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973B1 - Board carrier - Google Patents
Board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3973B1 KR101243973B1 KR1020120085792A KR20120085792A KR101243973B1 KR 101243973 B1 KR101243973 B1 KR 101243973B1 KR 1020120085792 A KR1020120085792 A KR 1020120085792A KR 20120085792 A KR20120085792 A KR 20120085792A KR 101243973 B1 KR101243973 B1 KR 101243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ying handle
- loading plate
- carrying
- fixed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for stacking objects like trays, bobbins,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 손잡이가 구비된 적재판에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운반 손잡이가 적재판의 하부로 수납되게 함으로써 적재판보다 넓은 물건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물건을 싣게 되는 일정 면적의 적재판을 구비하되 상기 적재판의 저면에는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판의 저면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구에는 접철수단을 매개로 하여 운반 손잡이를 결합시키되 상기 접철수단은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상측으로 세워지게 하거나 운반 손잡이가 가이드 레일에 수납되게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trolley for carrying and carrying an object on a loading plate provided with a carrying handle, so that the carrying handl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easily carry a wider object than the carry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art, provided with a load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loading an object, the whe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ride the guide rail A moving tool is provided, and the moving tool is coupled to a carrying handle via a folding means, and the folding means extends the carrying handle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plate or spreads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carrying handle is stored in the guide rail. Is d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반 손잡이가 구비된 적재판에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운반 손잡이가 적재판의 하부로 수납되게 함으로써 적재판보다 넓은 물건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trolley for carrying and carrying an object on a loading plate provided with a carrying handle, so that the carrying handl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plate to easily carry a wider object than the carrying plate.
운반대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의 하측으로 바퀴(2)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판(1)의 상부 일측에는 반달형 브라켓(3)을 돌출 고정시킨 후 상기 브라켓(3)에 운반 손잡이(4)를 힌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운반 손잡이(4)를 적재판(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밀거나 당기게 되고,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상부에 밀착되게 접어서 보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transport cart installs the
이러한 운반대차는 적재판(1)의 상부 일측에 브라켓(3)이 돌출되어 고정되는 관계로, 적재판(1)에 싣고 다닐 수 있는 물건은 브라켓(3)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물건만 운반이 가능하고, 무게는 적게 나가나 부피나 큰 물건은 브라켓(3)에 걸리는 관계로 실을 수가 없는 것이었다.Such a trolley has a
그리고, 운반 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적재판(1)만 구비된 운반대차의 경우는 이삿짐 센터의 작업자 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넓은 면적의 물건을 운반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적재판은 운반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ansport trolley provided with only the
본 발명은 기존의 운반대차가 운반 손잡이를 결합시키는 브라켓이 적재판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적재판 보다 넓은 면적의 물건을 적재판에 싣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반 손잡이를 이용하여 적재판에 실린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운반 손잡이는 적재판의 저면에 수납시킴으로써 운반대차의 적재판에 아무것도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can not be loaded on the loading plate of a larger area than the loading plate because the bracket that combines the carrying handle to the existing carrying plate protrudes on the upper plate, using a carrying handl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goods carried on the loading plate, but the carrying handle is to be sto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to carry the goods in a state that nothing protrudes on the loading plate of the transport cart.
본 발명은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물건을 싣게 되는 일정 면적의 적재판을 구비하되 상기 적재판의 저면에는 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판의 저면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구에는 접철수단을 매개로 하여 운반 손잡이를 결합시키되 상기 접철수단은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상측으로 세워지게 하거나 운반 손잡이가 가이드 레일에 수납되게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적재판을 넓게 사용코저 하는 경우에는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에 수납한 상태로 사용하고, 운반 손잡이를 이용코저 하는 경우에는 적재판에서 운반 손잡이를 빼내어 세운채로 사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art, provided with a load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loading an object, the whe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and ride the guide rail A moving tool is provided, and the moving tool is coupled to a carrying handle via a folding means, and the folding means extends the carrying handle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plate or spreads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carrying handle is stored in the guide rail. In the case of wide use of the carrying plate, the carrying handle is stored in the carrying plate, and when carrying the carrying handle, the carrying handle is removed from the carrying plate and used upright.
본 발명은 운반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운반 손잡이에 방해받지 않고 운반대차의 적재판보다 넓은 면적의 물건을 싣고 운반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trolley for carrying an object using a transport handle, and, if necessary, to load and transport an object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loading plate of the transport cart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transport handle.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저면으로 수납시킨 상태에서 적재판 만으로 넓은 면적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Carrying tro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transport handle is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mounting plate at a right angle, or to transport a large area of the object only by the loading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carrying handle is stor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plate. .
도 1은 기존 운반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밀어 넣기 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눕힌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고정시킨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세워서 고정시킨 상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세워서 고정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눕히기 위하여 고정환을 들어올린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눕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완전 눕힌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운반 손잡이를 수납시키는 상태의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ransport c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pushing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lying dow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arrying handle upright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Figure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upright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upright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ring lifting state to lay down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lying down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ully laid stat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arry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본 발명은 물건을 싣게 되는 적재판의 저면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절개홈을 형성하는 한편 전방 상측 중앙으로 이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를 설치하되 상기 이동구에는 고정봉을 힌지로 고정시키는 한편 고정봉에는 안전판이 구비된 운반 손잡이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봉에는 외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환을 끼우는 한편 상기 고정봉에는 고정환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on which the goods are to be loaded, the guide rails are formed to form a cutting groove facing each other while forming a moving groove in the front upper center, the movement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While installing a sphere, the movable rod is fixed to the fixing rod by a hinge while the fixing rod is connected to the carrying handle with a safety plate, the fixing rod is fitted with a fixing ring formed with a fixing groove on the outside while the fixing ro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Losing is achieved by providing a fixing pin.
여기서, 고정봉에는 고정환을 외삽시킨 상태의 직경이 운반 손잡이의 직경과 같게 하고, 이동구가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채로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봉을 세워서 고정봉의 하측이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환을 돌려서 고정핀이 고정환에 받쳐지게 함으로서 운반 손잡이를 세우게 된다.Here, the fixed rod has the diameter of the fixed ring extrapolated to the diameter of the carrying handle, and the fixed rod is erected around the hinge while the movable tool is fitted to the guide rail, and the fixed ring is turned while the lower side of the fixed rod is fitted into the moving groove. By holding the fixing pin against the fixing ring, the carrying handle is erected.
이 같이 적재판의 일측에 운반 손잡이를 세운 상태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운반 대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As such, when the carrying handle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late, it may be used in the same form as a conventional carrying cart.
적재판에 세워진 운반 손잡이를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환을 회전시켜 고정홈에 고정핀이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접철수단의 고정봉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운반 손잡이가 적재판의 전면으로 눕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반 손잡이를 적재판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운반 손잡이가 적재판의 저면에 수납되게 된다.In order to accommodate the carrying handles erected on the carrying plate, the carrying handle is laid on the front of the carrying plate while the fixing rod of the folding means rotates around the hinge while the fixing pin is rotated by the fixing ring. When the carrying handle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plate, the carrying handle is receiv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plate.
이 같이 운반 손잡이가 받침대의 저면에 수납되면 적재판의 상면을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물건을 싣고 운반할 수 있다.When the carrying handle is stored in the bottom of the base as described above, a large area can be loaded and carried using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운반 손잡이(20)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운반 손잡이(20)를 적재판(10)에 수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운반 손잡이(20)를 세워서 일반적인 운반대차로 사용하되 부피가 큰 물건을 운반할 때는 운반 손잡이(20)를 받침대(10)에 수납시켜 적재판(10)의 상부를 확장시켜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갖는 적재판(10)을 구비하되 상기 적재판(10)의 저면에는 외측 모서리 부위에 바퀴(11)를 설치함으로서 적재판(10)이 바퀴(1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재판(10)의 저면에는 바퀴(11)의 내측으로 적재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30)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적재판(10)의 저면에 양쪽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절개홈(31)을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단면이 사각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30)의 선단에는 상측 중앙으로 일부가 절개된 이동홈(32)을 형성한다.The
상기 가이드 레일(30)에는 단면이 사각 형태를 갖는 이동구(40)를 끼움으로써 이동구(40)가 가이드 레일(30)에 끼워진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구(40)에는 운반 손잡이(20)를 접철수단(50)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철수단(50)을 접으면 운반 손잡이(20)가 적재판(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접철수단(50)을 세우면 운반 손잡이(20)가 적재판(10)의 일측에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의 접철수단(50)은 이동구(40)의 선단에 힌지(51)로 결합되며 고정핀(52)이 구형성된 고정봉(5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봉(53)에는 고정홈(54)이 형성된 고정환(55)을 외삽시키며, 상기 고정봉(53)에는 운반 손잡이(20)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Fold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운반 손잡이(20)를 적재판(10)의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운반 손잡이(20)에 고정된 고정봉(53)이 힌지(51)로 결합된 이동구(40)를 가이드 레일(30)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반 손잡이(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이때, 고정봉(53)에 외삽된 고정환(55)은 고정홈(54)이 고정핀(52)에 끼워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운반 손잡이(20)는 적재판(10)의 전방으로 빠지게 되며, 운반 손잡이(20)와 고정봉(53) 및 이동구(40)가 일직선으로 놓이면서 운반 손잡이(20)가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 상태에서 운반 손잡이(20)를 적재판(10)으로 밀어 넣게 되면 운반 손잡이(20)가 적재판(10)에 수납되는 것으로, 운반 손잡이(20)가 적재판(10)에 수납될 때 운반 손잡이(20)에 형성된 안전판(21)은 가이드 레일(30)의 절개홈(31)을 따라 이동하면서 끼워지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안전판(21)은 운반 손잡이(20)를 세운 채로 물건을 운반할 때 물건이 운반 손잡이(20)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공지의 구성이다.Here, the
이와 같이 운반 손잡이(20)가 적재판(10)에 수납되게 되면, 적재판(1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물건을 싣고 운반할 수 있다.When the
이와는 반대로 운반 손잡이(20)를 세워서 물건을 운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On the contrary, look at the process of carrying the object by setting the carrying handle (20).
적재판(10)에 수납되어 있는 운반 손잡이(2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운반 손잡이(20)의 접철수단(50)이 가이드 레일(30)에서 돌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반 손잡이(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이동구(40)가 가이드 레일(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구(40)에 힌지(51)로 결합된 고정봉(43)이 세워지게 되나, 힌지(51)를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30)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고정환(55)의 고정홈(54)이 고정핀(52)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고정환(55)이 상부로 일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When the
즉, 고정환(55)이 상부로 밀리지 않고는 눕혀있던 고정봉(53)이 가이드 레일(30)의 이동홈(32)을 타고 세워지지 않는 것으로, 운반 손잡이(20)가 세워지기 위해서는 고정환(55)이 일부 상부로 이동하여야 한다.That is, the fixing rod (53) lying down without the fixing ring (55) being pushed upward does not stand on the moving grooves (32) of the guide rails (30). ) Should move to some upper part.
운반 손잡이(20)가 고정봉(53)이 이동홈(32)에 끼워진 채로 세워진 후에는 고정환(55)을 회동시켜 고정홈(54)에 끼워진 고정핀(52)이 고정환(55)에 받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봉(53)이 가이드 레일(30)의 전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운반 손잡이(2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적재판(10)의 상측에 물건을 싣고 운반 손잡이(20)를 잡고 운반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본 발명에서 접철수단(50)은 고정환(55)과 고정봉(53)이 나사 결합되게 하고 고정핀(52)과 고정홈(54)을 제거함으로써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봉(53)을 힌지(51)를 중심으로 이동홈(32)에 세운 상태에서 고정환(55)을 돌려 고정환(55)의 하측에 가이드 레일(30)의 상측에 밀착시킬 경우 운반 손잡이(2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means 50 is to achieve the function by allowing the
운반 손잡이(20)를 눕히기 위해서는 고정환(55)을 풀어서 고정봉(53)이 회전할 때 고정봉(53)이 가이드 레일(30)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 손잡이(20)를 눕힐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운반 손잡이(20)를 적재판(10)에 수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lay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라쳇을 이용하여 운반 손잡이(20)를 세우고, 운반 손잡이(20)를 눕힐 때는 라쳇 결합을 해제시킨 후 눕히면 되는 것으로, 운반 손잡이(20)를 세울 때는 라쳇을 타고 넘으며 원하는 각도까지 쉽게 세우는 동시에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운반 손잡이(20)를 눕히기 위해서는 간단히 라쳇 해제레버를 누름으로써 간단히 운반 손잡이(20)를 눕힐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ying
10 : 적재판 11 : 바퀴
20 : 운반 손잡이 30 : 가이드 레일
31 : 절개홈 32 : 이동홈
40 : 이동구 50 : 접철수단
52 : 고정핀 53 : 고정봉
54 : 고정홈 55 : 고정환10: loading plate 11: wheels
20: carrying handle 30: guide rail
31: incision groove 32: moving groove
40: moving port 50: folding means
52: fixing pin 53: fixing rod
54: fixed groove 55: fixed ring
Claims (4)
상기 적재판(10)의 저면에는 양쪽으로 가이드 레일(30)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개홈(31)을 형성하는 한편 가이드 레일(30)의 선단에는 상측 중앙으로 이동홈(32)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30)에는 이동구(40)를 끼우는 한편 상기 이동구(40)에는 운반 손잡이(20)를 세우거나 눕히는 접철수단(50)을 고정하되 상기 접철수단(50)은 가이드 레일(30)에 끼워진 이동구(40)에 힌지(51)로 결합되는 고정봉(5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봉(53)에는 안전판(21)이 구비된 운반 손잡이(20)를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봉(53)의 외측으로 고정환(55)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환(55)에는 고정홈(54)을 형성하는 한편 고정봉(53)에는 고정핀(5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It is provided with a loading plate 10 of a predetermined area, the wheel 11 is installed on the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10;
The guide rails 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10, but the guide rails 30 form a cutout groove 31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hile an upper center is formed at the tip of the guide rails 30. To form a moving groove 32;
The moving guide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30, while the moving tool 40 is fixed to the folding means 50 to stand or lay the carrying handle 20. The folding means 50 is a guide rail 30. A fixed rod 53 coupled to the hinge 51 to the movable hole 40 inserted into the fixed hole 53, and the fixed rod 53 fixes the carrying handle 20 provided with the safety plate 21 to the fixed rod 53. The fixed ring 5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d 53, and the fixed ring 55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54, while the fixed rod 53 is formed by forming a fixing pin 52 Balan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792A KR101243973B1 (en) | 2012-08-06 | 2012-08-06 | Board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792A KR101243973B1 (en) | 2012-08-06 | 2012-08-06 | Board carri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43973B1 true KR101243973B1 (en) | 2013-03-25 |
Family
ID=481819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57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3973B1 (en) | 2012-08-06 | 2012-08-06 | Board carri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43973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076505A1 (en) * | 2014-11-14 | 2016-05-19 | (주)세진기연 | Folding handle structure for cart |
| KR101700592B1 (en) * | 2016-08-05 | 2017-01-31 | 배기웅 | A multipurpose transfer car |
| KR102198910B1 (en) | 2019-10-22 | 2021-01-07 | 최영용 | structure for retractable handle of carts |
| JP2021041721A (en) * | 2019-09-06 | 2021-03-18 | 株式会社シィップ | Transport trolley |
| KR20250108979A (en) | 2024-01-09 | 2025-07-16 |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 A Cart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19888Y1 (en) * | 2000-09-22 | 2001-04-16 | 삼송공업주식회사 | Collapsible handcart |
| KR20090092178A (en) * | 2008-02-26 | 2009-08-31 | 이석 | Folding type carrier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792A patent/KR1012439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19888Y1 (en) * | 2000-09-22 | 2001-04-16 | 삼송공업주식회사 | Collapsible handcart |
| KR20090092178A (en) * | 2008-02-26 | 2009-08-31 | 이석 | Folding type carrier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076505A1 (en) * | 2014-11-14 | 2016-05-19 | (주)세진기연 | Folding handle structure for cart |
| KR101700592B1 (en) * | 2016-08-05 | 2017-01-31 | 배기웅 | A multipurpose transfer car |
| JP2021041721A (en) * | 2019-09-06 | 2021-03-18 | 株式会社シィップ | Transport trolley |
| KR102198910B1 (en) | 2019-10-22 | 2021-01-07 | 최영용 | structure for retractable handle of carts |
| KR20250108979A (en) | 2024-01-09 | 2025-07-16 |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 A Cart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767049B2 (en) | Pallet lift | |
| KR101243973B1 (en) | Board carrier | |
| US9156614B2 (en) | Loading/unloading apparatus | |
| US8567795B2 (en) | Lower frame for a product holder, holder and operating procedure | |
| US9896264B2 (en) | Freight rack | |
| CA3009156C (en) |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 |
| CN107914743A (en) | Deformable carrier with transportation mode and positioning mode | |
| JP5283002B2 (en) | Conveying equipment | |
| CN201831283U (en) | A convenient storage rack | |
| KR20110043917A (en) | Luggage storage with slide-out shelves | |
| CN209336474U (en) | Battery bag support | |
| CN103863372A (en) | Multifunctional handcart | |
| KR101530967B1 (en) | Hand ca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080004142U (en) | Cargo cart | |
| CN107571898B (en) | Instrument handcart | |
| JP2019077388A (en) | Component conveyance truck | |
| JP5351185B2 (en) | Cart with folding fence | |
| JP4805405B1 (en) | Folding cargo rack | |
| KR200263363Y1 (en) | The Handcart for Transporting Things | |
| JP6173165B2 (en) | Container door fixing device | |
| JP5554854B1 (en) | Folding luggage platform | |
| KR20100062759A (en) | Handy Cart with 4 Wheel Rolling Goods | |
| KR20140000696U (en) | Movement working table | |
| KR101048642B1 (en) | Carrier's Loading Jig | |
| CN207510450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charging carria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09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