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57B1 -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8557B1 KR101218557B1 KR1020120036090A KR20120036090A KR101218557B1 KR 101218557 B1 KR101218557 B1 KR 101218557B1 KR 1020120036090 A KR1020120036090 A KR 1020120036090A KR 20120036090 A KR20120036090 A KR 20120036090A KR 101218557 B1 KR101218557 B1 KR 101218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frame
- support
- desk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부착식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책상에 부착과 탈거가 용이한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책상 앞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책상에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type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a desk.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ame portion which is provided detachably on the top plate of the desk; A support member selectively coupled to or detachable from the frame part and supporting a part of a user's body seated in front of a desk; It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portion and provides a posture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rame to the desk.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 부착식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책상에 부착과 탈거가 용이한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type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a desk.
책상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나 업무를 하는 직장인의 경우, 장시간 그 자세가 유지되면 머리의 하중에 의하여 허리가 앞으로 굽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students who study for a long time sitting at the desk or office workers, if the pos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ist is bent forward by the load of the head.
이러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척추가 좌우로 굽어지거나 등이 둥글게 되고, 목뼈 또한 거북 목이라 불리는 일자형 목으로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is condition persists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ine is bent left and right or the back is rounded, and the neck bone also changes to a straight neck called turtle nec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의 뒤에 등판을 설치하지 않고 의자의 앞에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user's ches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hair without installing the back of the chair to correct the user's posture.
그런데, 의자에 달린 자세교정기구의 경우, 그러한 의자가 가정에만 구비되고, 도서관이나 독서실같은 공공장소에 그러한 의자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위와 같이 자세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ttached to a chair, such a chair is provided only in a home, and when such a chair is not provid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library or a reading room,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posture correction is not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책상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o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des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of the desk selectively detachable;
상기 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책상 앞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A support member selectively coupled to or detachable from the frame part and supporting a part of a user's body seated in front of a desk;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책상에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한다. It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portion and provides a posture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rame to the desk.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책상의 상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An upper frame disposed above the upper plate of the desk;
상기 책상의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과;A lower frame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desk;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강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upl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and provided on the coupling member, provided below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limiting member that can prevent the downward movement.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frame,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상기 결합부재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로 구성되며,The coupling member is composed of 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삽입부는 그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ser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e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신체에 힘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도록 탄성재로 구성되거나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made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force is limited to the user's body.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면은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mber has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user's body is supported, and the support surface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력을 받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of different forms correspon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user receiving a support forc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삽입되는 조절나사와;The fixing member and the adjustment screw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상기 조절나사의 하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조절노브와;An adjusting knob provided below the adjusting screw and capable of holding a user;
상기 고절나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 하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rovided on the top of the screw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상기 프레임의 양 옆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provided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lbow of the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책상 앞에 장시간 앉아 있어서 상체가 앞으로 굽어지거나 뒤틀어 지지 않고 정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sitting in front of the desk for a long time, the upper body can be maintained in a posture without bending or twisting forward.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지지면을 선택하여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upport the upper body by selecting a support surface suitable for the user's body type.
또한, 책상에 편리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하기 위한 장소적인 제약이 사라질 수 있고, 자세교정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고 이를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In addition, since it can be convenien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esk, the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of the installation can be eliminated, and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posture corrector is easy and portabl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가 책상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가 책상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b)와 도2(c)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지지부재의 상부 사시도와 하부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를 분해하여 휴대용 주머니에 넣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ostur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esk.
Figure 2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esk.
2 (b) and 2 (c)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disassembly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ut it in a portable pocke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0)의 상판(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10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자세교정장치(100)는 상기 상판(11)의 테두리에 물려서 설치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10)가 상기 상판(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지지부재(200)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200)는 일종의 패드로 구성되고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팔꿈치를 보호한다.And, both sides of the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얹히는 상부 프레임(111)과, 상기 상판(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113)과, 상기 상부 프레임(111)과 상기 하부 프레임(113)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연결프레임(112)의 후방에는 상기 상판(11)의 테두리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판(11)의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는 형태가 된다.The edge of the
상기 연결프레임(112)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신체접촉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쿠션(115)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surface of the
상기 보호쿠션(115)은 스펀지나 솜과 같이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안락한 느낌을 주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재(1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와 상기 프레임(11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가 마련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면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결합부재(140)를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140)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20)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결합부재(140)의 하부에는 이동제한부재(15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이동제한부재(150)는 상기 결합부재(14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제한부재(150)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즉, 후술하겠지만,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120)를 상기 결합부재(140)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놓은 다음, 신체의 일부가 지지되도록 사용하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12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f the user places the
상기 이동제한부재(150)는 이러한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부에 놓여서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The
상기 하부 프레임(113)에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마련된다.The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하부프레임(113)에 삽입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절나사(131)와, 상기 조절나사(13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나사(131)의 회동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조절노브(132)를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부재(130)는 또한, 상기 조절나사(13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11)의 하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33)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132)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나사(131)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데, 상기 조절나사(131)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133)의 상면이 상기 상판(11)의 하면에 면접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 전체가 상기 상판(11)에 물린채로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도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부재(200)는 원판이나 플레이트 형태의 패드로 구현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200)는 실리콘과 같이 부드러운 물질이 그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2 (a), the
상기 보조지지부재(200)의 중심에는 사용자의 팔꿈치가 쉽게 안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세스부(210)가 마련된다. 상기 리세스부(210)는 그 테두리부분보다 내부로 파여진 홈으로 구현된다.The center of the
한편, 도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부재(200)의 하면에는 마찰부재(220)가 마련된다. 상기 마찰부재(220)는 상기 보조지지부재(200)가 책상의 상판(11)에 놓이는 경우 미끄러 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c),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마찰부재(220)는 고무나 기타 마찰력이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는 그 단면이 'ㄷ' 자 형태로 마련되어 그 개구부가 상기 책상의 상판 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부재(120)는 그 외주에 곡면이나 경사면과 같은 지지면(122)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면(122)에 사용자의 가슴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지지부재(120)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발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지지부재(120)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재(14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삽입부(121)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121)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부재(14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120)를 상기 결합부재(140)에 끼운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상기 결합부재(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상기 보호쿠션(115)은 상기 연결프레임(112)에 부착되어 마련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12)에 인접한 사용자의 배나 가슴 하부를 지지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고정부재(130)의 상기 조절나사(131)의 하부에는 상기 조절노브(132)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나사(131)는 상기 하부 프레임(113)에 마련되는 삽입홀에 삽입된다.The adjusting
상기 삽입홀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131)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13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133)가 마련되어 책상의 상판(11)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screw can be coupled to the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132)를 돌려서 상기 조절나사(131)를 상부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133)가 상기 책상의 상판의 하면을 압박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ing
동시에 상기 지지부(133)와 상기 상부 프레임(111) 간의 거리도 좁아지려 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하면이 상기 책상의 상판의 상면을 압박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책상의 상판에 고정될 수 있다.Thus, the
한편, 상기 이동제한부재(150)는 상기 결합부재(140)에 삽입되고 그 중앙에 삽입공(152)이 형성되는 스토퍼(151)와, 상기 스토퍼(15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핸들부(15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삽입공(152)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부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51)는 암나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높이를 낮추고, 원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120)가 이르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제한부재(151)의 핸들(153)를 잡고 상기 지지부재(12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상기 이동제한부재(150)를 상승시킨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 이동제한부재(150)가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면에 닿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12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여 하강하려고 하여도, 상기 이동제한부재(150)가 그 하강운동을 제한하여 그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When the
도4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제1,2실시예의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다.4 is a plan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도4(a)와 도4(c)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4 (a) and 4 (c)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주면은 반구형 또는 돔(Dome)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가슴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4(b)와 도4(d)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4 (b) and 4 (d)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주면이 복수의 형태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4(b)와 도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제1지지면(122a)과 제2지지면(122b)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4 (b) and 4 (d), the first and second ground surfaces 122a and 122b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제1지지면(122a)은 그 단면이 원호 형태로 마련되고, 외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곡면형태가 된다. 상기 제1지지면(122a)은 가슴이 판판한 남성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The first supporting
한편, 제2지지면(122b)은 그 중심에 나타난 돌출부(122c)에 대하여 좌우로 형성되는 오목면을 포함한다. 이는 여성 사용자를 위함이며, 이때, 상기 돌출부(122c)는 여성의 가슴골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면(122b)은 여성의 가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지지면(122b)의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의 곡률은 여성의 가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urvature of the concave curved surface of the
특히 제2실시예의 지지부재(12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120)를 회전시켜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는 지지면(122a,122b)을 선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the
도5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120)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도4(b)의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지지부재(120)상에 여러 형태의 지지면(121e, 121f, 121h)가 마련된다는 점이다. The difference from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b) is that various types of
여기서 편의상 도면부호 121e를 제1지지면, 121f를 제2지지면, 121h를 제3지지면이라고 정의한다.Here, for convenience,
제1지지면(121e)는 남자와 같이 가슴 전면이 평평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The
한편, 제2지지면(121f)와 제3지지면(121h)는 여성과 같이 가슴이 볼록한 사람들을 위한 것인데, 제2지지면(121f)에 비하여 제3지지면(121h)이 더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는 여성마다 가슴의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가슴 사이즈에 맞게 오목한 지지면을 선택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breast is different for each woman, so that the support surface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concave support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breast.
한편, 제2지지면(121f) 사이에 마련된 돌출부(121g)와 제3지지면(121h)사이에 마련된 돌출부(121i)는 가슴골에 삽입되어 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20)에 앉고 책상에 가까이 앉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100)를 상기 상판(11)에 고정시키면 사용자의 가슴전면이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면(122)에 닿게 된다.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20 and sitting close to the desk when the
상기 지지면(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가슴 전면의 특정부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가 전방으로 쏠려도 상기 지지부재(120)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제한한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s posture is forwardly restricted, the
특히, 상기 지지부재(120)가 상기 결합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부(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더욱이, 상기 이동제한부재(150)가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의 의도하지 않은 하강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그리고, 사용자의 팔꿈치는 상기 보조지지부재(200) 위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딱딱한 책상의 상판에 놓이지 않아서 사용자의 육체적 고통이나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bow of the user may be placed on the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와 상기 지지부재(12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200) 과 같이 상기 자세교정장치(100)를 구성하는 물품들을 분해하여 소정의 휴대용 주머니(P)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rticles constituting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주머니(P)에 각 구성요소들을 넣은 상태로 장소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특정 책상에 앉아서 공부나 업무를 하는 경우,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현재 앉은 책상에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100)를 설치하여 자세 교정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move the place with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pocket (P). And, when each sitting at a specific desk to study or work, by assembling each component to install the
또한, 특정 책상에 앉아서 업무나 공부를 하다가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교정장치(100)를 현재 앉은 책상에서 분리하고, 다른 장소에 있는 책상에 이를 재차 설치함으로써 그 곳에서도 자세 교정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f it is necessary to move to another place while sitting at a specific desk or work or study, the
10: 책상 11: 상판
100: 자세교정장치 110: 프레임부
120: 지지부재 130: 고정부재
140: 결합부재 150: 이동 제한부재10: desk 11: top
100: posture correction device 110: frame portion
120: support member 130: fixed member
140: coupling member 150: movement limiting member
Claims (10)
상기 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책상 앞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책상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A frame unit selectively detachably provided at a top plate of the desk;
A support member selectively coupled to or detachable from the frame part and supporting a part of a user's body seated in front of a desk;
A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part and fixes the frame part to the desk;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including a coupling member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The coupl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책상의 상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책상의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frame disposed above the upper plate of the desk;
A lower frame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desk;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상기 결합부재에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강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s provided on the coupling member, the posture corr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limiting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electively preven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결합부재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그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mber is composed of 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sertion part comprises a female screw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신체에 힘이 제한적으로 가해지도록 탄성재로 구성되거나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oft material o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a force is applied to the user's body limited.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면은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user's body is supported, the support surface is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력을 받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of different forms correspon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user receiving a support forc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삽입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하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조절노브와;
상기 조절나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 하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member and the adjustment screw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 adjusting knob provided below the adjusting screw and capable of holding a user;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justment screw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상기 프레임부의 양 옆에 이격되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frame portion and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lbow of the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6090A KR101218557B1 (en) | 2012-04-06 | 2012-04-06 |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6090A KR101218557B1 (en) | 2012-04-06 | 2012-04-06 |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18557B1 true KR101218557B1 (en) | 2013-01-04 |
Family
ID=478411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360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8557B1 (en) | 2012-04-06 | 2012-04-06 |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1855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7418B1 (en) | 2013-04-24 | 2014-01-03 | 주식회사 생각을가치로 | Table for correcting attitud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8215Y1 (en) * | 2002-09-10 | 2002-12-16 | 손기택 | Device for supporting upper body for desk |
| JP2008183338A (en) * | 2007-01-31 | 2008-08-14 | Itoki Corp | Body support for tables |
-
2012
- 2012-04-06 KR KR1020120036090A patent/KR10121855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8215Y1 (en) * | 2002-09-10 | 2002-12-16 | 손기택 | Device for supporting upper body for desk |
| JP2008183338A (en) * | 2007-01-31 | 2008-08-14 | Itoki Corp | Body support for table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7418B1 (en) | 2013-04-24 | 2014-01-03 | 주식회사 생각을가치로 | Table for correcting attitud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7228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chairs | |
| JP3215722U (en) | Chair | |
| US7775601B2 (en) | Back structure for a chair | |
| US20130318722A1 (en) | Functional Pillow | |
| CN113874084B (en) | Mats for Posture Correction | |
| KR101645927B1 (en) | Two-in-one technical changing type ergonomic pillow | |
| KR101207540B1 (en) | Brest supporter for desk | |
| KR100978285B1 (en) | Sound sleep pillow | |
| KR102324341B1 (en) | Cervical elastic acupressure device | |
| JP2020065899A (en) | Functional chair with acupressure balls | |
| US20060118679A1 (en) | Wrist supports | |
| US9655440B2 (en) | Movable computer wrist support with magnetic levitation | |
| KR101297499B1 (en) | Posture correcting device | |
| KR101218557B1 (en) | A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 |
| US10172449B2 (en) | Movable computer wrist support with magnetic levitation | |
| US20210007876A1 (en) | Neck collar | |
| KR100772167B1 (en) | Chair with auxiliary backrest | |
| KR101077053B1 (en) |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air Chest | |
| KR102533006B1 (en) | Tilting and sliding type cervical muscle relaxation device | |
| KR20230000371U (en) | Ergonomic chair | |
| EP3449777A1 (en) | Pillow | |
| KR200475488Y1 (en) | Pillow | |
| KR200358651Y1 (en) | Wrist Supporter At Mouse Job (Mouse-cap) | |
| KR20160082334A (en) |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desk | |
| KR20230164402A (en) | Thigh Supporter for Seat Applia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