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565B1 -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 Google Patents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6565B1 KR101256565B1 KR1020120002791A KR20120002791A KR101256565B1 KR 101256565 B1 KR101256565 B1 KR 101256565B1 KR 1020120002791 A KR1020120002791 A KR 1020120002791A KR 20120002791 A KR20120002791 A KR 20120002791A KR 101256565 B1 KR101256565 B1 KR 101256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ource
- unit
- output
- backrest
- amplif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위한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100)의 사용자 등이 닿는 부분을 진동시키는 장치로서,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무선 수신부(20);
유선으로 제공되는 음원과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중에 어느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여 두 경로로 출력하는 음원 선택부(30);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이어폰으로 제공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이어폰 출력부(40);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다른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진폭크기를 조정하는 진폭크기 조정부(50);
상기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여 전치 증폭하는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
상기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을 메인 증폭하는 메인 증폭부(80); 및
상기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등받이(100)를 진동시키는 진동출력 스피커(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90)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90)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등받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음악 등에 따른 다양한 리듬에 의한 진동을 체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is extracte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is amplified, and a vibration output speaker is driven by the amplified sound sou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rest vibration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for vibrating a front surface of a backrest,
An apparatus for vibrating a portion of a backrest (100) installed in a backrest (100)
A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0)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wirelessly provided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tter (10);
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for selecting either one of a sound source provided as a wired line and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ing unit (20)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two paths;
An earphone output unit 40 receiving an output of one of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and generating an audio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earphone;
An amplitude magnitude adjusting unit (50) for adjusting amplitude magnitudes by receiving another one of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30);
A low pass and pre-amplifying unit 60 for extracting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from the output of the amplitude adjusting unit 50 and pre-amplifying the sound source;
A main amplifier 80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from the low pass and pre-amplifier 60; And
A vibration output speaker 90 driven by the main amplified output from the main amplifier 80 to vibrate the back 100;
And a control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is extracte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by wire or wireless, a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is amplified, and a vibration output speaker 90 is driven by the amplified sound source,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100 adjoining o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100 is vibrated, the user using the backrest 100 is able to sense the vibration due to various rhythms according to music or the l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위한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vibration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in particular,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is extracte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by wire or wireless, and a sound source of the low- And a sound source for vibrating a front surface of a back which is adjacent to or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output speaker.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의자에 앉아 음악을 듣거나 드라마나 영화를 시청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의 등받이를 의자 안쪽 등이 닿는 쪽에 놓고 음악을 듣거나 드라마나 영화를 시청하게 되는 경우도 흔히 있다.
Typically, users sit in their chairs, listen to music, watch dramas and movies. At this time, the user often places a separate backrest on the side of the back of the chair to listen to music or watch a drama or a movie.
이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5-0030867호 '등받이용 진동 쿠션'은,Regarding thi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5-0030867, "Vibration cushion for backrest"
솜이나 스폰지 등의 탄성재로 된 심재(2)를 외피(1)의 내부에 넣어서 방석형의 등받이용 쿠션(A)을 형성함에 있어서,In forming a cushion A for a back cushion by inserting a core member 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otton or sponge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casing 1,
외피(1) 전면의 등받이면(B)에 영구자석으로 된 지압돌기(3)를 다수로 배열 부착하여 인체의 등이나 허리부에 접촉되게 하고,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3 made of permanent magnets are arranged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B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hell 1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or back of the human body,
심재(2)의 중앙에는 건전지를 이용하는 공지의 진동기(4)를 내장하여 쿠션 전체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게 구성된다.
A known vibrator (4) using a battery is incorporated in the center of the core (2) so that vibrations can be generated throughout the cush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등받이용 진동 쿠션은 쿠션 전체에 진동이 발생되기는 하지만 그 진동은 단순하기 때문에, 이 등받이용 진동 쿠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단순한 진동만을 느낄뿐, 음악 등에 따른 다양한 리듬에 의한 진동을 체감할 수는 없다.
However, since the vibration of the back cush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generated in the entire cushion but the vibration is simple, the user who uses the back cushion vibration cushion only senses only the vibration, You can not feel the vibr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위한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output apparatus and a sound output apparatus which extract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by wire or wireless, amplify the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rest vibrating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for vibrating a front surface of a backrest adjacent to or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a vibration output speak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등받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100)의 사용자 등이 닿는 부분을 진동시키는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vibrating a portion of a backrest (100) installed in a backrest (100)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무선 수신부(20);A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0)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wirelessly provided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tter (10);
유선으로 제공되는 음원과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중에 어느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여 두 경로로 출력하는 음원 선택부(30);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for selecting either one of a sound source provided as a wired line and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ing unit (20)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two paths;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이어폰으로 제공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이어폰 출력부(40);An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다른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진폭크기를 조정하는 진폭크기 조정부(50);An amplitude magnitude adjusting unit (50) for adjusting amplitude magnitudes by receiving another one of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30);
상기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여 전치 증폭하는 로우패스(low pass) 및 프리 증폭부(60);A low pass and
상기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을 메인 증폭하는 메인 증폭부(80); 및A
상기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등받이(100)를 진동시키는 진동출력 스피커(90);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상기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와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는 2.4G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 and the sound source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는,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0)
상기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변조된 음원을 수신하여 복조해서 원래의 음원을 추출하는 무선 수신부(22); 및A
상기 무선 수신부(22)로부터 제공되는 원래의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음원 선택부(30)로 제공하는 음원 증폭부(24);A sound source amplifying unit (24) for amplifying an original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radio receiver (22) and providing the amplified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selector (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상기 음원 선택부(30)는 잭(jack)으로 구성되고 상기 잭에 꽂아진 플러그(plug)를 통해 상기 유선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ound
상기 이어폰 출력부(40)는,The earphone output unit (40)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음량을 조정하는 음량 조정부(42); 및A volume adjusting unit (42) for adjusting the volume by receiving one path output of the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30); And
상기 음량 조정부(42)가 출력하는 음량이 조정된 음원을 이어폰용으로 증폭하는 음원 증폭부(44);A sound source amplifying unit (44) for amplifying the sound source adjusted by the volume adjusting unit (42) for earphone u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상기 진동출력 스피커(90)는 상기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자신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상기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는,The low pass and pre-amplification
제1, 제2 반전 입력단(IN1-, IN2-), 제1, 제2 비반전 입력단(IN1+, IN2+) 및 제1, 제2 출력단(OUT1, OUT2)으로 이루어지는 듀얼 연산 증폭기(62)를 구비하고 캐패시터(C7)는 상기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을 받아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으로 제공하며,And a dual
상기 제1 비반전 입력단(IN1+)과 접지 사이에 저항기(R19) 및 캐패시터(C9)가 병렬로 접속되고 저항기(R17)는 전원과 상기 제1 비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되며,A resistor R19 and a capacitor C9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on-inverting input IN1 + and ground and a resistor R17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first non-inverting input IN1 +
상기 제2 출력단(OUT2)의 출력은 직력 연결된 캐패시터(C5) 및 저항기(R12)를 차례로 통해 상기 메인 증폭부(80)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출력단(OUT2)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C8),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가 차례로 직렬 연결되며,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supplied to the main amplifying
상기 제2 비반전 입력단(IN2+)은 상기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의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입력단(IN2-)은 상기 제2 출력단(OUT2)에 접속되며,The second non-inverting input IN2 +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resistor R18 and the capacitor C10 and the second inverting input IN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OUT2,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은 직렬 연결된 저항기(R15, R16)를 차례로 통해 상기 캐패시터(C8) 및 저항기(R18)의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기(R15, R16)의 점접은 상기 제1 출력단(OUT1)에 접속되며,The first inverting input terminal IN1-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capacitor C8 and the resistor R18 in order of resistors R15 and R16 connected in series and the pointed ends of the resistors R15 and R16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IN1- (OUT1)
캐패시터(C6)는 상기 제1 출력단(OUT1)과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apacitor C6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put OUT1 and the first inverting input IN1-.
본 발명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90)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90)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등받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음악 등에 따른 다양한 리듬에 의한 진동을 체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is extracte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is amplified, and 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원 무선 수신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출력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ckrest vibration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shown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arphone output unit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ckrest in which a backrest vibration device using the sound sour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ow-pass and pre-amplifying unit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음원 무선 송신부(10), 음원 무선 수신부(20), 음원 선택부(30), 이어폰 출력부(40), 진폭크기 조정부(50),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 메인 증폭부(80) 및 진동출력 스피커(9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ckrest vibrating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tter 10; A low pass and pre-amplifying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원 무선 수신부(2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출력부(4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등받이(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ound source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는 도 4와 같은 등받이(10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도 4와 같은 등받이(100) 외에 다른 형태의 등받이 내부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1 to 5, a backrest vibration apparatus us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내의 음원 무선 수신부(20)는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수신하여 음원 선택부(30)로 제공한다. 이때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와 음원 무선 수신부(2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는 2.4GHz이다.The sound source
위에서 설명된 음원 무선 수신부(20)의 일 실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무선 수신부(22)는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변조된 음원을 수신하여 복조해서 원래의 음원을 추출하여 음원 증폭부(24)로 제공한다.2, the
음원 증폭부(24)는 무선 수신부(22)로부터 제공되는 원래의 음원을 증폭하여 음원 선택부(30)로 제공한다. 이때 음원 증폭부(24) 및 하기의 각 증폭부의 각 증폭도는 전체 장치의 구성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
The sound
음원 선택부(30)는 유선으로 제공되는 음원과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중에 어느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여 두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음원 선택부(30)는 잭으로 구성되고 잭에 꽂아진 플러그를 통해 유선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차단한다.
The sound
이어폰 출력부(40)는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이어폰으로 제공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The
이와 같은 이어폰 출력부(40)의 일 실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먼저 음량 조정부(42)는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음량을 조정하여 음원 증폭부(44)로 제공한다. 이때 음량 조정부(42)는 가변 저항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음원 증폭부(44)는 음량 조정부(42)가 출력하는 음량이 조정된 음원을 이어폰용으로 증폭한다.
The sound
진폭크기 조정부(50)는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다른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진폭크기를 조정하여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로 제공한다. 이때 진폭크기 조정부(50)는 가변 저항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는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여 전치 증폭하여 메인 증폭부(80)로 제공한다.The low pass and
메인 증폭부(80)는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을 메인 증폭하여 진동출력 스피커(90)로 제공한다.The
진동출력 스피커(90)는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자신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킨다.
The
한편, 위에서 설명된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의 실시 예를 보면, 먼저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 내의 듀얼 연산 증폭기(62)는 제1, 제2 반전 입력단(IN1-, IN2-), 제1, 제2 비반전 입력단(IN1+, IN2+) 및 제1, 제2 출력단(OUT1, OUT2)으로 이루어진다.The dual
캐패시터(C7)는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을 받아 제1 반전 입력단(IN1-)으로 제공하고 제1 비반전 입력단(IN1+)과 접지 사이에 저항기(R19) 및 캐패시터(C9)가 병렬로 접속되며, 저항기(R17)는 전원과 제1 비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된다.The capacitor C7 receives the output of the
제2 출력단(OUT2)의 출력은 직력 연결된 캐패시터(C5) 및 저항기(R12)를 차례로 통해 메인 증폭부(80)로 제공되고 제2 출력단(OUT2)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C8),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가 차례로 직렬 연결된다.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supplied to the
제2 비반전 입력단(IN2+)은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의 접점에 연결되고 제2 반전 입력단(IN2-)은 제2 출력단(OUT2)에 접속된다.The second non-inverting input IN2 + is connected to the contact of the resistor R18 and the capacitor C10 and the second inverting input IN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OUT2.
제1 반전 입력단(IN1-)은 직렬 연결된 저항기(R15, R16)를 차례로 통해 캐패시터(C8) 및 저항기(R18)의 접점에 연결되고 저항기(R15, R16)의 점접은 제1 출력단(OUT1)에 접속된다.The first inverting input IN1-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capacitor C8 and the resistor R18 in order of the resistors R15 and R16 connected in series and is connected to the pointed first output OUT1 of the resistors R15 and R16 Respectively.
캐패시터(C6)는 제1 출력단(OUT1)과 제1 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된다.
The capacitor C6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put OUT1 and the first inverting input IN1-.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으로 진동출력 스피커(90)를 구동시킴으로써 진동출력 스피커(90)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등받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음악 등에 따른 다양한 리듬에 의한 진동을 체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is extracted from a sound source provided by wire or wireless, a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is amplified, and a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음원 무선 송신부
20: 음원 무선 수신부
22: 무선 수신부
24, 44: 음원 증폭부
30: 음원 선택부
40: 이어폰 출력부
42: 음량 조정부
50: 진폭크기 조정부
60: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
80: 메인 증폭부
90: 진동출력 스피커
100: 등받이10: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tter
20: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2:
24, 44: sound source amplification unit
30: Sound source selection unit
40: Earphone output section
42:
50: Amplitude resizing section
60: Low pass and pre-
80: main amplifier section
90: Vibrating Output Speaker
100: Backrest
Claims (7)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무선 수신부(20);
유선으로 제공되는 음원과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중에 어느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여 두 경로로 출력하는 음원 선택부(30);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이어폰으로 제공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이어폰 출력부(40);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다른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진폭크기를 조정하는 진폭크기 조정부(50);
상기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여 전치 증폭하는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
상기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을 메인 증폭하는 메인 증폭부(80); 및
상기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등받이(100)를 진동시키는 진동출력 스피커(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An apparatus for vibrating a portion of a backrest (100) installed in a backrest (100)
A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0)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wirelessly provided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tter (10);
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for selecting either one of a sound source provided as a wired line and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ing unit (20)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two paths;
An earphone output unit 40 receiving an output of one of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and generating an audio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earphone;
An amplitude magnitude adjusting unit (50) for adjusting amplitude magnitudes by receiving another one of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30);
A low pass and pre-amplifying unit 60 for extracting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from the output of the amplitude adjusting unit 50 and pre-amplifying the sound source;
A main amplifier 80 for main amplifying the output from the low pass and pre-amplifier 60; And
A vibration output speaker 90 driven by the main amplified output from the main amplifier 80 to vibrate the back 100;
Wherein the backrest vibrating device includes a sound source.
상기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와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는 2.4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 and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ption unit (20) is 2.4 GHz.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는,
상기 외부의 음원 무선 송신부(1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변조된 음원을 수신하여 복조해서 원래의 음원을 추출하는 무선 수신부(22); 및
상기 무선 수신부(22)로부터 제공되는 원래의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음원 선택부(30)로 제공하는 음원 증폭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er (20)
A radio receiving unit 22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modulated sound source wirelessly provided from the external sound sourc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 and extracting the original sound source; And
A sound source amplifying unit (24) for amplifying an original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radio receiver (22) and providing the amplified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selector (30);
Wherein the backrest vibrating device includes a sound source.
상기 음원 선택부(30)는 잭(jack)으로 구성되고 상기 잭에 꽂아진 플러그(plug)를 통해 상기 유선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음원 무선 수신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30 is configured as a jack and blocks the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wireless receiving unit 20 when the wir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a plug plugged into the jack Back vibrating device using a sound source.
상기 이어폰 출력부(40)는,
상기 음원 선택부(30)의 두 경로 출력 중 하나의 경로 출력을 제공받아 음량을 조정하는 음량 조정부(42); 및
상기 음량 조정부(42)가 출력하는 음량이 조정된 음원을 이어폰용으로 증폭하는 음원 증폭부(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phone output unit (40)
A volume adjusting unit (42) for adjusting the volume by receiving one path output of the two path outputs of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30); And
A sound source amplifying unit (44) for amplifying the sound source adjusted by the volume adjusting unit (42) for earphone use;
Wherein the backrest vibrating device includes a sound source.
상기 진동출력 스피커(90)는 상기 메인 증폭부(80)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증폭된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자신의 앞면에 인접되거나 붙어 있는 상기 등받이(100)의 앞면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output speaker (90) is driven by a main amplified output from the main amplifying unit (80) to vib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100) adjacent to o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ng output speaker Used backrest vibration device.
상기 로우패스 및 프리 증폭부(60)는,
제1, 제2 반전 입력단(IN1-, IN2-), 제1, 제2 비반전 입력단(IN1+, IN2+) 및 제1, 제2 출력단(OUT1, OUT2)으로 이루어지는 듀얼 연산 증폭기(62)를 구비하고 캐패시터(C7)는 상기 진폭크기 조정부(50)의 출력을 받아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으로 제공하며,
상기 제1 비반전 입력단(IN1+)과 접지 사이에 저항기(R19) 및 캐패시터(C9)가 병렬로 접속되고 저항기(R17)는 전원과 상기 제1 비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출력단(OUT2)의 출력은 직력 연결된 캐패시터(C5) 및 저항기(R12)를 차례로 통해 상기 메인 증폭부(80)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출력단(OUT2)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C8),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가 차례로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2 비반전 입력단(IN2+)은 상기 저항기(R18) 및 캐패시터(C10)의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입력단(IN2-)은 상기 제2 출력단(OUT2)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은 직렬 연결된 저항기(R15, R16)를 차례로 통해 상기 캐패시터(C8) 및 저항기(R18)의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기(R15, R16)의 점접은 상기 제1 출력단(OUT1)에 접속되며,
캐패시터(C6)는 상기 제1 출력단(OUT1)과 상기 제1 반전 입력단(IN1-) 사이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 pass and pre-amplification unit 60,
And a dual operational amplifier 62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inverting input terminals IN1- and IN2-, first and second noninverting input terminals IN1 + and IN2 + and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And the capacitor C7 receives the output of the amplitude resizing unit 50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inverting input IN1-,
A resistor R19 and a capacitor C9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on-inverting input IN1 + and ground and a resistor R17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first non-inverting input IN1 +
The output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supplied to the main amplifying unit 80 through a capacitor C5 and a resistor R12 connected in series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and the ground through a capacitor C8, A resistor R18 and a capacitor C10 are serially connected in order,
The second non-inverting input IN2 +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resistor R18 and the capacitor C10 and the second inverting input IN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OUT2,
The first inverting input terminal IN1-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capacitor C8 and the resistor R18 in order of resistors R15 and R16 connected in series and the pointed ends of the resistors R15 and R16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IN1- (OUT1)
And the capacitor (C6)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first inverting input terminal (IN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2791A KR101256565B1 (en) | 2012-01-10 | 2012-01-10 |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2791A KR101256565B1 (en) | 2012-01-10 | 2012-01-10 |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56565B1 true KR101256565B1 (en) | 2013-04-19 |
Family
ID=484435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27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6565B1 (en) | 2012-01-10 | 2012-01-10 |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56565B1 (en)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865185A (en) * | 2018-12-24 | 2019-06-11 | 洪文学 | A kind of therapeutic device with multidimensional stimuli function |
| WO2019212132A1 (en) * | 2018-04-30 | 2019-11-07 | 주식회사 비츠나인 | Vibration system using sound |
| KR20210064626A (en) * | 2019-11-26 | 2021-06-03 | 최남식 | Vibration like chair system using vibrator speaker mechanism |
| CN112927717A (en) * | 2019-12-06 | 2021-06-08 | 喜来健株式会社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hronous low-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same |
| US11642276B2 (en) | 2019-03-14 | 2023-05-09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ccumulation of input |
| US11793712B2 (en) | 2019-03-14 | 2023-10-2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an alarm |
| US11896911B2 (en) | 2019-03-01 | 2024-02-13 | Hytto Pte.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using an accessory |
| US11938078B2 (en) | 2019-03-14 | 2024-03-26 | Hytto Pte. Ltd. | Interactive sex toy with sensory feedback |
| US12048882B2 (en) | 2019-03-01 | 2024-07-30 | Hytto Pte.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using an accessory |
| US12171708B2 (en) | 2019-03-01 | 2024-12-2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controlling devices |
| US12193987B2 (en) * | 2019-03-14 | 2025-01-1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sound |
| US12251352B2 (en) | 2019-03-14 | 2025-03-18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based on distan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23395A (en) * | 1996-09-30 | 1998-07-06 | 배순훈 | Vibration Device and Vibration Control Method of Chair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
| KR200300097Y1 (en) | 2002-07-24 | 2003-01-14 | 주식회사 디유전자 | Neck massage device by using vibro speaker |
| JP2006289006A (en) | 2005-04-11 | 2006-10-26 | Tamagawa Kasei:Kk | Somesthetic vibration cushion and usage |
| KR20110009488U (en) * | 2010-03-31 | 2011-10-06 | 손쾌수 | Acoustic vibrating style rhythm chair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2791A patent/KR1012565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23395A (en) * | 1996-09-30 | 1998-07-06 | 배순훈 | Vibration Device and Vibration Control Method of Chair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
| KR200300097Y1 (en) | 2002-07-24 | 2003-01-14 | 주식회사 디유전자 | Neck massage device by using vibro speaker |
| JP2006289006A (en) | 2005-04-11 | 2006-10-26 | Tamagawa Kasei:Kk | Somesthetic vibration cushion and usage |
| KR20110009488U (en) * | 2010-03-31 | 2011-10-06 | 손쾌수 | Acoustic vibrating style rhythm chair |
Cited By (2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9212132A1 (en) * | 2018-04-30 | 2019-11-07 | 주식회사 비츠나인 | Vibration system using sound |
| US11323814B2 (en) | 2018-04-30 | 2022-05-03 | Beatsnine Inc. | Vibration system using sound |
| CN109865185A (en) * | 2018-12-24 | 2019-06-11 | 洪文学 | A kind of therapeutic device with multidimensional stimuli function |
| US12048882B2 (en) | 2019-03-01 | 2024-07-30 | Hytto Pte.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using an accessory |
| US11896911B2 (en) | 2019-03-01 | 2024-02-13 | Hytto Pte.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using an accessory |
| US12171708B2 (en) | 2019-03-01 | 2024-12-2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controlling devices |
| US11642276B2 (en) | 2019-03-14 | 2023-05-09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ccumulation of input |
| US12193987B2 (en) * | 2019-03-14 | 2025-01-1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sound |
| US11980583B2 (en) | 2019-03-14 | 2024-05-1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ccumulation of input |
| US12251352B2 (en) | 2019-03-14 | 2025-03-18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based on distance |
| US11793712B2 (en) | 2019-03-14 | 2023-10-24 | Hytto Pte. Ltd.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an alarm |
| US11938078B2 (en) | 2019-03-14 | 2024-03-26 | Hytto Pte. Ltd. | Interactive sex toy with sensory feedback |
| KR102357809B1 (en) * | 2019-11-26 | 2022-01-28 | 최남식 | Vibration like chair system using vibrator speaker mechanism |
| KR20210064626A (en) * | 2019-11-26 | 2021-06-03 | 최남식 | Vibration like chair system using vibrator speaker mechanism |
| US11712563B2 (en) | 2019-12-06 | 2023-08-01 | Ceragem Co., Ltd.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
| CN112927717B (en) * | 2019-12-06 | 2024-06-07 | 喜来健株式会社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hronous low-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same |
| KR102371340B1 (en) * | 2019-12-06 | 2022-03-07 | 주식회사 세라젬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
| WO2021112599A3 (en) * | 2019-12-06 | 2021-07-22 | 주식회사 세라젬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same |
| KR20210071443A (en) * | 2019-12-06 | 2021-06-16 | 주식회사 세라젬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
| CN112927717A (en) * | 2019-12-06 | 2021-06-08 | 喜来健株式会社 |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hronous low-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56565B1 (en) | Back of a chair vibration apparatus by using a sound source | |
| KR101513459B1 (en) | Personal media playing system | |
| US9461529B2 (en) | Tactile low frequency transducer | |
| AU2014312201B2 (en) | Multistage tactile sound device | |
| US9763490B2 (en) | Vibrating footwear device and entertainment system for use therewith | |
| US9924251B2 (en) | Transducer holder | |
| US8131321B2 (en) | Vibration motor as a transducer of audio | |
| EP3002958B1 (en) | Tactile low frequency transducer | |
| US20150146893A1 (en) | Body-sensitive vibration headphone | |
| MXPA05009695A (en) |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pad and system. | |
| TWM600510U (en) | Wearable device with audio somatosensory function | |
| RU147091U1 (en) | SOUND INFORMATION DEVICE | |
| JP2012050003A (en) | Electroacoustic transduction apparatus and electroacoustic transduction method | |
| CN209861147U (en) | Chair cushion and chair are competed to electricity | |
| US101925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ow frequency vibrations via a tactile feedback device | |
| WO2005109950A1 (en) | Bone conduction and wireless receiving set | |
| CN206212241U (en) | A kind of audio amplifier circuit and its headphone | |
| JP2012033988A (en) | Method for generating super deep bass sound | |
| KR20190127621A (en) | Computer game system having vibration device detachable type chair | |
| JPWO2015079598A1 (en) | Experience vibration headphones | |
| KR102223474B1 (en) | Wearable acoustic device | |
| KR200494601Y1 (en) |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including audio input plug an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WO2017173506A1 (en) | Headphones and their use | |
| KR20150056952A (en) | Vibration plate system for sensing low tone vibration | |
| KR101187468B1 (en) | Brain waves inducing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inside of audio frequency range and the signal produc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4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4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