할 때 프레임 내에서 모든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오작동이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외부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주변의 실습자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l the operations are performed in the frame during the practice of putting a large force on the process of carrying and carrying out, so that even if malfunctions or breakages occur, external deviation is caused. By preventing it from occurring,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juries of the surrounding practitioners at the source.
이로부터 실습자가 안전하게 장치의 모션 작동 상태를 확인 및 분석하면서, 실습자가 공정 제어 실습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습자가 실제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보다 능숙하게 공정 제어를 설계하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From this, the practitioner can safely check and analyze the motion operation status of the device, allowing the practitioner to receive process control training, which will allow the practitioner to design and control the process control more proficiently when it is put into the actual field. Develop their ability to do so.
도 1은 종래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용 모듈위치 가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용 모듈위치 가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의 승강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b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에서 일 측의 외부로 작업 대상물을 배출하는 수평 이송용 푸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e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a conventional automated training system,
2a and 2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the automated training system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the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3;
5A and 5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lifting operation state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the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3;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transfer pusher for discharging the work object to the outside of one side in the work object transport apparatus for the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5B.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and the same parts a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3.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100)는, 적재부의 외부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10) 내에서 승강 작동을 하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게 된다.Work
이로부터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내에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와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 그리고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와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140)를 설치한다. 여기에 수평 이송용 푸셔(150)를 추가로 구비하여 승강 작동에 의해 운반된 작업 대상물(200)을 외부로 수평 배출시키게 한다.From this, the
상기 프레임(110)은, 상판(111), 하판(112) 그리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설치되는 수직 바(113)로 이루어져 사각체로 전체 형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하판(112)의 하측을 넓은 평판 구조로 되어 있는 실습 테이블(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설치된다.The
상기 프레임(110)에는, 성기 상판(111)의 일 측에서 양 쪽으로 상판 일 측 연결 브라켓(115)이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판(111)에는, 후술할 상하한 감지 센서 접촉부(134-2)의 이동을 확보하기 위한 센서 접촉부 이동 가이드 장공(114)을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는, 상기 프레임(110) 하판(112)의 상측에 받침판(121)이 마주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받침판(121)의 일 측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적재부(122)에 작업 대상물(200)을 적재시키게 한다.The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판(121) 부분에는, 일 측과 타 측에 연결 브라켓(123)(124)을 양쪽으로 설치하는데, 타 측의 연결 브라켓(124)에는 일 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시키면서 내부에 승강 가이드 장공(125)을 형성시킨다.The supporting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는, 상기 프레임(110) 상판(111)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를 상기 상판(111)과 하판 (112)사이에서 승강시키게 작동된다.The pedestal raising and lowering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는, 일 측에 모터(131)를 구비하고, 타 측에 상기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정역 축 회전되는 스크류 샤프트(13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13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아이들 샤프트(133)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132)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아이들 샤프트(133) 결합되어 상기 모터(131)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유동블록(134)을 포함한다.The pedestal
상기 유동블록(134)의 하부에는 연결 브라켓(134-1)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 상판 일 측 연결 브라켓(115)을 상기 모터(131) 부근의 모터 브라켓 주변에 설치할 수도 있다.A connection bracket 134-1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상판(111)에 센서 고정 브라켓(137)을 매개로, 상기 유동블록(134)의 이동에 따른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승강 상하한 범위를 상기 유동블록(13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상하한 감지 센서 접촉부(134-2)와의 접촉에 의해 검출 제어하는 상하한 감지 센서(136)가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limi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ange of the
또한 상기 프레임(110) 상판(111)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131) 및 상하한 감지 센서(136)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및 센서 전원 공급용 단자대(135)가 고정 위치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모터(131)를 통해 상기 스크류 샤프트(132)가 축 회전되는 동안 그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 감지부(138)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While the
상기 연결 링크(140)는, 제1링크(141)와 제2링크(142)가 교차되면서 중앙 힌지핀(143)에 의해 제1 및 제2링크(141)(142)의 중앙 교차점을 힌지 결합하게 구성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와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를 양쪽에서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의 승강 작동을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에 전달한다.The
상기 제1링크(141)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110) 상판(111)의 일 측에 설치되는 상기 상판 일 측 연결 브라켓(115)의 양쪽을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힌지핀(144)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1링크(141)의 타단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타 측에 설치되는 상기 타 측 연결 브라켓(124)의 승강 가이드 장공(125) 내부에서 양쪽을 연결하는 상기 브라켓 연결 힌지핀(144)에 의해 승강 상하한 범위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하게 힌지 결합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따라서 오작동이나 파손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적재부의 외부 이탈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failure due to a malfunction or breakag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xternal departure of the load portion.
상기 제1링크(141)와 교차되면서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링크(142)의 일단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상기 일 측 연결 브라켓(123)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는 단부 힌지핀(145)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2링크(141)의 타단부는, 상기 유동블록(134)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동블록 연결 브라켓(134-1)의 양쪽을 각각 연결하는 단부 힌지핀(145)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The oth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연결 링크(140)는, 최대로 확장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가 상기 프레임(110) 하판(112)의 상측에 위치되게 하는 한편 최소로 축소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가 최대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오작동이나 파손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Thus, the
상기 수평 이송용 푸셔(15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판(121) 부분의 중앙에 설치하여,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적재부(122)에 적재되는 작업 대상물(200)을 일 측의 외부로 배출되게 이동시켜, 승강 및 수평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의 승강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b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에서 일 측의 외부로 작업 대상물을 배출하는 수평 이송용 푸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5A and 5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lifting operation state of the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3, and FIG. 6 is a horizontal view of discharging the workpiece to one side in the workpiece control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of FIG. 5B.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pusher.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100)에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 적재부(120)의 작업 대상물(200)을 상하로 승강하게 하는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의 승강 작동을 설명한다.First, the
상기 프레임(110) 하판(112)의 하측을 실습 테이블에 고정 설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하고, 상기 프레임(110) 하판(112)의 상측을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하측과 마주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를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 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즉 작업 대상물(200)을 상기 프레임(110)의 상판(111) 측으로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모터 및 센서 전원 공급용 단자대(13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상기 모터(131)를 통해 스크류 샤프트(132)를, 예를 들어 정회전시키면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유동블록(134)이 상기 회전 감지부(138) 측으로 나사 이동(일종의 볼 스크류 방식)되면서 이동하게 된다.The lower side of the
이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 링크(140) 각각의 제1 및 제2링크(141)(142)들도 일 측과 타 측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가 최대로 상승할 때까지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 측으로 당겨지게 작동한다.In conjunction with this, the first and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를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하판(112) 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모터(131)를 통해 상기 스크류 샤프트(132)를, 예를 들어 역회전시키면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유동블록(134)이 상기 모터(131) 측으로 나사 이동(일종의 볼 스크류 방식)되면서 이동하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이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 링크(140) 각각의 제1 및 제2링크(141)(142)들도 일 측과 타 측의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가 상기 프레임(110)의 하판(112)에 이르러 최소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130)로부터 멀어지게 작동한다.In connection with this, the first and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상하한 감지 센서(136)를 통해 상기 유동블록(134)의 움직임 위치를 상기 유동블록(134)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접촉부 이동 가이드 장공(114)을 따라 상기 프레임(110)의 상판(111) 상측을 이동하는 상기 상하한 감지 센서 접촉부(134-2)와의 접촉에 의해 감지하고 상기 모터(13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32)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상하한 이동 범위를 정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moving position of the flow block 134 through the pair of upper and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100)에서 큰 힘을 발휘하는데 적용되는 상기 연결 링크(140)가 오작동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 내에서 최대로 상승할 경우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하강하여 펼쳐질 때에도 상기 프레임(110)의 하판(112)과 승강 상하한 범위를 정한 상기 승강 가이드 장공(125)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외부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의 수평 이송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120)의 적재부(121) 상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200)을 승강 작동에 의해 소정 높이로 이송한 후에, 수평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수평 이송용 푸셔(150)를 작동시킨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6, the horizontal conveying operation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is performed by lifting and lowering the
이로부터 실습자는 그 조작 범위 내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실습할 수 있게 된다.From this, the practitioner can practice conveniently and safely within the operation range.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
110 : 프레임 111 : 상판
112 : 하판 113 : 수직 바
114 : 센서 접촉부 이동 가이드 장공
115 : 상판 일 측 연결 브라켓 120 : 작업 대상물 받침대
121 : 받침판 122 : 적재부
123 : 일 측 연결 브라켓 124 : 타 측 연결 브라켓
125 : 승강 가이드 장공 130 : 받침대 승강 작동부
131 : 모터 132 : 스크류 샤프트
133 : 아이들 샤프트 134 : 유동블록
134-1 : 유동블록 연결 브라켓
134-2 : 상하한 감지 센서 접촉부
135 : 모터 및 센서 전원 공급용 단자대
136 : 상하한 감지 센서 137 : 센서 고정 브라켓
138 : 회전 감지부 140 : 연결 링크
141 : 제1 링크 142 : 제2 링크
143 : 중앙 힌지핀 144 : 브라켓 연결 힌지핀
145 : 단부 힌지핀 150 : 수평 이송용 푸셔
200 : 작업 대상물100: apparatus for transporting work object for process contro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frame 111: top plate
112: bottom 113: vertical bar
114: sensor contact moving guide hole
115: top plate one side connection bracket 120: work object support
121: support plate 122: mounting portion
123: one side connection bracket 124: the other side connection bracket
125: lifting guide hole 130: pedestal lifting operation portion
131: motor 132: screw shaft
133: idle shaft 134: flow block
134-1: Floating block connecting bracket
134-2: Upper and lower limit sensor contact
135: terminal block for motor and sensor power supply
136: upper and lower detection sensor 137: sensor fixing bracket
138: rotation detection unit 140: connection link
141: first link 142: second link
143: center hinge pin 144: bracket connection hinge pin
145: end hinge pin 150: pusher for horizontal feed
200: work object
Claims (4)
상기 프레임 하판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일 측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적재부에 작업 대상물을 적재시키는 작업 대상물 받침대;
상기 프레임 상판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승강시키게 작동되는 받침대 승강 작동부; 및,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와 받침대 승강 작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의 승강 작동을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에 전달하는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판의 일 측에 연결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 승강 작동부는, 일 측에 모터를 구비하고, 타 측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축 회전되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유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블록의 하부에 연결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는, 양 측에 연결 브라켓을 설치하되, 타 측의 연결 브라켓에는 일 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시키면서 승강 가이드 장공을 내부에 형성시키며,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 상판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타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의 승강 가이드 장공에서 왕복 슬라이딩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유동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는 제1 및 제2링크의 중앙 교차점을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핀을 포함하여, 최대로 확장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가 상기 프레임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게 하는 한편 최소로 축소될 때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가 최대로 상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vertical ba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installed to maintai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frame for fixing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to a training table;
A work object pedestal for placing a work object on a loading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A pedestal elevating operation unit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and is operated to elevate the work object pedestal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nd a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work target pedestal to the pedestal lift operation unit to transfer the lift operation of the pedestal lift operation unit to the work pedestal.
The frame, the connecting brack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The pedestal elevating operation unit has a motor on one side, and a screw shaft on the other side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a flow block coupled to the screw shaft and reciproc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It includes, and the connec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block,
The work target pedestal, while installing the connecting brackets on both side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to form a lifting guide hole therein whil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side,
The connecting link is hing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upper plate, the other end is hinged to reciprocally sliding in the lifting guide hole of the connecting bracke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 object support.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second end, hing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piece support,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connec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block A link and a central hinge pin that hinges the center inter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bove, such that the workpiece res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of the frame while being fully expanded; Work target for the process control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aximize the work object support when reduced to Carrier.
상기 유동블록의 이동에 따른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승강 상하한 범위를, 상기 유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검출 제어하는 상하한 감지 센서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상기 센서 접촉부의 이동을 확보하는 센서 접촉부 이동 가이드 장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and lower detection sensors ar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to detect and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work object pedest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by contact with the sensor conta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sensor contact movement guide hole for securing movement of the sensor contact portion on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상기 작업 대상물 받침대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 측의 외부로 배출되게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용 푸셔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운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a horizontal transfer pusher for moving the work object loaded on the loading part of the work object rest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one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64138A KR101217286B1 (en) | 2011-06-30 | 2011-06-30 |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64138A KR101217286B1 (en) | 2011-06-30 | 2011-06-30 |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17286B1 true KR101217286B1 (en) | 2012-12-31 |
Family
ID=479085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64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7286B1 (en) | 2011-06-30 | 2011-06-30 |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1728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44574A (en) * | 2018-01-05 | 2018-05-18 | 四川嘉世利文化传播有限公司 | Folding support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367377B1 (en) | 1998-10-16 | 2002-04-09 | Compact Waste Systems, Inc. | Level sensitive waste compactor |
-
2011
- 2011-06-30 KR KR1020110064138A patent/KR1012172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367377B1 (en) | 1998-10-16 | 2002-04-09 | Compact Waste Systems, Inc. | Level sensitive waste compact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44574A (en) * | 2018-01-05 | 2018-05-18 | 四川嘉世利文化传播有限公司 | Folding support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86902B2 (en) | Article storage apparatus and article moving device | |
| TWI403446B (en) | Substrate handling system | |
| US9221603B2 (en) | Plate-shaped member storage rack, plate-shaped member transfer facility, and plate-shaped member storing method | |
| CN202609431U (en) | Exchange platform of battery cabins | |
| CN212845080U (en) | Article inspection device | |
| JP2016166078A (en) | Elevating conveying device | |
| CN110745544A (en) | Automatic transfer equipment | |
| CN110712969A (en) | Conveying equipment capable of adjusting orientation of articles on line | |
| CN109382329B (en) | Square plate size and weight detection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
| KR101217286B1 (en) | Transfer apparatus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 |
| CN108602658A (en) | Lifting method,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 |
| CN100354734C (en) | Automatic controller of liquid-crystal panel for panel crade of automatic detector and method thereof | |
| CN210557214U (en) | Double-row roller conveying line with steering mechanism | |
| TW200918426A (en) | Substrate transfer system | |
| CN108405371A (en) | Sorting systems and distribution devices | |
| JP2009042010A (en) | Plate member inspection equipment | |
| TW201616093A (en) | Detecting device | |
| TWM636803U (en) |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with multi-axis conveying and video monitoring | |
| CN210635344U (en) | Flower basket circulation device | |
| JP2017226506A (en) | Elevation carrier device | |
| JPH11165232A (en) | Flexible transfer line | |
| KR102066514B1 (en) | Workpiece alignment device | |
| CN207861419U (en) | A kind of PCB is unified towards orientation board separator | |
| KR102594387B1 (en) | Non-motorized automatic lifting pallet system | |
| CN219566677U (en) | LED backplate upset transfe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25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