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8250B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250B1
KR101238250B1 KR1020110041988A KR20110041988A KR101238250B1 KR 101238250 B1 KR101238250 B1 KR 101238250B1 KR 1020110041988 A KR1020110041988 A KR 1020110041988A KR 20110041988 A KR20110041988 A KR 20110041988A KR 101238250 B1 KR101238250 B1 KR 10123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terface
unit
signal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221A (ko
Inventor
오재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2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2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예를 들어, 피티제트(PTZ : Panning, Tilting and Zooming) 카메라로서의 돔(Dome) 카메라는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기능이 변경된 새로운 모델의 감시 카메라를 사용해야 할 경우, 기존 제품 전체를 버리고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둘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전체적인 설계를 하여야 하므로, 변경 설계가 어려워진다.
셋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감시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가 제한되어야 하므로, 기능 변경의 제한이 크다.
넷째, 감시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로 인하여 협소한 곳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제적이며, 변경 설계가 용이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 변경의 제한이 적고, 설치가 용이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나사식으로 상호 결합 및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광학계, 광전 변환부, 디지털 신호 발생부,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광학계, 상기 광전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 공급부, 통신 인터페이스, 식별번호 입력부, 및 비디오-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식별번호 입력부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한다.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부는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기능설정 입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기능설정 입력부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광학계, 광전 변환부, 디지털 신호 발생부,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계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광학계, 상기 광전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 공급부, 무선 송수신부, 통신 인터페이스, 식별번호 입력부, 비디오-신호 출력부,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식별번호 입력부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부는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부에 각각 입력시키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통신 신호 및 상기 식별번호 입력부로부터의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각각 입력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기능설정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기능설정 입력부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에 입력시키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센서 신호 및 상기 기능설정 입력부로부터의 기능 설정의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각각 입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상기 본체부의 기능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변경 설계가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서로 다른 장소들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에 대하여 제한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추가적 효과들이 있다.
첫째, 상기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에 따른 기능 변경의 제한이 적어진다.
둘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가 종래의 일체식 감시 카메라의 크기에 비하여 작으므로, 협소한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들이 사용되는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인터페이스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 개의 인터페이스부에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이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과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부들이 공용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들(11a 내지 11n) 예를 들어, 피티제트(PTZ : Panning, Tilting and Zooming) 카메라들로서의 돔(Dome) 카메라들이 사용되는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들(11a 내지 11n) 각각은 촬영에 의하여 라이브-뷰(live-view)의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11a 내지 11n) 각각은, 호스트 장치(13)와 통신 신호(Dcom)를 주고 받으면서 라이브-뷰(Live-view)의 비디오 신호(Svid)를 호스트 장치(13)에 전송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신호(Dcom)와 비디오 신호(Svid)는 서로 다른 케이블에 실릴 수 있지만, 동축 케이블에 함께 실릴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됨을 보여준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는,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체부(21)의 배면 즉, 인터페이스부(22)와의 접촉면에는 접점(212)들을 구비한 표준화된 마운트(21a)가 형성된다.
물론, 인터페이스부(22)의 전면 즉, 본체부(21)와의 접촉면에도 접점들을 구비한 표준화된 마운트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는 나사식으로 상호 결합 및 상호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본체부(21)의 기능 또는 인터페이스부(22)의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변경 설계가 용이해진다.
도 4는 도 2의 본체부(2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2의 인터페이스부(2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2의 인터페이스부(22)의 배면(22b)을 보여준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21)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401)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407)를 포함한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타이밍 회로(4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4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4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CDS-ADC(4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40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CDS-ADC(4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CDS-ADC 소자(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21)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1)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408)를 더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는,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도 1의 13)와 통신하면서, 비디오-신호 발생부(4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호스트 장치(13)에 전송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413)는 구동부(410)를 제어하여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및 틸팅 모터(Mt)를 구동한다.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를 구동하고,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며,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필터 모터(Md)는 필터부에서의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와 적외선 차단 필터(IRF)를 구동한다.
패닝 모터(Mp)는 광학계(OPS)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틸팅 모터(Mt)는 광학계(OPS)를 상하로 회전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413)는, 주기적으로 또는 호스트 장치(도 1의 13)로부터 인터페이스부(22)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동부(410)를 제어하여 광학계(OPS)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패닝(panning) 및 광학계(OPS)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13)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315)를 구동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22)는 전원 공급부(51), 통신 인터페이스(52), 식별번호 입력부(54) 및 비디오-신호 출력부(56)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51b)를 포함한 전원 공급부(51)는, 입력 교류 전압(ACin)을 정류하여, 제1 직류 전압(DCout1)을 인터페이스부(22) 내의 각 부에 제공하고, 제2 직류 전압(DCout2)을 본체부(21) 내의 각 부에 제공한다.
통신 단자들(52b)을 포함한 통신 인터페이스(52)는 본체부(2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와 외부 장치로서의 호스트 장치(도 1의 13) 사이에서 통신 신호(Sco1, Sco)를 인터페이싱한다.
식별번호 스위치(54b)를 포함한 식별번호 입력부(54)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Sid)를 본체부 (2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입력한다.
비디오-신호 출력부(56)는 본체부(21) 내의 비디오-신호 발생부(4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인터페이싱하고, 인터페이싱된 비디오 신호(Svid)를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터페이스부(22)는 센서 인터페이스(53) 및 기능설정 입력부(55)를 더 포함한다.
센서 단자들(53b)을 포함한 센서 인터페이스(53)는 본체부(2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Sse1, Sse)를 인터페이싱한다.
기능설정 스위치(55b)를 포함한 기능설정 입력부(55)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Sfu)를 본체부(2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407)에 입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 카메라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본체부(71)의 기능 또는 인터페이스부(72)의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변경 설계가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어,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가 서로 다른 장소들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 각각의 크기에 대하여 제한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추가적 효과들이 있다.
첫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 각각의 크기에 따른 기능 변경의 제한이 적어진다.
둘째,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 각각의 크기가 종래의 일체식 감시 카메라의 크기에 비하여 작으므로, 협소한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설치가 용이하다.
도 8은 도 7의 본체부(7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7의 인터페이스부(7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71)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801),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807), 무선 송수신부(816), 및 전원 공급부(817)를 포함한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는 타이밍 회로(8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4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8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CDS-ADC(8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서의 CDS-ADC(40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CDS-ADC(8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는 CDS-ADC 소자(8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무선 송수신부(816)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72)에 전송하고, 인터페이스부(72)로부터의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에 입력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71)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1)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808)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71) 내의 무선 송수신부(816)는 비디오-신호 발생부(808)로부터의 입력 신호들(Svid1)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부(72)에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는, 인터페이스부(72)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서의 호스트 장치(도 1의 13)와 통신하면서, 비디오-신호 발생부(8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호스트 장치(13)에 전송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813)는 구동부(810)를 제어하여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및 틸팅 모터(Mt)를 구동한다.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를 구동하고,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며,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필터 모터(Md)는 필터부에서의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와 적외선 차단 필터(IRF)를 구동한다.
패닝 모터(Mp)는 광학계(OPS)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틸팅 모터(Mt)는 광학계(OPS)를 상하로 회전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813)는, 주기적으로 또는 호스트 장치(도 1의 13)로부터 인터페이스부(82)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동부(810)를 제어하여 광학계(OPS)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패닝(panning) 및 광학계(OPS)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틸팅(tilting)을 수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813)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815)를 구동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2)는 전원 공급부(71), 무선 송수신부(92), 통신 인터페이스(52), 식별번호 입력부(54), 비디오-신호 출력부(56), 및 마이크로-컴퓨터(91)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92)는 본체부(71) 내의 무선 송수신부(816)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구비된다.
통신 인터페이스(52)는 본체부(7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Sco1, Sco)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식별번호 입력부(54)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Sid)를 본체부(7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에 입력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비디오-신호 출력부(56)는, 비디오-신호 출력부(56)는 본체부(21) 내의 비디오-신호 발생부(4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인터페이싱하고, 인터페이싱된 비디오 신호(Svid)를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마이크로-컴퓨터(91)는, 인터페이스부(72) 내의 무선 송수신부(92)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52) 및 비디오-신호 출력부(56)에 각각 입력시키고,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통신 신호(Sco1) 및 식별번호 입력부(54)로부터의 식별 번호의 신호(Sid)를 인터페이스부(72) 내의 무선 송수신부(92)에 각각 입력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터페이스부(72)는 센서 인터페이스(53) 및 기능설정 입력부(55)를 더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53)는 본체부(71)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807)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Sse1, Sse)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기능설정 입력부(55)는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Sfu)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2) 내의 마이크로-컴퓨터(91)는, 인터페이스부(72) 내의 무선 송수신부(92)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센서 인터페이스(53)에 입력시키고, 센서 인터페이스(53)로부터의 센서 신호(Sse1) 및 기능설정 입력부(55)로부터의 기능 설정의 신호(Sfu)를 인터페이스부(72) 내의 무선 송수신부(92)에 각각 입력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 개의 인터페이스부(102)에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101a 내지 101c)이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111a 내지 111c)과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부들(112a 내지 112i)이 공용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경우, 표준화된 마운트(21a)를 사용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111a 내지 111c)과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부들(112a 내지 112i)이 공용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체부(71)와 인터페이스부(72)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경우,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본체부들(111a 내지 111c)과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부들(112a 내지 112i)이 공용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본체부의 기능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변경 설계가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서로 다른 장소들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에 대하여 제한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추가적 효과들이 있다.
첫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에 따른 기능 변경의 제한이 적어진다.
둘째,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 각각의 크기가 종래의 일체식 감시 카메라의 크기에 비하여 작으므로, 협소한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설치가 용이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카메라에 이용될 수 있다.
11a 내지 11n...감시 카메라들, 12...통신 네트워크,
13...호스트 장치, 21...본체부,
21a...표준화된 마운트, 212...접점,
22...인터페이스부,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401...CDS-ADC,
402...타이밍 회로, 407...디지털 신호 처리기,
408...비디오-신호 발생부, 410...구동부,
413...마이크로-컴퓨터, 415...조명부,
51...전원 공급부, 52...통신 인터페이스,
53...센서 인터페이스, 54...식별번호 입력부,
55...기능설정 입력부, 56...비디오-신호 출력부,
22b...인터페이스부의 뒷면, 51b...전원 입력부,
52b...통신 단자들, 53b...센서 단자들,
54b...식별번호 스위치, 55b...기능설정 스위치,
71...본체, 72...인터페이스부,
801...CDS-ADC, 802...타이밍 회로,
807...디지털 신호 처리기, 808...비디오-신호 발생부,
810...구동부, 813...마이크로-컴퓨터,
815...조명부, 816...무선 송수신부,
817...전원 공급부, 91...마이크로-컴퓨터,
92...무선 송수신부, 102...인터페이스부,
101a 내지 101c...본체부들.

Claims (10)

  1. 삭제
  2.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나사식으로 상호 결합 및 상호 분리되는 감시 카메라.
  3. 본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분리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 및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 변환부;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신호 발생부; 및
    상기 광학계, 상기 광전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한 감시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 공급부;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하는 식별번호 입력부; 및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출력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물리적 결합에 의한 접점 연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하는 기능설정 입력부를 더 포함한 감시 카메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 변환부;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신호 발생부;
    상기 광학계, 상기 광전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시키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무선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 공급부;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입력하기 위한 식별번호 입력부;
    비엔씨(BNC : Bayonet Neil-Concelman)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비디오-신호 발생부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신호 출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부에 각각 입력시키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통신 신호 및 상기 식별번호 입력부로부터의 식별 번호의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각각 입력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 내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외부 센서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설정 조작에 의한 기능 설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설정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식별하여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에 입력시키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센서 신호 및 상기 기능설정 입력부로부터의 기능 설정의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의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각각 입력시키는 감시 카메라.
KR1020110041988A 2011-05-03 2011-05-03 감시 카메라 Active KR10123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988A KR101238250B1 (ko) 2011-05-03 2011-05-03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988A KR101238250B1 (ko) 2011-05-03 2011-05-03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21A KR20120124221A (ko) 2012-11-13
KR101238250B1 true KR101238250B1 (ko) 2013-02-27

Family

ID=4750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988A Active KR101238250B1 (ko) 2011-05-03 2011-05-03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27B1 (ko) 2021-08-05 2022-02-09 이한기술단 주식회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91A (ja) 2001-01-17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8092258A (ja) 2006-10-02 2008-04-17 Ikegami Tsushinki Co Ltd 天井埋め込み型カメラ取付機構
KR20090014630A (ko) * 2007-08-06 2009-0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11059197A (ja) 2009-09-07 2011-03-24 Nikon Corp 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91A (ja) 2001-01-17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8092258A (ja) 2006-10-02 2008-04-17 Ikegami Tsushinki Co Ltd 天井埋め込み型カメラ取付機構
KR20090014630A (ko) * 2007-08-06 2009-0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11059197A (ja) 2009-09-07 2011-03-24 Nikon Corp 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27B1 (ko) 2021-08-05 2022-02-09 이한기술단 주식회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21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67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based on face or hand gesture detection
CN105187726B (zh) 一种多功能移动图像处理装置、处理方法
US10148908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odular cameras
KR101954059B1 (ko)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CN1989763A (zh) 监视摄像机装置、监视摄像机装置的控制方法及其程序
KR101238250B1 (ko) 감시 카메라
JP5631695B2 (ja) 接続切替デバイス、送信端末、受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586698B1 (ko) 감시 카메라
US20210337648A1 (en) Multi-Protocol Luminaire System
KR101247319B1 (ko)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102029206B1 (ko) 화각 조정 방법, 이 방법을 채용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CN106470305B (zh) 一种利用无线网络远程控制的摄像头
EP2751995A1 (en) Network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thereof
KR102104408B1 (ko) 센서를 이용하는 감시 카메라
KR20160016451A (ko) 감시 시스템
KR20160094590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외장형 촬영 장치
JP5443278B2 (ja) レンズ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無線アダプタ
JP2012157039A (ja) 可視光通信装置
KR101603211B1 (ko)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JP2009206633A (ja) 防犯システム
US200501224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5781207B2 (ja) 送信端末、受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2158835B1 (ko) 감시 카메라
KR101080410B1 (ko)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CN119211690A (zh) 一种图像采集模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