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967B1 - Bone collecter - Google Patents
Bone collec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967B1 KR101232967B1 KR1020110109687A KR20110109687A KR101232967B1 KR 101232967 B1 KR101232967 B1 KR 101232967B1 KR 1020110109687 A KR1020110109687 A KR 1020110109687A KR 20110109687 A KR20110109687 A KR 20110109687A KR 101232967 B1 KR101232967 B1 KR 101232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ll
- flange
- magnet
- collecting container
- b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 채집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골 채집기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 후크가 형성된 포집통, 상기 포집통의 내부에 상측이 삽입되는 드릴축; 상기 드릴축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드릴부; 상기 포집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릴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되, 여타 드릴축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으로 된 걸림 플랜지; 상기 드릴축의 하단에 형성된 핸드피스 결합부로 이루어진 드릴부재, 상기 걸림 플랜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드릴축 상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제1 자석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 상기 제1 자석 설치홈 내에 압입되는 제1 자석, 상기 걸림 플랜지와 고정 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채 드릴축에 헐거움 결합됨으로써 걸림 플랜지와 고정 플랜지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이며, 내부에는 제2 자석 설치홈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포집통의 걸림 후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유동 플랜지 및 상기 제2 자석 설치홈 내에 압입되되, 상기 제1 자석과는 상극을 이루는 제2 자석을 포함한다.A bone collector is disclosed.
The disclosed bone collector has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container is formed with a hook hook bent inward, the drill shaf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cylinder; A drill unit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drill shaft; A locking flang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part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drill shaft; Drill member consisting of a handpiec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drill shaft, a fixing flange fixed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to be located below the locking flange, the first magnet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therein, press-fit in the first magnet installation groove The first magnet is located between the locking flange and the fixed flange while being loose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locking flange and the fixed flange, and a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therein, and an outer side of the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And a flow flange having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hook is coupled, and a second magnet press-fitted into the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and forming an upper pole with the first magne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llector.
특히, 채집통과 상부 플랜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채집통에 채집된 골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고, 채집통 및 상부 플랜지를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 부상시킴으로써 스프링 타입에서 발생될 수 있는 녹 발생의 우려가 없고, 녹 방지를 위한 방청유도 필요치 않으므로 위생감을 높일 수 있는 골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upper flange to quickly collect the bon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rust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spring type by floating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upper flang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instead of the spring. There is no fear of occurrence, and rust preventive oil for rust prevention is also required, so it is related to a bone collector that can increase the hygiene.
임플란트 식립 시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골 채집기는, 골의 채집이 용이하고 타액이 섞일 우려가 없어서 오염의 가능성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채집된 골을 골 보관 용기에 옮기기 위해서는 그 구조상 플라스틱 캡을 제거하고, 캡 하우징 내의 채집된 곳을 캡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을 통해 긁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 bone collectors used for implant placement have the advantage of easy bone collection and no risk of contamination because there is no risk of saliva mixing, while the structural plastic cap is used to transfer the collected bones to the bone storage container. There was a discomfort that had to be removed and scraped out of the cap housing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cap housing.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77135(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서는 캡 하우징과 플랜지가 체결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 또는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집된 골을 빠르고 용이하게 골 보관 용기에 부어 모을 수 있어서 시술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캡 하우징 내에 골이 잔존하지 않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 채집기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713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allows the cap housing and the flange to be easily separated or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so that the collected bone is quickly and easily stored. Since the bone can be poured into the container to proceed quickly, and bone remains in the cap housing has been disclos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to improve the convenience.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캡 하우징과 스프링 커버 사이에 캡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스프링에 녹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의 표면에 방청코팅 또는 방청유를 도포할 수 있겠으나 방청코팅이나 방청유는 시술도중에 환자에게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배제되어야 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literature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ap housing between the cap housing and the spring cover is likely to cause rust in the spring, thereby causing a sanitary problem. To prevent this, antirust coating or antirust oil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pring, but antirust coating or antirust oil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atient during the procedure and should be excluded.
또한, 상기 선행문헌은 스프링의 사이 및 스프링의 설치부위에 이물질이 끼일 소지가 있어서 위생성에 문제가 많으며, 스프링 커버가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부품수의 증가 및 결합 공정의 증가로 제품 단가도 상승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ior document has a lot of problems in hygien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oreign matter is caught between the spring and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spring, the spring cover is fixed by the snap ring, the product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rts and the increase of the coupling process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골 채집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하나는 채집통과 상부 플랜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채집통에 채집된 골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는 골 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one collector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e that can quickly collect the bone collected in the collector by easy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collector and the upper flange In providing a collector.
본 발명의 목적 둘은 채집통 및 상부 플랜지를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 부상시킴으로써 스프링 타입에서 발생될 수 녹 발생의 우려가 없고, 녹 방지를 위한 방청유도 필요치 않으므로 위생감을 높일 수 있는 골 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two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raise the hygienic feeling of the hygiene because there is no fear of rust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spring type by floating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upper flang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without the spring, and also does not need rust-preventive oil for rust prevention. In providing a fla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 후크가 형성된 포집통; 상기 포집통의 내부에 상측이 삽입되는 드릴축; 상기 드릴축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드릴부; 상기 포집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릴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되, 여타 드릴축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으로 된 걸림 플랜지; 상기 드릴축의 하단에 형성된 핸드피스 결합부로 이루어진 드릴부재; 상기 걸림 플랜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드릴축 상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제1 자석 설치홈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 상기 제1 자석 설치홈 내에 압입되는 제1 자석; 상기 걸림 플랜지와 고정 플랜지 사이에 위치한 채 드릴축에 헐거움 결합됨으로써 걸림 플랜지와 고정 플랜지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이며, 내부에는 제2 자석 설치홈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포집통의 걸림 후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유동 플랜지; 및 상기 제2 자석 설치홈 내에 압입되되, 상기 제1 자석과는 상극을 이루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골 채집기이다.The upper and the lower part is an open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container is formed with a hook hook bent inwardly; A drill shaft having an upper side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A drill unit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drill shaft; A locking flang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part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drill shaft; A drill member consisting of a handpiece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rill shaft; A fixing flange fixed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cking flange and having a first magnet installation groove formed therein; A first magnet pushed into the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Loose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while being located between the locking flange and the fixed flange is a state capable of flow between the locking flange and the fixed flange, the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side, the hook hook of the collecting container is coupled to the outside A flow flange having a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magnet press-fitted into the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the second magnet being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여기서, 상기 드릴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ll part.
또한, 상기 포집통의 하단에는 포집통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container may be formed at least one cut por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cting container.
또한, 상기 포집통은 투명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llection cylinder becomes a transparent body.
이상의 본 발명은, 채집통과 상부 플랜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채집통에 채집된 골을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collect and collect the bon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by easily coupling and separating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upper flange.
또한, 채집통 및 상부 플랜지를 스프링에 의하지 않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 부상시킴으로써 스프링 타입에서 발생될 수 녹 발생의 우려가 없고, 녹 방지를 위한 방청유도 필요치 않으므로 위생감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raising the collector and the upper flang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not by the spring, there is no fear of rust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spring type, and the anti-rust oil for rust prevention is not necessary, so the hygien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시행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시행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bone marrow collection preparation step.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bone collector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bone marrow collection execution step.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marrow collection is carried out.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실시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 the desig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mbodiment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결합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골 채집기는 포집통(10), 드릴부재(20), 고정 플랜지(30), 제1 자석(40), 유동 플랜지(50) 및 제2 자석(60)을 포함한다.
1 to 3, the bone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포집통(10)은 치조골을 드릴링 할 때 발생되는 뼈조각을 포집하기 위한 일종의 수거통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투명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포집통(10)은 그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 후크(1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포집통(10)의 하단에는 포집통(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13) 사이 사이에 위치하느 부분이 원활하게 탄성 변형되므로 걸림후크(11)를 상기 유동 플랜지(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53)에 원활하게 삽입하거나 또는 탈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드릴부재(20)는 치조골을 드릴링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상의 드릴축(21)을 구비한다.. 상기 드릴축(21)의 상부는 상기 포집통(1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상기 드릴부재(20)는 상기 드릴축(21)의 상부에 일체 또는 결합되는 드릴부(23)를 구비한다. 드릴부(23)는 치조골을 실질적으로 드릴링하는 부분이므로 큰 부하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따라서, 가장 먼저 마모되는 부분이므로 가능하면 드릴축(21)으로부터 교체 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상기 드릴부(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홈(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홈(23a)은 치조골을 드릴링 할 때 발생 되는 골조각이 포집통(10)으로 원활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Here, at least one
상기 드릴부재(20)는 상기 드릴부(23)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통(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 플랜지(2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 플랜지(25)는 드릴축(21)의 여타 부위에 비해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바로 밑에 위치하는 상기 유동 플랜지(50)이 걸리도록 함에 따라 상승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드릴부재(20)는 드릴축(21)의 하단에 형성되어 핸드피스(hp)가 결합되는 핸드피스 결합부(27)를 구비한다.
The
상기 고정 플랜지(30)는 상기 포집통(10) 및 유동 플랜지(50)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 플랜지(25)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드릴축(21) 상에 고정 결합된다. 결합방식은 여러 가지가 제안될 수 있으나, 본원에서는 나사 결합방식이 제안된다. 즉, 상기 드릴축(21)의 외주면 상에 나사부(29)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플랜지(3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29)와 치합되는 상대 나사부(31)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 체결하는 방식이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 플랜지(30)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40)이 압입되는 환형의 제1 자석 설치홈(32)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nnular first
상기 제1 자석(40)은 상기 제1 자석 설치홈(32) 내에 압입되어, 상기 제2 자석(60)과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휘하게 된다.
The
상기 유동 플랜지(50)는 상기 포집통(10)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 플랜지(25)와 고정 플랜지(30) 사이 위치한 채 드릴축(21) 상에 헐거움 결합된다. 헐거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 플랜지(25)와 고정 플랜지(30) 사이에서 상하유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The
상기 유동 플랜지(50)는 그 하부 내측에 상기 제2 자석(60)이 압입되는 환형의 제2 자석 설치홈(51)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유동 플랜지(50)는 그 외부에 상기 포집통(10)의 걸림 후크(11)가 결합되는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제2 자석(60)은 상기 제2 자석 설치홈(51) 내에 압입되어, 상기 제1 자석(40)과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휘하게 된다.
Th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시행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채집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골수 채집 시행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bone marrow collection preparation step,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bone marrow collection execution step,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marrow collection is carried out.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골 채집기의 상단을 치조골의 골 채집부위에 밀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ure 4, the top of the bone colle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ne collection site of the alveolar bone.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핸드피스(hp)를 이용하여 드릴축(21)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회전시켜서 드릴축(21)의 상단에 마련된 드릴부(23)에 의해 치조골을 드릴링 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alveolar bone is drilled by the
이때, 고정 플랜지(30)와 유동 플랜지(50)는 각각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자석(40) 및 제2 자석(60)의 척력이 작용하고 있으나, 척력에 비해 강한 힘을 가하면 드릴부재(20)를 위로 부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드릴부재(20)를 부상시키면서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드릴부(23)에 의해 치조골이 드릴링 되면서 뼈조각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뼈조각은 드릴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23a)을 통해 포집통(10)으로 포집되거나 또는 드릴부(23)의 하단과 포집통(10) 상단의 벌어진 틈새 사이로 포집된다.At this time, the retracting force of the
포집이 완료되어 핸드피스(hp)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제1, 2 자석(40,60) 간에 다시 척력이 작용하면서 도 6과 같이, 고정 플랜지(30)와 유동 플랜지(50)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집통(10)의 벗겨내어 그 내부에 포집된 뼈조각을 회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When the collection is completed to remove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piece (hp), the repulsive force acts aga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40, 60), as shown in Figure 6, between the fixed
10 : 포집통 20 : 드릴부재
30 : 고정 플랜지 40 : 제1 자석
50 : 유동 플랜지 60 : 제2 자석10: collecting container 20: drill member
30: fixed flange 40: first magnet
50: flow flange 60: second magnet
Claims (4)
상기 골 채집기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 후크(11)가 형성된 포집통(10);
상기 포집통(10)의 내부에 상측이 삽입되는 드릴축(21); 상기 드릴축(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드릴부(23); 상기 포집통(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릴부(23)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되, 여타 드릴축의(21) 외경에 비해 큰 외경으로 된 걸림 플랜지(25); 상기 드릴축(21)의 하단에 형성된 핸드피스 결합부(27)로 이루어진 드릴부재(20);
상기 걸림 플랜지(25)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드릴축(21) 상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제1 자석 설치홈(51)이 형성된 고정 플랜지(30);
상기 제1 자석 설치홈(51) 내에 압입되는 제1 자석(40);
상기 걸림 플랜지(25)와 고정 플랜지(30) 사이에 위치한 채 드릴축(21)에 헐거움 결합됨으로써 걸림 플랜지(25)와 고정 플랜지(30)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이며, 내부에는 제2 자석 설치홈(51)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포집통(10)의 걸림 후크(11)가 결합되는 결합홈(53)이 형성된 유동 플랜지(50); 및
상기 제2 자석 설치홈(51) 내에 압입되되, 상기 제1 자석(40)과는 상극을 이루는 제2 자석(60);
을 포함하는 골 채집기.
In the bone picker,
The bone collector,
An upper and a lower part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collecting container 10 formed with a hook 11 bent inwardly;
A drill shaft 21 into which an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10; A drill part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rill shaft 21; A locking flange (25) form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portion (23)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collecting container (10), the outer diameter being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drill shafts (21); A drill member (20) consisting of a handpiece coupling portion (2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ll shaft (21);
A fixed flange 30 fixed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21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cking flange 25 and having a first magnet installation groove 51 formed therein;
A first magnet 40 press-fitted into the first magnet installation groove 51;
Loosely coupled to the drill shaft 21 while being located between the locking flange 25 and the fixing flange 30, the state is movable between the locking flange 25 and the fixing flange 30, and the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therein A flow flange 50 having a coupling groove 53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53 to which the catching hook 11 of the collecting container 10 is coupled; And
A second magnet 60 press-fitted into the second magnet installation groove 51 and forming an upper pole with the first magnet 40;
A bone collector comprising a.
상기 드릴부(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홈(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
The method of claim 1,
Bon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utting groove (23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portion (23).
상기 포집통(10)의 하단에는 포집통(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
The method of claim 1,
Bon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container 10, at least one cutout 13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cting container (10).
상기 포집통(10)은 투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채집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ollecting container 10 is a bon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9687A KR101232967B1 (en) | 2011-10-26 | 2011-10-26 | Bone collec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9687A KR101232967B1 (en) | 2011-10-26 | 2011-10-26 | Bone collec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32967B1 true KR101232967B1 (en) | 2013-02-13 |
Family
ID=478994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09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2967B1 (en) | 2011-10-26 | 2011-10-26 | Bone collec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296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08240B1 (en) | 2014-10-21 | 2016-04-01 | (주)메디쎄이 | Apparatus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during surgical procedures |
| KR20200103951A (en) * | 2019-02-26 | 2020-09-03 | (주) 코웰메디 | Bone chip harvesting type drill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67216A (en) * | 1995-10-30 | 1999-08-16 | 바이오메디칼 엔터프라이지즈, 인코오포레이티드 | Apparatus for collecting substances and uses thereof |
| KR20090110983A (en) * | 2008-04-21 | 2009-10-26 | 김희진 | Bone Cement Injection Kit |
-
2011
- 2011-10-26 KR KR1020110109687A patent/KR1012329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67216A (en) * | 1995-10-30 | 1999-08-16 | 바이오메디칼 엔터프라이지즈, 인코오포레이티드 | Apparatus for collecting substances and uses thereof |
| KR20090110983A (en) * | 2008-04-21 | 2009-10-26 | 김희진 | Bone Cement Injection Kit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08240B1 (en) | 2014-10-21 | 2016-04-01 | (주)메디쎄이 | Apparatus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during surgical procedures |
| KR20200103951A (en) * | 2019-02-26 | 2020-09-03 | (주) 코웰메디 | Bone chip harvesting type drill |
| KR102249918B1 (en) | 2019-02-26 | 2021-05-12 | (주) 코웰메디 | Bone chip harvesting type dril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549854B1 (en) | Safety cleaning tip | |
| KR101232967B1 (en) | Bone collecter | |
| ATE540711T1 (en) | DISPOSABLE BREAST CAP SET | |
| MX2010006441A (en) | Bedpan having a handle defined therein. | |
| CN203828870U (en) | Novel practical sanitation tool | |
| EP2742896B1 (en) | Autogenous bone collector for harvesting autogenous bone | |
| USD550041S1 (en) | Disposable serving bowl and lid | |
| JP5691108B2 (en) | Crushing kit,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crushed materials | |
| US7480954B1 (en) | Sink disposer stuffer and scraper tool | |
| JP6319999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hair catcher structure | |
| JP2008267041A (en) | Hair catcher | |
| JP3951295B2 (en) | Hair catcher | |
| JP2010133207A (en) | Hair catcher | |
| CN103287678B (en) | Packaging Tank Bottom Tank Components | |
| CN204520579U (en) | Dehydration barrel eluriated by the mop of energy impurity screening | |
| KR200351204Y1 (en) | A dustbin for eating refuse | |
| KR200250496Y1 (en) | Auto Ear-pick | |
| KR101312078B1 (en) | Dehydrator for sink filter | |
| KR102718693B1 (en) | Turbo centrifugal separator | |
| CN212307468U (en) | Detachable bowl cover and drinking cup | |
| KR200311243Y1 (en) | Sink Substitution food and dregs collecting cup | |
| JPH0242786Y2 (en) | ||
| CN215500528U (en) | A automatic instrument for collecting glossy ganoderma spore powder | |
| CN217262298U (en) | Garbage can | |
| US20240287775A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Cleaning Solid Substanc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