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5823B1 -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823B1
KR101235823B1 KR1020120083217A KR20120083217A KR101235823B1 KR 101235823 B1 KR101235823 B1 KR 101235823B1 KR 1020120083217 A KR1020120083217 A KR 1020120083217A KR 20120083217 A KR20120083217 A KR 20120083217A KR 101235823 B1 KR101235823 B1 KR 10123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rizontal rail
support panel
support
protective f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수
Original Assignee
제일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에스티(주) filed Critical 제일에스티(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8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도록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호울타리를 구성하는 지주 및 수평레일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사이에 리브형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강성 및 충격흡수력이 향상되어 차량 충돌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와 차량을 보호함과 아울러 도로에서의 차량 탈선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또한 조립이 간편하여 시공이 용이한데다가 지주에 설치되는 수평레일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관리비 및 인력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F)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이되 전면이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주본체(11)와, 상기 지주본체의 전면 개방 부위에 용접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돌출되도록 좌우 폭이 상기 지주본체보다 넓게 형성된 지주플레이트(12)로 구성되고, 지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10);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지지패널(21)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후면 양단에 상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면부가 상기 지주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복수 이상 설치되는 수평레일(20); 및 상기 지지패널(21)의 상측 개방 부위를 차단하도록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부(22)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 중앙에 ㄴ자 단면형상을 갖는 고정편(23e)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커버(2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Safety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도록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호울타리를 구성하는 지주 및 수평레일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사이에 리브형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강성 및 충격흡수력이 향상되어 차량 충돌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와 차량을 보호함과 아울러 도로에서의 차량 탈선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또한 조립이 간편하여 시공이 용이한데다가 지주에 설치되는 수평레일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관리비 및 인력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전운전을 하도록 도로의 중앙 분리대나 도로변, 교량 등에는 차량 방호울타리가 설치된다.
즉, 방호울타리는 운전자의 과실이나 부주의 또는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차량이 주행 경로를 벗어나 보도나 반대차선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 및 차량을 보호하고 차량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또한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줄여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차량을 정상 경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호울타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시설물의 강도에 따라서는 차량 충돌 시 다소의 변형이 수반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가요성 방호울타리와, 차량 충돌 시 차량의 복귀를 목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강성 방호울타리로 구분되며, 도로 사정이나 설치 장소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진다.
그런데, 방호울타리의 자체 강성이 너무 약할 경우에는 차량 충돌 시 과도한 휨 변형에 의해 쉽게 절곡되거나 파손되면서 충돌 차량이 도로에서 밀려져 나와 탈선할 가능성이 있고, 이때 만일 설치 장소가 교량이나 절벽일 경우에는 외부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반면에 방호울타리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커서 휨 변형이 작을 경우에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차량이 충돌 후 반발력에 의해 튕겨져 나옴에 따라 후속 차량들과 연속적으로 충돌하는 등 대형 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차량 충돌 시 절곡이나 파손 등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충격을 크게 감소시키고 차량을 정상적인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킴에 따라 후속 차량과의 2차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성 및 충격흡수력을 가진 방호울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10은 종래의 방호울타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주(100)의 전면에 U자형 폐단면형상을 가진 수평레일(200)을 보강용 슬리브(300)를 매개로 결합하여 강도의 극대화 및 외부충격 시 완충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 발명은 수평레일 내부에서 보강용 슬리브를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수평레일과 슬리브의 볼트 체결 시 양측 관통구멍을 일치시키기가 어려우며, 또한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레일에는 지주와의 사이에 스틸로 된 충격완화부재(400)를 별도로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전체적인 조립 및 시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지주와 수평레일이 볼트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차량 충돌 시 충격완화부재가 상하부로 이동되는 일이 많아 수평레일이 점차적으로 뒤틀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호울타리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대부분 성형 스틸(Forming steel)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성형 스틸은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설비가 고가이므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호울타리의 강성을 증가시켜 차량이 다른 차선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량 충돌 시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바, 그 예로서 특허등록 제716195호의 "방호울타리", 공개특허 제2011-105106호의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특허등록 제500653호의 "차량 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 공개특허 제2004-12654호의 "차량용 방호울타리", 공개특허 제2011-122282호의 "방호울타리", 특허등록 제955790호의 "방호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실용신안등록 제283315호의 "U형 단면구조를 갖는 가로보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호울타리는 강성 및 충격흡수력은 다소 향상되었으나 조립 및 시공이 여전히 불편하다는 단점이 남아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호울타리의 기능성을 지속하되 종래의 방호울타리에 비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강성 및 충격흡수력이 더욱 강화된 차량 방호울타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방호울타리를 구성하는 지주 및 수평레일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강성 및 충격흡수력을 더욱 향상시켜 차량 충돌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차량을 정상 진행방향으로 신속하게 복귀시킴과 아울러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고 제조원가 및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이되 전면이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주본체; 및 상기 지주본체의 전면 개방 부위에 용접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돌출되도록 좌우 폭이 상기 지주본체보다 넓게 형성된 지주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지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 및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의 전후면 양단에 상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면부가 상기 지주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복수 이상 설치되는 수평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레일은,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상측 개방 부위를 차단함과 아울러 하부 중앙에 ㄴ자 단면형상을 갖는 고정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는, 상기 수평레일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양측 수평레일을 연결하도록 U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레일의 지지패널과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보강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패널과 상하 플랜지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는, 상기 지주와 수평레일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으로 기다란 사각 파이프 형태이고 내부에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하로 소정 각도 경사진 리브가 형성되어 차량 충돌 시 충격을 분산시키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지주와 수평레일을 결합 시 그 사이에 설치하되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따르면, 지주 및 수평레일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양자 간의 결합이 용이하고 수평레일 상에 보강부재의 설치가 편리하며, 지주와 수평레일을 결합 시 충격흡수부재를 일체로 하여 한꺼번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충격흡수부재의 형상을 변형하여 강도 및 충격흡수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차량 충돌 시 복원력이 우수하고 파손율이 경감되어 수평레일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등 전체적인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연결보강부재가 표시된 차량 울타리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양측 수평레일과 연결보강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수평레일과 연결보강부재의 결합 전후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충돌성능을 시험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의 시험성적서
도9a 내지 9d는 충돌성능 시험 전후의 방호울타리 시설물을 나타낸 사진
도10은 종래의 차량 방호울타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F)는, 지주(10)와,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이상의 수평레일(20)과, 상기 수평레일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보강부재(30) 및 상기 지주와 수평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재(4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0)는 도로의 중앙 분리대나 양측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마다 수직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수평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용융 아연 도금된 철재로 형성되고 대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주는 지주본체(11)와 지주플레이트(12)로 구성되고, 여기에 베이스플레이트(13), 지주앵글(14) 및 캡(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본체(11)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지주플레이트(12)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본체의 전면 개방 부위에 용접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지주플레이트의 횡방향 길이, 즉 좌우 폭이 상기 지주본체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좌우 양단이 지주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와 후술하는 수평레일을 결합 시 상기 지주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돌출 부위와 수평레일의 플랜지부를 결합볼트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주플레이트(12)의 좌우 양단에는 결합볼트 등에 의해 수평레일의 플랜지부가 결합되도록 제1결합공(1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12a)은 수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결합공(12a)은 후술하는 수평레일의 상하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공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레일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3)는 상기 지주본체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본체(11)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홀(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3)는 가장자리 부위에 다수의 제1체결공(13c)이 관통 형성되고, 도로 연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시공된 다수의 앵커볼트(B)가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주(10)를 지면에 고정하게 된다.
지주앵글(1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앵커볼트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지주플레이트(12)의 전면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주앵글은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일측은 지주플레이트의 전면 하단부에 접함과 아울러 타측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와 접하는 부위에는 제1체결공(13c)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14c)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주앵글(14)을 매개로 상기 제1체결공(13c) 및 제2체결공(14c)을 통과하는 앵커볼트(B) 및 여기에 체결되는 체결너트(B')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3)가 지면(100 : 콘크리트 연석)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캡(15)은 상기 지주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 개방 부위를 차단하게 된다.
수평레일(20)은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복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용융 아연 도금된 철재로 이루어진 압출재이고 H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수평레일은 지지패널(21)과 플랜지부(22)로 구성되고, 여기에 커버(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패널(21)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이고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제1고정공(21d)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는 상기 지지패널의 전후면 양단에 상하 직각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부에는 결합볼트(A) 및 결합너트(A')에 의해 상기 지주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지지패널을 중심으로 플랜지부의 상하측에 각각 제2결합공(22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전면부는 본 발명인 방호울타리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과 플랜지부로 구성된 상기 수평레일(20)은 전체적으로 H자 단면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하 부분이 외부에 개방된 상태임과 아울러 상기 지주플레이트(12)는 지주본체에 비해 좌우 양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지주(10)와 수평레일(20)을 결합할 때 상기 지주플레이트(12) 좌우 양단과 플랜지부(22)를 결합볼트 등에 의해 연결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커버(23)는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 개방 부위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재로서, 그 하부 중앙에는 ㄴ자 단면형상을 가진 고정편(23e)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의 수평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패널의 제1고정공에 대응하는 제2고정공(23d)이 관통 형성되어 고정볼트(D) 및 고정너트(D')에 의해 지지패널 상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3)가 상기 수평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수평레일의 지지패널 상에 물이 고이거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들어가 쌓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레일(20)은 설치되는 장소나 용도 등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이상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즉, 지주(10)의 상,중,하측에 각각 설치된 상부수평레일(20A), 중부수평레일(20B), 하부수평레일(20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레일(20)은 도로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데, 즉,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20)과 수평레일(20') 사이에는 연결보강부재(30)가 삽입 설치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수평레일을 결합함과 아울러 수평레일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상기 연결보강부재(30)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H자 단면형상을 가진 수평레일의 지지패널(21)과 플랜지부(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U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패널(21)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보강부재(30,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보강부재(30)의 중앙에는 복수 이상의 제3고정공(31d)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2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1고정공(21d)과 고정볼트(D) 및 고정너트(D')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3고정공(31d)은 제1고정공 및 제2고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볼트(D)를 한꺼번에 관통시켜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패널 상에 제1고정공과는 별도의 관통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여기에 별도의 고정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보강부재(30)는 서로 인접하는 양측 수평레일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수평레일의 강도 보강만을 위하여 수평레일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견디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10)와 수평레일(20) 사이에는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재(4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충격흡수부재(40)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태의 알루미늄 압출재로서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복수 이상의 제3결합공(42a)이 형성되되, 상기 제3체결공은 지주 및 수평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공(12a,2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결합볼트(A) 및 결합너트(A')에 의해 일체로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주(10)와 수평레일(20)을 결합 시 그 사이에 충격흡수부재(40)를 삽입하고 하나의 결합볼트(A)에 의해 한꺼번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들이 일체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차량 충돌 시 상하부 측으로의 이동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40)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지주 및 수평레일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하로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리브(41)가 구비되어 차량 충돌 시 수평레일 및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완충 및 흡수 분산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이 방호울타리를 넘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와 하부수평레일(20C) 사이에만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의 높이나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른 수평레일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8a 내지 도8c는 국토해양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충돌성능(등급 SB5)에 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시험에서는, 14톤 트럭을 15도 각도에서 80㎞/h의 속도로 측면 충돌하여 방호울타리의 강도성능을 평가함과 아울러 1.3톤 승용차를 20도 각도에서 100㎞/h의 속도로 측면 충돌하여 탑승자의 보호성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시험결과에 따르면, 도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강도성능 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는 시험된 차량의 충돌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충돌에 의한 변형거리도 기준치보다 적게 나타남과 아울러 충돌 후 차량이 전복되거나 급정지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탑승자 보호성능 면에서도 탑승자 충격속도가 기준치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강도성능 평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충돌 후에도 차량이 전복되거나 과도한 충격흡수로 인해 급정지하는 일 없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도9a 내지 도9d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울타리 시설물에 대하여 상기 충돌성능 시험을 하기 전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10 : 지주 11 : 지주본체
12 : 지주플레이트 12a : 제1결합공
13 : 베이스플레이트 13b : 삽입홀
13c : 제1체결공 14 : 지주앵글
14c : 제2체결공 15 : 캡
20, 20A, 20B, 20C : 수평레일 21 : 지지패널
21d : 제1고정공 22 : 플랜지부
22a : 제2결합공 23 : 커버
23d : 제2고정공 23e : 고정편
30 : 연결보강부재 31d : 제3고정공
40 : 충격흡수부재 41 : 리브
42a : 제3결합공 A : 결합볼트
A' : 결합너트 B : 앵커볼트
B' : 체결너트 D : 고정볼트
D' : 고정너트 F : 차량 방호울타리

Claims (6)

  1.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이되 전면이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주본체와, 상기 지주본체의 전면 개방 부위에 용접 결합되고 좌우 양단이 돌출되도록 좌우 폭이 상기 지주본체보다 넓게 형성된 지주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지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후면 양단에 상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면부가 상기 지주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복수 이상 설치되는 수평레일; 및
    상기 지지패널의 상측 개방 부위를 차단하도록 좌우 양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 중앙에 ㄴ자 단면형상을 갖는 고정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양측 수평레일을 연결하도록 U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레일의 지지패널과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보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상기 지지패널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패널과 상하 플랜지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수평레일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평으로 기다란 사각 파이프 형태이고 내부에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상하로 소정 각도 경사진 리브가 형성되어 차량 충돌 시 충격을 분산시키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지주와 수평레일을 결합 시 그 사이에 설치하되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20120083217A 2012-02-20 2012-07-30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Active KR101235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97 2012-02-20
KR20120001297 2012-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823B1 true KR101235823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17A Active KR101235823B1 (ko) 2012-02-20 2012-07-30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23A (ko) * 2013-12-25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548685B1 (ko) * 2015-01-29 2015-09-01 인천국제공항공사 차량 방호 울타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54Y1 (ko) * 2003-09-29 2003-12-24 주식회사 명성컨설턴트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50059423A (ko) * 2003-11-20 2005-06-21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드레일
KR100900792B1 (ko) * 2007-10-19 2009-06-02 강진구 보도 차도용 방호 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54Y1 (ko) * 2003-09-29 2003-12-24 주식회사 명성컨설턴트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50059423A (ko) * 2003-11-20 2005-06-21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드레일
KR100900792B1 (ko) * 2007-10-19 2009-06-02 강진구 보도 차도용 방호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23A (ko) * 2013-12-25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585733B1 (ko) 2013-12-25 2016-01-15 주식회사 포스코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548685B1 (ko) * 2015-01-29 2015-09-01 인천국제공항공사 차량 방호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020A (en) High-performance deformable steel guardrail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KR101344082B1 (ko)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JPS6012484B2 (ja) 道路保護障壁
KR101256454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130071781A (ko)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1036495B1 (ko)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JP3831776B2 (ja) ガードレールの衝撃吸収構造体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137587B1 (ko) 비상회차 가드레일
CN209429013U (zh) 一种交通工程用高速公路防护栏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0538994B1 (ko) 다단의 충격흡수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EP3441528A1 (en) Protective barrier system for go-karting circuits
KR101190671B1 (ko) 방호 울타리
KR100711965B1 (ko) 충격흡수용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252807Y1 (ko) 도로곡선부 추락방지용 가드레일
CN218027385U (zh) 一种公路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