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005B1 - Hatch type escaping chute - Google Patents
Hatch type escaping chu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0005B1 KR101230005B1 KR1020090134374A KR20090134374A KR101230005B1 KR 101230005 B1 KR101230005 B1 KR 101230005B1 KR 1020090134374 A KR1020090134374 A KR 1020090134374A KR 20090134374 A KR20090134374 A KR 20090134374A KR 101230005 B1 KR101230005 B1 KR 101230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tch
- tube unit
- outer cloth
- evacuation
- main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가 개구된채 바닥에 매립되어 개구부를 통한 상, 하층 간의 피난 경로가 제공되는 해치본체; 및 상기 해치본체의 내부에 부피가 신축 가능하게 수납되되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피난구를 형성하는 튜브유닛;을 포함하는 해치형 구조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tch main body which is buried in the bottom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ed to provide an evacuation pa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through the opening; And a tube unit accommodated in the hatch main body so that the volume is stretchabl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to form an evacuation port.
이에 의하면, 화재시 연기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렵운 점, 노약자나 어린이의 대피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접철식 사다리를 배제하고 신축가능한 튜브유닛으로 대체함으로써, 낙상사고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in case of fi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on by evacuating the smoke, evacuating the old folding ladder and replacing it with a flexible tube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evacuation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children, so that they can evacuate safely and quickly without fear of falling accid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원으로부터 신속 및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해치형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ch rescue team that can be quickly and safely evacuated from the fire source in the event of a fire.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길과 유독가스는 주로 위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가능한 화재발생 지역보다 아래쪽으로 도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하여 발코니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의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해치형 피난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In general, when a fire breaks out, the flames and toxic gases are mainly directed upward, so it is preferable to evacuate below the fire area where possible, and correspondingly, the hatch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alcony to provide an evacuation route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A type evacuation device has been introduced.
이러한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의 경우, 사다리가 해치본체 내부에 접철식으로 구비되는데, 필요시에 이 사다리를 하향 신장시켜 화원으로부터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되며, 평상시에는 발코니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the ladder is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inside the hatch body, it is possible to quickly escape the ladder by extending the ladder downward if necessary, in that the balcony space can be freely used in normal Its utiliz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해치형 피난장치는 화재시 연기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렵운 점, 노약자나 어린이의 대피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펼쳐진 사다리를 통 한 대피는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대피 중 심각한 낙상사고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atch type evacuation device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fire in the event of fire, evaluating the evacuation through the ladder of the elderly or children, it is difficult to evacuate quickly, especially evacua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serious fall accident, so a countermeasure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낙상사고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해치형 구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atch-type rescue team that can be safely and quickly evacuated without fear of falling acciden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atch-type rescue tab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부가 개구된채 바닥에 매립되어 개구부(130a)를 통한 상, 하층 간의 피난 경로가 제공되는 해치본체(100); 및 A hatch
상기 해치본체(100)의 내부에 부피가 신축 가능하게 수납되되 상기 개구부(130a)와 연통되어 피난구(300a)를 형성하는 튜브유닛(300);A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치본체(100)는, 상, 하부 도어(110)(120)와, 상기 상, 하부 도어(110)(120)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atc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치본체(100)의 메인프레임(130)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튜브유닛(300)의 상단이 지지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내측과 대응되게 축소 수납되되 불연소재의 신축재질로 형성된 외부천(310)과, 상기 외부천(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200)에 걸림되는 복수의 걸이수단(3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내측에 나선형의 신축재질로 형성되는 내부천(32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외부천(3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외부천(3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당김줄(3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당김줄(330)을 수용하기 위한 당김줄 포켓(3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당김줄(330)은,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 타단이 서로 착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하단에 일정 중량을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판(3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외부천(320)의 하단에는, 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피난구(300a)와 연통되는 출구(30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에 의하면, 화재시 연기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렵운 점, 노약자나 어린이의 대피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접철식 사다리를 배제하고 신축가능한 튜브유닛으로 대체함으로써, 낙상사고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atch-type rescue 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by the smoke in the case of fire, by removing the existing folding ladder in consideration of the evacuation situation of the elderly or children by replacing with a flexible tube unit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safe and rapid evacuation without fear of falling accid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s at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hatch-type rescu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튜브유닛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상세도 및 도 3은 도 1의 해치형 구조대의 작동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tch-type structur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tube unit of FIG. 1 and FIG. 3 is an operation view of the hatch-type structural member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는 상하부가 개구된채 발코니 등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개구부(130a)를 통한 상, 하층 간의 피난 경로가 제공되는 해치본체(100)와, 상기 해치본체(100)의 내부에 부피가 신축 가능하게 수납되되 상기 개구부(130a)와 연통되어 피난구(300a)를 형성하는 튜브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hatch-type rescue 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cony, such a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provided to provide an evacuation pa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through the opening 130a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해치본체(100)는 상, 하부 도어(110)(120)와, 상기 상, 하부 도어(110)(120)와 일체화되며 상기 상, 하부 도어(110)(120)에 의해 개폐되는 사각진 메인프레임(130) 및 링크연동부(140)로 구성된다.Here, the hatch
상기 상부 도어(110)에는 상기 상부 도어(110)와 일체형의 핸들(H)이 구비되며, 이 핸들(H) 상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지지로프(R)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링크연동부(140)는 다수의 링크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상부 도어(110)가 개방될 경우, 상기 하부 도어(120)가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지지된채 연동식으로 함께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부 도어(110)(120)의 대응면에 한 쌍이 구비된다.Here, the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링크연동부(140)에 의해 상, 하부 도어(110)(120)가 연동식으로 개방됨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pper,
즉, 상기 해치본체(100)에 상기 링크연동부(140)가 미 구비되고 상기 상부 도어(110)와는 별도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120)를 개방하여 상기 상, 하부 도어(110)(120)를 2단계로 개방시킬 수도 있다.That is, the hatch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해치본체(100)의 메인프레임(130) 내측에 고정 구비되는 고정수단(200)에 의해 상단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내측과 대응된 사각형상으로 축소 수납되되 불연소재의 신축재질로 형성된 외부천(310)과, 상기 외부천(31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200)이 관통되어 끼워지듯 걸림되는 복수의 걸이수단(315)을 구비한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한 걸이수단(315)은 상기 고정수단(2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개구된 천으로 예시되었으나, 이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에 상기 튜브유닛(300)을 걸림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means 315 is exemplified by the cloth that is ope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내측에 나선형의 신축재질로 형성되는 내부천(3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 내부천(320)은 상기 외부천(3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체 박음질되어 상기 내부천(320) 및 상기 내부천(320)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수단(200)을 통해 하중 지지됨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외부천(3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외부천(3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당김줄(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당김줄(33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외부천(310)에 대한 신속한 축소가 가능해지고, 상기 튜브유닛(300)에 대한 상기 해치본체(100)로의 수납이 용이해진다.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당김줄(330)을 수용하기 위한 당김줄 포켓(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당김줄(330)은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 타단이 서로 착탈되도록 결속 가능한바, 본 실시예에서 버클(B) 타입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타단이 서로 착탈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튜브유닛(300)은 상기 외부천(310)의 하단에 일정 중량을 갖도록 설치되는 하부판(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상기 하부판(350)이 더 구비되면, 상기 외부천(320)의 하단으로 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피난구(300a)와 연통되는 출구(300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해치형 구조대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hatch-type structur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난이 발생되면 상기 상부 도어(110)를 회동 개방시키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user is in distress, the user may pivotally open th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110)를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링크연동부(140)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120)가 연동식으로 개방이 된다.As such, when the user opens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해치 본체(100)에 상기 당김줄(330)과 상기 버클(B)에 의해 수납 지지된 상기 튜브유닛(300)을 육안으로 확인(도 1 참조)할 수 있으며, 뒤이어 상기 버클(B)로부터 일측 당김줄(330)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외부천(310)과 상기 내부천(320)을 도 2와 같이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H) 또는 상기 지지로프(R)를 잡고 하체부터 상기 프레임(130)의 개구부(130a), 상기 튜브유닛(300)의 피난구(300a) 및 출 구(300b)로 이어지는 피난경로를 따라 슬라이딩식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the user grabs the handle H or the support rope R from the lower body to the opening 130a of the
특히, 대피 과정에서 상기 내부천(320)의 신축재질로 형성된 나선형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피난경로를 따라 자유낙하 속도로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식으로 그 내부면과 접촉 회전하면서 그 낙하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어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due to the spiral structure formed by the elastic material of the
아울러, 상기 해치 본체(100)를 폐쇄시킬 경우에는 상기 당김줄(330)을 당겨 상기 외부천(310)과 상기 내부천(320)의 부피를 최소화시킨 후, 버클(B)을 이용해 상기 튜브유닛(300)을 수납 가능한 상태로 만들게 된다.In addition, when closing the
이어서, 상기 상부 도어(110)를 닫게 되면 상기 하부 도어(120)가 함께 연동되어 닫히게 되어 상기 튜브유닛(300)은 사용 전의 상태로 수납 완료된다.Subsequently, when the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해치형 구조대에 의하면, 화재시 연기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렵운 점, 노약자나 어린이의 대피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접철식 사다리를 배제하고 신축가능한 튜브유닛으로 대체함으로써, 낙상사고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tch-type rescue t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removing the existing folding ladd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by the smoke in the event of fire, evacuation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children, by replacing with a flexible tube unit, It is effective to induce safe and quick evacuation without fear of falling accid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형 구조대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tch-type structur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튜브유닛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상세도 및 Fig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unit of Figure 1 is extended and
도 3은 도 1의 해치형 구조대의 작동도이다.3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hatch-type structural member of FIG.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4374A KR101230005B1 (en) | 2009-12-30 | 2009-12-30 | Hatch type escaping chu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4374A KR101230005B1 (en) | 2009-12-30 | 2009-12-30 | Hatch type escaping chut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7727A KR20110077727A (en) | 2011-07-07 |
| KR101230005B1 true KR101230005B1 (en) | 2013-02-05 |
Family
ID=449172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34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005B1 (en) | 2009-12-30 | 2009-12-30 | Hatch type escaping chut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0005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474B1 (en) * | 2018-07-03 | 2019-01-31 | 주식회사 디딤돌 | Vertical Escape Chute for an emergency escape |
| KR102082508B1 (en) * | 2019-03-28 | 2020-02-27 | (주)엠에스엔지니어링 |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90925B1 (en) * | 2015-06-12 | 2016-12-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Escape device for helideck |
| KR101885895B1 (en) * | 2016-05-09 | 2018-08-06 | 허재현 | Protection apparatus for fire |
| KR102073652B1 (en) * | 2019-02-21 | 2020-02-05 | 손순랑 | Top-dow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
| WO2019235774A1 (en) *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라이프원 | Downward evacuation device |
| KR102506549B1 (en) * | 2020-10-05 | 2023-03-03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Vertical Escape Chute for an emergency escap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60002886Y1 (en) * | 1984-07-11 | 1986-10-23 | 강용학 | Emergent descent device |
| KR19990042100U (en) * | 1998-05-30 | 1999-12-27 | 곽순이 | Evacuation rescue team |
| JP2007195576A (en) * | 2006-01-23 | 2007-08-09 | Naka Ind Ltd | Evacuation device |
| KR20080107571A (en) * | 2007-06-07 | 2008-12-11 | 주식회사 승일실업 | Folding rescue device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4374A patent/KR1012300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60002886Y1 (en) * | 1984-07-11 | 1986-10-23 | 강용학 | Emergent descent device |
| KR19990042100U (en) * | 1998-05-30 | 1999-12-27 | 곽순이 | Evacuation rescue team |
| JP2007195576A (en) * | 2006-01-23 | 2007-08-09 | Naka Ind Ltd | Evacuation device |
| KR20080107571A (en) * | 2007-06-07 | 2008-12-11 | 주식회사 승일실업 | Folding rescue devic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474B1 (en) * | 2018-07-03 | 2019-01-31 | 주식회사 디딤돌 | Vertical Escape Chute for an emergency escape |
| KR102082508B1 (en) * | 2019-03-28 | 2020-02-27 | (주)엠에스엔지니어링 |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7727A (en)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30005B1 (en) | Hatch type escaping chute | |
| KR101173585B1 (en) |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 |
| KR101782139B1 (en) |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 |
| KR101024420B1 (en) | Evacuation device of high-rise building | |
| KR100996129B1 (en) | Folding rescue device | |
| KR101619728B1 (en) | Elevator car rescue device with illumination | |
| KR100965536B1 (en) | 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 |
| KR20130103132A (en) | Eemergency shelter apparatus a hatch type | |
| KR101131484B1 (en) |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 |
| KR101545524B1 (en) | Escaping Apparatus | |
| CN203235158U (en) | High-layer-rejection prevention green channel | |
| CN205472152U (en) | Elevator car rescues device | |
| KR101141297B1 (en)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
| KR20090087792A (en) | Emergency exit for high-rise building | |
| KR101171248B1 (en)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
| JP4413256B2 (en) | Emergency escape device | |
| KR101161562B1 (en) | A Folded Rescue Ladder installed on Veranda Which has a Protection Rear Cover | |
| KR101151031B1 (en) | Evacuation device | |
| KR20110080259A (en) | Safety entry device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in the vertical sphere | |
| KR102181244B1 (en) | Fire basket having exit | |
| KR20110046979A (en) | Fire Evacuation Descent | |
| JP6436740B2 (en) | Escape door device for escape from the ground | |
| KR102188557B1 (en) | Slid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 |
| JP2005087267A (en) | Evacuation device | |
| KR101154844B1 (en) | Evacuation device having improved collapsible ladd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1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3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