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365B1 -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 Google Patents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6365B1 KR101256365B1 KR1020120008361A KR20120008361A KR101256365B1 KR 101256365 B1 KR101256365 B1 KR 101256365B1 KR 1020120008361 A KR1020120008361 A KR 1020120008361A KR 20120008361 A KR20120008361 A KR 20120008361A KR 101256365 B1 KR101256365 B1 KR 101256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lever
- fixing
- rotation shaft
- fix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single-wheel type with single ax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밑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고, 레버로 바퀴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일반 보행용 또는 주행 운동용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운동화 등에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끼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퀴를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어서 편리하게 스케이팅 운동을 즐기거나 일반 보행용으로 신고다닐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hoe, and can be selectively used for general walking or driving movement while moving the wheel up and down with the leve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the wheels up and down with a simple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sneakers,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a skating exercise or wear it for general walk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밑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고, 레버로 바퀴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일반 보행용 또는 주행 운동용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hoe, and can be selectively used for general walking or driving movement while moving the wheel up and down with the lever. .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 힐리스 등은 신발의 바닥면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신고 달리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Roller skates, in-line skates, kickboards, heels, etc. is an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exercise while running by installing one or several wheels on the bottom of the shoe.
일반적인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바퀴가 설치되어 항상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만 사용을 해왔는데, 최근에는 바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일반적인 보행용이나 바퀴를 이용한 운동용으로 번갈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In general roller skating or inline skating, fixed wheels are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and have always been used only by moving with wheels. In recent years, the wheels are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general walking or wheels can be used as needed. Techniques for alternating use for exercise are disclos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퀴가 장착된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equipped with a whe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의 신발에는 장구형 스프링(1)이 내장되고 이탈 방지턱(2)(2')이 형성되며, 안내요홈(3)(3')이 형성되고, 높이에 차이를 가지는 낮은쪽과 높은쪽으로 구성된 작동체 안착대(4)(4')가 일체로 된 바퀴 부착판(5) 하측에 바퀴(6)(6')를 고정하여, 바퀴 반출구(7)와 다수개의 도르래(8)가 형성된 겉창(9)을 결합하고, 작동체 안내돌부가 형성된 작동체(11)(11')를 안착대(4)(4')에 각각 안착시킨 후 끈을 작동체(11)(11')에 연결한다. 그리고, 겉창(9)에 부착된 도르레(8)와 바퀴 부착판의 도르레(8')를 경유시켜, 끈 배출공(13)으로 배출하여 끈 조절구에 고정하고, 바퀴 부착판(5) 상측으로 누름턱(15)(15')이 형성된 덮게와 신발갑피를 결합한다.The shoe of FIG. 1 has a built-in long spring (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 (2 ') is formed, the guide groove (3) (3') is formed, the lower and higher side having a difference in height The
이와 같은 신발은 바퀴 부착판(5)에 형성된 작동체 안착대(4)(4')에 작동체(11)(11')를 각각 내입하고, 작동체(11)(11') 전후에 끈을 연결하여, 다수개의 도르레(8)(8')를 경유시켜 끈 배출공(13)으로 배출하여, 배출된 끈을 바닥창(9) 외부에 형성된 끈 조절구에 연결한다. 그리고, 끈 조절구의 조작에 의해 내부에 연설된 끈이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닥창(9) 상측으로 신발갑피에 고정하고, 갑피 내부에 중창과 안창을 내입하여, 통상의 신발로 착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uch shoes incorporate the
신발의 바닥창(9) 내부에 장착된 바퀴(6)(6')를 외부로 돌출하기 위해서는, 바닥창(9) 외부의 끈 조절구의 돌림 작동으로, 신발에 연설된 끈 양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끈이 끈조절구로 내입되어, 낮은곳과 높은곳으로 구분되어 높이의 차이를 가지는 작동체 안착대(4)(4')에 위치한 작동체(11)(11')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체(11)(11')가 안착대(4)(4')의 낮은곳에서 높은곳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o protrude the
작동체(11)(11')가 작동체 안착대(4)(4)로 이동할때, 작동체(11)(11')의 안내돌부(10)(10')는 안착대(4)(4')에 형성된 안내요홈(3)(3')을 따라 이동하므로, 작동체(11)(11')가 작동체 안착대(4)(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작동체(11)(11') 상부에 형성된 덮게(16)에 형성된 누름턱(15)(15')과 접하면서, 결과적으로 작동체(11)(11')의 높이, 안착대(4)(4')의 높이와 덮개 누름턱(15)(15')의 높이가 결합된 만큼 바퀴 부착판(5)이 바닥창(9) 쪽으로 하향하게 되어 있어, 바닥창(9)에 형성된 장구형 스프링(1)을 수축시키면서, 바퀴 부착판(5)을 밀어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6)(6')가 신발 밑바닥으로 돌출된다.When the
이와 같은 구조의 신발은 그 구조가 복잡하며, 바퀴를 빼거나 넣기 위해서 끈을 당겨야 하는데, 끈이 끊어지면 이를 수리하기가 어렵고, 끈을 정확하게 도르레에 묶어놓지 않으면 작동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Shoes of such a structure is complicated in structure, pull the string to remove or put the whee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air it if the strap is broken, it does not work unless the strap is correctly tied to the pulley.
또한 바퀴를 내장한 바닥창이 너무 두꺼워서 일반적인 보행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ole with a built-in wheel is too thick to be inconvenient to use for general walking.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일반적인 신발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밑창에 설치된 레버를 움직이면 캠방식으로 회전프레임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바퀴를 아래쪽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보행용과 운동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 general shoe such as sneakers or shoes, and if the lever installed on the sole moves the rotating frame by a certain angle in the cam method to rotate the wheel downward or u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that can be used to switch to walking and exercise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은 밑창의 앞부분에 앞바퀴 고정틀을 내장하고, 고정틀에 앞바퀴 몸체를 끼우거나 분리함으로써 앞바퀴까지 구비된 스케이트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to be built in the front wheel fixed frame in the front of the sole, and to be used as a skate type provided up to the front wheel by inserting or removing the front wheel body on the fixed fram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신발(50) 밑부분에 고정하여 보행용과 운동용으로 번갈아 사용하는 장치로서, 위쪽에는 상기 신발(50)을 고정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104, 106)를 포함하며, 아래쪽 가운데 측면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밑창(102)과; 상기 밑창(102)의 오목한 부분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신발(50)의 앞쪽에 지면에 평행하게 놓여있는 중심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뒤쪽에는 바퀴(110)가 끼워지는 회전프레임(108)과; 상기 회전프레임(108)의 상부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평판형 몸체의 밑면에 레버고정구(114a)가 형성되는 상부고정판(114)과; 회전축이 상기 레버고정구(114a)에 삽입되어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08)의 윗면과 접촉하면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108)을 상기 회전중심축(11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도록 밀어내는 레버(112)와; 상기 회전프레임(108)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스프링(118);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device used to alternately use for walking and exercise by fixing to the bottom of the
상기 회전프레임(108)은 가운데 몸체가 V자 형태로 아래쪽으로 절곡된 상태이며, 두 갈래로 갈라져서 그 사이에 상기 바퀴(110)를 끼우는 뒤쪽의 바퀴보호부(108a)와; 상기 중심회전축(116)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앞쪽의 회전축삽입부(108b)와; 상기 V자로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바퀴보호부(108a)에 더 가까운 쪽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08c)와; 상기 바퀴보호부(108a)의 안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8)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돌기(108d);로 이루어진다.The rotating
상기 상부고정판(114)은 상기 밑창(102)의 윗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112)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레버고정구(114a)와; 상기 중심회전축(116)이 끼워지는 앞쪽의 회전축삽입부(114b)와; 상기 스프링(118)의 타측 말단이 고정되는 뒤쪽의 스프링고정돌기(114c);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중심회전축(116)은 좌우의 회전프레임(108)과 상부고정판(114)에 각각 끼워지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눠지며, 상기 중심회전축(116)의 두 개의 부분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116a)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부분을 하나의 너트(120)의 좌우측에서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밑창(102)의 앞부분에 매립 설치되는 앞바퀴고정틀(122)과; 상기 앞바퀴고정틀(124)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124);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124)는 방향성 캐스터인 바퀴(124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ron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운동화 등에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끼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퀴를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어서 편리하게 스케이팅 운동을 즐기거나 일반 보행용으로 신고다닐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the wheels up and down with a simple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sneakers,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a skating exercise or wear it for general walking.
또한 앞바퀴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방향성 캐스터를 설치함으로써 방향이동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directional caster that can be freely rotated on the front whee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movement becomes eas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퀴가 장착된 신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고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신발과 고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바퀴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절개도.
도 5는 바퀴 구동부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회전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레버와 상부고정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두 개의 상부고정판을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프레임이 움직이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중심회전축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너트의 회전에 따라 중심회전축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3은 앞바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equipped with a whe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whee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and the fixing device separated.
Figure 4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heel driv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the wheel drive uni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tating fram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ever and the upper fixing plat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two upper fixing plates.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rotating frame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central rotating shaft.
11 is a plan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nut.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wheel is mounted.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ont wheel.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함)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x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고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신발과 고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fixing devic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and the fixing device separated.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는 운동화나 구두, 기타 일반적인 신발(50)의 밑 부분에 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기구이며, 고정장치(100)의 아래에는 보행중에 충격을 흡수하는 밑창(102)이 구비되며, 밑창(102)의 위에는 신발(50)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클립식으로 된 두 개의 밴드(104, 106)에 의해 신발(50)을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신발(50)에서 발목에 가까운 쪽을 고정하는 후방고정밴드(104)와 발가락에 가까운 쪽을 고정하는 전방고정밴드(106)는 통상적인 벨트에 사용되는 버클, 섬유조직의 결합방식인 벨크로 타입, 끈으로 묶는 매듭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Fixing
후방고정밴드(104)와 전방고정밴드(106)는 고정장치(100) 아래쪽의 밑창(102) 좌우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좌우 양쪽에서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만나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을 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하게 운동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밑창(102) 아랫부분에 내장된 바퀴를 아래로 내린다. 바퀴는 밑창(102)의 바닥면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바퀴가 지면에서 자연스럽게 굴러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케이트를 탈 수 없는 환경에서는 바퀴를 밑창(102) 위로 올려넣고 밑창(102)으로 걸어다닐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운동용 또는 보행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ame way as the inline skates, the wheel buil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 102 is lowered down. Since the wheels are lowered fur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2, the wheels can naturally roll off the ground. If the user is not able to skate, the wheel can be put on the sole 102 and walked to the sole 102. Therefore, it can be selected and used for exercise or walk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4는 바퀴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절개도이며, 도 5는 바퀴 구동부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회전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레버와 상부고정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두 개의 상부고정판을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heel driv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structure of the wheel driv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fram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ever and the upper fixing plat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two upper fixing plates.
도 4에 나타난 바퀴 구동부는 고정장치(100)의 밑면을 구성하는 밑창(102) 내부에 내장된다. 바퀴 구동부는 바퀴(110)를 아래 위로 움직이면서 보행용 또는 운동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The wheel driving unit shown in FIG. 4 is embedded in the sole 102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fixing
밑창(102)의 가운데 측면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상태이며, 이 부분에 회전프레임(108)이 좌우에 하나씩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회전프레임(108)은 지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놓여있는 중심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프레임(108)에서 중심회전축(116)의 반대편 끝에는 바퀴(1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바퀴(110)는 회전프레임(108)의 회동에 따라 밑창(102)보다 아래쪽이나 윗쪽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center side surface of the sole 102 is recessed, and the
회전프레임(108)의 상부에는 상부고정판(114)이 설치되며, 상부고정판(114)의 밑면에는 레버(112)가 설치된다. 레버(112)는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운동을 하면서 회전프레임(108)을 아래 위로 움직여준다.The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08)은 뒤쪽은 두 갈래로 갈라진 바퀴보호부(108a)가 있어서 그 사이에 바퀴(110)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고, 앞쪽은 중심회전축(116)을 끼울 수 있는 원형의 회전축삽입부(108b)가 관통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그리고 가운데 몸체는 대략 V자 형태로 아래쪽으로 절곡된 상태가 되며, 절곡된 부분의 끝에는 스토퍼(108c)가 돌출 형성된다. 스토퍼(108c)는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바퀴보호부(108a)에 더 가까운 쪽에 형성된다. 스토퍼(108c)는 바퀴(110)를 아래로 내렸을 때, 레버(112)가 더 이상 뒤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center body is bent downwardly in a V shape, and the
레버(112)는 도 5에서와 같이 회전프레임(108)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회전프레임(108)의 V자 절곡부의 윗면과 접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112)를 고정장치(100)의 뒤쪽으로 회전시키면 레버(112)가 캠 구동과 유사하게 회전프레임(108)의 윗면을 아래쪽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프레임(108)이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112)가 계속 회전하다가 스토퍼(108c)와 만나면 더 이상 회전을 못 하고 멈추게 된다. 이때가 회전프레임(108)이 가장 아래쪽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어 바퀴(110)가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간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바퀴(110)를 이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The
보행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레버(112)를 고정장치(100)의 앞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레버(112)가 회전프레임(108)의 V자 절곡부의 가운데, 즉 가장 오목한 부분의 윗면과 만나게 되고, 회전프레임(108)은 스프링(118)의 탄성에 의해 다시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인 신발과 같이 보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When used for walking, the
바퀴보호부(108a)의 안쪽, 다시 말해서 밑창(102) 가운데 측면의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쪽에는 스프링고정돌기(108d)가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고정돌기(108d)에는 스프링(118)의 한쪽이 고정되는데, 스프링(118)은 회전프레임(108)이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즉, 레버(112)를 돌려서 회전프레임(108)을 아래로 회전시키면 바퀴(110)가 내려오면서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다시 레버(112)를 반대로 돌리면 스프링(118)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프레임(108)이 위로 올라가면서 보행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
회전프레임(108)과 레버(112)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와 유사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110)는 일반적인 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다.The
그리고 바퀴(110)의 크기(지름)는 보행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퀴(110)를 위로 올렸을 때 바퀴(110)의 밑바닥이 밑창(102)의 바닥면 보다는 위에, 운동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퀴를 아래로 내렸을 때 바퀴(110)의 밑바닥이 밑창(102)의 바닥면 보다는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대략 바퀴(110)의 지름은 밑창(102)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ize (diameter) of the
한편, 도 7과 8에는 상부고정판(114)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and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상부고정판(114)은 고정장치(100)의 밑창(102) 윗부분에 설치되어 회전프레임(108)과 레버(11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고정판(114)도 회전프레임(108)과 같이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하나씩 설치된다.The
상부고정판(114)은 신발(50)의 아랫면을 지지하는 평판형 몸체의 밑면에 레버(112)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레버고정구(114a)가 형성된다. 레버고정구(114a)에는 레버(112)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레버(112)가 레버고정구(114a)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부고정판(114)의 앞쪽에는 중심회전축(116)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부(114b)이 형성된다. 중심회전축(116)은 회전프레임(108)의 회전축삽입부(108b)와 상부고정판(114)의 회전축삽입부(114b)에 동시에 끼워진다.In front of the
상부고정판(114)의 뒤쪽에는 스프링(118)의 일측 말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돌기(114c)이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118)의 아래쪽 말단은 회전프레임(108)의 스프링고정돌기(108d)에, 위쪽 말단은 상부고정판(114)의 스프링고정돌기(114c)에 각각 고정된다.A
상부고정판(114)은 고정장치(100)의 밑창(102)과 그 위의 중간창 사이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8에는 좌우 양측에 있는 두 개의 상부고정판(114)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좌우의 상부고정판(114)에는 레버(112)가 각각 설치되는데, 좌우의 레버(112)는 레버고정구(114a)를 관통하여 나오는 긴 환봉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레버(112)의 끝부분에는 각각 레버연결돌기(112b)와 레버연결홈(112c)이 형성되어 있다.8 illustrates a method of connecting two
레버연결돌기(112b)는 끝부분의 지름이 가운데 부분보다 약간 작게 깎인 형태로 되어 있으며, 레버연결홈(112c)은 레버(112) 끝부분의 가운데에 형성된 중공으로 되어 있는데, 레버연결돌기(112b)가 레버연결홈(112c) 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레버(112)를 움직이면 반대편의 레버(112)도 함께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좌우의 레버(112)를 두 손으로 동시에 잡고 한꺼번에 움직이면서 바퀴(11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The
도 9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프레임이 움직이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112)가 회전프레임(118) 가운데의 V자로 절곡된 부분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스프링(118)의 힘에 의해 회전프레임(118)이 위로 올라와있지만, 레버(112)를 뒤쪽으로 회전시키면 레버(112)의 캠 작용에 의해 회전프레임(108)이 아래쪽으로 밀리면서 중심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서 도 9에서와 같이 바퀴(110)가 내려오면서 바퀴(110)의 밑바닥이 밑창(102)의 바닥면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rotating frame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도 10은 중심회전축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너트의 회전에 따라 중심회전축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of the central rotary shaft,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rotary shaf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nut.
상부고정판(114)은 좌우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데, 신발(50)이나 고정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좌우의 폭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좌우의 상부고정판(114)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회전축(116)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좌우의 중심회전축(116)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좌우 반대방향의 나사산(116a)을 형성한다. 즉, 한쪽에 있는 중심회전축(116)에는 우측 나사산(116a)을, 반대쪽에 있는 중심회전축(116)에는 좌측 나사산(11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좌우 두 개의 중심회전축(116)을 가운데에 있는 하나의 너트(120)에 나사결합한다.The
이렇게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너트(120)를 회전시키면 좌우의 상부고정판(114)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고정판(114)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상부고정판(114)의 폭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부고정판(114)이 고정장치(100)의 제작과정에서 밑창(102) 속에 매립될 수 있으므로, 신발(50)의 크기에 따라 너트(12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고정판(114)의 거리를 조절한 후, 밑창(102) 내부에 매립시켜 고정장치(100)를 생산한다.In some cases, the user may freely adjust the width of the
한편, 도 12는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13은 앞바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wheel is mounted,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ont wheel.
전술한 내용에서는 바퀴(110)가 신발(50)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방식으로 운동을 하려면 앞쪽에도 바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이를 위해 밑창(102)의 앞부분에 앞바퀴(124)를 끼울 수 있는 앞바퀴고정틀(122)을 매립하여 설치한다. 앞바퀴고정틀(122)은 고정형으로 매립할 수도 있고, 밑창(10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front
앞바퀴고정틀(122)은 지면에 대해서 약간 경사진 각도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밑창(102)의 앞부분부터 뒤쪽으로 밑창(102) 내부에 끼워지는데, 고정장치(100)의 뒤쪽으로 가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The front
앞바퀴고정틀(122)은 입구부분이 밑창(102)의 앞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부분으로 앞바퀴(124) 뭉치를 끼워넣는다.Front
앞바퀴(124)는 앞바퀴고정틀(122)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앞바퀴몸체(124a)의 앞부분 아래쪽에 회전브라켓(124c)을 설치하고, 여기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바퀴(124d)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앞바퀴(124)를 방향성 캐스터로 제작하는 것은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여기서 회전브라켓(124c)이 설치되는 앞바퀴몸체(124a)의 앞부분은 아래쪽으로 약간 경사진 형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장치(100)의 뒤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갖는 앞바퀴고정틀(122)에 앞바퀴몸체(124a)를 끼우면 앞바퀴몸체(124a)의 앞부분의 경사진 부분은 지면과 평행이 형태가 되며, 방향성 캐스터인 바퀴(124d)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회전할 수 있다.Here, the front portion of the
사용자는 앞바퀴(124)를 끼운 상태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방식으로 운동을 할 수도 있고, 앞바퀴(124)를 빼고 뒷바퀴만 내린 상태에서 힐리스처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user may exercise in the same manner as the inline skate while the
앞바퀴몸체(124a)에는 탄성력에 의해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걸림돌기(124e)와, 누르면 걸림돌기(124e)가 안으로 들어가는 탈착버튼(124f)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앞바퀴(124)를 밑창(102)에 끼울 때에는 앞바퀴몸체(124e)를 밀어 넣어서 고정하고, 뺄 때에는 탈착버튼(124f)을 눌러서 빼내면 된다.The
걸림돌기(124e)와 탈착버튼(124f)의 구조와 동작은 일반적인 결합장치(버클 등)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내부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신발 100 : 고정장치
102 : 밑창 104 : 후방고정밴드
106 : 전방고정밴드 108 : 회전프레임
110 : 바퀴 112 : 레버
114 : 상부고정판 116 : 중심회전축
118 : 스프링 120 : 너트
122 : 앞바퀴고정틀 124 : 앞바퀴50: shoe 100: fixing device
102: Sole 104: Rear fixing band
106: front fixing band 108: rotation frame
110: wheel 112: lever
114: upper fixing plate 116: center rotation shaft
118
122: front wheel fixing frame 124: front wheel
Claims (5)
위쪽에는 상기 신발(50)을 고정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104, 106)를 포함하며, 아래쪽 가운데 측면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밑창(102)과;
상기 밑창(102)의 오목한 부분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신발(50)의 앞쪽에 지면에 평행하게 놓여있는 중심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뒤쪽에는 바퀴(110)가 끼워지는 회전프레임(108)과;
상기 회전프레임(108)의 상부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평판형 몸체의 밑면에 레버고정구(114a)가 형성되는 상부고정판(114)과;
회전축이 상기 레버고정구(114a)에 삽입되어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08)의 윗면과 접촉하면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108)을 상기 회전중심축(11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도록 밀어내는 레버(112)와;
상기 회전프레임(108)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스프링(118);을 포함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As a device fixed to the bottom of the shoe (50) alternately used for walking and exercise,
A sole 102 which includes two bands 104 and 106 for fixing the shoe 50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lower middle side thereof having a concave structure;
The left and right pairs are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sole 102,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center rotation shaft 116 lying parallel to the ground in front of the shoe 50, A rotating frame 108 into which the wheel 110 is fitted;
An upper fixing plate 114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s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frame 108 and having a lever fixing tool 114a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lat body;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lever fixture (114a)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frame 108 by the cam action to rotate the rotating frame 108 to the rotating center shaft 116 A lever 112 that pushes downward to rotate to the center;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comprising a; spring (118) for generating a restoring force is raised upward.
상기 회전프레임(108)은 가운데 몸체가 V자 형태로 아래쪽으로 절곡된 상태이며,
두 갈래로 갈라져서 그 사이에 상기 바퀴(110)를 끼우는 뒤쪽의 바퀴보호부(108a)와;
상기 중심회전축(116)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앞쪽의 회전축삽입부(108b)와;
상기 V자로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바퀴보호부(108a)에 더 가까운 쪽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08c)와;
상기 바퀴보호부(108a)의 안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8)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돌기(108d);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frame 108 i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body is bent downward in the V shape,
A rear wheel protector 108a split into two and sandwiching the wheel 110 therebetween;
A front rotation shaft inserting portion 108b formed to penetrate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fit the center rotation shaft 116;
A stopper (108c) protruding on a side closer to the wheel protector (108a) bas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V;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consisting of; a spring fixing protrusion (108d) is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wheel protector (108a) is fixed to one end of the spring (118).
상기 상부고정판(114)은 상기 밑창(102)의 윗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112)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레버고정구(114a)와;
상기 중심회전축(116)이 끼워지는 앞쪽의 회전축삽입부(114b)와;
상기 스프링(118)의 타측 말단이 고정되는 뒤쪽의 스프링고정돌기(114c);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fixing plate 11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102,
A lever fixture 114a into which a rotation shaft of the lever 112 is rotatably inserted;
A front rotation shaft inserting portion 114b into which the center rotation shaft 116 is fitted;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consisting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14c) of the rear of the other end of the spring 118 is fixed.
상기 중심회전축(116)은 좌우의 회전프레임(108)과 상부고정판(114)에 각각 끼워지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눠지며, 상기 중심회전축(116)의 두 개의 부분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116a)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부분을 하나의 너트(120)의 좌우측에서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entral rotation shaft 116 is divided into two parts that are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frame 108 and the upper fixing plate 114, respectively, and two parts of the central rotation shaft 116 are opposite threads (116a)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arts screw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one nut (120),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상기 밑창(102)의 앞부분에 매립 설치되는 앞바퀴고정틀(122)과;
상기 앞바퀴고정틀(124)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124);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124)는 방향성 캐스터인 바퀴(124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ront wheel fixing frame 122 embedded in a front portion of the sole 102;
And further including; a front wheel 124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fixing frame 124.
The front wheel 124 is a directional ca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124d is installed,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8361A KR101256365B1 (en) | 2012-01-27 | 2012-01-27 |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
| PCT/KR2012/000738 WO2013111919A1 (en) | 2012-01-27 | 2012-01-31 | Removable wheel fix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8361A KR101256365B1 (en) | 2012-01-27 | 2012-01-27 |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56365B1 true KR101256365B1 (en) | 2013-04-25 |
Family
ID=484434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83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6365B1 (en) | 2012-01-27 | 2012-01-27 |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56365B1 (en) |
| WO (1) | WO2013111919A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79713B1 (en) | 2014-02-06 | 2015-01-06 | 손양현 | Detachable wheel Shoes |
| KR101486145B1 (en) | 2013-07-01 | 2015-01-26 | 김영천 | quick walking sho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FR3046084A1 (en) * | 2015-12-29 | 2017-06-30 | Abdelkader Behlouli | DEVICE FOR AIDING THE PROPULSION OF A NON-MOTORIZED TROTTINET |
| CN114570006B (en) * | 2022-02-17 | 2023-06-06 | 武汉理工大学 | An electric magnetic levitation sho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35945A (en) * | 2003-10-13 | 2005-04-20 | 김재천 | Attachable walking device for in-line skate |
| KR20080077716A (en) * | 2007-02-21 | 2008-08-26 | 김덕기 | Shoe detachable rolle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85424A (en) * | 2001-05-08 | 2002-11-16 | 장순식 | Roller shoes with usual shoes |
| KR100543832B1 (en) * | 2003-10-28 | 2006-01-23 | 김병갑 | Roller shoes with movable lifting landing structure |
| KR200348256Y1 (en) * | 2004-01-19 | 2004-04-28 | 나승협 | Multi functional roller skate which can be attached to shoe |
| KR20110100897A (en) * | 2010-03-05 | 2011-09-15 | 김현 | Roller skating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361A patent/KR1012563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31 WO PCT/KR2012/000738 patent/WO20131119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35945A (en) * | 2003-10-13 | 2005-04-20 | 김재천 | Attachable walking device for in-line skate |
| KR20080077716A (en) * | 2007-02-21 | 2008-08-26 | 김덕기 | Shoe detachable roller devic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6145B1 (en) | 2013-07-01 | 2015-01-26 | 김영천 | quick walking shoes |
| KR101479713B1 (en) | 2014-02-06 | 2015-01-06 | 손양현 | Detachable wheel Sho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3111919A1 (en) | 2013-08-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30157405A1 (en) |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 |
| ES2773862T3 (en) | Automated Tightening Shoe | |
| KR101506676B1 (en) |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 |
| JP5451604B2 (en) | Automatic tightening shoes | |
| US9009992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member | |
| KR100853052B1 (en) | Extendable inline skates | |
| WO2006016254A3 (en) | Sports shoes, in particular for playing golf | |
| KR101256365B1 (en) |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 |
| JP2002501396A (en) | Footwear device with grind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US7341261B2 (en) | Skate | |
| HUP0400271A2 (en) | Sport shoe with improved features | |
| US20080265532A1 (en) | Roller skate | |
| US20110113653A1 (en) | Device for transforming on demand a city shoe into a sports shoe and shoes adapted to said device | |
| KR101430211B1 (en) |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 |
| KR200371542Y1 (en) | Roller skates being combinable and separable on shoes | |
| KR101430212B1 (en) | In-line skate with braking means | |
| KR101252716B1 (en) | Adhesion device of shoes that can made quicker movement | |
| KR200358899Y1 (en) | Binding for snowboard | |
| KR20080038610A (en) | Boots for P-Sporting Goods | |
| KR200395815Y1 (en) | Zigzag skate | |
| KR101741064B1 (en) | Attachable Inline Skates | |
| KR200348286Y1 (en) | In-line roller skate | |
| KR20100009634U (en) | roller skate | |
| KR20160134448A (en) | Functional shoe with easy putting on and taking off | |
| CA2391099A1 (en) | Toe hol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604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41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