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661B1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Google Patents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661B1 KR101239661B1 KR1020120039218A KR20120039218A KR101239661B1 KR 101239661 B1 KR101239661 B1 KR 101239661B1 KR 1020120039218 A KR1020120039218 A KR 1020120039218A KR 20120039218 A KR20120039218 A KR 20120039218A KR 101239661 B1 KR101239661 B1 KR 101239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ind
- loop
- blind paper
- paper
- roman sha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블라인드지에 루프(loop)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Roman shade type blind)의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상단은 프레임(23)에, 하단은 웨이트부(12)에 고정하고,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상단은 프레임(23)에 회동되도록 설치된 권취봉(13)에, 하단은 웨이트부(12)에 각각 고정하며,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가 루프형태로 형성되도록 작동시키는 루프 줄(14)이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을 통과하여 상단은 권취봉(13)에, 하단은 웨이트부(12)에 고정한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에 있어서,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15)가 반복 형성되도록 일체로 제직한 뒤, 루프 줄(14)을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15)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 간격(L₁) 및 길이(L₂/2)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of a roman shade type blind in which a loop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front blind paper, and a blind using the sam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front blind paper 11 has a frame ( 23,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weight part 12, the upper end of the rear blind paper 18 is fixed to the winding rod 13 installed to rotate on the frame 23,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weight part 12, respectively. The loop line 14 for operating the front blind paper 11 to be formed in a loop shape passe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11 so that the upper end is wound on the winding rod 13 and the lower end is placed on the weight part 12. In the fixed roman shade type blind, two or more loops 15 are integrally woven so as to be repeatedly formed within the interval l se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11, and then the loop string 14 is formed. Sequentially on two or more rings (15) It characterized in that one to adjust the loop spacing (L₁) and length (L₂ / 2) to be formed to pass through.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인드지에 루프(loop)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Roman shade type blind)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라인드지의 하단이 고정된 웨이트부의 상부로 형성되는 루프의 간격 및 폭을 손쉽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man shade type blind in which a loop is formed continuously on a blind paper. More specifically, the interval and width of a loop formed on the upper part of a weight portion to which a lower end of the blind paper is fixed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man shade window blind and a blind using the same to easily adjust the assembly.
일반적으로, 커튼 및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차단, 외부의 시선 차단, 방음,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용성 이외에도 내부의 벽이나 유리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curtains and blinds are installed at the windows or entrance of a building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terception of the sunlight, interception of the outside, soundproofing, cold weather, etc. In addition to this practicality, the blend of colors And is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decoration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상기 커튼 및 블라인드는 그 형태에 따라 중앙에서 양 측면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일반적인 커튼과,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조각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와, 1겹 또는 2겹의 블라인드지가 회전하는 권취봉에 감겨지거나 풀리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와, 길이를 조정하는 코드 줄의 권취동작에 의해 커튼지가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접혀지는 방식의 로만쉐이드 커튼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curtain and the blind is a general curtain that is expanded and fold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according to its shape, a vertical blind tha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iece, and the winding rod of which one or two layers of blind paper are rotated. It is divided into roll screen blinds wound or unwound and Roman shade curtains which are folded and fold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winding action of the cord string adjusting the length.
도 1은 종래 로만쉐이드 타입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104)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블라인드지(101)에 일정 간격으로 쫄대(102)를 각각 감싼 다음 상기 블라인드지(101)가 감싸진 쫄대(102)를 루프 형성 바(103)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103a)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man shade type blinds, and FIGS. 2A and 2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FIG. 1,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그 후, 상기 루프 형성 바(103)의 외부로 노출된 또 다른 삽입홈(103b)에는 루프 줄(105)이 끼워지는 고리(106)의 돌기(106a)를 각각 끼운 다음 블라인드지(101)의 하단에 고정되는 웨이트부(107)에 루프 줄(105)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 상기 루프 줄(105)을 루프 형성 바(103)의 삽입홈(103b)에 끼워진 각각의 고리(106)를 통과시켜 끝단을 권취봉(108)에 고정시키므로써, 조립이 완성된다.Thereafter, the
따라서 권취봉(108)으로부터 루프 줄(105)을 완전히 풀면 도 2a와 같이 웨이트부(107)의 자중에 의해 블라인드지(101)가 늘어지게 되므로 블라인드지(101)에 루프(104)가 형성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즉, 블라인드지(101)가 도 2a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블라인드지가 창문을 완전히 가리게 되므로 실·내외를 차폐시키게 된다.That is, since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정 줄(109)을 잡아당겨 권취봉(108)을 회전시키면 루프 줄(105)의 일단이 웨이트부(107)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리(106)에 끼워져 있어 웨이트부(107)로부터 첫 번째 위치하는 루프 형성 바(103)에 위치하는 블라인드지(101)에 의해 루프(104)가 형성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adjusting
그 후, 계속해서 조정 줄(109)을 잡아당겨 루프 줄(105)이 권취봉(108)에 감기면 첫 번째 위치하는 루프 형성 바(103) 및 두 번째 위치하는 루프 형성 바(103)에 위치하는 블라인드지(101)에 의해 도 2b와 같이 두 번째 루프(104)가 형성된다.Thereafter, the row of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로만쉐이드 타입의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oman shade type blind having such a structure has various problems as follows.
첫째, 루프가 차례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루프형성 바 및 쫄대 그리고 고리를 사용함에 따라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블라인드의 생산에 따른 조립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First, in order for the loops to be formed in turn,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s the loop forming bar, the chords, and the loops are used, and thus, the assembly performance of the blinds is degrad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둘째, 루프 형성 바 및 쫄대의 사용으로 인해 블라인드지의 무게가 무거워져 블라인드지가 감기는 권취봉에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권취봉을 지지하는 엔드 브라켓의 보스가 블라인드지의 전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부러지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Second, the weight of the blind paper becomes heavy due to the use of the loop forming bar and the rod, which puts a load on the winding rod to which the blind paper is wound, so that the boss of the end bracket supporting the winding rod cannot break the entire weight of the blind paper. There was a fatal flaw.
셋째, 블라인드지의 전면에 쫄대 삽입홈으로 인해 불필요한 선이 표출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Third, since unnecessary lines are expressed due to the lateral insertion groove on the front side of the blind paper, there ar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넷째, 루프 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루프 줄을 목에 감는 경우 질식사의 우려가 있다.Fourth, there is a fear of suffocation if children loop around the loop line around the neck as the loop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에 의해 로만쉐이드타입의 블라인드를 개발하여 특허 제2011-58025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developed a Roman shade type blind and was previously filed as a patent 2011-58025.
도 3은 특허 제2011-58025호의 루프형성 원단의 배면도이고, 도 4는 후면 블라인드지가 권취봉에 감겨 전면 블라인드지에 루프가 형성된 상태도로써, 전면 블라인드지(1)의 배면에 루프 줄(5)이 끼워지는 고리(9)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전면 블라인드지(1)의 제직 시 일체로 제직되어 있고 상기 각 고리(9)에는 루프 줄(5)이 끼워져 있다.3 is a rear view of the loop forming fabric of Patent No. 2011-58025, and FIG. 4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rear blind paper is wound around a winding rod, and a loop is formed on the front blind paper, and a
따라서 창문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정 줄을 잡아당겨 권취봉(8)을 도면 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면 블라인드지(10) 및 여러 가닥의 루프 줄(5)이 권취봉(8)에 동시에 감기게 되는데, 이 때 웨이트부(7)에 전면 블라인드지(1) 및 후면 블라인드지(10) 그리고 루프 줄(5)이 동시에 고정되어 있어 권취봉(8)에 후면 블라인드지(10) 및 루프 줄(5)이 감기는 양만큼 후면 블라인드지(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웨이트부(7)와 함께 상승하지만, 프레임(23)에 일단이 고정된 전면 블라인드지(1)에는 도 4와 같이 루프(4)가 형성된다.Therefore, in order to open a part of the window, when the user pulls the adjusting rod and rotates the take-
그러나 이러한 전면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로만쉐이드타입의 블라인드는 루프형성 바 및 쫄대 그리고 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면 블라인드지에 루프를 형성할 수 있지만,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일정간격으로 한 개씩 형성되어 있는 각 고리에 루프 줄을 차례로 끼우는 구조이어서, 루프와 루프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지 않아 형성되는 루프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한 곳에 모이게 되어 형성된 루프가 마치 포도송이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상부의 루프에 의해 가려져 하부의 루프가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Roman shade type blinds using the front blind paper can form loops on the front blind paper without the use of loop forming bars and bands, and loops, but loops are formed on the back of the front blind paper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a structure in which strings are inserted one after another, so that loops formed because the loops and the loops are not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are not kept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gathered in one place so that the loops formed like grape clusters are covered by the upper loops. The loop was invisible.
또한, 종래의 웨이트부(7)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의 하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는 원형의 하단봉(71)과, 상기 하단봉(71)의 양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중심을 잡아주도록 하단봉(71)의 양단에 각각 조립되는 끼움돌기(72a)가 돌출된 하단봉 캡(72)과, 상기 하단봉(71)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동시에 하단봉이 은폐되도록 하는 하단바(73)와, 상기 하단바(73)의 양단에 끼워서 하단봉(71)이 어느 일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하단봉(71)의 회동중심을 유지시키도록 축봉(741)이 돌출된 하단바 캡(74)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to 5C, the
이 때, 전면 블라인드지(1)의 배면에 형성된 고리(9)를 통과한 루프 줄(5)은 후면 블라인드지(1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시킨 뒤 후면 블라인드지(10)를 하단봉(71)에 고정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러나 전,후면 블라인드지(1)(10)를 하단봉(71)에 조립하기 전 상태는, 루프 줄(5)이 전면 블라인드지(1)의 고리(9)를 통과하여 끝단이 후면 블라인드지(10)의 하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의 하단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마지막 하단부의 고리(9)를 통과하여 후면 블라인드지(10)의 하단까지의 거리만큼만 벌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의 상태에서 그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의 하단을 하단봉(71)에 끼워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하단봉(71)의 어느 일측방에서 부터 끼워야 되기 때문에 반드시 전,후면 블라인드지(1)(10)를 동시에 끼워야만 된다.However, before assembling the front and rear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프 줄(5)에 의하여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의 하단 상호간은 벌어짐에 대해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어느 전면 또는 후면 블라인드지만을 먼저 하단봉(71)에 끼워 조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따라서 전,후면 블라인드지(1)(10)와 하단봉(71)의 조립이 까다롭고 어려워 조립작업의 불편함과,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특히 하단봉(71)에 후면 블라인드지(10)를 끼울 때 후면 블라인드지(10)에 일체로 고정된 루프 줄(5)이 하단봉(71)에 걸려서 루프 줄(5)이 끊어지거나 빠지는 등의 작업상의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1) (10) and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블라인드지에 별도의 루프 형성 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블라인드의 전면에 루프가 일정 간격으로 가지런히 형성되도록 하여 블라인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blinds by forming a loop on the front of the blind at regular intervals without using a separate loop forming bar on the blind paper.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 블라인드지를 제직하는 과정에서 배면에 루프 줄이 끼워지는 여러 개의 고리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일체로 제직하여 블라인드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set the gap of the loop to be form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lind by integrally weaving a plurality of loops that are inserted in the loop line on the back in the process of weaving the front blind paper. To be adjus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취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엔드 브라켓의 보스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조정 줄을 잡아당겨 권취봉에 블라인드지를 감거나 풀 때 보스가 부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load on the boss of the end bracket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winding rod to pull the adjustment string to prevent the boss from breaking when unwinding or unwinding blind paper on the winding rod. There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봉를 2등분하여 전,후면 블라인드지를 2개의 하단봉에 각각 조립하도록 웨이트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assembly work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weight portion to assemble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to the two lower rods by dividing the lower bar into tw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 내에는 조정 줄을 잡아당김에 따라 루프가 형성되도록 기능을 하는 루프 줄이 끼워지는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가 반복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wo or two or more loops in which a loop string functioning to form a loop as a loop is formed within a gap set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ind paper are formed repeatedly. A roman shade blind paper is provided which is woven a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면 블라인드지의 상단은 프레임에, 하단은 웨이트부에 고정하고, 후면 블라인드지의 상단은 프레임에 회동되도록 설치된 권취봉에, 하단은 웨이트부에 각각 고정하며,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가 루프형태로 형성되도록 작동시키는 루프 줄이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을 통과하여 상단은 권취봉에, 하단은 웨이트부에 고정한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에 있어서,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 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가 반복 형성되도록 제직한 뒤, 루프 줄을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 간격 및 길이로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가 제공된다.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f the front blind paper to the frame, the bottom is fixed to the weight portion, the top of the rear blind paper to the winding rods installed to be rotated to the frame, the bottom is fixed to the weight portion, respectively, the front blind In the case of the roman shade type blinds, in which a loop string that operates the paper to form a loop passe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winding rod,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weight part, two or two within the interval se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After weaving so that the above loops are repeatedly formed, there is provided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op string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wo or two or more loops to be adjusted to the loop interval and length to be formed.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징은, 전,후면 블라인드지의 하단에 고정되는 웨이트부가 한 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로 구성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블라인드를 제공한다.Here, the fe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rear blind paper, or configured separately to provide blinds of various designs.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의 이웃하는 각 고리 사이에 루프 줄이 통과하는 간격 유지부재를 설치하여 원하는 루프간격의 조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p retaining member through which a loop string passes between adjacent rings of the front blind paper provides an adjustment of a desired loop gap.
본 발명은 종래의 로만쉐이드타입의 블라인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roman shade type blinds.
첫째,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고리를 일체로 제직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루프형성 바 및 쫄대 그리고 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의 길이 및 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블라인드의 생산에 따른 조립성을 극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하여 로만쉐이드타입의 블라인드를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First, weaving the loop integrally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blind paper can freely adjus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oop to be formed without the use of separate loop forming bars and rods and loops as in the prior art. The assembly is maximized, and accordingly, the prod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blinds of the roman shade type can be supplied at low cost.
둘째, 루프 형성 바 및 쫄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블라인드지의 무게를 최소화하게 되므로 블라인드지가 감기는 권취봉에 걸리는 부하 또한 최소화할 수 있어 권취봉을 지지하는 엔드 브라켓의 보스가 블라인드지의 전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Second, since the weight of the blind paper is minimized by not using the loop forming bar and the rod, the load on the winding rod to which the blind paper is wound can also be minimized, so that the boss of the end bracket supporting the winding rod supports the total weight of the blind pap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solve the phenomenon of failure.
셋째, 종래와 같이 루프 형성 바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면 블라인드지의 전면에 불필요한 선이 표출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ird, since a loop forming bar is not used as in the related art, unnecessary lines are not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thereby enabling various types of designs to be implemented.
넷째, 후면 블라인드지를 적용함에 따라 어린이들이 루프 줄을 목에 감는 현상을 차단하게 되므로 루프 줄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도 얻게 된다.Fourth, as the rear blind paper is applied, children are prevented from looping the loop string around the neck, thereby preventing a child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loop string.
다섯째, 웨이트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의 편리함과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if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ssembly efficiency of the assembly work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weight portion.
여섯째, 전면 블라인드지를 올려 루프가 형성되었을 때 루프가 한 곳에 모이지 않아 가지러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Sixth, when the loop is formed by raising the front blind paper, the loop does not gather in one place, thereby forming a loop.
도 1은 종래 로만쉐이드 타입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도 2a는 블라인드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
도 2b는 일부 블라인드지가 권취봉에 감겨 웨이트부의 상부에 루프가 형성된 상태도
도 3은 특허 제2011-58025호의 루프형성 원단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후면 블라인드지가 권취봉에 감겨 전면 블라인드지가 루프형태로 감겨진 상태도
도 5는 도 3의 웨이트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사시도
도 5b는 조립 종단면도
도 5c는 조립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중 로만쉐이드 블라인드를 나타낸 일 실시예로써, 전,후면 블라인드지를 한 개의 웨이트부에 동시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도
도 8a는 도 7의 "A"부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8b는 도 7의 "A"부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9a는 도 7의 "A"부분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9b는 도 7의 "A"부분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10a는 도 7의 "A"부분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10b는 도 7의 "A"부분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6의 종단면도로써,
도 11a는 전, 후면 블라인드지의 하단이 고정된 웨이트부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도 11b는 조정 줄을 당겨 전면 블라인드지에 루프가 형성된 상태도
도 12a 및 도 12b는 전,후면 블라인드지에 두 개의 웨이트부를 각각 별도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 실시예의 2중 로만쉐이드 블라인드로써,
도 12a는 전, 후면 블라인드지의 하단이 고정된 웨이트부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도 12b는 조정 줄을 당겨 전면 블라인드지에 루프가 형성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2중 로만 쉐이드의 웨이트부로써,
도 13a는 분해사시도
도 13b는 조립 종단면도
도 13c는 조립 측단면도
도 14는 사선무늬모양으로 제직된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의 실시태양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로써,
도 15a는 루프 줄이 고리를 완전히 통과한 상태도
도 15b는 루프 줄이 고리의 중간부위를 통과한 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ind of a conventional Roman shade type
2a and 2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Figure 2a is a state in which the blind completely unfolded
2b is a state in which some blind paper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and a loop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portion;
3 is a rear view of the loop forming fabric of Patent No. 2011-58025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rear blind paper of FIG. 3 is wound around a winding rod, and the front blind paper is wound in a loop shape.
5 shows the weight of FIG. 3,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5B is an assembly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5C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a double roman shade blin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blinds fixed at the same time in one weight portion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front blind pap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A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FIG. 8B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9A is a detailed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FIG. 9B is a detailed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FIG. 10A is a detailed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FIG. 10B is a detailed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11A and 11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FIG. 6;
Figure 11a is a state in which the weight portion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rear blind paper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Figure 11b is a state in which a loop is formed on the front blind paper by pulling the adjusting line
12A and 12B are double roman shade blind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weight parts are separately fixed to front and rear blind papers, respectively.
12A is a state in which the weight portion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is fixed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12B is a state in which a loop is formed on the front blind paper by pulling the adjusting line
Figure 13 is a weight portion of the double Roman shade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13B is an assembly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13C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14 is an embodiment of the blind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woven in a diagonal pattern
15A and 15B are rear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is a state in which the loop string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loop
Figure 15b is a state in which the loop string pass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ring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6 to 15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전면 블라인드지의 배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도 5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15)가 반복 형성되도록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man shade type blind to which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7 is a rear view of a front blind pap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11A and 11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FI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two or
여기서,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고리(15)가 반복 형성되도록 일체로 제직한다는 의미는, 일반 직물의 제직시 위사와 경사가 서로 엮이도록 하는 것이 일반 직물제직 방법이나, 본 발명의 고리(15)와 같은 경우에는 그 고리(15)가 형성되는 위사는 경사와 엮이지 않고 띄워서 제직되게 함으로써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이렇게 형성된 고리(15)와 이웃하는 고리(15)사이에 고리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의 경우 위사와 경사가 서로 엮이도록 제직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리와 고리 사이의 간격을 촘촘히 제직하거나 듬성듬성 제직하는가 하는 것은 원단의 재질, 두께, 코팅여부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Here, the meaning of weaving integrally so that two or two or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있는 위사 전부를 경사와 엮지 않고 띄워서 고리(1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eaving so that the
여기서, 블라인드지의 배면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있는 위사 전부를 경사와 엮지 않고 띄워서 고리(15)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직한다는 의미는, 고리와 고리 사이에 간격이 없이 고리와 고리 사이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고리가 형성되도록 한다는 의미로써, 설정된 간격(ℓ) 내에 있는 위사 전부를 경사와 엮이지 않도록 띄워서 그 위사부분이 고리가 되도록 제직한다라는 의미를 말한다. 즉, 앞에서 설명한 설정된 간격(ℓ) 내에 고리(15)가 2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느냐 연속적으로 형성하느냐의 차이점을 인식하면 이해 가능할 것이다. Here, the meaning of weaving all of the weft yarns within the distance (l) set on the back surface of the blind paper without forming the warp yarns so that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각 상단은 프레임(23)과 권취봉(13)에 각각 고정하고,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각 하단은 한 개의 웨이트부(12)에 동시에 고정하며,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 간격(L₁) 및 길이(L₂/2)에 따라 루프 줄(14)을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있는 고리(15)에 2개소 이상 차례로 통과시켜 일단은 웨이트부(12)에 고정하고 타단은 권취봉(13)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configure the blind using the blind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로써,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루프 줄(14)이 통과하는 2개의 고리(15)를 형성하여 루프 줄(14)이 2개의 고리(15)를 차례로 통과함에 따라 루프 간격(L₁)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FIG. 8A is a detail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즉,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 고리(15)에 루프 줄(14)을 끼울 때 루프 간격(L₁)을 좁게 하고자 하면 상, 하에 인접하는 2개의 고리(15)만을 통과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루프 간격(L₁)을 넓게 하고자 하면 인접하는 3개 이상의 고리(15)를 통과시키면 되므로 블라인드의 조립 시 루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That is, when narrowing the loop spacing L₁ when the
도 8b는 도 7의 "A"부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로써, 루프 줄(14)이 2개의 고리(15)를 통과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형성되는 루프 간격(L₁)을 넓게 하기 위해) 루프 줄(14)이 3개의 고리(15)를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FIG. 8B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part “A” of FIG. 7,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리(15)를 별도의 접합수단(본딩, 고주파, 재봉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되지만,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제직 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것이 생산성 등에 있어 더욱 유리하다.Although the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도로써,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루프 줄(14)이 통과하는 간격 유지부재(16)를 고리(15)와 고리(15) 사이에 끼우고 루프 줄(14)이 고리(15), 간격 유지부재(16), 고리(15)순으로 차례로 통과함에 따라 루프 간격(L₁)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Figure 9a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형성된 고리(15)의 사이에 간격 유지부재(16)를 위치시켜 상기 고리(15)로 루프 줄(14)이 통과될 때 간격 유지부재(16)의 내부를 함께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또한, 간격 유지부재(16)를 설치한 또 다른 목적은, 고리(15)와 고리(15) 사이로 루프 줄(14)만 통과〔간격 유지부재(16)의 미 설치 시〕하도록 끼웠을 때 전면 블라인드지(11)가 비교적 얇고 부드러운 직물로 제직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15)와 고리(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 못하고 고리(15)와 고리(15) 사이가 접혀져 루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염려가 있게 되는데,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고리(15)와 고리(15) 사이에 간격 유지부재(16)를 설치한 것이다. Further, another purpose of installing the
이 경우는, 간격 유지부재(16)의 길이 및 갯수에 따라 루프 간격(L₁)이 결정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n this ca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loop spacing 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 number of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간격 유지부재(16)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튜브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루프 간격(L₁)을 더욱 넓게 하고자 하는 경우 4개의 고리(15) 사이마다 각각 다수개의 간격 유지부재(16)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 줄(15)이 고리(15) 및 간격 유지부재(16)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할 것이다. FIG. 9B illustrate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widen the loop spacing L₁, a plurality of spacing holding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간격 유지부재를 이용한 제5,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간격 유지부재(16)를 길이가 긴 고리핀형으로 형성하되 일측으로 고리(15)를 끼우고 빼기 용이하도록 개방형으로 형성하고, 그 규격은 도 10a와 같이 2개의 고리(15)에 끼울정도의 크기나, 도 10b와 같이 4개의 고리(15)를 동시에 끼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곡성형 또는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며, 루프 줄(14)이 고리(15)에 끼워진 고리핀형의 간격 유지부재(16)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고리 간의 연결을 행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Figure 10 shows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using another gap hold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는, 작동시 간격 유지부재(16)의 접촉으로 루프의 형상이 이루어진다.This is achieved by the shape of the loop in contact with the spacing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후면 블라인드지(18)를 더 설치하여 상기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상단이 루프 줄(14)과 함께 권취봉(13)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루프 줄(14)과 함께 웨이트부(12)에 고정되어 있다.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ar
이에 따라,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설치된 루프 줄(14)을 목에 감아 질식사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ly, children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asphyxiation around the neck by winding the
상기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를 설치하는 경우, 투명부(19) 및 불투명부(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를 올리지 않고도 실내의 채광은 물론이고 환기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the front and rear
이 때,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리(15)들은 불투명부(20)의 상부 측에 설정된 간격(ℓ) 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개수로 제직된다.At this time, the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2중 로만쉐이드 블라인드로써,12A and 12B are double roman shade blin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각 하단에 두 개의 웨이트부(12a)(12b)를 각각 별도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Two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 줄(14)을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있는 고리(15)에 2개소 이상 차례로 통과시켜 상부 끝단은 권취봉(13)에 고정하고 하부 끝단은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웨이트부(12b)에 고정하여야 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웨이트부(12)를 도시한 것으로써,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하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는 분할된 2개의 반원형 반달봉(71a)(71b)과 조립 시 2개의 반달봉(71a)(71b)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각 반달봉(71a)(71b)의 조립공(711)에 끼워져 양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중심을 잡아주는 끼움돌기(72a)가 일 측면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하단봉 캡(72)과, 상기 하단봉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동시에 하단봉를 은폐시키는 하단바(73)와, 상기 하단바(73)의 양단에 끼워서 반달봉(71a)(71b)이 어느 일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반달봉(71a)(71b)의 회동중심을 유지시키도록 축봉(741)이 돌출된 하단바 캡(74)으로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FIG. 13 shows the
이는, 루프 줄(14)에 의하여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하단 상호간의 벌어짐에 대한 제한으로 인한 반달봉(71a)(71b)과의 조립의 어려움을 원만하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2개의 반원형 반달봉(71a)(71b)을 각각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에 별도로 조립할 수가 있어 조립작업상의 편리함과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is to smooth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with the half moon rod (71a) (71b) due to the restriction on the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front, rear blind paper (11) (18) by the loop string (14), Two semi-circular half moon rods (71a) (71b) can be assembled separately to the front, rear blind paper (11) (18), respectivel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assembly operation.
또한 반달봉(71a)(71b)이 2개의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일 뿐 조립시 2개의 반달봉(71a)(71b)을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맞춘 뒤 하단봉 캡(72)으로 조립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원형의 하단봉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그 이후 웨이트부(12)의 조립과정은 기존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alf-
또한, 2개의 반달봉(71a)(71b)이 중간 부위에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반달봉(71a)(71b)의 접촉면을 접착부재(순간접착제, 양면테이프 등)로 접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wo
물론, 하단봉 캡(72)에는 2개의 반원형 반달봉(71a)(71b)의 각 조립공(711a)(711b)에 끼워져 빠지지 않을 정도의 끼움돌기(72a)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있고, 그 형상은 삼각형상, 원추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Of course, in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지의 실시태양도로써, 전,후면블라인드지를 사선무늬모양으로 제직하여 보다 폭 넓은 차광의 효과와 실내의 미적 효과를 창출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14 is an embodiment of the blind paper applied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we can create a wider shading effect and indoor aesthetic effect by weaving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in a diagonal pattern.
도 15a 및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로써,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고리(15)를 설정된 간격(ℓ) 내에 여러 개 형성하여 루프 줄(14)을 2개소 이상 차례로 통과시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여러 개의 고리(15)를 연속 형성하여 루프 줄(14)이 도 15a와 같이 고리(15)를 완전히 통과하거나, 도 15b와 같이 중간부위로 빠져나오도록 함에 따라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 간격(L₁) 및 길이(L₂/2)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15A and 15B are rear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상기 루프 줄(14)이 빠져나오는 고리(15)의 부위에 색이 다른 위사가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weft yarns of different colors are located at the site of the
그 이유는, 루프 줄(14)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루프 줄이 빠져나오는 부위를 손쉽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easily identify the part where the loop string exit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블라인드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루프 간격(L₁) 및 길이(L₂/2)에 알맞게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리(15) 또는 간격 유지부재(16)에 루프 줄(14)을 차례로 끼워 일단을 웨이트부(12)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을 권취봉(13)에 고정시키기만 하면 블라인드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First, the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고리(15)가 일체로 제직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별도의 부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루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루프 줄(14)을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예를 들어,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고리(15)에 루프 줄(14)을 끼울 때,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하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2개의 고리(15)를 통과시키면 루프 간격(L₁)이 최소화된다.For example, when the
또한, 루프 줄(14)을 2개의 고리(15)에 통과시키고 난 후 다음에 위치하는 고리(15)에 루프 줄(14)을 끼울 때 얼마만큼의 거리를 두고 루프 줄(14)을 끼우냐에 따라 루프 길이(L₂/2)가 결정된다.Also, after passing the
한편, 본 발명의 제3,4,5,6 실시예와 같이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간격 유지부재(16)을 설치하여 루프 간격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 블라인드지(11)의 배면에 고정되는 간격 유지부재(16)의 길이 및 갯수에 따라 루프 간격(L₁)이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블라인드(수동 또는 전동)를 창문에 설치한 상태에서 조정 줄(22)을 잡아당겨 도 11a와 같이 권취봉(13)으로부터 후면 블라인드지(18) 및 루프 줄(14)이 완전히 풀리면 웨이트부(12)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면 블라인드지(11)에 루프(21)가 형성되지 않아 실, 내외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way, the blinds (manual or electric) of the assembled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window, and the pulling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정 줄(22)을 잡아당겨 권취봉(13)을 회전시키면 루프 줄(14) 및 후면 블라인드지(18)가 권취봉(13)에 감기게 되므로 루프 줄(14) 및 후면 블라인드지(18)의 타단이 고정된 웨이트부(12)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웨이트부(12)로부터 첫 번째 고리(15)를 통과한 지점에서 루프(21)가 형성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adjusting
그 후, 계속해서 조정 줄(22)을 잡아당겨 루프 줄(14) 및 후면 블라인드지(18)가 권취봉(13)에 감기면 루프 줄(14)이 첫 번째 통과한 고리부 및 두 번째 통과한 고리부의 사이에서 도 11b와 같이 두 번째 루프(21)가 형성된다. Thereafter, the
여기서, 첫 번째 통과한 고리부 및 두 번째 통과한 고리부라 함은, 예를 들어 투명부(19)와 불투명부(20)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전면 블라인드지(11)에 있어서 최하단의 첫 번째, 두 번째 불투명부(20)에 루프 줄(14)이 끼워져 있는 고리(15)들을 말한다.Here,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re referred to,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of the lowermost portions of the front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전면 블라인드지(11)에 루프(2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에 투명부(19) 및 불투명부(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타입의 로만쉐이드 블라인드인 경우에는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투명부(19)를 상호 일치시켜 실내의 환기를 물론이고 채광을 실시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하단을 각각 별도의 웨이트부(12a)(12b)에 고정하여도 상술한 작동과정은 동일하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2a and 12b, the oper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11, 18) is fixed to separate weight portions (12a, 12b), respectively. Is the same.
다만, 웨이트부(12a)(12b)가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작동시 권취봉(13)의 회동에 따라 먼저 후면 블라인드지(18)가 감겨지게 되므로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웨이트부(12b)가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최하단측 고리(15)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웨이트부(12b)가 최하단측 고리(15)에 접촉하게 되면 이때부터는 웨이트부(12b)가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최하단부측 고리(15)를 상방으로 끌어 당기게 되므로 전면 블라인드지(11)도 상승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블라인드지(11)의 하단부 부터 점차적으로 루프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이와 반대로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하강시에는 두 개의 웨이트부(12a)(12b)의 자중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하강하면서 전면 블라인드지(11)에 형성되어 있던 루프(21)가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최하단부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전면 블라인드지(11)가 완전히 펼쳐짐은 물론 후면 블라인드지(18)의 웨이트부(12b)가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최하단부의 고리(15)로 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front and rear
물론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 및 루프 줄(14)의 길이는 이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강거리는 제한을 받게 된다.Of course, since the lengths of the front and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전면 블라인드지 12,12a,12b : 웨이트부
13 : 권취봉 14 : 루프 줄
15 : 고리 16 : 간격 유지부재
18 : 후면 블라인드지 19 : 투명부
20 : 불투명부 21 : 루프
23:프레임11: front
13: winding rod 14: loop string
15
18: rear blind paper 19: transparent portion
20: opaque 21: loop
23: frame
Claims (13)
Within the distance (l) set on the back of the blind paper, two or more loops 15 into which the loop string 14, which serves to form the loop 21, is formed by pulling the adjusting string 22.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ven so as to be repeatedly formed.
상기 블라인드지는 투명 또는 불투명부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ind shade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ly transparent or opaque.
상기 블라인드지는 투명부(19) 및 불투명부(20)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ind shade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portion 19 and the opaque portion 20 is made repeatedly.
상기 블라인드지의 각 불투명부(20)의 상단부에는 조정 줄(22)을 잡아당김에 따라 루프(21)가 형성되도록 기능을 하는 루프 줄(14)이 끼워지는 고리(1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t the upper end of each opaque portion 20 of the blind pa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op 15 to which the loop string 14, which functions to form the loop 21, is formed by pulling the adjusting string 22.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The upper end of the front blind paper 11 is fixed to the frame 23, the lower end to the weight portion 12,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blind paper 18 to the winding rod 13 installed to be rotated to the frame 23,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weight part 12, and the loop string 14 which operates so that the front blind paper 11 may be formed in a loop shape passes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11, and the upper end is a winding rod 13 ), The lower end of which is formed in the Roman shade type blind fixed to the weight part 12, in which two or more loops 15 are woven so as to be repeatedly formed in the interval l se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lind paper 11. Afterwards, the loop shade 14 is passed through two or more than two loops 15 in sequence to adjust to the loop spacing (L 및) and length (L₂ / 2) to be formed. Blinds using paper.
상기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를 한 개의 웨이트부(12)에 동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 (11, 18) is fixed to one weight portion (12) at the same time.
상기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에 두 개의 웨이트부(12a)(12b)를 각각 별도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wo weight parts 12a and 12b are separately fixed to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s.
상기 웨이트부(12)는, 전,후면 블라인드지(11)(18)의 하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는 분할된 2개의 반원형 반달봉(71a)(71b)과, 조립시 2개의 반달봉(71a)(71b)이 원형을 유지하도록 각 반달봉(71a)(71b)의 조립공(711)에 끼워져 양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중심을 잡아주는 끼움돌기(72a)가 일측면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하단봉 캡(72)과, 상기 반달봉(71a)(71b)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동시에 하단봉를 은폐시키는 하단바(73)와, 상기 하단바(73)의 양단에 끼워서 반달봉(71a)(71b)이 어느 일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반달봉(71a)(71b)의 회동중심을 유지시키도록 축봉(741)이 돌출된 하단바 캡(7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weight portion 12 is divided into two semi-circular half moon rods 71a and 71b in which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s 11 and 18 are fixedly installed, and two half moon rods 71a at the time of assembly. The lower bar cap is formed in the assembly hole 711 of each half moon rod (71a) (71b) to keep the circular shape (71b) is formed so as not to open to both sides while the fitting projection (72a) protruding to one side facing the one side (72) and the lower bar (73), which is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half moon rods (71a) (71b), while hold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concealing the lower bar, and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lower bar (73) Rom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bar cap (74) protruding from the shaft bar 741 to mainta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alf moon rod (71a) (71b) while preventing the (71a) (71b) to escape to either side Blinds using shade type blind paper.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의 이웃하는 각 고리(15) 사이에 루프 줄(14)이 통과하는 간격 유지부재(1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a gap retaining member (16) is installed between each adjacent ring (15) of the front blind paper (11).
상기 간격 유지부재(16)는 원형튜브, 다각형 튜브 또는 고리핀형 중 어느 한가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gap holding member 16 is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in any one of a circular tube, polygonal tube or ring pin type.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 또는 후면 블라인드지(18)는 투명 또는 불투명부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ront blind paper (11) or the rear blind paper (18) blinds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ly transparent or opaque.
상기 전, 후면 블라인드지(11)(18)에 투명부(19) 및 불투명부(20)가 연속적으로 각각 반복 형성되어 각 투명부(19) 및 불투명부(20)를 상호 일치시키거나, 어긋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transparent portion 19 and the opaque portion 20 are success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blind papers 11 and 18 so that the transparent portions 19 and the opaque portion 20 coincide with each other or are shifted.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전면 블라인드지(11)의 각 불투명부(20)의 상단부에 고리(1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12,
A blind using a roman shade type blin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5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each opaque portion 20 of the front blind paper (11).
Priority Applications (7)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9218A KR101239661B1 (en) | 2012-04-16 | 2012-04-16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CN201380020406.XA CN104246103A (en) | 2012-04-16 | 2013-04-15 | Method for producing roman shade type blind cloth, a blind cloth made by the method, and a blind using the same |
| JP2015505657A JP2015513021A (en) | 2012-04-16 | 2013-04-15 | Method for manufacturing roman shade type blind fabric, blind fabric produced by the method, and blind using the same |
| EP13778453.4A EP2840224A4 (en) | 2012-04-16 | 2013-04-15 | METHOD FOR MANUFACTURING ROMAN TYPE STORAGE CANVAS, STORAGE CANVAS MADE THEREBY, AND STORAGE USING THE SAME |
| PCT/KR2013/003157 WO2013157799A1 (en) | 2012-04-16 | 2013-04-15 | Method for producing roman shade type blind cloth, a blind cloth made by the method, and a blind using the same |
| AU2013250113A AU2013250113A1 (en) | 2012-04-16 | 2013-04-15 | Method for producing roman shade type blind cloth, a blind cloth made by the method, and a blind using the same |
| US14/386,776 US20150075726A1 (en) | 2012-04-16 | 2013-04-15 | Roman shade type blind cl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9218A KR101239661B1 (en) | 2012-04-16 | 2012-04-16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39661B1 true KR101239661B1 (en) | 2013-03-11 |
Family
ID=481811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39218A Active KR101239661B1 (en) | 2012-04-16 | 2012-04-16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9661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7523B1 (en) | 2013-04-10 | 2014-09-03 | 주식회사 윈플러스 | Adjusting and Holding a Loop String of Roman Shade-Typed Blind |
| CN104055406A (en) * | 2013-03-20 | 2014-09-24 | 大京有限公司 | Curtain For Roman Shade And Roman Shade Using Same |
| KR102225770B1 (en) | 2020-07-27 | 2021-03-10 | (주)리코블라인드 | Self blind for indoo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39449A (en) * | 1993-07-30 | 1995-02-10 | Nichibei Kaihatsu:Kk | Blind |
| KR200441945Y1 (en) | 2007-07-25 | 2008-09-23 | (주) 코인씨앤엠 | Shutter type roll screen with binding structure by binding member |
| KR200446751Y1 (en) | 2007-11-07 | 2009-11-25 | 최창식 | Roman shade |
| EP2295704A1 (en) | 2009-08-12 | 2011-03-16 | Nien Made Enterprise Co., Ltd. | Window blind or shade with a secure lock for its lift cord |
-
2012
- 2012-04-16 KR KR1020120039218A patent/KR1012396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39449A (en) * | 1993-07-30 | 1995-02-10 | Nichibei Kaihatsu:Kk | Blind |
| KR200441945Y1 (en) | 2007-07-25 | 2008-09-23 | (주) 코인씨앤엠 | Shutter type roll screen with binding structure by binding member |
| KR200446751Y1 (en) | 2007-11-07 | 2009-11-25 | 최창식 | Roman shade |
| EP2295704A1 (en) | 2009-08-12 | 2011-03-16 | Nien Made Enterprise Co., Ltd. | Window blind or shade with a secure lock for its lift cord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055406A (en) * | 2013-03-20 | 2014-09-24 | 大京有限公司 | Curtain For Roman Shade And Roman Shade Using Same |
| WO2014148668A1 (en) * | 2013-03-20 | 2014-09-25 | (주)대경트리플 | Curtain for roman shade and roman shade using same |
| KR101437523B1 (en) | 2013-04-10 | 2014-09-03 | 주식회사 윈플러스 | Adjusting and Holding a Loop String of Roman Shade-Typed Blind |
| KR102225770B1 (en) | 2020-07-27 | 2021-03-10 | (주)리코블라인드 | Self blind for indoo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53854B1 (en)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 KR100959028B1 (en) | Blind paper made of woven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lind paper and blind applying the blind paper | |
| KR100876183B1 (en) | Curtain support panel and its window blocking device | |
| JP2015513021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oman shade type blind fabric, blind fabric produced by the method, and blind using the same | |
| US9016346B2 (en) | Double roman shade curtain and double roman shade using the same | |
| KR101402863B1 (en) | Double roman shade curtain and double roman shade using thereof | |
| US20120305199A1 (en) |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 KR101239661B1 (en)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 US20140284003A1 (en) | Roman shade curtain and roman shade using the same | |
| KR101501982B1 (en)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 CA2470330C (en) | Fabric blind slat for window blind | |
| KR101390723B1 (en)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 KR101687696B1 (en) | A roll blind | |
| KR20110126529A (en) | Solid curtain with rear backing and roll blind | |
| KR102632317B1 (en) | Roman Shade Blind | |
| KR102555945B1 (en) | Roman shade blind with view part | |
| US20080011431A1 (en) | Shade having overlapping slats | |
| KR101012866B1 (en) | Solid curtains and roll rolls that open and close to the vertical room | |
| KR101353321B1 (en) | Code embedded double-face roman shade | |
| CN100443025C (en) | Roman curtain | |
| KR101403695B1 (en) | Is there curtain weaving ways and the textiles which it was formed additional the space that a support is inserted to shade of a curtain | |
| KR100988589B1 (en) | Solid curtain shee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longitudinal thread and roll blind thereof | |
| KR100939277B1 (en) | Foldable blind | |
| KR20110004340A (en) | Blind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laterally | |
| KR20120116371A (en) | Solid curtain shee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longitudinal thread and roll blin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AMND | Amendment | ||
| AMND | Amendm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5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