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607B1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607B1 KR101257607B1 KR1020117023409A KR20117023409A KR101257607B1 KR 101257607 B1 KR101257607 B1 KR 101257607B1 KR 1020117023409 A KR1020117023409 A KR 1020117023409A KR 20117023409 A KR20117023409 A KR 20117023409A KR 101257607 B1 KR101257607 B1 KR 101257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photodiode
- electrode
- pulse
-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08—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ntrolled by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95—Circuit arrangements
- H10F77/953—Circuit arrangement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2—Circuits comprising photodetectors for purposes other than feedback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압압이 없는 센서 회로 영역의 단면 및 센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1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압압이 없는 센서 회로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b)는 (a)의 센서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도 1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압압이 있는 센서 회로 영역의 단면 및 센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1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압압이 있는 센서 회로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b)는 (a)의 센서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센서 회로의 제1 동작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센서 회로의 제2 동작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표시 영역의 제1 패턴 배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표시 영역의 제2 패턴 배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C-C'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표시 영역의 제3 패턴 배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C-C'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표시 영역의 제4 패턴 배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A-A'선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B-B'선 단면도.
도 22는 도 19의 C-C'선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1 실시예에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하는 신호 파형도.
도 24는 도 23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도 23 및 도 24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2 실시예에서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하는 신호 파형도.
도 27은 도 26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도 26 및 도 27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9는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것이며, 표시 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30은 도 29의 표시 영역의 동작을 도시하는 파형도.
50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51 : 표시 패널
62 : 센서 회로(제1 회로) 62' : 센서 회로(제1 회로)
62a : TFT(출력 앰프) 62b : 포토 다이오드
62c : 용량(제1 용량,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
62d : 용량(제2 용량) 62d' : 용량(제2 용량)
64 : 전극(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
Com : 공통 전극(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
netA : 노드(제1 노드)
Prst, Prstn : 리세트 펄스(제1 펄스, 제3 펄스)
Prw, Prwn : 판독 펄스(제2 펄스, 제4 펄스)
Claims (18)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제1 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제1 기간에 상기 애노드에 상기 제1 직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고, 상기 제1 기간에 계속되는 제2 기간에 상기 애노드에 상기 제1 직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해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는 제1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제1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해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는 제1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제1 펄스가 인가되는 기간에 계속해서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은 공통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매트릭스 기판의 패시베이션막보다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가까운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은 회소 전극과 동일한 층의 투명 전극이며,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과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의 사이에 액정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매트릭스 기판의 패시베이션막에 대하여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은 게이트 메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은 소스 메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게이트 메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소스 메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며,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제1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제1 기간에 상기 애노드에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고, 상기 제1 기간에 계속되는 제2 기간에 상기 애노드에 상기 제1 직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해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제1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는 제1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제1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해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제1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표시 영역에, 포토 다이오드와 제1 용량과 제2 용량과 출력 앰프를 포함하는 제1 회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1 용량의 일단과, 상기 제2 용량의 일단과, 상기 출력 앰프의 입력이 서로 제1 노드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이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갖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용량의 일단측의 전극이 상기 제2 용량의 타단측의 전극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는 제1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제1 펄스가 인가되는 기간에 계속해서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2 펄스를 인가해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2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제1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 소자에 대한 광 조사 강도를 검출하는 광 센서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 센서 회로를 동작시키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회로에 상기 제1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고,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의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에 대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것을 상기 구동 회로에 공급할 것인지를, 상기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의 데이터에 기초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 소자에 대한 광 조사 강도를 검출하는 광 센서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 센서 회로를 동작시키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회로에 상기 제1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공급하고,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의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에 대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어느 것을 상기 구동 회로에 공급할 것인지를, 상기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가 상기 제1 동작을 행하고 있는 상기 표시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압압의 유무를,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취출한 상기 출력 앰프의 출력으로부터 검출한 결과를 이용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를 압압 검출 회로로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제1 회로를 광 센서 회로로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도통시키는 제3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제3 펄스가 인가된 기간의 종료에 의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상태가 되도록 해서 상기종료에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제1 용량의 타단에 제4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을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제4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에 상기 출력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는 제2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09-083447 | 2009-03-30 | ||
| JP2009083447 | 2009-03-30 | ||
| PCT/JP2009/068399 WO2010116556A1 (ja) | 2009-03-30 | 2009-10-27 |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125265A KR20110125265A (ko) | 2011-11-18 |
| KR101257607B1 true KR101257607B1 (ko) | 2013-04-29 |
Family
ID=429358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70234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7607B1 (ko) | 2009-03-30 | 2009-10-27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8)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20013595A1 (ko) |
| EP (1) | EP2416214A4 (ko) |
| JP (1) | JP5431458B2 (ko) |
| KR (1) | KR101257607B1 (ko) |
| CN (1) | CN102388339A (ko) |
| BR (1) | BRPI0924517A2 (ko) |
| RU (1) | RU2488154C1 (ko) |
| WO (1) | WO20101165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866089B2 (ja) * | 2009-11-20 | 2016-02-17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電子機器 |
| TWI507934B (zh) * | 2009-11-20 | 2015-11-11 | Semiconductor Energy Lab | 顯示裝置 |
| KR102031848B1 (ko) | 2010-01-20 | 2019-10-14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전자 기기 및 전자 시스템 |
| KR101349915B1 (ko) * | 2012-09-07 | 2014-01-15 |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 정전용량 터치 센서를 내장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
| KR101906971B1 (ko) * | 2012-09-27 | 2018-10-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터치 패널, 하이브리드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CN105573555B (zh) * | 2016-01-28 | 2018-06-2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压力触控结构、触控显示面板、显示装置 |
| KR102522565B1 (ko) * | 2016-08-31 | 2023-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CN106970495A (zh) * | 2016-09-14 | 2017-07-2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和电子设备 |
| CN106502461B (zh) * | 2016-10-31 | 2019-07-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还原静电复位前触摸屏状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CN107153290A (zh) * | 2017-07-07 | 2017-09-12 | 惠科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应用的显示装置 |
| CN107463911B (zh) | 2017-08-10 | 2020-02-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指纹识别装置、阵列基板及显示装置 |
| KR102410631B1 (ko) * | 2017-08-30 | 2022-06-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led 표시 장치 |
| CN108320690B (zh) * | 2018-02-01 | 2021-04-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检测方法、显示装置 |
| JP7315452B2 (ja) * | 2019-12-20 | 2023-07-26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光センサ装置 |
| JP2023025541A (ja) * | 2021-08-10 | 2023-02-2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27292A (ja) | 2006-07-24 | 2008-02-07 |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 表示装置 |
| WO2008126768A1 (ja) | 2007-04-09 | 2008-10-23 | Sharp Kabushiki Kaisha | 表示装置 |
| JP2009036946A (ja) | 2007-08-01 | 2009-02-19 | Seiko Epson Corp |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671833B2 (en) * | 2004-11-22 | 2010-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ouch sensible display device |
| KR101152132B1 (ko) * | 2005-08-04 | 2012-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감지부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
| JP4813857B2 (ja) * | 2005-09-20 | 2011-11-09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共通電極印加電圧調整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
| GB2439118A (en) * | 2006-06-12 | 2007-12-19 | Sharp Kk | Image sensor and display |
| GB2439098A (en) * | 2006-06-12 | 2007-12-19 | Sharp Kk | Image sensor and display |
| JP2008218854A (ja) * | 2007-03-07 | 2008-09-18 | Epson Imaging Devices Corp | 光量検出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TWI360072B (en) * | 2007-07-26 | 2012-03-11 | Au Optronics Corp | Touching panel |
-
2009
- 2009-10-27 US US13/259,024 patent/US2012001359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0-27 RU RU2011142603/28A patent/RU2488154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7 WO PCT/JP2009/068399 patent/WO201011655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0-27 BR BRPI0924517A patent/BRPI0924517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7 CN CN2009801583531A patent/CN102388339A/zh active Pending
- 2009-10-27 JP JP2011508182A patent/JP54314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0-27 KR KR1020117023409A patent/KR10125760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0-27 EP EP09843062.2A patent/EP2416214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27292A (ja) | 2006-07-24 | 2008-02-07 |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 表示装置 |
| WO2008126768A1 (ja) | 2007-04-09 | 2008-10-23 | Sharp Kabushiki Kaisha | 表示装置 |
| JP2009036946A (ja) | 2007-08-01 | 2009-02-19 | Seiko Epson Corp |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2416214A1 (en) | 2012-02-08 |
| WO2010116556A1 (ja) | 2010-10-14 |
| JP5431458B2 (ja) | 2014-03-05 |
| RU2488154C1 (ru) | 2013-07-20 |
| JPWO2010116556A1 (ja) | 2012-10-18 |
| BRPI0924517A2 (pt) | 2016-03-01 |
| CN102388339A (zh) | 2012-03-21 |
| KR20110125265A (ko) | 2011-11-18 |
| US20120013595A1 (en) | 2012-01-19 |
| RU2011142603A (ru) | 2013-04-27 |
| EP2416214A4 (en) | 2013-07-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57607B1 (ko)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
| US10606385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or reducing influence of parasitic capacitance upon the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 |
| JP4573856B2 (ja) | マルチタッチ感知機能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 |
| TWI446063B (zh) | 觸控感測器及顯示裝置 | |
| US920126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embedded therein,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9746956B2 (en) | Touch detect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display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unit having plural different drive electrodes | |
| US20170336917A1 (en) |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sensor | |
| KR20100012260A (ko)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 JP5329668B2 (ja) | 表示装置 | |
| WO2010116557A1 (ja) |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 |
| JP2013109670A (ja) | 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電位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 KR20090000484A (ko)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
| KR20180062492A (ko) | 터치표시장치, 표시패널 및 일체형 스위치 소자 | |
| US20100053098A1 (en) |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method, information input/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program | |
| KR101071165B1 (ko) |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 |
| JP2017162174A (ja) | 検出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 CN110796983A (zh) |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
| US8654267B2 (en) | Display device | |
| JP5475498B2 (ja) |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 |
| US20120200539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 |
| JP6263340B2 (ja) | 液晶表示装置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4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41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