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552B1 -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552B1 KR101233552B1 KR1020060047208A KR20060047208A KR101233552B1 KR 101233552 B1 KR101233552 B1 KR 101233552B1 KR 1020060047208 A KR1020060047208 A KR 1020060047208A KR 20060047208 A KR20060047208 A KR 20060047208A KR 101233552 B1 KR101233552 B1 KR 1012335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ubstrate
- signal transmission
- input device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5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pre-assembled groups of ke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8—Static electricity consider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버튼부(26)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22)와, 상기 윈도우(22)가 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8)과, 상기 윈도우(22)가 설치되는 프레임(28)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기판(40)과, 상기 프레임(28)을 관통하여 상기 윈도우(22)와 기판(40)에 양면이 각각 밀착되어 접촉되어 기판(40)과 윈도우(22)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전달구(30)에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광통로(32)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광통로(32)는 상기 기판(40)에 설치된 발광소자의 광을 윈도우(22)의 버튼부(26)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식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을 반드시 전면판의 배면에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판을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설계 및 조립작업성이 좋아지고, 기판의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다수개의 기판을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부품의 설치와 관련된 설계자유도가 높아져 설계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ormed a window part 22 having a touch part for inputting a signal and constituting an appearance, a frame 28 in which the window 22 is provided on one surface, and the window 22. The substrate 40 and the substrate 40 which ar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ame 28, which are installed on each other,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22 and the substrate 40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comprises a signal transmission port 30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22). An optical path 32 is further form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30 to penetrate the center thereof, and the optical path 32 transmits light of a light emit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substrate 40 to a button portion of the window 22. 26) to deli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the substrate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so that the design and assembly work can be improved, and there are no limitations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bstrate. Can be integrat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the design freedom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of parts is increased, the design can be shared.
전자제품, 입력, 터치, 정전기, 신호전달구 Electronics, Input, Touch, Static Electricity, Signal Splic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제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roduct hav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전면 구성을 보인 부분정면도.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fron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신호전달구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의 표면 구성을 보인 부분평면도.6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urface configuration of a substr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전면판 22: 윈도우20: Front panel 22: Windows
24: 슬라이드접촉버튼부 26: 누름버튼부24: slide contact button portion 26: push button portion
28: 프레임 30: 신호전달구28: frame 30: signal transmission port
32: 광통로 34: 신축체32: light path 34: stretchable body
36: 도전층 40: 기판36: conductive layer 40: substrate
42: 체결나사 44: 접촉랜드42: Tightening Screw 44: Contact Land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최근의 전자제품은 반도체 등의 발달로 다양한 것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경박단소화된 것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의 종래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Recently, electronic products have been provided with various things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s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a lot of light and small things are sold so that they can be carried around. In order to operate such electronic products, an input device is essential. Conventional examples of such input devices are shown in FIGS. 1 and 2.
도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케이스(1)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골격의 역할을 하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판(5)과 배면판(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5)과 배면판(7)은 각각 상기 프레임(3)의 전면과 배면에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figure, the
상기 케이스(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5)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거나 전자제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가 구비되고, 또한 전자제품의 조작을 위한 입력장치(10)가 구비된다.The
상기 입력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면판(5)의 원형의 영역에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사방에 누름버튼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조작하는 부분이고, 상기 누름버튼부(14)는 사용 자가 손가락을 접촉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는 슬라이드기판(16)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전면판(5)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에는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구동을 위한 제1제어칩(18)이 실장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은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고정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slide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는 또한 상기 누름버튼부(14)를 구성하기 위한 푸시기판(20)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기판(20)은 상기 누름버튼부(14)가 구비되는 영역을 따라 설치되도록 도우넛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푸시기판(20)은 상기 슬라이드기판(16)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기판(20)에는 상기 누름버튼부(14)의 구동을 위한 제2제어칩(22)이 실장된다. 상기 푸시기판(20)도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된다.The back of the
한편, 상기 전면판(5)에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3)의 반대쪽 면에는 광기판(24)이 구비된다. 상기 광기판(24)은 적어도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광은 상기 각각의 누름버튼부(14)를 조명하고,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가장자리가 상기 누름버튼부(14)와 구획되도록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슬라이드기판(16)과 푸시기 판(20)이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는 상기 기판(16,20)을 상기 프레임(3)측에 먼저 고정하고 상기 전면판(5)을 상기 프레임(3)과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기판(16,20)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기판(16,20)이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으로, 상기 기판(16,20)을 상기 프레임(3)에 나사 등으로 체결하면 상기 나사가 기판(16,2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전면판(5)의 배면과 기판(16,20)의 표면이 밀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First, in the prior art, the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누름버튼부(14) 등의 조명을 위해 별도로 광기판(24)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광기판(24)에서 나온 광을 상기 누름버튼부(14)로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기판의 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ior art, an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기판(16,20)은 반드시 전면판(5)의 배면에 부착되어야 하고, 광기판(24)은 전면판(5)의 배면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이들을 항상 분리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3) 등의 구성이 달리 되는 다른 모델을 설계할 경우 상기 기판(16,20)과 광기판(24) 사이의 연결 등 다양한 구성들을 달리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prior art,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inpu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in which the number of components is minim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의 기판을 사용하면서도 버튼부에 대한 조명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more reliably illuminate the button portion while using a minimum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설계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device in which the entire design can be used in comm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위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며 관통설치공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과 윈도우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a window that constitutes the appearance of the button portion is made of a touch for the input of the signal, and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window to form a skeleton It comprises a fram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a substrat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ame on which the window is installed, and a signal transmission hol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rame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window.
상기 기판은 상기 신호전달구를 통해 전달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어칩이 더 구비된다.The substr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chip for detecting a touch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상기 신호전달구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신축체의 표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formed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tretchable body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상기 신호전달구는 상기 윈도우와 기판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윈도우와 기판 사이에 압착되어 설치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substrate and is compressed and install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가 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윈도우와 기판에 양면이 각각 밀착되어 접촉되어 기판과 윈도우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indow and the window constituting the appearance, the window is provided on one side, the window is formed, the button portion is made a touch for input of the signal And a signal transmission hole passing through the frame and contacting both surfaces of the window and the substr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transfer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window.
상기 신호전달구에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광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광통로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발광소자의 광을 윈도우의 버튼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n optical path is further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and the optical path serves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he button part of the window.
상기 광통로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버튼부가 윈도우에 표시되는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ght path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button portion displayed on the window.
상기 신호전달구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신축체의 표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formed by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tretchable body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상기 신호전달구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설치공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seated in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rame and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도전층은 상기 윈도우에 접촉되는 면과 상기 기판에 접촉되는 면 및 이들 면을 서로 연결하는 외면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ndow,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and an outer surface connecting the surfaces to each other.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과 도전성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전달구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설치공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signal guide has elasticity and conductivity,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seated in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frame and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fram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터치식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을 반드시 전면판의 배면에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판을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설계 및 조립작업성이 좋아지고, 기판의 설치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다수개의 기판을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 일 수 있으며, 부품의 설치와 관련된 설계자유도가 높아져 설계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전달구를 사용하여 터치신호와 광을 동시에 전달하므로 버튼부의 조명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board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ront plate, the board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and the design and assembly workability As it improves,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oard, which can be configured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board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ing design freedom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parts, thereby allowing the design to be shared. In addition, since the touch signal and the light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using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the lighting of the button part can be more precisely performed, and thus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of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전면 구성을 보인 부분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신호전달구의 구성이 부분절결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의 표면 구성이 부분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fron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constituting the example is shown in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in Fig. 6,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partial plan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판(20)은 전자제품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20)중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부분이 윈도우(22)이다. 상기 윈도우(22)는 비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지는데, 대략 두께가 3mm이내가 되도록 한다. 상기 윈도우(22)와 전면판(20)을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적어도 상기 윈도우(22)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에 맞도록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윈도우(22)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접촉버튼부(24)와 누름버튼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24)와 누름버튼부(26)는 상기 윈도우(22)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발광소자(46)에서 제공되는 광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된다. 예를 들어 누름버튼부(24)중에서 기능을 표시하는 네모나 세모등을 통해서는 광이 외부로 나오지 않게 하고 누름버튼부(24)의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광이 외부로 나오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물론, 슬라이드접촉버튼부(24)는 다른 형태로 구획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22)의 표면에 인쇄나 도금으로 표시를 하는 것이다.The
상기 전면판(20)은 프레임(28)에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28)의 전면에 상기 전면판(20)이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28)은 전자제품 전체의 골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프레임(28)이 전자제품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0) 외에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8)에는 아레에서 설명될 신호전달구(30)가 설치되는 관통설치공(29)이 상기 누름버튼부(2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신호전달구(30)는 상기 누름버튼부(26)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발생하는 정전기를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전달구(30)는 또한 기판(40)에 실장된 발광소자(46)에서 나온 광을 상기 윈도우(2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전달구(30)는 상기 프레임(28)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28)에 형성된 상기 관통설치공(29)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신호전달구(30)는 상기 관통설치공(29)에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신호전달구(30)를 통해 광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신호전달구(30)를 일방향으로 관통하여서 광통로(32)가 형성된다. 상기 광통로(32)의 횡단면은 상기 누른버튼부(26)의 표시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통 로(32)가 사각기둥형상이다. 만약 상기 누름버튼부(26)가 원형으로 표시되도록 하려면 상기 광통로(32)의 횡단면을 원형으로 하면 된다.In order to guide the light through the
상기 신호전달구(30)는 본 실시예에서 광통로(32)가 일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구(30)는 그 골격을 신축체(34)가 형성한다. 상기 신축체(34)는 재질의 특성상 신축가능한 것이다. 상기 신축체(34)가 중앙에 광통로(32)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The
그리고, 상기 신축체(34)의 표면에는 도전층(36)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36)은 정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전층(36)은 상기 신축체(34)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윈도우(22)의 배면과 접촉되는 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0)의 접촉랜드(44)에 접촉되는 면 및 이들 각각의 면 사이를 연결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윈도우(22)의 배면과 접촉되는 상면과 접촉랜드(44)와 접촉되는 하면 및 측면중 어느 일면에 도전층(36)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36)은 알루미늄과 니켈과 같은 전도성물질로 만들어진다.The
한편, 상기 신축체(34)는 상기 윈도우(22)의 배면 및 접촉랜드(44)와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윈도우(22)의 배면 및 접촉랜드(44) 사이의 거리보다 그 길이가 약간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22)의 배면과 접촉랜드(44)의 사이에 상기 신호전달구(30)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전면판(20)이 설치되는 반대쪽에 해당되는 프레임(28)의 타면에는 기 판(4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40)은 입력장치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과 구성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입력되는 신호의 처리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칩(도시되지 않음)이 실장된다.The
그리고, 상기 기판(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전달구(30)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랜드(4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랜드(44)는 상기 신호전달구(30)의 대응되는 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접촉랜드(44)는 기판(40)의 회로패턴과 같은 것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 a
상기 접촉랜드(44)에 의해 둘러싸인 기판(40)의 표면에는 발광소자(46)가 실장된다. 상기 발광소자(46)는 상기 누름버튼부(26)를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소자(46)는 상기 신호전달구(30)의 광통로(32)를 통해 광을 윈도우(22)로 전달한다. 도면부호 42는 기판(40)을 프레임(28)에 체결하는 체결나사이다.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프레임(28)에는 상기 기판(40)을 체결나사(42)로 체결하고, 상기 전면판(20) 역시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체결나사를 통해 프레임(28)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프레임(28)의 관통설치공(29)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신호전달구(30)에 의해 상기 윈도우(22)의 배면과 상기 기판(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즉, 상기 신호전달구(30)는 그 도전층(36)이 상기 윈도우(22)의 배면중 상기 누름버튼부(26)에 대응되는 영역에 그 일면이 접촉되고, 상기 기판(40)의 접촉랜 드(44)에 그 타면이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층(36)이 상기 신호전달구(30)를 구성하는 신축체(3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윈도우(22)의 배면과 기판(40)의 접촉랜드(44)사이에서 신호전달구(30)를 통해 전기적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one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신호전달구(30)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신축체(34)가 상기 기판(40) 및 전면판(20)이 상기 프레임(28)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기판(40) 및 전면판(20)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기판(40) 및 전면판(20)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기판(40)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소자(46)는 상기 신호전달구(30)의 광통로(32)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46)에서 나온 광은 상기 광통로(32)를 통해 상기 윈도우(22)로 전달된다.The
즉, 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버튼부(24)의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광소자(46)가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소자(46)에서 나온 광은 상기 광통로(32)를 통해 상기 윈도우(22)의 배면중 상기 누름버튼부(26)에 해당되는 영역에 조사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부(26)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a signal necessary for using an electronic product is input or a signal for illuminating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부(26)를 터치하면, 발생하는 정전기가 상기 신호전달구(30)를 통해 상기 기판(40)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신호전달구(30)의 도전층(36)을 통해 정전기가 상기 기판(40)의 접촉랜드(44)로 전달된다. 상기 접촉랜드(44)로 전달된 정전기를 감지함에 의해 제어칩이 상기 누름버튼부(26)의 기능 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하고 해당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신호전달구(30)가 전기적 신호와 광을 동시에 전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기적 신호만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신호전달구(30)는 반드시 신축체(34)의 표면에 도전층(36)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신축체(34)가 신축성과 도전성을 함께 가지도록 하면 도전층(36)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신호전달구를 사용하여 전면판의 윈도우에 가해지는 입력신호를 기판으로 전달하므로 기판을 윈도우의 배면에 밀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기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put signal applied to the window of the front plate is transmitted to the substrate using the signal transfer port, the substrate does not hav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window.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substrate can be made easier, and the workability of the assembly work is greatly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신호전달구를 사용하여 윈도우로 입력되는 신호를 기판으로 전달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된 발광소자의 광을 신호전달구를 통해 윈도우로 전달하므로 하나의 기판에 여러 가지 기능을 둘 수 있어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성 개선 및 원가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nput port transmits the signal input to the window to the substrate, an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the substrate is transmitted to the window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rovided on one substrate. A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overall, the improvement of assembly and cost improvemen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이 윈도우의 배면에서 떨어져 있지만 신호전달구에 의해 발광소자의 광이 전달되므로 윈도우에 표시되는 누름버튼부에 대한 조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전면판의 윈도우 표면이 별도의 부품등이 설치되지 않아도 입력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ubstrate is separated from the back of the window,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ransmitted by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so that the illumination of the push button portion displayed on the window can be assu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configuration, an input device can be configured even if the window surface of the front panel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part,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more beautifully design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판과 윈도우 사이의 신호연결을 위해 도전성을 가지는 신호전달구를 사용한다. 이때, 예를 들어 제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이즈 등이 달리 설계되는 경우에도 상기 신호전달구의 크기만을 달리 설계하면 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입력장치를 다른 모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used for the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window. At this time, for example, even if the size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product is designed differently, if the size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 is designed differently,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can be used as it is, so that the input device can be used in common with other models. It also work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47208A KR101233552B1 (en) | 2006-05-25 | 2006-05-25 |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47208A KR101233552B1 (en) | 2006-05-25 | 2006-05-25 |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113666A KR20070113666A (en) | 2007-11-29 |
| KR101233552B1 true KR101233552B1 (en) | 2013-02-14 |
Family
ID=390914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472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552B1 (en) | 2006-05-25 | 2006-05-25 |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3552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5019987A2 (en) | 2003-08-18 | 2005-03-03 | Apple Comuter, Inc. |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
-
2006
- 2006-05-25 KR KR1020060047208A patent/KR1012335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5019987A2 (en) | 2003-08-18 | 2005-03-03 | Apple Comuter, Inc. |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113666A (en) | 2007-1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I554913B (en) | Stack key structure for a keyboard combination and keyboard combination apparatus | |
| US9997308B2 (en) |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 |
| US10355689B2 (en) | Touch switch unit and interior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 US7595791B2 (en) | Input device | |
| US7589713B2 (en) | Capacitive coordinate detection device | |
| US8258987B2 (en) | Icon illumination for capacitive touch switch | |
| EP2781994B1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module | |
| US20070018965A1 (en) | Illuminated touch control interface | |
| US10558291B2 (en) | Touch sensitive cov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 |
| US20130223042A1 (en) | Illuminated switch assembly | |
| US10528164B2 (en) |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guide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 |
| KR101233552B1 (en) | Input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
| US11445621B2 (en) | Electric-heating apparatus and touch device therein | |
| JP2010134605A (en) | Input key | |
| TWM482920U (en) | Flexible circuit board applied to keyboard backlight module | |
| KR100808660B1 (en) | Input device of electronic product | |
| CN103198953B (en) | Illuminant keyboard module and illuminant keyboard with same | |
| JP2013131317A (en) |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touch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 CN211919020U (en) | Key type light guide panel structure in airborne equipment | |
| KR101583454B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ouch detection portion formed on main-board | |
| TWI739073B (en) | Electric-heating apparatus and touch device therein | |
| US20250264944A1 (en) | Operation device,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 TWI711958B (en) | Touch lens structrue | |
| CN120508214A (en) | Operating device,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JP2023055281A (en) | touch switch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