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9412B1 -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412B1
KR101259412B1 KR1020110048036A KR20110048036A KR101259412B1 KR 101259412 B1 KR101259412 B1 KR 101259412B1 KR 1020110048036 A KR1020110048036 A KR 1020110048036A KR 20110048036 A KR20110048036 A KR 20110048036A KR 101259412 B1 KR101259412 B1 KR 10125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ull
screw
cranial
hole
b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9654A (en
Inventor
황금
정현호
신태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412B1/en
Publication of KR2012012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6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41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reattaching pieces of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뇌질환에 의해 상승된 뇌압 조절을 위해 두개골편들을 이동시켜 뇌압상승에 따른 팽창시 생기는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인체의 뇌수술을 위해 두개외골에서 분리된 복수의 두개골편들을 뇌수술완료후 두개외골에 봉합하기 위해, 탑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탑 플레이트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서로 인접하는 두개골편들을 연결한다. 바텀 플레이트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두개외골과 두개골편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뇌질환에 의해 상승된 뇌압 조절을 위해 고정된 두개골편들을 이동시켜 뇌압상승에 따른 팽창시 생기는 공간을 만들 수 있게 하며, 향후 뇌압 안정시 정상 두개골형태로 복원되더라도 더 이상 가라앉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is a skull molding plate fix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skull pieces for the control of the increased brain pressure caused by the brain disease to create a space generated when the brain pressure increases. The cranial plate fixing device includes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for suturing a plurality of skull pieces separated from the cranial bone for brain surgery of the human body and suturing the cranial bone after the brain surgery. The top plate connects the skull pieces adjacent to each other by screwing. The bottom plate connects the cranial skull and the skull piece through screw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that occurs when the expansion of the cranial pressure is increased by moving the fixed skull pieces for the control of the increased brain pressure caused by the brain disease, and it will no longer sink even if the brain pressure is restored in the future. You can prevent it.

Description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Skull Molding Plate Fixing Device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본 발명은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뇌질환에 의해 상승된 뇌압 조절을 위해 두개골편들을 이동시켜 뇌압상승에 따른 팽창시 생기는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ial plate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ial plate fixing device that can make a space generated when the cranial pressure is increased by moving the skull pieces for the control of the brain pressure elevated by the brain disease. will be.

일반적으로, 뇌종양, 뇌손상, 또는 다른 이유로 뇌수술을 하는 환자는 뇌를 수술하기 위해서 먼저 두개골을 절개하는 수술을 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두개골 절개수술은 두개골을 절개하여 그 절개된 두개골을 분리시킨 뒤, 그 환자에게 필요한 수술을 한 후 분리된 두개골을 다시 환자의 두개골에 봉합하여 고정하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undergoing brain surgery for brain tumors, brain damage, or other reasons must first undergo surgery to cut the skull in order to operate the brain. The craniotomy is performed by dissecting the skull to separate the cut skull, and performing the surgery necessary for the patient, and then fixing the separated skull back to the patient's skull.

이러한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은 외상성 뇌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여전이 한 가지 치료의 옵션이지만, 여러 동반된 치료 방법의 발달로 수술 후 환자의 좋은 예후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에 현재에도 많은 신경외과 의사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좋은 결과로 최근에는 예방적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의 사용도 시도되고 있다. Although decompression craniostomy is still an option for treatment according to surgical guidelines for traumatic brain injury,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concomitant treatment modalities may lead to a good prognosis or outcome in patients after surgery. It is still practiced by many neurosurgeons. In addition, as a good result, in recent years, the use of prophylactic decompression skull piece removal has been attempted.

그러나, 이러한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에는 다른 시술과 달리 여러 가지 이 수술과 관련된 특징적인 문제점과 합병증이 있다. However, such decompression skull removal has a number of characteristic problem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is operation, unlike other procedures.

첫째, 제거된 골편을 보관하여야 향후 환자의 회복 시 제거된 골편을 다시 이식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거된 골편은 영하 73도 이하가 유지되는 냉동고에 보관되어야 하며, 환자는 2차 수술(자가골편을 이용한 두개골 성형술: cranioplasty)을 받아야 하며, 혹 골편의 감염이 있을 경우 인조 물질을 이용하여 두개골 성형술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First, the removed bone fragments should be stored so that the removed bone fragments can be transplanted again in the future recovery of the patient. To do this, the removed bone fragments must be stored in a freezer that is maintained below minus 73 degrees, and the patient must undergo secondary surgery (cranioplasty using autologous bone fragments). You will have a hard time doing a cranioplasty.

둘째, 두개골이 제거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좌상이 더 심해지는 경향도 보고되어지고, 뇌의 두개골편 제거부위로의 극심한 팽창, 뇌경막 내 수종의 발생, 외상 후 수두증, 뇌가 대기압의 영향을 직접 받게 되어 골편이 없는 부위 뇌의 일시적 기능 저하(trephined or sinking skin flap syndrome)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Second, there is a tendency to worsen the contusion over time with the skull removed, severe swelling of the cerebrospinal region, incidence of intramedullary edema, posttraumatic hydrocephalus, and the effect of atmospheric pressure on the brain. This can lead to complications, such as trephned or sinking skin flap syndrome in areas without bone fragments.

이에 최근 두개골을 제거하되 골편을 완전히 환자의 두개골에서 제거하지 않고 그 자리에 얹어놓는 방법으로 환자의 뇌압조절과 함께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이 갖고 있는 합병증과 2차 수술의 필요성을 없애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왔다. Recently, the method of removing the skull but removing the bone fragments from the patient's skull instead of removing them completely puts them in place, eliminating the complications of decompression and the need for secondary surgery. come.

그러나, 두개골편의 크기가 크다 보니 감압을 일으킬 수 있는 공간을 얻는데 제한적이었고, 골편이 많으면 그 만큼 두개골의 소실(두개골 절제시 사용되는 전기톱은 일부 골의 소실이 반드시 발생함)부위가 발생하게 되어 향후 제자리로 돌아갔을 때 오히려 역으로 가라앉는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However, because of the large size of the skull piece, it was limited to obtain a space for decompression, and if there were many bone pieces, the loss of the skull (a chainsaw used for cutting the skull would cause some bone loss). There may be a risk of sinking in the future when you return to place.

이에 본 교실에서는 가변형(sliding)인 플레이트를 고안하게 되었고, 골편의 개수는 늘어나도 향후 가라앉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의 수술적 치료를 생각하게 되었다. Therefore, in this classroom, the sliding plate was devised, and the number of bone fragments was increased, and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method of reducing the sinking in the future was considered.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뇌질환에 의해 상승된 뇌압 조절을 위해 고정된 골편들의 이동으로 팽창시 생기는 공간을 만들 수 있게 하며, 향후 뇌압이 안정시 정상 두개골형태로 복원되더라도 더 이상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space that occurs when the expansion of the fixed bone frag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creased brain pressure by the brain disease, the future pressure It is to provide a cranial plate fixing device to prevent further sinking even if it is restored to the normal skull form at this time of stabilit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인체의 뇌수술을 위해 두개외골에서 분리된 복수의 두개골편들을 뇌수술완료후 상기 두개외골에 봉합하기 위해, 탑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서로 인접하는 두개골편들을 연결한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과 상기 두개골편을 연결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ull shaping plate fix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suture a plurality of skull pieces separated from the cranial skull for the brain surgery of the human body after the brain surgery to suture the cranial bone, Top plate and side plate. The top plate connects adjacent skull pieces to each other through screwing. The bottom plate connects the cranial skull and the skull piece through screwing.

일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십자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p plate may have a cross shape.

일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삼각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p plate may have a triangular shape.

일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에서 분기된 복수의 분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기부재들 각각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탑 메인홀과, 상기 탑 메인홀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탑 슬라이딩홀이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top plate may include a center member and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branched from the center member. At this time, each of the branch members, a top main hole and a top sliding hole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top main hole is formed so that the screw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r decrease in pressure.

여기서, 상기 탑 메인홀의 최대너비는 상기 탑 슬라이딩홀의 최대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상기 탑 슬라이딩홀에 경유하여 상기 두개골편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 제1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 상기 헤드부와 나사산부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걸림턱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걸림턱부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경을 갖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류는 상기 걸림턱부를 통해 상기 탑 메인홀에 삽입되고, 상기 탑 슬라이딩홀을 통해 슬라이딩된다. Here, the maximum width of the top main hole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op sliding hole. In this case, the skull forming plat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crew fastened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skull piece via the top sliding hole. The first screw has a head portion having a first diameter, a threaded por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 threaded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threaded portion, and a locking step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lid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locking jaw part and having the second diameter. The first screw is inserted into the top main hole through the locking step and slides through the top sliding hole.

일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일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사이드 메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2 사이드 메인홀과, 상기 제2 사이드 메인홀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사이드 메인홀의 최대너비는 상기 사이드 슬라이딩홀의 최대너비보다 크다. 여기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다. In one embodiment, the side plate may have a straight shape. Here, a first side main hole for connection with the cranial exoskelet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late by screwing,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the screw is moved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cerebral pressure or lower pressure. A side main hole and a side sliding hole extending in a straight shape from the second side main hole are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side main hole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ide sliding hole. Here, the skull shaping plat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crew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and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cranial skull. The second screw includes a head portion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threaded por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the second screw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and formed in the cranial skull. It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이러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뇌질환에 의해 상승된 뇌압 조절을 위해 고정된 두개골편들을 이동시켜 뇌압상승에 따른 팽창시 생기는 공간을 만들 수 있게 하며, 향후 뇌압 안정시 정상 두개골형태로 복원되더라도 더 이상 가라앉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kull plate fix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created by expansion of the cranial pressure due to the increase in brain pressure by moving the fixed skull pieces for the control of the increased brain pressure caused by brain disease, You can prevent it from sinking anymor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적용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수술완료후 봉합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수술완료후 봉합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탑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탑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사이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제1 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제1 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제2 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1a에 도시된 제2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모형을 통한 시술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pplication of the skull plat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lan view of the skull plate fixing device closed after surgery, Figure 1c is a closed skull after surgery Side view of a forming plate fixing device.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1A,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1A.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lan view of the side plate shown in FIG. 1A,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plate shown in FIG. 1A.
FIG. 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crew illustrated in FIG. 1A, FIG. 5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crew illustrated in FIG. 1A, and FIG.
6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screw illustrated in FIG. 1A, and FIG. 6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crew illustrated in FIG. 1A.
6a to 6d are photographs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procedure through the model using the skull plat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적용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수술완료후 봉합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수술완료후 봉합된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application of the skull plat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lan view of the skull plate fixing device closed after surgery, Figure 1c is a closed skull after surgery Side view of a forming plate fixing device.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인체의 뇌수술을 위해 두개외골(10)에서 분리된 복수의 두개골편들(22, 24, 26, 28)을 수술완료후 상기 두개외골(10)에 봉합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탑 플레이트(100) 및 사이드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1A to 1C, the skull molding plate fixing device has a plurality of skull pieces 22, 24, 26, and 28 separated from the cranial extracranial 10 for brain surgery of the human body. It is used to suture (10). The skull forming plate fixing device includes a top plate 100 and a side plate 200.

상기 탑 플레이트(100)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서로 인접하는 두개골편들(22, 24, 26, 28)을 연결한다. 예를들어, 상기 탑 플레이트(100)는 4개로 분리된 제1, 제2, 제3 및 제4 두개골편들(22, 24, 26, 28)을 스크류 체결을 통해 연결한다. The top plate 100 connects the skull pieces 22, 24, 26, 28 adjacent to each other by screwing. For example, the top plate 100 connects the four,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kull pieces 22, 24, 26, 28 separated by screwing.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0)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10)과 상기 두개골편을 연결한다. 예를들어,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200)는 상기 두개외골(10)과 상기 제1 두개골편(22)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는 상기 두개외골(10)과 상기 제2 두개골편(24)을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는 상기 두개외골(10)과 상기 제3 두개골편(26)을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는 상기 두개외골(10)과 상기 제4 두개골편(28)을 연결한다.The side plate 200 connects the cranial extracranial 10 and the skull piece through screwing. For example, one side plate 200 connects the skull and the first skull piece 22, and the other side plate (not shown) is the skull and bone 10 and The second skull piece 24 is connected, and another side plate (not shown) connects the cranial extracranial 10 and the third skull piece 26, and another side plate. (Not shown) connects the cranial exoskeleton 10 and the fourth skull piece 28.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크류(300) 및 제2 스크류(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류(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100)와 상기 두개골편들(22, 24, 26, 28)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류(30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0)의 일단과 상기 두개골편들(22, 24, 26, 28)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crew 300 and the second screw 400 further includes. The first screw 300 is used to connect the top plate 100 and the skull pieces 22, 24, 26, 28. In addition, the first screw 300 is used to connect one end of the side plate 200 and any one of the skull pieces 22, 24, 26, 28.

상기 제2 스크류(40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0)의 타단과 상기 두개외골(10)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The second screw 400 is used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200 and the cranial bone 10.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탑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탑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1A,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1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탑 플레이트(100)는 중심부재(110), 제1 분기부재(120), 제2 분기부재(130), 제3 분기부재(140) 및 제4 분기부재(150)를 포함하고, 십자 형상을 갖는다. 2A and 2B, the top plate 100 may include a central member 110, a first branch member 120, a second branch member 130, a third branch member 140, and a fourth branch member ( 150) and have a cross shape.

상기 제1 분기부재(120)는 상기 중심부재(110)에서 관찰자 관점에서 12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분기부재(12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1 탑 메인홀(122)과, 상기 제1 탑 메인홀(12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1 탑 슬라이딩홀(1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탑 메인홀(12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1 탑 슬라이딩홀(12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 The first branch member 12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110 in the 12 o'clock direction in view of the observer. The first branch member 120 has a first tower main hole 122 and a first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first tower main hole 122 so that the screw moves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drop in brain pressure. Sliding hole 124 is formed. 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top main hole 12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top sliding hole 124.

상기 제2 분기부재(130)는 상기 중심부재(110)에서 관찰자 관점에서 3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분기부재(13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2 탑 메인홀(132)과, 상기 제2 탑 메인홀(13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2 탑 슬라이딩홀(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탑 메인홀(13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2 탑 슬라이딩홀(13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The second branch member 13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110 in the 3 o'clock direction in view of the observer. The second branch member 130 has a second tower main hole 132 and a second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second tower main hole 132 so that the screw moves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drop in brain pressure. A sliding hole 134 is formed. 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top main hole 13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top sliding hole 134.

상기 제3 분기부재(140)는 상기 중심부재(110)에서 관찰자 관점에서 6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분기부재(14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3 탑 메인홀(142)과, 상기 제3 탑 메인홀(14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3 탑 슬라이딩홀(14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탑 메인홀(14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3 탑 슬라이딩홀(14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The third branch member 140 extends in the 6 o'clock direction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of the central member 110. The third branch member 140 includes a third tower main hole 142 and a third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third tower main hole 142 so that the screw moves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drop in brain pressure. Sliding hole 144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third tower main hole 14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hird tower sliding hole 144.

상기 제4 분기부재(150)는 상기 중심부재(110)에서 관찰자 관점에서 9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4 분기부재(15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4 탑 메인홀(152)과, 상기 제4 탑 메인홀(15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4 탑 슬라이딩홀(15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4 탑 메인홀(15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4 탑 슬라이딩홀(15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The fourth branch member 15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110 in the 9 o'clock direction in view of the observer. The fourth branch member 150 has a fourth tower main hole 152 and a fourth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fourth tower main hole 152 so that the screw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brain pressure or the drop in the brain pressure. A sliding hole 154 is formed. In this case, the maximum width of the fourth tower main hole 15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ourth tower sliding hole 154.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탑 플레이트가 십자형상을 갖고서 4개로 분리된 두개골편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두개골편이 3개로 분리된다면, 탑 플레이트는 후술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top plate has a cross shape to connect each of the four separate skull pieces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f the skull piece is separated into three, the top plate may have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3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탑 플레이트(500)는 중심부재(510), 제5 분기부재(520), 제6 분기부재(530) 및 제7 분기부재(540)를 포함하고, 삼각발 형상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3, the top plate 500 includes a center member 510, a fifth branch member 520, a sixth branch member 530, and a seventh branch member 540, and has a triangular shape. .

상기 제5 분기부재(520)는 상기 중심부재(510)에서 관찰자 관점에서 12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5 분기부재(52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5 탑 메인홀(522)과, 상기 제5 탑 메인홀(52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5 탑 슬라이딩홀(5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5 탑 메인홀(52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5 탑 슬라이딩홀(52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 The fifth branch member 52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510 in the 12 o'clock direction in view of the observer. The fifth branch member 520 includes a fifth tower main hole 522 and a fifth tower extending linearly from the fifth tower main hole 522 so that the screw moves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drop in brain pressure. A sliding hole 524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fifth top main hole 52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fth top sliding hole 524.

상기 제6 분기부재(530)는 상기 중심부재(510)에서 연장되되,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할 때, 상기 제5 분기부재(520)와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6 분기부재(53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6 탑 메인홀(532)과, 상기 제6 탑 메인홀(53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6 탑 슬라이딩홀(5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6 탑 메인홀(53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6 탑 슬라이딩홀(53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The sixth branch member 53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510, and when viewed from an observer's point of view, extends to have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the fifth branch member 520. The sixth tower main hole 532 and the sixth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sixth tower main hole 532 to move the screw in accordance with the cerebral pressure rise or thunder pressure drop in the sixth branch member 530. A sliding hole 534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sixth top main hole 53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ixth top sliding hole 534.

상기 제7 분기부재(540)는 상기 중심부재(510)에서 연장되되,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할 때, 상기 제6 분기부재(530)와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7 분기부재(540)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7 탑 메인홀(542)과, 상기 제7 탑 메인홀(54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제7 탑 슬라이딩홀(54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7 탑 메인홀(542)의 최대너비는 상기 제7 탑 슬라이딩홀(544)의 최대너비보다 큰다.The seventh branch member 540 extends from the center member 510, and when viewed from an observer's point of view, extends to have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the sixth branch member 530. The seventh tower main hole 542 and the seventh tower extending in a linear shape from the seventh tower main hole 542 so that the screw moves in the seventh branch member 540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a drop in brain pressure. A sliding hole 544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ximum width of the seventh top main hole 54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eventh top sliding hole 544.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사이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4A is a plan view of the side plate shown in FIG. 1A,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plate shown in FIG. 1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0)의 일단에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사이드 메인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0)의 타단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2 사이드 메인홀(222)과, 상기 사이드 메인홀(222)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슬라이딩홀(2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사이드 메인홀(222)의 최대너비는 상기 사이드 슬라이딩홀(224)의 최대너비보다 크다.4A and 4B, a first side main hole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late 200 to connect with the cranial exoskeleton through screw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200. The second side main hole 222 and a side sliding hole 224 extending from the side main hole 222 in a linear shape are formed to move the screw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pressure or the drop in the pressure.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side main hole 22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ide sliding hole 224.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제1 스크류(3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제1 스크류(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crew 300 illustrated in FIG. 1A, and FIG. 5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crew 300 illustrated in FIG. 1A.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스크류(300)는 상기 탑 슬라이딩홀에 경유하여 상기 두개골편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다. 5A and 5B, the first screw 300 is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skull piece via the top sliding hole.

제1 스크류(300)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310),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320), 상기 헤드부(310)와 나사산부(320)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3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걸림턱부(330), 및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걸림턱부(330)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경을 갖는 슬라이딩부(340)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제1 스크류(300)는 상기 걸림턱부(330)를 통해 상기 제1 탑 메인홀(122; 도 2a에 도시됨)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탑 슬라이딩홀(124; 도 2a에 도시됨)을 통해 슬라이딩된다. The first screw 300 has a head portion 310 having a first diameter, a threaded portion 320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 threaded portion 320, the head portion 310 and the threaded portion 320. The locking jaw portion 330,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310 and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310, is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310 and the locking jaw portion 330, and the sliding portion 340 having the second diameter. It includes. For example, the first screw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op main hole 122 (shown in FIG. 2A) through the locking step 330, and the first top sliding hole 124 (FIG. 2A). Shown).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제2 스크류(4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1a에 도시된 제2 스크류(400)의 측면도이다.6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screw 400 illustrated in FIG. 1A, and FIG. 6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crew 400 illustrated in FIG. 1A.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스크류(400)는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210; 도 4a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다. 상기 제2 스크류(400)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410),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420)를 통해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210; 도 4a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다. 6A and 6B, the second screw 4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210 (shown in FIG. 4A) and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cranial skull. The second screw 400 includes a head portion 410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threaded portion 420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wherein the threaded portion 420 is formed, and the threaded portion 420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210 (shown in Figure 4a) through it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cranium.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모형을 통한 시술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6a to 6d are photographs for explaining the procedure of the procedure through the model using the skull plat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두개골 내압의 상승에 따라 두개골의 부피는 팽창된다. 구체적으로, 두부(head)는 다른 체간과는 달리 특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두개골이 뇌를 보호하고 있으며, 뇌는 척수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두개강내 새로이 공간을 점유하는 병변, 예를들어, 뇌종양, 뇌출혈, 다양한 원인으로 기인되는 뇌부종 등이 발생할 경우, 한정된 공간내에 있는 뇌조직, 뇌척수액, 혈류의 세 가지 물질이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공간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어 일정한 두개강내 압력을 조절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한계치를 넘어가는 순간에는 뇌의 탈출(brain herniation)이 일어나게 되고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이 몬로공(foramen Monro), 즉, 뇌와 뇌척수가 연결되는 부위가 유일하므로 이를 통한 부피팽창을 하게 된다. 또한 두개강내에는 뇌의 좌우를, 대뇌부와 소뇌부를 나누는 겸막과 천막(falx or tentorium)이 존재하여 이러한 원래 위치로부터의 이동시 혈관이나 대뇌신경, 혹은 뇌간부의 압박을 초래하게 되어 환자가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신경외과 영역에서 뇌압의 조절은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치료방법중의 하나이다. 뇌압조절은 일반적으로 약물을 이용한 방법이 선행되어지나, 이러한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감압의 목적으로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decompressive craniectomy)을 행한다. Referring to FIG. 6A, as the intracranial pressure increases, the volume of the skull expands. Specifically, the head has a special structure unlike other trunks. The skull protects the brain, which is connected to the spinal cord. Therefore, when a newly occupying space in the cranial cavity occurs, for example, brain tumor, cerebral hemorrhage, and cerebral edema caused by various causes, the three substances, brain tissue, cerebrospinal fluid, and blood flow in a limited space, are moved in any way. This will cause a constant intracranial pressure. However, at the moment when the threshold is exceeded, brain herniation occurs, and the space where the brain escapes is the foramen Monro, that is, the site where the brain and the cerebrospinal cord are connected. do. In addition, within the cranial cavity, there is a falcon or tentorium that divid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in and divides the cerebral and cerebellum sections, resulting in compression of blood vessels, cerebral nerves, or brain stems when moving from these original locations. It has a special anatomical structure that prevents it. Therefore, the regulation of cerebral pressure in neurosurgery is one of the basic and very important treatment methods. Cerebral pressure control is generally preceded by a drug-based method, but decompressive craniectomy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ecompression when it does not respond to such drug treatment.

도 6b를 참조하면,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에 의해 일차적으로 두개골편을 제거한다. 시술자는 두개골편을 제거한 후, 뇌탈출을 방지 혹은 줄이고자, 인위적으로 뇌의 부피 팽창의 공간을 만든다. 이와 더불어, 필요시 뇌막을 팽창(Duroplasty)시켜 놓거나, 혹은 기능적으로 의미없는 뇌의 일부를 절제(lobectomy)하기도 한다. Referring to FIG. 6B, the skull piece is first removed by pressure-sensitive skull piece removal. The operator removes the cranial fragments and then artificially creates a space for volume expansion of the brain to prevent or reduce brain escape. In addition, the brain membranes can be dilated if necessary, or a lobectomy of a functionally meaningless part of the brain can be performed.

이러한 시술이 완료됨에 따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두개외골에서 제거된 두개골편들을 봉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개골편들은 두개외골에서 분리된 후, 수술완료후 하나의 탑 플레이트에 의해 4개의 두개골편들은 서로 연결되고, 7개의 사이드 플레이트들에 의해 4개의 두개골편들은 두개외골에 연결된다. As the procedur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ure 6c, using the skull plat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tures the skull pieces removed from the cranial b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kull pieces are separated from the cranial exoskeleton, and after completion of surgery, the four skull pie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top plate, and the four skull pieces are connected to the cranial bone by the seven side plates. .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압이 상승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의 탑 플레이트에 형성된 탑 슬라이딩홀을 통해 스크류가 슬라이딩된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사이드 슬라이딩홀을 통해 스크류가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비록 뇌압이 상승되더라도 두개골편들은 두개외골에서 일정 높이만큼 부풀어오를 뿐이다. As shown in FIG. 6D, the screw is slid through the top sliding hole formed in the top plate of the cranial plate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rain pressure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screw is slid through the side sliding hole formed in the side plate. Accordingly, even if the brain pressure is increased, the skull pieces only swell by a certain height in the cranial skull.

한편, 뇌압이 하강하면, 탑 플레이트에 형성된 탑 슬라이딩홀을 통해 스크류가 슬라이딩되고,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사이드 슬라이딩홀을 통해 스크류가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뇌압이 하강되면 부풀어오른 두개골편들은 두개외골에 밀접하게 이동되어 위치가 복원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ning pressure falls, the screw is slid through the top sliding hole formed in the top plate, the screw is slid through the side sliding hole formed in the side plate. Accordingly, when the brain pressure is lowered, the swollen cranial fragments are closely moved to the cranial skull and the position is restored.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는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decompressive craniectomy)과 예방적 감압술(preventive craniectomy)에 활용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개강 내압이 상승된 환자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약물의 치료로도 뇌압상승이 조절되지 않아 감압적 두개골편 제거술을 계획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뇌병변으로 뇌압력의 상승이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될 경우, 뇌병변의 수술에 이어서 골편을 고정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를 사용한다면, 추후 뇌부종의 악화로 골편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게 할 수 있어, 이러한 예방적 감압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kull plat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decompressive craniectomy and preventive craniectomy.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to all patients with elevated intracranial pressure, especially when the plan is to control the decompression of the cranial pressure because the increase in brain pressure is not controlled even by the treatment of drugs. In addition, if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 in the brain pressure will continue to increase due to the brain lesion of the patient, when using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bone fragments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lesions, to remove the bone fragments due to the worsening of brain edema late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help prevent prophylactic decompression because it can be prevented from undergoing surgical treatment again.

또한, 2차 수술의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의료비의 감소효과와 재수술로 인한 감염이나 환자의 심리적 부담감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secondary surge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edical expenses and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infection or the patient due to reoperation.

또한, 대형병원이 아닐 경우 고가의 냉동고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자가 골편의 이용으로 더욱 간단한 수술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you do not have a large hospital, you do not need to purchase an additional expensive freezer, it can be a simpler surgical treatment using the autologous bone fragments.

10 : 두개외골 22, 24, 26, 28 : 두개골편
100, 500 : 탑 플레이트 110, 510 : 중심부재
120, 130, 140, 150, 520, 530, 640 : 분기부재
122, 132, 142, 152, 522, 532, 542 : 탑 메인홀
124, 134, 144, 154, 524, 534, 544 : 탑 슬라이딩홀
200 : 사이드 플레이트 210 : 제1 사이드 메인홀
222 : 제2 사이드 메인홀 224 : 사이드 슬라이딩홀
300 : 제1 스크류 400 : 제2 스크류
310, 410 : 헤드부 320, 420 : 나사산부
330 : 걸림턱부 340 : 슬라이딩부
10: skull extracranial 22, 24, 26, 28: skull piece
100, 500: top plate 110, 510: core material
120, 130, 140, 150, 520, 530, 640: branch member
122, 132, 142, 152, 522, 532, 542: Top main hole
124, 134, 144, 154, 524, 534, 544: top sliding hole
200: side plate 210: first side main hole
222: second side main hole 224: side sliding hole
300: first screw 400: second screw
310, 410: head 320, 420: screw thread
330: locking jaw portion 340: sliding portion

Claims (10)

인체의 뇌수술을 위해 두개외골에서 분리된 복수의 두개골편들을 뇌수술완료후 상기 두개외골에 봉합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에서,
스크류 체결을 통해 서로 인접하는 두개골편들을 연결하는 탑 플레이트; 및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과 상기 두개골편을 연결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에서 분기된 복수의 분기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재들 각각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탑 메인홀과, 상기 탑 메인홀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탑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In the cranial plate fixing device for suture the cranial bones separated from the cranial skull for the brain surgery of the human body and suture the cranial skull after the brain surgery,
A top plate connecting the skull pieces adjacent to each other by screwing; And
It includes a side plate for connecting the skull and the skull piece through the screw fastening, The top plate includes a central member and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branched from the central member,
Each of the branch members, the skull forming plate fix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main hole and the top sliding hole extending in a straight shape from the top main hole is formed so that the screw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pressure or the pressure dr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십자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apparatus for fixing a skull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plate has a cross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삼각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op plate has a triangular foot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메인홀의 최대너비는 상기 탑 슬라이딩홀의 최대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ximum width of the top main hol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top sliding 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 슬라이딩홀에 경유하여 상기 두개골편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된 제1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
상기 헤드부와 나사산부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걸림턱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걸림턱부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경을 갖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부를 통해 상기 탑 메인홀에 삽입되고, 상기 탑 슬라이딩홀을 통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rst screw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skull piece via the top sliding hole, wherein the first screw,
A head portion having a first diameter;
A thread portion having a thread diameter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 locking jaw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threa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locking jaw portion, and includes a sliding portion having the second diameter,
The skull molding plate fix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top main hole through the locking jaw, and sliding through the top slid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일자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de plate has a straight sha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상기 두개외골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사이드 메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뇌압상승 또는 뇌압하강에 따라 스크류가 이동되도록, 제2 사이드 메인홀과, 상기 제2 사이드 메인홀에서 일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end of the side plate is formed by screwing the first side main hole for connection with the cranial exoskeleton,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the screw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brain pressure or pressure drop And a second side main hole and a side sliding hole extending in a straight shape from the second side main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메인홀의 최대너비는 상기 사이드 슬라이딩홀의 최대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side main hol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side sliding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류는,
제1 직경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이드 메인홀에 삽입되어 상기 두개외골에 형성된 스크류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골 성형판 고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crew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and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skull.
A head portion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nd a threaded por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wherein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The skull molding plate fix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ain hole through the screw portion is fastened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cranial skull.

KR1020110048036A 2011-05-20 2011-05-20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36A KR101259412B1 (en) 2011-05-20 2011-05-20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36A KR101259412B1 (en) 2011-05-20 2011-05-20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54A KR20120129654A (en) 2012-11-28
KR101259412B1 true KR101259412B1 (en) 2013-05-15

Family

ID=4751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0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412B1 (en) 2011-05-20 2011-05-20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4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0049B (en) * 2023-04-04 2025-09-09 南京市儿童医院 Posterior cranium epitaxial growth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936A (en) 1998-11-04 2000-05-23 Hironobu Nomura Fixing tool of bone prosthetic member to cranial bone
US20080177314A1 (en) 2006-12-27 2008-07-24 Jeremy Lemoine Modular occipital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936A (en) 1998-11-04 2000-05-23 Hironobu Nomura Fixing tool of bone prosthetic member to cranial bone
US20080177314A1 (en) 2006-12-27 2008-07-24 Jeremy Lemoine Modular occipital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54A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0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ecompression craniotomy
US8747477B2 (en) Decompressive craniotomy fixation device
US7799058B2 (en) Interspinous spacer
Komuro et al. Posterior cranial vault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barrel stave osteotomy in thetreatment of craniosynostosis
US9603626B2 (en) Telescopic cranial bone screw
CN104490459A (en) Atlantoaxial dislocatio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device
Merlino et al. Role of systematic scalp expansion before cranioplasty in patients with craniectomy defects
US11504161B2 (en) Dynamic decompressive craniotomy
KR101259412B1 (en) Fixing device for cranioplasty
CN105997294B (en) The patch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mending applied in a kind of operations on cranium and brain
CN204446071U (en) Atlantoaxial dislocatio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device
CN118647325A (en) Skull fixation device for decompression/compression craniectomy
CH704793B1 (en) Nasenwand implant and Operationsset for correcting cartilage weakness of the human nose.
US8043212B1 (en) Methods for treating cervical vertebrae through an access device
CN206424179U (en) Neurosurgery skull repairing titanium net structure
Wang et al. Sagittal synostosis scaphocephaly cranial reconstruction with spiral cut cranioplasty
Samii et al. Giant meningiomas of the posterior fossa
ADAWI et al. Utility of Linear Scalp Incision in Various Cranial Surgeries
RU2428947C1 (en) Method of fixation of unstable spine injuries
Stroe et al. COMBINED TECHNOLOGIES USED IN THE TREATMENT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THE CURRENT STAGE
WO2025115045A1 (en) Cranial fixation device for decompression / augmentative craniectomy
Suehiro et al. Neurosurgical Technique and Approach
Saaiq Tissue expansion: a valuable adjunct to reconstructive surgery
Rincon-Torroella et al. Sphenoid Wing Meningiomas
WO20111160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nting dura mater in spinal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4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