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6918B1 -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 Google Patents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18B1
KR101256918B1 KR1020110135656A KR20110135656A KR101256918B1 KR 101256918 B1 KR101256918 B1 KR 101256918B1 KR 1020110135656 A KR1020110135656 A KR 1020110135656A KR 20110135656 A KR20110135656 A KR 20110135656A KR 101256918 B1 KR101256918 B1 KR 10125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quality
station node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9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32Generating service level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는 관리서버에서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는다. 제2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제3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한다. 제4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선정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시킨다.
본발명에 따른 서비스 확장성 관리 프레임워크와 방법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동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으며, 부하량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 호출을 동적 라우팅함으로써 서비스 시스템의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In the first step,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mobile node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In the second step,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the third step, the management server selects at least on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of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on a variable component among target services for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determined. In the fourth step,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performed.
Through the service scalability management framework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resources of the service system can be dynamically registered and managed, and the service system can be dynamically routed according to the load to maximize the scalability of the service system.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노드의 자원을 통합관리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 저하의 원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by proactively responding to a cause of deterioration of a cloud service by integrating and managing resources of all nodes. It's about that system.

모바일 컴퓨팅은 중앙연산처리장치(CPU), 메모리 등 독립적인 시스템을 구성하며 높은 휴대성과 이동성을 가지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된다. 하지만 휴대성, 이동성을 위한 소형화의 결과로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나 서버용 컴퓨터에 비하여 성능이 떨어진다.Mobile computing constitutes independent systems such as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emory, and is connected to other computer systems through a network with high portability and mobility. However, as a result of miniaturization for portability and mobility, performance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desktop computers or server computers.

최근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의 성능상 한계를 고려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아닌 외부에 위치시키는 서버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limitations of mobile computing, researches on server-based mobile applications and service-based mobile applications that place some functions of mobile applications outside of mobile devices have been conducted.

이러한 연구는 크게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품질 측정에 관한 영역, 측정된 품질을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영역, 부석된 결과를 토대로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 즉 서비스 확장성에 관한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These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he areas of measuring network and service quality, the technology of analyzing measured quality, and the technology of improving network and service quality, ie, service scalability, based on the negative results. have.

서비스 지향 컴퓨팅에서는 서비스 사용자 그룹이나 서비스 요청의 빈도가 미리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많은 양의 서비스 요청은 서비스 서버의 자원 고갈과 네트워크의 집중문제를 야기시켜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서비스 확장성 (Scalability) 이 충분히 높지 않을 때 발생한다. 낮은 수준의 확장성을 가진 서비스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지향 컴퓨팅에서는 소비자의 증가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보다 많은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확장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In service-oriented computing, the frequency of service user groups or service requests is not known in advance, so an unexpectedly large number of service requests can cause service server resource exhaustion and network congestion problems, thereby degrading the overall quality of the service. This problem occurs when service scalability is not high enough. Services with a low level of scalability lower user preferences. Therefore, in service-oriented computing, research on 'service scalability' for minimizing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and providing services to more consumers is required.

확장성에 대한 연구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베이스, 분산 컴퓨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동적 라우팅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중 노드에서 실행 중인 동일한 컴포넌트에 부하를 분산하거나, 데이터베이스의 복제와 동기화를 통한 부하분산, 혹은 태스크를 분할하여 병렬 처리하는 방식으로 확장성을 관리한다. 하지만, 서비스는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부하 발생량을 예측하기 힘들고,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피크타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의 특성으로 인하여 서비스 확장성에 대한 정의와 관련 메트릭, 확장성 관리 기법 등이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 즉, 각 분야에서 필요한 확장성 연구는 서비스 지향 컴퓨팅에서 서비스 확장성과 관련한 기반을 제공하지만, 이를 연관 지어서 서비스 수준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기법 등이 부족한 상황이다.Scalabilit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many fields, including networks, databases, and distributed computing. In the existing research, dynamic routing manages scalability by distributing load to the same components running on multiple nodes connected to the network, load balancing through replication and synchronization of a database, or by splitting tasks in parallel. However, since the service targets an unspecified number of consumer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 of load generated by the use of the service of the consumer, and there is a peak time in which the amount of load rapidly increas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ch services, the definition of service scalability, related metrics, and scalability management techniques must be newly defined. In other words, the scalability study required in each field provides the foundation for service scalability in service-oriented computing, but there is a lack of techniques for securing service level scalability by associating this.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전통적인 접근방법은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하여 시스템의 확장성을 높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일업 방법(Scale-UP)은 하나의 노드에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해당 노드의 물리적인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스케일 아웃(Scale-Out) 방법은 시스템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여 대상 시스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확장성 향상 기법은 하드웨어 설치 및 운영을 위해 시스템을 멈출 필요가 있고,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할수록 추가되는 자원에 대한 실제 확장성 향상 비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갖는다.The traditional approach to scalability is to add new hardware to increase the scalability of the system. In general, the scale-up method is to install additional hardware on one node to improve the physical processing capacity of the node, and the scale-out method is to add a new node to the system to target the system. It is to improve the processing power of. However, the hardware scalability improvement method needs to stop the system for hardwar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the problem of decreasing the actual scalability improvement rate for additional resources as new hardware is added.

Wang의 연구는 서비스기반 그리드환경에서 에이전트를 이용한 부하분산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모델은 여섯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고, 각 컴포넌트는 Global Scheduler(GS), Local Scheduler(LS), Balancer Agent(BA), Fault Tolerance Agent(FTA), History Information Database(HID), Load Monitoring Agent(LM) 이다. GS와 LS는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GS는 LS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BA는 GS와 LS에 탑재되어 부하분산을 수행하며, FTA는 결함 허용(fault tolerant)을 수행한다. HID는 부하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며 데이터는 GS에 저장 된다. LM은 서비스 인스턴스가 부담하고 있는 부하량을 감시한다. 여섯 개의 컴포넌트와 함께 부하 측정기법과 부하분산 기법을 제시하여 성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노드의 확장성이 고려되지 않아 제한된 노드만을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기대 이상으로 발생하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Wang의 연구는 'Wang, J., Wu, Q., Zheng, D., and Jia, Y., "Agent based Load Balancing Model for Service based Grid Applications," In proceedings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Security (CIS'2006), pp487-491, Guangzhou, China, Nov. 3-6, 2006.'에 기재되어 있다.Wang's research suggests a load balancing model using agents in a service-based grid environment. The presented model consists of six components, each of which is a Global Scheduler (GS), Local Scheduler (LS), Balancer Agent (BA), Fault Tolerance Agent (FTA), History Information Database (HID), and Load Monitoring Agent ( LM). GS and LS serve to distribute the load, and GS covers the realm of LS. The BA is mounted on the GS and LS to perform load balancing, while the FTA performs fault tolerant. The HID records data about the load and the data is stored in GS. The LM monitors the load on the service instance. Along with the six components, load measurement and load balancing techniques are presented to improve performance and scalability. However, since the scalability of the service node is not considered, only limited nodes should be used. Accordingly, a solution is needed to respond to service requests that occur beyond expectations. Wang's work is described in Wang, J., Wu, Q., Zheng, D., and Jia, Y., "Agent based Load Balancing Model for Service based Grid Applications," In proceedings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Security (CIS). 2006), pp 487-491, Guangzhou, China, Nov. 3-6, 2006. '.

Chawathe의 연구에서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확장성과 결함 회피를 제공하고 있다. 논문에서 제시하고 잇는 SNS(Scalable Network Services) 아키텍처는 중앙집중 형 관리자를 통해 부하분산과 노드 관리 그리고 결함에 대한 회피를 제공하고 있다. SNS에는 모든 노드를 관리하는 중앙관리자와 서비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Worker, 그리고 Worker에 포함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로서 중앙관리자의 연결을 위한 Worker Driver으로 구성된다. 중앙관리자는 노드의 Worker Driver로 부터 노드가 부담하는 부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부하분산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한다. 부하의 증가는 중앙관리자로부터 유휴노드를 Worker으로 참여시킨다. SNS는 중앙집중 형 관리로 인해 모든 Worker의 상황을 파악하고,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인 부하분산 및 확장성향상을 도모 한다. 그러나, 중앙집중 형 구성은 병목현상을 유발하기 쉽다. 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이 모두 집중되고 Worker간의 상호작용 또한 중앙관리자를 통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계과정에서 지연발생의 소지가 높다. 이러한 Chawathe의 연구는 'Chawathe, Y. and Brewer, E. A., "System Support for Scalable and Fault Tolerant Internet Services," In proceedings of the 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Systems Platforms and Open Distributed Processing, pp 71-88, London, UK, Sep. 1-1, 2009.'에 기재되어 있다.Chawathe's work is building a service network to provide scalability and fault avoidance. The SNS (Scalable Network Services) architecture presented in this paper provides load balancing, node management and defect avoidance through a centralized manager. The SNS consists of a central manager who manages all nodes, a worker who performs the functions of a service, and a worker driver for connecting the central manager as a library included in the worker. The central manager collects data about the load that the node bears from the worker driver of the node, and plans and executes load balancing. The increase in load involves idle nodes from the central manager as workers. SNS understands the situation of all workers due to centralized management and promotes effective load balancing and scalability improvement in the configured network. However, centralized configurations are likely to cause bottlenecks. Since all requests from service users are concentrated and worker interactions are also passed through the central manag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lay in the service relay process. Chawathe's work is described in Chawathe, Y. and Brewer, EA, "System Support for Scalable and Fault Tolerant Internet Services," In proceedings of the 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Systems Platforms and Open Distributed Processing, pp 71-88, London, UK, Sep. 1-1, 2009. '.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확장성 향상과 결함회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적인 노드 관리와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As such, many studies on scalability improvement and defect avoidance using the network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considering static node management and service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하드웨어적인 기법의 문제점인 정적인 노드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체 노드 및 서비스의 동적인 관리 방법 및 그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namic management method and means for managing all nodes and services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static node management, which is a problem of existing hardware techniques.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서비스 확장성뿐 아니라 서비스가 제공하는 전체 품질 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means for ensuring not only service scalability but also overall quality attributes provided by a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제1 단계에서는 관리서버에서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는다.In the first step,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mobile node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제2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second step,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제3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한다.In the third step, the management server selects at least on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of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on a variable component among target services for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determined.

제4 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선정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시킨다.In the fourth step,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performed.

또한 상기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선정은 목적 스테이션 노드 및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선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may include selecting a destination station node and a target station node.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은 부하분산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third step,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may further include a method of updating a load balancing table.

또한 상기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의 수행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erforming the service duplication process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제4a-1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전송된 리소스 정보를 참조하여 최대 가용 리소스를 구비한 스테이션 노드를 목적 스테이션 노드로 선정한다.In step 4a-1, the management server refers to the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node, and selects the station node having the maximum available resource as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제4a-2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의 정보를 서비스의 품질이 문제되는 대상 스테이션 노드에 전달한다.In step 4a-2,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to the target station node whose quality of service is a problem.

제4a-3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대상 서비스 중 가변 컴포넌트를 전송한다.In step 4a-3, the target station node transmits a variable component of the target service to the target station node.

또한 상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의 수행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erforming 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제4b-1단계에서는 품질 관리 대상인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가변적인 컴포넌트를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In step 4b-1, the target station node, which is a quality control target, transmits the variable component to the management server.

제4b-2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전송된 컴포넌트가 속하는 서비스의 형상을 제거한다.In step 4b-2, the target station node removes the shape of the service to which the transmitted component belongs.

제4b-3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전송된 리소스 정보를 참조하여 최대 가용 리소스를 구비한 스테이션 노드를 목적 스테이션 노드로 선정한다.In step 4b-3, the management server refers to the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rget station node, and selects the station node having the maximum available resource as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제4b-4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상기 전송된 가변 컴포넌트를 전송한다.In step 4b-4,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transmitted variable component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나아가 상기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 이후에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단계에서는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가 전송된 가변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설치하고 이용가능하도록 배치한다. 제6 단계에서는 목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수행된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Furthermore, the service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steps after the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In the fifth step,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dynamically installs and arranges the transmitted variable component. In the sixth step,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transmit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더 나아가 상기 제5단계에서 클래스 로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설치 및 배치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fifth step, the variable component can be dynamically installed and arranged using a class loading technique.

한편, 상기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 전과 후의 처리량을 비교하여 서비스 확장성을 측정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step of measuring service scalability by comparing throughput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또한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는 서비스의 기능을 구현한 클래스들의 집합인 서비스 구현체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component may include a service implementation and a service interface, which is a set of classes implementing a service function.

또한 제3 단계에서는 관리가 필요한 대상 스테이션 노드와 상기 스테이션 노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노드 간의 물리적 거리가 먼 경우, 응답 시간이 긴 경우,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및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될 때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tation node that needs management and the mobile node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tation node is far, when the response time is long, when the traffic of the target station node increases, and when the target station node 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can be selected when at least one of the resources is insufficient.

또한 제3 단계에서는 관리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량이 급증하거나 서비스 품질(QoS)이 품질 저하 상태인 경우에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the service replication process may be selected when the us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anaged station node increases rapidly or the quality of service (QoS) is in a degraded state.

복수의 모바일 노드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테이션 노드와 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In a cloud servic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obile nodes and a station node providing a service and a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모니터링 수단은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아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The monitoring means receives the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mobile node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한다.The quality management planning means selects at least on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of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on the variable components among the target services for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determined.

품질관리활동 실행수단은 상기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에 의하여 선정된 대상 노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종류 및 목적 노드에 따라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시킨다. The quality control activity executing means executes the quality control activity according to the target node, the type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and the target node selected by the quality control plan establishment means.

또한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는 서비스의 기능을 구현한 클래스들의 집합인 서비스 구현체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component may include a service implementation and a service interface, which is a set of classes implementing a service function.

한편, 복수의 모바일 노드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테이션 노드와 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션 노드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품질정보 전송수단은 상기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oud servic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obile nodes and a station node for providing a service and a management server, the stat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collects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품질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수행명령과, 목적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품질관리활동을 수행한다.The quality control means receives the execution command of any one of 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the service replication process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stination station node to perform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나아가, 상기 품질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수행 명령을 전송받는 경우 품질관리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lity control unit may transmit a variable component of the quality control target ser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a service migration process execution comm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다른 한편, 상기 품질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수행 명령과 목적 스테이션 노드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quality control means receives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execution command and destination station node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it may transmit the variable component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적인 하드웨어적 기법이 아닌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서비스 확장성 향상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동일한 자원 상황에서도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확장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calability improvement method is proposed in terms of software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hardware method, thereby increasing resource utilization even in the same resource situation and consequently improving service scal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운영 중에 동적으로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고 특정 노드에 서비스를 배치 운영하는 관리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전통적인 기법의 문제점인 자원의 정적 추가, 즉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기 위하여 서비스를 멈추어야 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new node dynamically during service operation and suggesting a management method for deploying and operating a service to a specific node, the limitation of static service addition, that is, the problem of stopping a service in order to add a new node,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Can overco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의 서비스 요청을 관리서버에 등록된 각 노드에 효율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추가되는 자원에 대한 실제 확장성 향상 비율을 높인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service request of the consumer to each nod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e ratio of improving the actual scalability of the added resources is increased.

즉, 본발명에 따른 서비스 확장성 관리 프레임워크와 방법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동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으며, 부하량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 호출을 동적 라우팅함으로써 서비스 시스템의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service scalability management framework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resources of the service system can be dynamically registered and managed, and the new service calls can be dynamically routed according to the load to maximize the scalability of the service system. have.

도 1은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QoS) 관리 프로세스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및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 따른 서비스 수준 품질 및 형상 수준의 품질의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적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 및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a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process of the cloud service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cloud service and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node ag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ion node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graph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state of service level quality and shape level qu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ss of a method for improv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otherwise defined or mentioned, terms indicating directions us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states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한편, 이하에서 서비스 타입이라 함은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서비스 자체를 말하며, 형상이라 함은 전체 관리 대상이 되는 다수의 서비스 타입과 모바일 앱(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service type refers to one service itself including a plurality of instances, and the shape refers to a plurality of service types and mobile apps (applications) to be managed entirely.

도 1에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QoS) 관리 프로세스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자율 관리 프로세스는 크게 형상의 품질을 평가하고,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품질과 각 서비스 유형별 품질, 각 유형별 서비스 인스턴스의 품질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활동 및 수행 계획을 수립한다. 수립된 품질 향상 계획에 따라 해당하는 노드 또는 관리 서버가 품질 활동향상 활동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수행된 품질 향상 활동의 결과에 따라서 변경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현재 구성을 관리서버에게 전달하고, 관리서버는 변경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기반으로 품질 측정 활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중에서도 특히 품질향상 활동의 계획을 수립과 품질향상 활동 수행에 주요 특징이 있다.
Figure 1 shows the overall flow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process of the cloud service system. The service quality autonomous management process largely evaluates the quality of the configur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need for quality control. It analyzes the overall quality of the cloud service system, the quality of each service type, and the quality of service instances of each type, and establishes activities and execution plan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quality improvement plan, the corresponding node or management server performs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performed,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changed cloud service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quality measurement activity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hanged cloud service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major features in the planning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및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및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Referring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cloud service and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 cloud service and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네트워크(10) 상에는 관리서버(100), 모바일 노드(200) 및 스테이션 노드(300)가 구비된다. 모바일 노드(2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드를 의미하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앱(220)과 서비스 품질관리를 위한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210)를 구비한다. 스테이션 노드(3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수의 인스턴스가 포함된 서비스 제공 수단(320)과, 서비스 품질관리를 위한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310)를 구비한다. 한편, 관리서버(100)는 모바일 노드(200) 및 스테이션 노드(300)를 포함한 전체 형상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매니저(110)와 각종 품질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및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서비스 품질 관리 방법을 해당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The management server 100, the mobile node 200, and the station node 300 are provided on the network 10 provided with the cloud service. The mobile node 200 refers to a node provided with a cloud service, and includes a service app 220 for using the cloud service and a mobile node agent 210 for service quality management. The station node 300 has a role of providing a cloud service, and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means 320 including a plurality of instances for providing a service, and a station node agent 310 for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 management manager 110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he overall shape including the mobile node 200 and the station node 300 and a data storage unit 130 storing various quality data. do. Hereinafter, specif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methods of cloud services and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mobile node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node ag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210)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211)을 구비한다.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210)의 측정수단(211)으로 리소스 측정수단(2111)과 응답시간 측정수단(2112)가 구비된다. 리소스 측정수단(2111)은 해당 노드 디바이스의 리소스 사용 상태를 측정한다. 리소스 측정수단은 해당 노드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대역폭, 배터리 량 등을 측정한다. 응답시간 측정수단(2112)은 서비스의 응답시간을 측정한다.The mobile node agent 210 is provided with measuring means 211 for measuring quality. As a measuring means 211 of the mobile node agent 210, a resource measuring means 2111 and a response time measuring means 2112 are provided. The resource measuring means 2111 measures a resource use state of the corresponding node device. Resource measuring means measures the CPU usage, memory usage, network bandwidth, battery level of the node. Response time measuring means 2112 measures the response time of the service.

한편, 동적 모바일 생태계(DME)의 상태는 시스템의 품질을 의미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품질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품질 모델의 표준으로 인정 받고 있는 ISO 9126[7]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품질 모델을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te of the dynamic mobile ecosystem (DME) means the quality of the system and a quality model is needed to measure it.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software can be determined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the monitoring quality model is determined using ISO 9126 [7], which is recognized as a standard for quality models.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효율성(Efficiency)을 품질 모델로 정하고, 소비시간(Time consumption)과 자원 효율성(Resource utilization) 속성을 정의한다. 특히 소비시간의 속성으로 응답시간(RT)을 선택하였다. 응답시간은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간부터 서비스 수행이 끝나고 결과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각 속성들의 메트릭은 아래의 표 1에 도시하였다. 자원 효율성으로는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배터리 량, 네트워크 대역폭이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is defined as a quality model, and the time consump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attributes are defined. In particular, response time (RT) was selected as an attribute of consumption time. Response time means the time required from the time of requesting the service required by the application to the completion of service execution and the transmission of the result to the application. Metrics of the respective attribut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Resource efficiency includes CPU usage, memory usage, battery usage, and network bandwidth.

<표 1>TABLE 1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1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1

품질정보 전송수단(212)은 측정수단(211)으로부터 측정된 서비스 품질 정보와 리소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품질 제어수단(214)은 관리서버에서 수립된 품질관리 활동 계획에 따라 품질관리 활동의 수행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The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12 periodically transmits the service quality information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measuring unit 211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e quality control means 214 serves to mediate the performance of quality contro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plan established at the management server.

도 4를 참조하여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station node ag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ion node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310)는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다만, 서비스의 제공측에 속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리소스 측정수단(311)을 구비하여 해당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를 측정하게 된다. 이외 품질정보 전송수단(312) 및 품질 제어수단(314)은 앞서 설명한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의 품질 정보 전송수단 및 품질 제어수단(314)과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Station node agent 310 functions similarly to mobile node agent. However, since it belongs to the service providing side, it is not necessary to measure the response time, and the resource measuring means 311 is provided to measure the resource of the corresponding station node. In addition, the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312 and the quality control means 314 play a similar role as the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and the quality control means 314 of the mobile node agent described above.

관리서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서버(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매니저(110)와 데이터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관리 매니저(110)는 앞서 설명한 모바일 노드 에이전트와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를 전달받아 품질을 평가하는 모니터링 수단(111)과 평가된 품질에 대응하여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시키는 관리수단(112)을 구비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 management manager 110 and a data storage unit 130. The management manager 110 receives the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node agent and the station node agent described above, and monitors 111 to evaluate the quality and manages to establish and execute a quality control plan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quality. Means 112 are provid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모니터링 수단(1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 따른 서비스 수준 품질 및 형상 수준의 품질의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The monitoring means 1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state of service level quality and shape level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품질정보 수집수단(1111)은 모바일 노드 및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서비스 품질 정보 및 리소스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다.The qualit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11 receives service quality information and resource stat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node and the station node.

품질 평가 수단(1112)은 모바일 노드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상태 정보로부터 서비스 인스턴스 수준의 품질, 서비스 타입 수준의 품질 및 형상 수준의 품질을 평가항목 별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서비스 타입 수준 품질과, 형상 수준의 품질을 평가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The quality evaluating means 1112 calculates the quality of the service instance level, the quality of the service type level, and the quality of the shape level from the service quality and the resourc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node for each evaluation item.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configuration level is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quality control process is performed.

품질 평가 항목은 서비스 인스턴스 수준의 효율성, 서비스 타입 수준의 효율성 및 전체 형상 수준의 효율성 세 가지로 세분화 될 수 있다.Quality assessment items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efficiency at the service instance level, efficiency at the service type level, and efficiency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level.

예를들어 서비스 인스턴스 수준의 효율성은 응답 시간(RT) 속성과 처리량(TP)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응답 시간(RT)의 속성을 갖는 평가 항목은 AVG_RTServiceInstance (Sj k)와 SD_RTServiceInstance(Sj k)이다. AVG_RTServiceInstance (Sj k)은 서비스 인스턴스가 기능을 수행하는데 걸린 평균 시간을 의미하며, SD_RTServiceInstance(Sj k)는 서비스 인스턴스가 기능을 수행하는데 걸린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RT 속성은 0 이상의 값을 갖게 되며 값이 높을수록 낮은 효율성을 나타낸다. 처리량의 속성을 갖는 평가 항목은 AVG_TPServiceInstance(Sj k)와, SD_TPServiceInstance (Sj k)가 있다. AVG_TPServiceInstance(Sj k)는 인스턴스가 주어진 시간 내 성공적으로 수행을 마친 기능 호출 평균을 의미하며, SD_TPServiceInstance (Sj k)는 인스턴스가 주어진 시간 내 성공적으로 수행을 마친 기능 호출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처리량 속성은 0 내지 1의 값을 갖게 되며, 값이 높을수록 높은 효율성을 나타낸다.For example, service instance level efficiency can be divided into response time (RT) and throughput (TP) attributes. Evaluation items having an attribute of response time (RT) are AVG_RT ServiceInstance (S j k ) and SD_RT ServiceInstance (S j k ). AVG_RT ServiceInstance (S j k ) refers to the average time taken for a service instance to perform a function, and SD_RT ServiceInstance (S j k ) refers to the standard deviation taken for a service instance to perform a function. The RT attribute has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and higher values indicate lower efficiency. Evaluation items having a property of throughput are AVG_TP ServiceInstance (S j k ) and SD_TP ServiceInstance (S j k ). AVG_TP ServiceInstance (S j k ) means the average of function calls that the instance successfully completed within the given time, and SD_TP ServiceInstance (S j k ) mean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unction call successfully completed within the given time. . Throughput attributes range from 0 to 1, with higher values indicating higher efficiency.

다음으로 서비스 타입 수준의 효율성도 마찬가지로 응답시간과 처리량 속성으로 평가한다. 응답시간의 평가항목으로는 AVG_RTServiceType (Sj), SD_RTServiceType (Sj)가 있다. AVG_RTServiceType (Sj)는 서비스 타입을 구현한 모든 서비스 인스턴스의 응답시간의 평균을 의미하며, SD_RTServiceType (Sj)는 서비스 타입을 구현한 모든 서비스 인스턴스의 응답시간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처리량의 평가항목으로는 서비스 타입을 구현한 모든 서비스 인스턴스의 처리량의 평균을 의미하는 AVG_TPServiceType (Sj)와 서비스 타입을 구현한 모든 서비스 인스턴스의 처리량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SD_TPServiceType (Sj)가 있다. 각 항목이 갖게 되는 값과 그 효율적인 의미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Next, the efficiency at the service type level is also evaluated in terms of response time and throughput. Evaluation items for response time include AVG_RT ServiceType (S j ) and SD_RT ServiceType (S j ). AVG_RT ServiceType (S j ) represents the average of the response times of all service instances implementing the service type, and SD_RT ServiceType (S j ) represent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times of all service instances implementing the service type. The endpoint of the processing amount is AVG_TP (S j) ServiceType to mean the average of the throughput of all service instances that implement the service type and SD_TP ServiceType (S j) to mea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mount of all service instances that implement the service type There is. The value that each item has and its effective meaning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전체 형상 수준의 효율성도 마찬가지로 응답시간 및 처리량의 속성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평가 항목으로는 현재 형상의 평균 응답 시간을 의미하는 AVG_RTME, 현재 형상 응답 시간의 표준 편차를 의미하는 SD_RTME, 현재 형상의 평균 기능 처리량을 의미하는 AVG_TPME 및 현재 형상 처리량에 대한 표준 편차를 의미하는 SD_TPME가 있다.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shape level can likewise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response time and throughput. Rate this item to mean the standard deviation for AVG_RT ME, AVG_TP ME and current geometry throughput, which means SD_RT ME, averaging throughput of current shape, which mean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urrent shape the response time, which means an average response time of the current shape There is an SD_TP ME .

서비스 품질관리 계획수립에 앞서, 먼저 서비스 품질관리 계획에 따라 수행될 서비스 관리 활동의 종류 및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establishing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plan, the types of service management activitie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plan and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manage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서비스 품질관리 활동은 목적 및 품질 수준의 조합에 의하여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전체 형상 수준(quality of environment 수준, QoE 수준)에서의 품질 관리 활동으로서 서비스 품질(QoS) 향상 활동과 서비스 품질 안정화 활동이 있다. 다음으로는 서비스 품질 수준에서의 품질 관리 활동으로서 서비스 품질 향상 활동과 서비스 품질 안정화 활동이 있다.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quality level combina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First of all, there ar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t the quality of environment level (QoE level)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nd service quality stabilization activities. Second, there are quality control activities at the service quality level,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nd service quality stabilization activities.

<표 2. QoS 관리 활동의 종류><Table 2. Types of QoS Management Activities>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2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2

여기서 EnhanceEffSME()는 QoE 수준에서 품질 저하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QoS 품질관리 활동으로서 QoS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EnhanceEffServiceType()는 QoS 수준에서 품질 저하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QoS 품질관리 활동으로서 QoS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BalanceEffSME()는 QoE 수준에서 품질 과잉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QoS 품질관리 활동으로서 QoS 안정화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BalanceEffservicetype()은 QoS 수준에서 품질 과잉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QoS 품질 관리 활동으로서 QoS를 안정화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EnhanceEffServiceType()은 문제가 되는 서비스 타입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해당 서비스 타입을 구현하는 서비스 인스턴스 중 일부 컴포넌트를 다른 노드로 복제하거나 이주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EnhanceEff SME () is a QoS quality management activity performed when the quality is degraded at the QoE level, and aims to improve QoS. EnhanceEff ServiceType () is a QoS quality management activity performed when quality is degraded at the QoS level. The purpose is to improve QoS. In addition, BalanceEff SME () is a QoS quality control activity performed when there is an excess of quality at the QoE level. In addition, BalanceEff servicetype () is a QoS quality control activity performed when there is an excess of quality at the QoS level, and aims to stabilize QoS. For example, EnhanceEffServiceType ()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a service type in ques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by replicating or migrating some components of a service instance implementing the service type to another nod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6을 참조하여 품질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비스 타입과 전체 형상에 대한 실시간 품질 판단 기법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전체 형상 수준(quality of environment 수준, QoE 수준)에서의 실시간 품질 판단 기법은 사전에 사용자가 정의한 두 가지 임계치인 품질 최저 임계치와 품질 최고 임계치를 기반으로 다음의 3가지 형태, 즉 정상 상태(normal state), 품질 저하 상태(poor state) 및 품질 과잉 상태(exceeding state)로 정의한다. 정상 상태는 현재 품질이 정상 범위에 있어 어떠한 품질 향상 활동이 취해질 필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품질 저하 상태는 현재 품질이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한 품질 최저 임계치보다 낮아 품질이 저하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형상 재구성을 통하여 현재 품질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품질 과잉 상태는 현재 품질이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한 품질 최고 임계치보다 낮아 현재 품질이 지나치게 좋은 상태임을 암시한다. 이 중 일부 경우에는 자원 과다 사용으로 인해 품질이 과잉 상태에 속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전체 품질이 정상 범위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일부 서비스는 품질 저하 상태에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는 품질 향상 필요성에 대한 판단을 QoE 수준 이외에도 서비스 타입 수준에서의 품질 평가를 병행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real-time quality judgment technique for service type and overall shape is determined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quality judgment technique at the quality of environment level (QoE level) is based on the two user-defined thresholds, the lowest quality and highest quality thresholds. state, a poor state and an exceeding state. Steady state means that no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need to be taken because the current quality is in the normal range. The degraded state indicates that the current quality is deteriorating because the current quality is lower than the user-defined minimum quality threshold. In this case, activities to improve the current quality through shape reconstruction should be performed. The excess quality implies that the current quality is too good, because the current quality is below the user-defined high quality threshold. In some of these cases, the overuse of resources results in excess quality, so additional testing should be used to determine if resources are wast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overall quality is within the normal range, some services may be in a degraded st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quality assessment at the service type level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QoE level.

전체 형상에 대한 품질 값인 AVG_RTME와AVG_TPME에 대한 최고 및 최저 임계치는 대부분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결정이 되며, 서비스 타입에 대한 품질 값인 AVG_RTServiceType (Ti)와 AVG_TPServiceType (Ti)에 대한 최고 및 최저 임계치는 서비스 제공자가 SLA에 기술한 값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즉, QoS 수준 품질 판단에서는 현재 형상을 구성하는 각 서비스 타입에 대한 품질을 서비스 수준 계약서 (Service Level Agreement, SLA)에서 명세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각 서비스 별 품질을 평가하게 된다. QoE 수준과 QoS 수준에서의 품질 판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두 사전에 정의한 품질 모델인 응답시간 (RT와 관련된 메트릭)와 처리량(TP와 관련된 메트릭)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The highest and lowest thresholds for AVG_RT ME and AVG_TP ME, which are quality values for the overall geometry, are determined by the service manager, and the highest and lowest thresholds for AVG_RT ServiceType (Ti) and AVG_TP ServiceType (Ti), which are quality values for service types, are determin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value specified by the service provider in the SLA. That is, in the QoS level quality determination, quality of each service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quality of each service type constituting the current configuration with a threshold specified in a service level agreement (SLA). Quality determination at the QoE level and the QoS level is determined using both the response time (metric related to RT) and throughput (metric related to TP), which are previously defined quality models.

처리량과 응답시간 면에서 모두 문턱치(Threshold)값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영역(A1)에서는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응답시간이 작고, 처리량이 많은 영역(A2)은 품질 과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응답시간이 크고, 처리량이 적은 영역(A3)은 품질 부족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A1 영역 주변의 영역(A4)은 추가적인 조사를 통하여 품질이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In the area A1 located within the threshold of both throughput and response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quality is good, and in the area A2 where the response time is small and the throughput is lar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quality is excessive. Can be. In addition, the area A3 having a large response time and a low throughput can be determined as a quality deficient state. The area A4 around the area A1 may determine the state of quality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한편, 품질정보 표시수단(1113)은 각 노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보여주며, 품질 형상 관리수단(1114)은 모니터링되고 수집된 품질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요청에 따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information display means 1113 shows the data transmitted from each node in a user interface in a form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understand, and the quality shape management means 1114 stores the monitored and collected quality data or upon request. It serves to search.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관리 수단(112)을 설명한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적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The management means 1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7 and 8.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ret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1121)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서비스 타입 및 형상이 수행할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해당 프로세스의 대상 노드 및 목적 노드를 선정한다.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1121)은 개념적인 서비스 품질 관리 계획의 수립과 구체적인 서비스 품질 관리 계획의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The quality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means 1121 selects a quality management process to be performed by the service type and shape determined to perform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and selects a target node and a destination node of the process. The quality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means 1121 establishes a quality control plan through a two-step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ceptu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plan and a specif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plan.

개념적인 품질관리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하여야 할 서비스 품질 관리 활동을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서비스 품질 관리 활동은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서비스 품질 관리 활동이 포함된 경우에는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 간의 순서를 정의한다.In the conceptual quality control planning step,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to be performed are determin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one or mor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may be included. Next, when a plurality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re included, the order between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s defined.

구체적인 QoS 관리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문제가 되는 서비스 타입 및 서비스 인스턴스를 결정하고, 다음으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구현 방법을 결정한다.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구현 방법으로는 서비스 컴포넌트 이주, 서비스 컴포넌트 복제, 부하분산 테이블 갱신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각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구현에 필요한 목적 노드, 즉 목표 타켓을 결정하게 된다.In the specific QoS management planning step, as shown in FIG. 8, a problem service type and service instance are first determined, and then a method of implementing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s determined.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 service component migration, service component replication, and load balancing table updates. Finally, the target node, that is, the target target,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each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is determined.

구체적으로 서비스 이주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간의 물리적 거리가 멀거나, 네트워크의 혼잡도과 같이 응답 시간이 늦어질 때, 다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호출하거나 노드가 더 이상 서비스 적재를 감당하기 어렵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노드 자원이 부족 현상이 일어날 때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서비스 복제는 서비스의 사용량이 급증했을 때, 사용자가 기대하는 SLA에 비해 QoS가 미치지 못했을 경우에 적용된다. 즉, 서비스 사용 빈도의 증가나 QoS 저하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적용한다. Specifically, a service migration is a node that calls multiple services at the same time wh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ice is too long, or when the response time is slow, such as network congestion, or when the node is no longer able to handle the load of the service or provides the service. Effective when resources are scarce Service replication is applied when the service usage spikes and the QoS is less than the expected SLA. In other words, it is applied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service use or the loss of QoS degradation.

이러한 판단 기준을 속성에 따라 정리하여 아래의 표 3에 도시하였다.These criteria a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ir attributes and shown in Table 3 below.

<표 3; 서비스 컴포넌트 이주 및 복제의 결정 기준>TABLE 3; Decision Criteria for Migrating and Cloning Service Components>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3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3

문제가 되는 서비스가 배치되어 있었던 기존 노드 자체의 성능 또는 자원 상의 결함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단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한 노드에 새롭게 서비스를 복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주시킨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형상 및 이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위와 같이 서비스 컴포넌트 이주와 서비스 컴포넌트 복제는 현재 문제가 발생한 상황에 따라 결정이 된다. If there is no defect in the performance or resources of the existing node itself in which the problematic service is deployed, the service is replicated to the node that is determined using the shortest path algorithm, and migrated otherwise. Through this process, new shapes and plans for building them are established. As above, service component migration and service component duplication are decid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개념적인 QoS 관리 계획 수립에서 결정된 QoS 관리 활동은 이하의 표 4 내지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절차로 실체화된다.QoS management activities determined in conceptual QoS management planning are substantiated by specific procedures as shown in Tables 4 to 7 below.

<표 4; EnhanceEffME( )의 실체(Realization) 기법>TABLE 4; Realization Technique of EnhanceEff ME ()>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4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4

표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 형상 수준에서 QoS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각 서비스 타입에 대한 QoS 품질 향상 관리활동을 수행한다.Referring to Table 4, in order to improve the QoS quality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level, QoS quality improvement management activities for each service type are sequentially performed.

<표 5; EnhanceEffServiceType(Si)의 실체(Realization) 기법>TABLE 5; Realization Technique of EnhanceEff ServiceType (S i )>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5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5

한편, 각 서비스 타입 수준에서의 QoS 품질 향상 관리활동은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스턴스에 대하여 이주할 것인지 또는 복제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후 목적 노드를 결정한 후 결정된 방법과 목적 노드에 따라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QoS quality improvement management activities at each service type level are determined by whether to migrate or replicate for each instance as shown in Table 5, and then determine the destination node, and then determine the qualit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thod and destination node. Perform management activities.

<표 6; BalanceEffME( )의 실체(Realization) 기법>TABLE 6; Realization Technique of BalanceEff ME ()>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6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6

마찬가지로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 수준에서의 QoS 품질을 안정화 또는 균형화시키기 위하여 각 서비스 타입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QoS 안정화를 수행하게 된다.Similarly, as shown in Table 6, QoS stabiliz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for each service type in order to stabilize or balance QoS quality at the overall shape level.

<표 7; BalanceEffServiceType(Si)의 실체(Realization) 기법>TABLE 7; Realization Technique of BalanceEff ServiceType (S i )>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7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7

또한 각 서비스 타입 수준에서의 QoS 품질 안정화 관리활동은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스턴스에 대하여 이주할 것인지 또는 복제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후 목적 노드를 결정한 후 결정된 방법과 목적 노드에 따라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한다.
In addition, QoS quality stabilization management activity at each service type level determines whether to migrate or replicate for each instance as shown in Table 7, and after determining the destination node, qua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thod and destination node. Perform the activit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의 모든 컴포넌트가 포함된 바이너리 패키지 파일을 복제 또는 이주하는 것이 아니라, Open-Closed Principle(OCP)을 적용하여, 서비스 간의 공통 구조를 각 노드 에이전트가 유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들 간의 가변적인 부분 즉, 가변적 컴포넌트 만을 이주 및 복제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본적인 구조는 서비스 구현체와 서비스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구현체는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실제 구현한 클래스들의 집합이며,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서비스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개된 API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는 실제 서비스 구현체에 접근이 가능하다. 이런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구현체는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가변적인 서비스 구조로 분류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통적인 구조는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추상 클래스와 서비스 어댑터, 통신 스텁으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추상 클래스는 서비스의 실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의 사용자는 실제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서비스 어댑터는 동적 서비스 설치 및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컴포넌트로서, 서비스의 가변적인 구조와 공통적인 구조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어댑터를 통해 서비스 구현체는 네트워크를 통한 호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서비스 사용자는 서비스 구현체에 구현된 서비스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주 및 복제의 대상인 가변적 컴포넌트는 이러한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구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최근 서비스의 크기가 커지는 추세에 비추어 전체 컴포넌트를 이주 또는 복제하는 방식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copying or migrating a binary package file including all components of a service, an Open-Closed Principle (OCP) is applied so that each node agent maintains a common structure between services and uses the service. Migrate and duplicate only the variable parts between them, that is, the variable components. The basic structure of a cloud service consists of a service implementation and a service interface. The service implementation is a collection of classes that actually implement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service, and the service interface plays a role of exposing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service to the service user. In other words, the service user can access the actual service implementation through the API exposed through the service interface. Since such a service interface and a service implementatio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loud service, the service interface and service implementation are classified into a variable servic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structure of cloud services consists of abstract classes of service interfaces, service adapters, and communication stubs. The abstract class of the service interface provides a connection to the actual interface of the service, on which the user of the service can access the actual service. The service adapter is a component that enables dynamic service installation and deployment, and connects the variable structure of the service with the common structure. The service adapter makes the service implementation callable through the network, and the service user can call the service function implemented in the service implementation. That is, the variable component that is the object of migration and replication in this embodiment means such a service interface and a service implementation. This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migrating or duplicating entire components in view of the recent trend of increasing service size.

또한 이러한 가변적 컴포넌트는 각 노드에 구비된 서비스 공통 구조를 활용하여 클래스 로딩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스테이션 노드에 동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variable component can be dynamically placed in a corresponding station node by applying a class loading scheme by utilizing a service common structure provided in each node.

품질관리활동 실행수단(1122)은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113)에 의하여 선정된 대상 노드, 품질 관리 프로세스 및 목적 노드에 따라 품질관리 활동을 실행, 즉 해당 노드에 품질관리계획에 관련된 실행 정보를 전달한다. 품질관리 활동 실행수단(1122)이 수행하는 품질관리 활동의 상세한 프로세스는 이하 각 프로세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executing means 1122 executes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arget node,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and the target node selected by the quality management plan establishing means 113, that is, execu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ality management plan to the corresponding node. To pass. The detailed process of the quality control activity performed by the quality control activity executing means 1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each process below.

형상관리 매니저(1123)는 이주 및 복제된 서비스를 포함하여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한다.
The configuration manager 1123 updates data regarding the shap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30 including the migrated and replicated servic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의 개요와, 구체적인 품질관리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utline of a process for a method of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for a specific quality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 및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rst, an overview of the overall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ss of a method for improv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먼저, 관리서버에서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는다(S10). 다음으로 관리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First,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mobile node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S10). Next,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다음으로 관리서버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한다(S30). 이 때 품질 관리활동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또는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를 선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부하분산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서버가 선정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시킨다(S50)
Next, the management server selects a quality management activity to be performed on the variable components of the target service is determined to perform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S30). In this case, the quality control activity may select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 or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d may further include a method of updating a load balancing table as necessary. Subsequently,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performed (S50).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S42)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A service duplication process (S4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제1 단계로서 후보 노드 검색 및 선택을 수행한다(S421). 즉, 관리 매니저가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리소스 정보를 참고하여 문제된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설치 및 배치하기에 충분한 현재 가용 리소스를 구비한 노드를 검색한다. 검색된 대상 노드 중 가용한 리소스와 네트워크 대역폭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노드를 서비스 복제를 위한 목적 노드로 선택한다.First, candidate node search and selection are performed as a first step (S421). That is, the management manager searches for a node having a currently available resource sufficient to install and deploy a corresponding service from the problem station node by referring to the resou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ation node. Among the searched target nodes, the highest node is selected as the destination node for service replication based on the available resources and network bandwidth.

제2 단계로서 후보 노드 알림 단계를 수행한다(S422). 관리 매니저는 제1 단계에서 선택된 스테이션 노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품질 문제가 발생한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에 전달한다.The candidate node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as the second step (S422). The management manager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tation node selected in the first step to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station node hav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blem.

제3 단계로서 서비스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S423). 문제가 된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가 관리 매니저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전송할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서비스 중 가변적인 컴포넌트를 목적 스테이션 노드로 전송하게 된다.A service transmission step is performed as a third step (S423).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station node in ques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service from the management manager, and transmits a variable component among the corresponding services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제4 단계로서 서비스 동적 설치 및 배치 단계를 수행한다(S424). 서비스를 전달받은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는 서비스 어댑터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서비스를 동적으로 설치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배치한다.As a fourth step, the service dynamic installation and deployment step is performed (S424).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received station node dynamically installs the received service using the service adapter component and arranges the access through the network.

제5 단계로서 서비스 복제 결과 알림 단계를 수행한다(S425). 즉, 서비스 복제 활동이 완료되면, 목적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는 관리서버의 관리 매니저에게 서비스 복제의 정상 수행 여부와 부수적인 정보 등 복제 활동의 결과를 전달한다.As a fifth step, a service replication result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S425). That is, when the service replication activity is completed,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target station node delivers the result of the replication activity such as whether the service repl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manager of the management server.

제6 단계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 업데이트 단계를 수행한다(S426). 즉, 서비스 복제 활동의 결과로 변경된 전체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된 정보는 새롭게 복제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호출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As a sixth step, the cloud service structure update step is performed (S426). In other words, it updates the entire cloud service structure that has changed as a result of service replication activities. The updated information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user calls to the newly replicated service and to monitor the quality of service.

도 11을 참조하여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S43)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S4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1 단계로서 서비스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S431). 서비스 품질 문제가 발생한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는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있는 대상 서비스의 가변적인 컴포넌트를 관리 매니저에게 전송한다.A service transmission step is performed as a first step (S431).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target station node hav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blem transmits a variable component of the target service that needs quality control to the management manager.

제2 단계로서 대상 서비스의 형상 제거 단계를 수행한다(S432). 이주되는 대상 서비스에 대한 형상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현재 형상으로부터 제거한다. 서비스 형상을 제거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는 대상 스테이션 노드를 통하여 더이상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As a second step, the shape removal step of the target service is performed (S432). Remove the shape of the target service being migrated from the current shape of the cloud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the service. By removing the service geometry, the service is no longer exposed to the user through the target station node.

제3 단계로서 후보 노드 검색 및 선택 단계를 수행한다(S433). 현재 품질 문제가 발생한 대상 서비스를 이주하기 위해 대상 서비스를 설치 및 배치하기에 충분한 가용 컴퓨팅 리소스가 충분한 스테이션 노드를 검색한다. 검색된 스테이션 노드 중 가용한 리소스와 네트워크 대역폭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노드를 서비스 복제를 위한 목적 노드로 선택한다.As a third step, a candidate node search and selection step is performed (S433). Search for a station node with enough available computing resources to install and deploy the target service to migrate the target service that is currently experiencing quality problems. The highest node among the discovered station nodes is selected as the destination node for service replication based on the available resources and network bandwidth.

제4 단계로서 서비스 전달 단계를 수행한다(S434). 매니저는 선택된 목적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에 이주를 위하여 서비스를 전달한다.A service delivery step is performed as a fourth step (S434). The manager delivers the service for migration to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selected target node.

제5 단계로서 서비스 동적 설치 및 배치 단계를 수행한다(S435). 서비스를 전달받은 목적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는 서비스 어댑터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서비스를 동적으로 설치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배치한다.As a fifth step, the service dynamic installation and deployment step is performed (S435).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agent that receives the service dynamically installs the received service by using the service adapter component and arranges the access through the network.

제6 단계로서 서비스 이주 결과 알림단계를 수행한다(S436). 서비스 이주 활동이 완료되면, 목적 스테이션 노드의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는 관리 매니저에게 서비스 이주 활동의 결과를 전달한다.As a sixth step, a service migration result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S436). When the service migration activity is completed, the station node agent of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delivers the result of the service migration activity to the management manager.

제7 단계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 업데이트 단계를 수행한다(S437). 즉, 서비스 이주 활동의 결과로 변경된 전체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된 정보는 새롭게 이주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호출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As a seventh step, a cloud service structure update step is performed (S437). That is, update the entire cloud service structure that changed as a result of service migration activities. The updated information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user calls to the newly migrated service and to monitor the quality of service.

한편, 부하분산 테이블의 갱신은 기존의 별도로 구비된 부하분산용 노드에 구비된 부하분산 테이블을 갱신하여 하드웨어적으로 부하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부하분산 테이블의 갱신은 필요에 따라 본 시스템에 구비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단순히 별도의 하드웨어 노드를 구비하여 부하분산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관리 지역 설정 등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관리 지역이 협소하다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서비스 복제 및 이주를 병행하거나 서비스 복제 및 이주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 대하여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date of the load distribution table is to update the load distribution table provided in the existing load balancing node provided separately so that the load distribution is done in hardwa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update of the load distribution table can be provided or omitted in the system as need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load balancing is performed by simply providing a separate hardware node, a management area should be set, and so on, but a management area is narrow. In the case of using only service replication and migration, all nodes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an be managed.

서비스 확장성 측정 단계(S50)에서는 문제가 발생한 서비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성 향상 기법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품질을 비교하여 해당 서비스의 확장성을 측정한다. 서비스 확장성은 하기 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In the service scalability measurement step (S50), the scalability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quality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calability improvement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ice scalability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below.

식(1):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8
Equation (1):
Figure 112011099912006-pat00008

분모는 서비스 확장성 향상 기법을 적용하기 전의 문제가 발생한 서비스 처리량이다. 분자는 기법 적용 후에 측정된 처리량이다. 기법이 성공적으로 적용되면 서비스의 처리량이 증가하여 최소 품질을 만족해야 한다. 즉, 확장성이 1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한다.
The denominator is the service throughput of the problem before applying the service scalability improvement technique. Molecule is the throughput measured after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If the technique is successfully applied, the throughput of the service must be increased to meet the minimum quality. That is, scalability must have a value of 1 or mor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cloud services can be expand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d in the claims. Implemented as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availability.

100: 관리서버 110: 관리 매니저
111: 모니터링 수단 1111:품질정보 수집수단
1112: 품질 평가 수단 1113: 품질정보 표시수단
1114: 품질형상 관리수단 112: 관리 수단(112)
1121: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 1122: 품질관리활동 실행수단
1123: 형상관리 매니저 130: 데이터 저장부
200: 모바일 노드 211: 측정수단
2111,311: 리소스 측정수단 2112: 응답시간 측정수단
212,312: 품질정보 전송수단 214,314: 품질 제어수단
300: 스테이션 노드 310: 스테이션 노드 에이전트
100: management server 110: management manager
111: monitoring means 1111: qualit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112: quality evaluation means 1113: quality information display means
1114: quality shape management means 112: management means 112
1121: Means for establishing quality control plan 1122: Means for executing quality control activities
1123: CM manager 130: data storage unit
200: mobile node 211: measuring means
2111,311: resource measuring means 2112: response time measuring means
212, 312: quality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214, 314: quality control means
300: station node 310: station node agent

Claims (16)

관리서버에서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는 제1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선정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수행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A first step of receiving, at the management server,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mobile node and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by the management server, whether to perform a quality control process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 third step of selec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t least one of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a service duplic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on a variable component among target services for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determined; And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service quality control activity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선정은 목적 스테이션 노드 및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선정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ection of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includes selecting a target station node and a target station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은 부하분산 테이블을 갱신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a method of updating the load balanc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의 수행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전송된 리소스 정보를 참조하여 최대 가용 리소스를 구비한 스테이션 노드를 목적 스테이션 노드로 선정하는 제4a-1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의 정보를 서비스의 품질이 문제되는 대상 스테이션 노드에 전달하는 제4a-2단계;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제4a-3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forming the service replication process,
Step 4a-1 of the management server selecting a station node having the maximum available resources as a destination station node by referring to the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node;
Step 4a-2,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to the target station node whose quality of service is a problem;
And a step 4a-3 of transmitting, by the target station node, a variable component of a target service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의 수행은,
품질 관리 대상인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4b-1단계;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전송된 컴포넌트가 속하는 서비스의 형상을 제거하는 제4b-2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로부터 전송된 리소스 정보를 참조하여 최대 가용 리소스를 구비한 스테이션 노드를 목적 스테이션 노드로 선정하는 제4b-3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상기 전송된 가변적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제4b-4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forming 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Step 4b-1 transmitting the variable component to a management server by a target station node which is a target of quality management;
Step 4b-2 of removing the shape of a service to which the target station node belongs to the transmitted component;
Step 4b-3, the management server selecting a station node having the maximum available resources as a destination station node by referring to the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rget station node;
And (4b-4) transmit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transmitted variable component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 이후에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가 전송된 가변적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설치하고 이용가능하도록 배치하는 제5단계; 및
목적 스테이션 노드가 상기 수행된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6단계;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 fifth step of dynamically installing and making available the transmitted variable component after the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And
And a sixth step of sending, by the target station node,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performed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클래스 로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설치 및 배치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fifth step, a method of improv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for dynamically installing and deploying the variable component using a class loading techniq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주 또는 복제 프로세스 전과 후의 처리량을 비교하여 서비스 확장성을 측정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venth step of comparing service throughput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migration or replication process to measure service scal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는 서비스의 기능을 구현한 클래스들의 집합인 서비스 구현체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component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cloud service including a service implementation and a service interface, which is a set of classes that implement a service's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제3 단계에서는 관리가 필요한 대상 스테이션 노드와 상기 스테이션 노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노드 간의 물리적 거리가 먼 경우, 응답 시간이 긴 경우, 상기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및 대상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될 때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를 선정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hird step, wh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tation node that needs management and the mobile node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tation node is far, when the response time is long, when the traffic of the target station node increases, and when How to improve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that select a service migration process when at least one of the resources is scarce.
제1항에 있어서,
제3 단계에서는 관리 대상 스테이션 노드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량이 급증하거나 서비스 품질(QoS)이 품질 저하 상태인 경우에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를 선정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step is to improve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to select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in case of a sudden increase in the us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anaged station node or the quality of service (QoS).
복수의 모바일 노드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테이션 노드와 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노드의 서비스 품질 및 리소스 정보와,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전송받아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수단;
품질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된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에 대하여 수행할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을 선정하는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 및
상기 품질관리계획 수립수단에 의하여 선정된 대상 노드, 서비스 품질 관리활동의 종류 및 목적 노드에 따라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시키는 품질관리활동 실행수단: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관리서버.
In the cloud service system having a station nod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mobile nodes and services,
Monitor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quality management process by receiving service quality and resource information of a mobile node and resource information of a station node;
Quality control plan establishment mea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service quality control activity of a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on the variable components among the target services for which the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determined to be performed:
Quality management activity execution means for performing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arget node selected by the quality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means, the type and quality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Management server to improve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including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 컴포넌트는 서비스의 기능을 구현한 클래스들의 집합인 서비스 구현체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관리서버.
The method of claim 12,
The variable component is a management server that improves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including a service implementation and a service interface, which is a set of classes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service.
복수의 모바일 노드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테이션 노드와 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노드의 리소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품질정보 전송수단;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및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수행명령과, 목적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품질관리활동을 수행하는 품질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스테이션 노드.
In the cloud service system having a station nod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mobile nodes and services,
Quality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collecting resource information of the station node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resourc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Enhance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including; quality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quality management activity by receiving the execution command of any one of the service migration process and service replication process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destination station node; Station no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주 프로세스 수행 명령을 전송받는 경우 품질관리 대상 서비스 중 가변적 컴포넌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스테이션 노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quality control means,
Station node for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for transmitting a variable compon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target ser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a command to perform a service migration process from the management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 복제 프로세스 수행 명령과 목적 스테이션 노드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목적 스테이션 노드에 가변적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스테이션 노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quality control means,
When receiving a service replication process execution command and destination station node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station node to improve the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loud service for transmitting a variable component to the destination station node.
KR1020110135656A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Active KR101256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56A KR101256918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56A KR101256918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918B1 true KR101256918B1 (en) 2013-04-25

Family

ID=4844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656A Active KR101256918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91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40B1 (en) * 2013-12-16 2015-06-26 대한민국 Device and method for server management based on client
KR20160073892A (en) * 2014-12-17 2016-06-27 (주)에임투지 Cloud auto scaling apparatus based service quality of user and method therof
KR20180102386A (en) * 2017-03-07 2018-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xpending performance of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46251A (en) * 2019-10-18 2021-04-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urvice movement
KR20220054154A (en) * 2020-10-23 2022-05-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analysising data auto scaling based on kubernetes
KR20220055627A (en) * 2020-10-27 2022-05-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computing environ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591A (en) 2001-11-28 2003-06-06 Nec Corp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assurance method and system
KR100848504B1 (en) 2006-12-13 2008-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ow to measure the quality of wireless internet data services for corporations, servers and systems performing them
JP2009246526A (en) 2008-03-28 2009-10-22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mobile terminal equipment, and multi-service management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591A (en) 2001-11-28 2003-06-06 Nec Corp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assurance method and system
KR100848504B1 (en) 2006-12-13 2008-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ow to measure the quality of wireless internet data services for corporations, servers and systems performing them
JP2009246526A (en) 2008-03-28 2009-10-22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mobile terminal equipment, and multi-service management equipmen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40B1 (en) * 2013-12-16 2015-06-26 대한민국 Device and method for server management based on client
KR20160073892A (en) * 2014-12-17 2016-06-27 (주)에임투지 Cloud auto scaling apparatus based service quality of user and method therof
KR101686658B1 (en) * 2014-12-17 2016-12-14 (주)에임투지 Cloud auto scaling apparatus based service quality of user and method therof
KR20180102386A (en) * 2017-03-07 2018-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xpending performance of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13579B1 (en) * 2017-03-07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xpending performance of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46251A (en) * 2019-10-18 2021-04-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urvice movement
KR102248443B1 (en) * 2019-10-18 2021-05-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urvice movement
KR20220054154A (en) * 2020-10-23 2022-05-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analysising data auto scaling based on kubernetes
KR102496674B1 (en) 2020-10-23 2023-02-07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alysising data auto scaling based on kubernetes
KR20220055627A (en) * 2020-10-27 2022-05-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computing environ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KR102481870B1 (en) * 2020-10-27 2022-12-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computing environ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7952B (en) Th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isposed for application system maintenance based on cloud infrastructure
US9444762B2 (en) Computer network systems to manage computer network virtualization environments
Balasangameshwara et al. A hybrid policy for fault tolerant load balancing in grid computing environments
CN103547994B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cloud computing for capacity management and disaster recovery
US9929918B2 (en) Profile-based SLA guarantees under workload migration in a distributed cloud
KR101256918B1 (en) Method for enhancing scalability and availability of cloud services and the system thereby
Hiessl et al. Optimal placement of stream processing operators in the fog
US20130219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igration of application service
US20160216994A1 (en) Method, system,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data packet flows between virtual machines, vms, within a data centre
US20150263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ly scalable, multi-cloud service deployment, orchestration and delivery
US201502639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application and network service performance in an automated manner
MX2013013577A (en) Cross-cloud management and troubleshooting.
US20160048407A1 (en) Flow migration between virtual network appliances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CN111666131A (en) Load balancing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oualah et al. A green VNF-FG embedding algorithm
Madupati Kubernetes: Advanced Deployment Strategies-* Technical Perspective
JP5740652B2 (en) Computer system and subsystem management method
KR101256916B1 (en) Method for quality measurement of mobile device increasing qos in cloud-based infrastructure and the system thereby
Burakowski et al. Traffic Management for Cloud Federation.
Inoue et al. Noise-induced VNE method for software-defined infrastructure with uncertain delay behaviors
WO2023218663A1 (en) Execution platform determination system and execution platform determination method
Lin et al. Exploring imbalances among microservice containers in large cloud platforms
JP6502783B2 (en) Bulk management system, bulk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Asensio et al. Carrier SDN to control flexgrid-based inter-datacenter connectivity
JP6322332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business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