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750B1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Google Patents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750B1 KR101239750B1 KR1020120123581A KR20120123581A KR101239750B1 KR 101239750 B1 KR101239750 B1 KR 101239750B1 KR 1020120123581 A KR1020120123581 A KR 1020120123581A KR 20120123581 A KR20120123581 A KR 20120123581A KR 101239750 B1 KR101239750 B1 KR 101239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hard resin
- floorboard
- joining member
- absorb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6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87—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 마감재, 또는 강화마루판 간의 중간재, 또는 공간을 구획하는 문선 경계면의 확장/마감 프로파일로 활용되어 시공된 강화마루판의 기온 및 습기변화에 따른 확장 되거나 수축되는 신축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시공상태 변형(하자)을 극소화할 수 있는 확장/마감 프로파일의 대체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공업적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인접한 경질수지판 사이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에 의해 상호 접합한 구조이고, 최 외측의 양측 경질수지판은 시공되는 통상의 강화마루판의 혀-홈 결합 구조와 동일한 혀와 홈의 상보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absorbs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rate of expansion or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edge finishing material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the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or the expansion / finish profile of the doorline boundary partitioning the space.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product of the extension / finish profile that can minimize the construction state deformation (let).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ustrially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hard resin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and the outermost hard resin plates on the outermost sides are constructed of a general reinforced floor board. It can be achiev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same tongue and groove complementary structure of the tongue-groove coupling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루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온 및 습기변화에 따른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신축률를 흡수하여 강화마루판의 시공상태 변형(하자)을 극소화할 수 있고, 마루판과 문선의 경계부분 마감 또는 시공된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의 마감에 활용되어 확장/마감프로파일로 대체 사용이 가능한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boar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struction state deformation (let's)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by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ate of expansion or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finish or construct the boundary between the floorboard and the door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ally deformed absorbing floorboard which can be used as an extension / finish profile for finishing edges of reinforced floorboards.
목질재의 마루판은 접착제를 사용해서 붙이거나, 못, 나무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전통적 방식에 의해서 바닥, 벽면에 시공되어 왔다. Wooden floorboards have been installed on floors and walls by the traditional method of attaching them using adhesives or fixing them using nails and pegs.
이후 전통적 시공 방식의 접착제 사용에 따른 불편함, 인체에 미치는 나쁜 영향,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한 곳에서 못, 나무못 등을 사용하기 어려운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플로팅 공법(floating installation)이 개발되었다.Lat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adhesive of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 bad effect on the human body, difficult to use nails, pegs, etc. in a solid place such as concrete, floating floating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Developed.
플로팅 공법은 마루바닥재 등을 시공하는 많은 업체와 시공업자들로 하여금 접착제,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끼리 서로 끼워 넣음으로써, 판재간의 유동을 막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최근의 마루판 또는 벽면판의 시공에 가장 활성화된 공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Floating method is used by many companies and contractors who install flooring materials by inserting the plates together without using adhesives or nails, thereby preventing the flow between the plates and easily constructing them. It is well known as the most activ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plates.
이러한 플로팅 공법에 시공되는 마루바닥재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강화마루판(laminating flooring)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in such a floating method is a laminated flooring (laminating flooring).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강화마루판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표면라미네이트층(예 : 수지 특수코팅층), HDF 등의 중간층(예 : 코어 또는 코어목질층), 하지층(예 : 방습라미네이트층)이 합체되어 목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목질의 약점을 보완한 것이다.Reinforced floorboard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composed of a surface laminate layer (e.g. resin special coating layer), an intermediate layer (e.g. core or core wood layer), and an underlayer (e.g. moisture proof laminate layer) It is a complement to the weakness of the woo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간략하면, 목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접착제와 혼합 압축(HDF)한 후 그 위에 원목 무늬를 인쇄한 시트를 붙이고 다시 화학 멜라민 수지를 입혀 제조된다.In brief, the wood is finely crushed, mixed and compressed with an adhesive (HDF), and then a wooden printed sheet is attached to it, and then the chemical melamine resin is coated again.
그리고 강화마루는 플로팅 공법에 적당한 구조로서 판체에 대향으로 형성된 혀-홈결합(tongue-and-groove coupling) 구조, 즉 상보(相補) 구조를 이용하여 상호간이 연결 결합으로 연속 시공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d floor is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floating method, and is continuously constructed by mutual coupling coupling using a tongue-and-groove coupling structure, ie, a complementary structure, formed to face the plate.
이러한 강화마루판은 외부충격에 상대적으로 강하고, 합판마루나 대나무, 원목마루판에 비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점, 시공의 간편성 및 디자인의 다양성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Such reinforced floorboards are relatively strong against external impacts, and are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plywood floors, bamboo, and wooden floorboards, and have advantages such as ease of construction and variety of designs.
그러나 강화마루판은 수분에 장기간 노출시 상대적으로 민감하고 수축팽창율이 높아 시공 후 뒤틀림 현상이 생기게 된다.However, reinforced floorboards are relatively sensitive to prolonged exposure to moisture and have high shrinkage expansion, resulting in distortion after construction.
즉, 과도한 습기의 흡수시에는 팽창이 일어나면서 이음매가 올라가는 현상, 과도한 습기를 잃어버릴 경우에는 마루의 아랫부분이 오무라들면서 이음매부분의 두께가 줄어들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In other words, when absorbing excessive moisture, the seam rises as the expansion occurs, and when the excessive moisture is lost, the bottom portion of the floor is receded, and the thickness of the seam is reduced.
이러한 수축팽창율을 감안하여 시공되는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는 벽면과 소정거리(대략 10mm 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시공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shrinkage expansion rate, the edge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to be constructed is constru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10 mm) from the wall surface.
그러나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 즉 보행시 가장자리로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generated from spaced space, that is,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t the edge of walking or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occurs.
그리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벽면에 시공된 강화마루판 이격 공간은 벽면에 밀착되고 강화마루판의 단부가 수용한 상태로 시공 마감하는 L자형 프로파일을 이용하고 있다.Thus, as in Patent Literature 1, the reinforcement floor spaced apart spaced to the wall surface is used L-shaped profil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nd the construction finish in the state accommodated by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floor board.
또한, 거실부분과 방부분의 경계부분(문틀부분)은 T자형 확장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마감 시공하는 프로파일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living room and the boundary part (door frame part) of the room part using a T-shaped extension profile is finished profile technology is disclosed.
물론, 강화마루판 코어목질층을 갖고 있으므로 장시간 수분이나 습도에 의해 종종 저(低)습도시의 수축 현상이나 고(高)습도시의 팽창 현상을 감안 및 수용하기 위하여 혀와 홈 사이에 접착제를 부가 사용하여 유동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혀와 홈 사이에 탄성체를 더 개재시켜 간극 발생을 제거하는 기술도 다수 개시되고 있다.
Of course, since it has a hardwood floor core wood layer, an adhesive is added between the tongue and the groove to take into account and accommodate the shrinkage phenomenon of low humidity and the expansion phenomenon of high humidity due to moisture and humidity for a long time. Many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to suppress fluidity by use, or to eliminate gaps by further interposing an elastic body between the tongue and the groove.
상기한 특허문헌 1은 강화마루판에 상부프로파일의 상부가 강화마루판의 표면보다 돌출된 상태, 다시 말하여 작은 문턱이 다시 형성된 상태로 마감 시공된다.The patent document 1 is finish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rofile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reinforced floor plate, that is, a small threshold is formed again on the reinforced floor board.
마찬가지로, 거실과 발코니 부분의 마감 시공에 있어서도 문선의 바닥 문틀 경계면에도 작은 문턱을 형성하고 시공된다.Similarly, in the finishing work of the living room and balcony part, a small threshold is formed on the bottom door frame boundary of the door.
따라서, 시공된 강화마루판 보다 돌출된 경계부를 형성함으로서 외관미 손상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ppearance by damaging the appearance by forming a protruding boundary portion than the reinforced ridged plate.
또한, 문선이나 발코니 경계부분을 제외한 강화마루판 간의 사이에 변형흡수기능을 제공할 수 없어 활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is extremely limited because it can not provide the deformation absorbing function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except for the door line or balcony boundary.
그리고 혀와 홈 사이에 탄성체를 더 개재시켜 간극 발생을 제거하는 기술은 강화마루판의 설치비용 및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eliminating gaps by interposing an elastic body between the tongue and the gro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time is used for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assembly work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그래서 본 발명은, 시공되는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 마감재, 또는 강화마루판 간의 중간재, 또는 공간을 구획하는 문선 경계면의 확장/마감 프로파일로 활용되어 시공된 강화마루판의 기온 및 습기변화에 따른 확장 되거나 수축되는 신축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시공상태 변형(하자)을 극소화할 수 있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edge finish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the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or the expansion / finish profile of the borderline boundary partitioning the sp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astically deformable absorbing floorboard which can effectively absorb a modulus and minimize construction defects.
또한, 본 발명은 강화마루판의 표면과 동일 선상에서 시공이 가능하여 상부돌출로 인한 보행/청수시에 걸림현상 제거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etch-modified absorbing floorboard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ame line as the surface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to increase the merchandise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phenomena during walking / refreshing due to the upper projection.
또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함으로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ally deformable absorbent floorboard that can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so that industrial production can be expected, and it can be provided at low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공업적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인접한 경질수지판 사이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로 제공된 접합부재에 의해 상호 접합한 구조이고, 최 외측의 양측 경질수지판은 시공 강화마루판의 혀-홈 결합 구조와 동일한 혀와 홈의 상보구조로 구성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n this invention, it is industrially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nd mutually joined between the adjacent hard resin boards by the joining member provided in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and the outermost hard resin board of the outermost side Is composed of the same tongue and groove complementary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reinforcement ridge plate.
여기서, 상기 경질수지판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본체부 상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통상의 강화마루판과 동일한 원목 무늬를 인쇄한 신축성 표면시트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hard resin plate and the flexible foam resin-based joi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it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stretch surface sheet printed with the same wood pattern as the normal reinforced floorboard.
또한,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본체부 하면은 상기 인접한 경질수지판 사이에 신축홈부를 갖도록 접합되어 신축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bonding member is preferably bonded to have an elastic groove between the adjacent hard resin plate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expansion rate.
상기 경질수지판은 경질 PVC 계열 수지로 성형 됨 바람직하고,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우레탄발포수지, 무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 EVA발포수지, 합성고무 발포체 등으로 성형 됨이 좋다.The hard resin plate is preferably molded of a hard PVC-based resin, and the flexible foam resin-based joining member may be molded of a urethane foam resin, an uncrosslinked polyethylene foam, an EVA foam resin, a synthetic rubber foam, or the like.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인접한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에 신축자재의 장방형 본체부의 발포체로 구성된다.The flexible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composed of a foam of a rectangular main body portion of the stretchable material in the joining direction of an adjacent hard resin plate.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평행사변형, 사다리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arallelogram, ladder call, and the like.
상기 장방형의 본체부는 네모서리 변이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질수지판과 같이 덮히는 상태로 성형 될 수 있다.The rectangular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our edges ar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and covered with the hard resin plate.
또한,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인접한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에 성형되는 장방형의 본체부와, 인접한 복수의 경질수지판의 접합단면에 형성된 홈부에 각각 성형된 좌우 한 쌍의 돌기부를 성형하여 결속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formed by bin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in a rectangular main body portion formed in the joining direction of adjacent hard resin plates and groove portions formed in the joining end surfaces of a plurality of adjacent hard resin plates. You may be.
그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돌기부는 신축방향에 대해 빠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단면에 형성된 홈부는 내광외협의 홈부에 접합 성형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rotrusions is preferably formed by joining the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joint end surface of the hard resin plate to prevent falling out in the stretching direction.
상기 장방형의 본체부는 솔리드타입으로 형성되도 좋고, 중공으로 형성됨이 좋다.The rectangular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solid type, it may be formed in a hollow.
또한, 상기 경질수지판 역시 솔리드타입이나 중공형 타입이어도 상관없다.The hard resin plate may also be a solid type or a hollow type.
또한, 상기 장방형의 본체부는 확장 또는 수축에 따른 과도한 팽창 또는 수축상태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면 더욱 좋다.In addition, the rectangular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tricting portion that regulates an excessive expansion or contraction state due to expansion or contraction.
또한,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돌기부는 상기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에 관통한 관통홈부에 상호 간이 연결된 상태로 접합 성형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jections of each of the flexible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s may be joined and molded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grooves penetrated in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adjacent hard resin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 사이의 상, 하부에 성형되어 인접한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 사이를 중공부를 형성하고 성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etween the joining directions of adjacent hard resin plates to form hollow parts between the joining directions of adjacent hard resin plates.
본 발명에 의하면 공업적인 양산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공되는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 마감재, 또는 강화마루판 간의 중간재, 또는 공간을 구획하는 문선 경계면의 확장/마감 프로파일로 활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범용성이 보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strial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nd thus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and it can be used as an edge finish of reinforced flooring plate,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reinforced flooring boards, or an extension / finish profile of a boundary line that divides space. Product versatility is guarante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화마루판의 신축률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강화마루판의 시공 하자가 없어지고, 강화마루판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pansion rate deformation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can be prevented, the construction defect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is eliminated, and the function of the reinforced floorboard can be stably exhibited.
또한, 신축기능의 접합부재를 발포수지 계열로 성형하고, 경질수지판도 중공성형에 의한 경량화에도 견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In addi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nding member in the foam resin series, the hard resin plate can perform a robust function even in the light weight by the blow molding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특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변형의 흡수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excerpt of FIG. 2.
4 and 5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the absorption state o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
7 to 2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강화마루판의 가장자리 마감재, 또는 강화마루판 간의 중간재, 또는 공간을 구획하는 문선 경계면의 확장/마감 프로파일로 활용되어 시공된 강화마루판의 기온 및 습기변화에 따른 확장 되거나 수축되는 신축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시공상태 변형(하자)을 극소화할 수 있는 확장/마감 프로파일의 대체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absorbs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rate of expansion or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edge finishing material of the reinforced floorboards, the intermediate material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or the expansion / finish profile of the doorline boundary partitioning the space.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product of the extension / finish profile that can minimize the construction state deformation (le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 제시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크기는 발명의 설명에 문제되지 않는 한 단순화되거나 간략화 또는 과장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implified, simplified or exaggerated as long as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a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특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예의 시공상태로 도시된 도 6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시공된 강화마루판(L/F) 사이에 시공된다.This invention is constructed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L / F)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6 shown in an example construction state.
본 발명의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은, 인접한 경질수지판(200,200) 사이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로 제공된 접합부재(100)에 의해 상호 접합한 구조이고, 최 외측의 양측 경질수지판은 시공 강화마루판의 혀-홈 결합 구조와 동일한 혀와 홈(220,230)의 상보(相補) 구조로 형성된다.The elastic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상기 경질수지판(200)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 상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강화마루판과 동일한 원목 무늬를 인쇄한 신축성 표면시트(300)이 부착되고 규격단위로 절단하여 제품화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 공법에 의해 공업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소정길이로 재단(절단)하여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ustrially mass-produced by an extrusion molding method, and is used after cutting (cutt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necessary.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도 3의 발췌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솔리드 타입의 장방형으로서 인접한 경질수지판(200,200)의 접합방향에 밀착 접합되는 신축자재의 본체부(110)가 인접한 복수의 경질수지판(200,200)의 접합단면에 각각 접합 성형되고, 상기 인접합 경질수지판(200,200) 사이에 신축홈부(240)을 갖도록 접합되어 신축률(수축 또는 팽창의 변형)을 수용할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foamed resin
여기서,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인접한 경질수지판(200,200) 사이의 접합간격에 따라서 폭방향의 장방형이나 정방형을 취할 수도 있다.Here, the flexible foamed resin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경질수지판(200)은 경질 PVC 계열 수지가 적용되고,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우레탄 발포수지, 무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 EVA발포수지, 합성고무 발포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nd the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공된 강화마루판(L/F)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와 접합된 인접의 상기 경질수지판(200,200)의 접합방향에서 압축(수축) 또는 팽창(확장)되면서 신축률을 보정 흡수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lexible foamed resin-based
그리고 본 발명의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은 솔리드(속이 꽉찬 구조) 타입이 바람직하나, 재질 특성상 신축률에 대한 변형과 복원력이 우수한 발포체일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4의 실시예 들과 같이 중공으로 성형되어도 상관없다.And the elastic foam resin
또한, 본 발명의 경질수지판(200)은 경량화를 위해 도 8, 도 10, 도 12, 도 20, 도 22의 실시예 들과 같이 중공으로 성형되는 것이 더욱 좋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도 8, 도 10, 도 12, 도 24와 같이,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 계열 접합부재(100)와 경질수지판(200)을 중공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중량은 더욱 줄어들게 되고, 원자재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10, 12, and 24, when the elastic foamed resin-bas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도 10, 도 11, 도 21, 도24 및 도 25와 같이, 중공으로 성형하고 상기 경질수지판(200)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 상면 및 하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하여 상, 하면에 신축성 표면시트(300,310)를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foam resin-based
이러한 실시예 들은 신축률 수용을 위해 중공으로 성형한 발포수지 계열 접합부재(100)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원만한 복원 기능을 증대할 수 있다.These embodiments can increase the smooth restoring function by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foamed resin-bas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4는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를 중공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신축률에 대하여 균일한 수축 및 신장을 갖도록 도 13의 발췌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안내홈(130)을 상,하부 내면에 대향 형성하여 수평방향의 수축 및 신장에 대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 and 14 when the
다시 말하여, 변형안내홈(130)에 의해 이를 중심으로 축소 및 확장의 용이한 변형을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인접한 경질 수지판(200,200)의 접합방향에 홈부(210)를 성형하고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상기 홈부(210)에 돌기부(120)을 성형한 상태로 본체부(110)가 중공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present invention molds the
이때, 상기 돌기부(120)는 상기 경질수지판(200)의 접합단면에 형성된 내광외협의 홈부(210)에 접합 성형되어 확장방향에 대해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확장 후 복원력을 보강하고 신축방향에 대해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 측벽(111)은 상호 간을 연결한 상태로 내측에 규제부(112)를 일체 성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규제부(112)는 강화마루판(L/F)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와 접합된 인접의 상기 경질수지판(200,200)의 접합방향에서 압축(수축) 또는 팽창(확장)될 때에 필요 이상의 확장 또는 수축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The regulating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규제부(112)를 형성하고 있으나, 2개 또는 3개도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regulating
한편, 강화마루판과 동일한 원목 무늬를 인쇄한 신축성 표면시트(300)의 부착은,On the other hand, the attachment of the
먼저, 경질수지판(200)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가 연속적을 압출 성형되어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신축성 표면시트(300,310)가 라미네이팅 또는 랩핑공법에 의해 접합되어 본 발명을 완성한다.First, the
이러한 상면부에 부착된 신축성 표면시트(300)는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의 수축시에 그 수축변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부는 억제되고 하면부 측으로 많이 돌출되는 것을 상기 신축홈부(240)가 수용할 수 있다.The
또한, 상, 하면부에 부착된 신축성 표면시트(300,310)(도 10, 도 11, 도24, 도 25의 실시 예)는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의 수축시에 그 수축변형으로 돌출되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돌출을 억제하면서 중공 내면으로 일부 수축 및 확장 변형량을 돌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시된 도 17 및 도 18의 본 발명은,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의 본체부(110)에 돌출되는 돌기부(120)가 상기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200)의 접합방향에 관통한 관통홈부(211)에 상호 간이 연결된 상태로 접합 성형한 점에서 차이가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도 15 및 도 16의 작용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s 17 and 18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이러한 실시 예는 기후 변화가 심한 지역이나 나라에서 습기변화에 의한 신축율 범위가 큰 곳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Such an embodiment may be used more efficiently in a region where the climate change is severe and the stretch rate range due to moisture change is large.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시된 도 19 및 도 20은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인접한 경질수지판(200)(솔리드 또는 중공 타입)의 상,하부 각각에 대향 성형된 단턱(212)에 띠형상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양측단이 접합된 상태로 성형된 실시예이다.In addition, Figure 19 and 20 shown in another embodiment is the elastic foam resin
이때,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200,200)의 접합방향 사이를 중공부를 형성하고 성형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신축성이 민감하여 낮과 밤의 기온편차로심한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foam resin
상기의 띠 형상의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일측에 변형안내홈(130)을 성형하여 신축에 균일한 수축 또는 확장을 제공할 있다.The band-shaped elastic foam resin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시된 도 21 내지 도 25는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솔리드 타입이나 중공타입이든 상기 장방형의 본체부(110)는 네모서리 변이 경사면(110a)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질수지판(200)이 경사면 외측 공간을 덮히는 상태로 성형하여 구성된 것이다.21 to 25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the flexible foamed resin-based joining
이러한 실시예는 보다 바람직한 표면 평활도를 구현할 수 있고, 수축변형에도 보다 동일한 수축율을 보장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can achieve more desirable surface smoothness, and can guarantee the same shrinkage rate even in shrinkage deformation.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was described about this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monstrated before and shown in the drawing.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100)는 본체부(110)의 중공형태를 타원형이나 원형의 중공형태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다각의 중공형태로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elastic foamed resin-based joining
이러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화마루판(L/F)의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중간 흡수재 이외에도 가장자리의 마무리 및 방과 거실의 문선 경계부분의 확장마감재, 거실과 발코니의 경계부분의 확장마감재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s installed between the reinforced floorboards (L / F)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absorbent in addition to the finishing of the edges and the expansion of the border of the door border of the room and living room, expansion of the boundary of the living room and balcony Finishing materials may also be available.
더욱이, 습기가 자주 발생하는 공장의 현장사무실에는 단독의 마루판 또는 내장벽재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eld office of a factory where moisture is frequently generated may be used as a single floorboard or interior wall materi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강화마루판의 신축변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외관미를 강화마루판과 동일한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산업상 매우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utiliz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reinforced parquet board in recent years, while realizing the appearance of the reinforced parquet board in the same pattern as the reinforced parquet board.
100: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
110: 본체부
111: 측벽 112: 규제부
120: 돌기부 130: 변형안내홈
200: 경질수지판 210: 홈부
240: 신축홈부 300, 310: 신축성 표면시트100: stretchable foam resin joining member
110: main body
111: side wall 112: regulatory portion
120: protrusion 130: deformation guide groove
200: hard resin plate 210: groove portion
240:
Claims (13)
It is industrially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nd is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hard resin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foamed resin joining member, and the outermost hard resin plates are tongue-groove-bonded structures of ordinary reinforced floorboards to be constructed. Stretch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structure of the tongue and groove complementary.
상기 경질수지판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본체부 상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통상의 강화마루판과 동일한 원목 무늬를 인쇄한 신축성 표면시트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hard resin plate and the flexible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the elastic deformation absorbing floor board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elastic surface sheet printed with the same wood pattern as a normal reinforced floorboard .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본체부 하면은 상기 인접한 경질수지판 사이에 신축홈부를 갖도록 접합되어 신축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bonding member is bonded to have elastic grooves between the adjacent hard resin plate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elastic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상기 경질수지판은 경질 PVC로 성형 됨 바람직하고,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우레탄 발포수지, 무가교 폴리에틸렌 발포체, EVA발포수지, 합성고무 발포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성형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ard resin plate is preferably molded of hard PVC, and the elastic foam resin-based joining member may be formed by selectively applying any one of urethane foam resin, non-crosslinked polyethylene foam, EVA foam resin, and synthetic rubber foam. Strain absorbing floorboard.
상기 경질수지판은 솔리드 타입이나 중공타입의 어느 하나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rd resin plate is a stretch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characterized in that molded into any one of a solid type or hollow type.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솔리드 타입이나 중공타입의 어느 하나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a stretch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characterized in that molded into one of a solid type or hollow type.
상기 경질수지판과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본체부 상면 및 하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하여 상면과 하면에 신축성 표면시트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of claim 1,
An elastic deformation absorbing floorboard compris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hard resin board and the flexible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having the same horizontal surface, and attaching a stretchable surface shee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중공의 본체부와, 상기 중공의 본체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단면에 형성된 홈부에 접합 성형된 좌우 한 쌍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마루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lexible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ncludes a hollow main body portio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rotrusio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llow main body portion and joined to a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joint end surface of the hard resin plate. Stretchable absorbing floorboard.
상기 좌우 한 쌍의 돌기부는 신축방향에 대해 빠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단면에 형성된 홈부는 내광외협의 홈부에 접합 성형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air of left and right protrusions stretch-condensed absorbing floorboa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formed in the joint end surface of the hard resin plate is bonded to the groove portion of the light external narrow so as to prevent the fall in the stretching direction.
상기 본체부는 확장 또는 수축에 따른 과도한 팽창 또는 수축상태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상기 본체부의 양 측벽 상호 간을 연결하는 규제부를 수평방향으로 1~3개로 성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main body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one to three regulating portions connecting both side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regulate excessive expansion or contraction states due to expansion or contraction.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돌기부는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의 접합방향에 관통한 관통홈부에 상호 간이 연결된 상태로 접합 성형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rotrusion of the elastic foamed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bonded and molded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grooves penetrated in the bonding direction of the adjacent hard resin boar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는 인접한 상기 경질수지판의 상,하부 각각에 대향 성형된 단턱에 띠형상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양측단이 접합된 상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absorbing floorboard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 end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separated in a band shape on the step formed opposit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djacent hard resin plate.
상기 신축성 발포수지계열 접합부재의 장방형 본체부는 네모서리 변이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질수지판이 경사면 외측 공간을 덮히는 상태로 성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tangular body portion of the elastic foam resin series joining member is formed by forming a four-sided edge inclined surface, the elastic resin absorbing floor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resin plate is formed in a state covering the outer space of the inclined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3581A KR101239750B1 (en) | 2012-11-02 | 2012-11-02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3581A KR101239750B1 (en) | 2012-11-02 | 2012-11-02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39750B1 true KR101239750B1 (en) | 2013-03-06 |
Family
ID=481811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3581A Active KR101239750B1 (en) | 2012-11-02 | 2012-11-02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975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60536B1 (en) * | 2024-10-22 | 2025-09-16 | 주식회사 유니스포텍 | Shock absorption pad for artificial turf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80333A (en) * | 1993-12-24 | 1995-07-18 | Misawa Homes Co Ltd | Installation structure for flooring material |
| JPH08246644A (en) * | 1995-03-08 | 1996-09-24 | Shinmei Sangyo Kk | Rug |
| JP2004204639A (en) * | 2002-12-26 | 2004-07-22 | Nippon Light Metal Co Ltd | Floor materials for buildings and floor structures of buildings using the same |
| KR100765000B1 (en) * | 1999-06-24 | 2007-10-09 | 플렉시티크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 Surface cover applied to any shape |
-
2012
- 2012-11-02 KR KR1020120123581A patent/KR1012397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80333A (en) * | 1993-12-24 | 1995-07-18 | Misawa Homes Co Ltd | Installation structure for flooring material |
| JPH08246644A (en) * | 1995-03-08 | 1996-09-24 | Shinmei Sangyo Kk | Rug |
| KR100765000B1 (en) * | 1999-06-24 | 2007-10-09 | 플렉시티크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 Surface cover applied to any shape |
| JP2004204639A (en) * | 2002-12-26 | 2004-07-22 | Nippon Light Metal Co Ltd | Floor materials for buildings and floor structures of buildings using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60536B1 (en) * | 2024-10-22 | 2025-09-16 | 주식회사 유니스포텍 | Shock absorption pad for artificial tur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668104B2 (en) |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 |
| KR101239366B1 (en)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
| US10214918B2 (en) | Floor panel forming a floor covering, floor covering formed from such floor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floor panels | |
| KR100486438B1 (en) | Multipanel Floor System Panel Connector with Seal | |
| US9650792B2 (en) |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floor system | |
| ES2988110T3 (en) | Multilayer floor panel with elastic core | |
| US20160177578A1 (en) | Sound-absorbing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system | |
| EP3014034A1 (en) | Building panel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 |
| KR100721336B1 (en) | Assembling flooring member | |
| US20060174974A1 (en) | Floorboard and floor convering for resilient floor | |
| KR200418125Y1 (en) | Floor Deck | |
| KR101239750B1 (en)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
| KR20020066607A (en) | Floor parquet | |
| KR20130088655A (en) | Assembly-type flooring member | |
| EP1247641A1 (en) | Floor or wall panel made of synthetic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
| KR101393531B1 (en)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by injection moulding | |
| JP5124259B2 (en) | Soundproof flooring | |
| KR101444826B1 (en) | Extension and contraction absorbing floor board | |
| KR101552178B1 (en) | Absorption member for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panel | |
| US20170321431A1 (en) | Hard flooring plank and wall panel plank | |
| BE1022011B1 (en) | SET OF BUILDING ELEMENTS AND FILLING MATERIAL FOR SEAM BETWEEN BUILDING ELEMENTS | |
| US20250012094A1 (en) | Sports flooring in tile or plank form | |
| JPH10231611A (en) | Floor member and laying structure | |
| KR200399608Y1 (en) | Assembling flooring member | |
| KR100967051B1 (en) | Prefab floorboard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