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210B1 -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5210B1 KR101265210B1 KR1020120113991A KR20120113991A KR101265210B1 KR 101265210 B1 KR101265210 B1 KR 101265210B1 KR 1020120113991 A KR1020120113991 A KR 1020120113991A KR 20120113991 A KR20120113991 A KR 20120113991A KR 101265210 B1 KR101265210 B1 KR 101265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a gateway
-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 voip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MG, Media Gateway)를 포함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망에서 통신대역을 절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또다른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거나, 또다른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제 1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media gateway (MG). And multiplex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one media gateway to another media gateway, or demultiplexing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another media gateway to one media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oIP 통신망에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를 추가하여 불연속적으로 송수신되던 디지털 패킷들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사용하는 통신대역을 절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VoIP 통신망 환경을 제공하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dd a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to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use multiplexed multiplexed digital packets by destination address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reducing the bandwid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band reduction system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more efficient and high quality VoIP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은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패킷(Packet, 데이터 통신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로서, IP 네트워크와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연동을 통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voice analog signals into digital packets (packets, the smallest unit of data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m through a network us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interworking of PSTN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현재 전세계에 IP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며, VoIP를 위한 공중 전화망, 사설 IP 기반망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에 사용되는 교환기는 소프트 스위치(Soft Switch)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로 분리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및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 제시되어 있다.Currently, IP networks are established around the world, and the exchanges used for public telephone networks, private IP-based networks,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for VoIP are being separated into soft switches and media gateways. . This is present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and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VoIP 구현을 위해 현재 많이 사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로는, H.323, SIP(Session Initiation Protoca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및 MEGACO(Media Gateway Control)등이 있다. 이 때, VoIP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은 미디어 레벨 프로토콜과 호처리 및 제어 프로토콜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ignaling protocols currently used for VoIP implementation include H.323,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and Media Gateway Control (MEGACO). In this case, protocols for implementing VoIP may be classified into a media level protocol and a call processing and control protocol.
종래에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대역 폭을 절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자면, HTTP를 사용하는 WEB 통신 중에는 컨텐츠 데이터를 gzip 형태로 압축하고, 이를 전송 헤더에 명시함으로써, 수신측 WEB Browser에서 압축 풀기를 수행하도록 하여 인터넷 포털 서비스 제공자의 통신 사용량을 줄여서 통신 비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의 장치에 전송 헤더와 컨텐츠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는 장비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duce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communication system,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used. For example, during WEB communication using HTTP, content data is compressed in a gzip form and specified in a transmission header to receive the data. You can minimize the communication cost by reducing the communication usage of the Internet portal service provider by decompressing in the web browser. To this end, an apparatus for compressing a transmission header and content data may be further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장치의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전송 프로토콜이 새롭게 정의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전송 데이터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VoIP 분야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field of VoIP, transmission data compression is often not perform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device due to a newly defined transmission protocol.
특히, VoIP 분야의 경우에는, 수많은 전화 관련 신호 정보와 제어 정보 및 미디어 정보가 압축되지 않은 형태로 각각의 가입자마다 별도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VoIP field, a large number of telephone-related signal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and media information are processed separately for each subscriber in an uncompressed form.
미디어 정보 자체는 보이스 코덱(Voice Codec)을 통하여 압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매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 패킷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헤더 및 IP(Internet Protocol) 헤더가 첨가되므로 실제 데이터보다 많거나 또는, 대등한 크기의 헤더가 오버헤드(overhead)되어 사용하는 트래픽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Media information itself is compressed using Voice Codec, but more data than actual data is added because each User Datagram Protocol (UDP) header and Internet Protocol (IP) header are added to every Real-time Transfer Protocol (RTP) packet. Alternatively, a header of equal size is overhead and the traffic to be used is increased,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efficiently use a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VoIP 통신망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 의해 처리되는 회선이 수백만 회선에 달하며, 하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적게는 256회선에서 많게는 수천회선까지 처리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발생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즉시 회선별로 전달하게 되면, 매우 작은 패킷들이 불연속적으로 무질서하게 발생하여, 트래픽이 많아짐에 따라 통신의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In addition, millions of circuits are handled by media gateways and media gateway controllers in VoIP networks, and one media gateway can handle as many as 256 to as many as thousands of circuits. Through this, when a large number of generated data is immediately transmitted per line, very small packets are discontinuously disordered, and as the traffic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QoS).
한국 공개 특허 제2009-0123078호 ("MEGACO 기반의 통신망에서의 RTP 패킷 로스 인지 방법 및 그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가입자간 송수신되었던 RTP 패킷의 로스(Loss, 손실) 여부를 MEGACO(Media Gateway) 통계 기능을 사용해 인지하기 위한 MEGACO 기반의 통신망에서의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 패킷 로스 인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0123078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RTP Packet Loss in MEGACO-Based Communication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1) shows whether MEGACO (Media) loss of RTP packet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subscribers. A method of real-time transfer protocol (RTP) packet loss recognition in a MEGACO-based communication network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미디어 정보에 대한 손실 여부만을 인지하는 방법으로, 많게는 수천회선으로 전달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회선별로 전달하면서 사용하는 무분별한 통신 대역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이나, 이에 따른 인터넷 백본의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1 is a method for recognizing only loss of media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media gateway, and a method for reducing indiscriminate communication bands used while transferring a large number of data transmitted in thousands of lines per line, There is no mention of how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Internet backbon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VoIP 통신망에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를 추가하여 불연속적으로 송수신되던 디지털 패킷들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사용하는 통신대역을 절감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VoIP 통신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to a VoIP network for discontinuously transmitting / receiving digital packets by a predetermined address per predetermined period. By reducing the communication band used by multiplexing,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band reduction system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provide a more efficient and high quality VoIP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MG, Media Gateway)를 포함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망에서 통신대역을 절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제 1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media gateway (MG), A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MUX / DeMUX) which multiplexe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one media gateway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or demultiplexes and receives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one medi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거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역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apparatus multiplexes the voice data,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ata to the media gateway, or the voice data of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Demultiplexing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apparatus is programmed in the media gateway or is provided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MGC, Media Gateway Controll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호처리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로 송신하거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band reduction system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includes a media gateway controller (MGC), and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is a call processing of the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media gateway. And multiplexing the data to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or demultiplexing the control data of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and transferring the data to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호처리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제 2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includes a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device that demultiplexes the call processing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or multiplexes and transmits the control data to the medi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is programmed in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or is provided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VoIP 통신망에서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추가하여 불연속적으로 송수신되던 디지털 패킷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송수신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서 사용하는 통신 대역이 절감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VoIP 통신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dds a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device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to multiplex digital packets that are discontinuously transmitted / received by a target addres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is enabl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us reduces the communication band used, thereby providing a more efficient and excellent VoIP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또한, 통신 대역이 절감된 만큼, 트래픽이 감소되어 통신의 품질(QoS)를 훨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communication bandwidth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ffic is reduced to manag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QoS) much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media gateway of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edia gateway and a media gateway controller of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band reduction system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band reduction system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conve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collection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regularly interact to perform the required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게이트웨이(MG, Media Gateway)(11 내지 1N),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MGC, Media Gateway Controller)(20), 제 1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31 내지 3N) 및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As shown in FIG. 3, a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a gateway (MG) 11 to 1N, a media gateway controller (MGC) ( 20), comprising a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각각의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에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와의 VoIP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P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multiplexing /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간의 VoIP 통신은 하나의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VoIP communication between the
상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의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호처리 데이터와 이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로 송수신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Th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이 때, 상기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는 보코더(Vocoder)에 의해서 8KHz로 샘플링되고, 10~30ms 단위로 압축됨으로써 음성 패킷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음성 패킷은 음성 데이터 외에 IP 헤더, UDP 헤더,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은 상기 음성 패킷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성 데이터는 보코더에 의해서 압축된다 하더라도, IP 헤더 및 UDP 헤더 등이 첨가됨으로써 실제의 음성 데이터보다 헤더 정보들이 오버헤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에서 사용하는 트래픽 감소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At this time, the voice data generated in the VoIP terminal is sampled at 8KHz by a vocoder, compressed in 10-30 ms units, and then transmitted into a voice packet. The voice packet may further include an IP header, a UDP header,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o voice data.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을 각각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하여, 시간당 처리하는 패킷 수를 절감하여, 통신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width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ultiplexing /
상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되어,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 즉,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다중화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외부는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을 의미한다.In detail, the first multiplexing /
더불어,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 즉, 다중화된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a by demultiplexing the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multiplexing /
이 때,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10ms 내지 30ms 주기마다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목적지가 같은 데이터가 10ms 내지 30ms 주가마다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되므로 사용되는 패킷 수가 감소하여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ultiplexing /
또한,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에서 음성 데이터(voice data), 동기화 정보(sync_source) 및 시간 정보(time stamp)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multiplexer /
이 때,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 되거나 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의 외측에 아답터(adapter)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multiplexing /
즉,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은 적어도 하나의 VoIP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전송받은 다중화된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 패킷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으로 전달할 수 있다.That is, in other words, in the VoIP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the
이를 통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망에서 목적 주소가 같은 데이터가 하나의 다중화된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므로 처리되는 패킷 수가 감소되며, 이에 따른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시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이 없으므로 통신의 품질(QoS)이 보장되고, 통신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 간의 VoIP 통신에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를 추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for reducing a communication bandwidth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may add the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부터 발생하는 호처리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전달할 수 있다.The
이 때, 상기 호처리 데이터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주기적인 폴링(polling) 특성, 즉, 즉, 상기 VoIP 단말이 상태 확인을 위해서 인터넷 서버로 지속적으로 폴링 트래픽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가 복수 개의 상기 VoIP 단말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패킷 수가 증가하여 통신 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통신의 품질 또한 관리하기가 어려워진다.At this time, the call processing data is a periodic polling characteristic that occurs in at least one VoIP terminal provided in th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는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되거나, 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의 외측에 아답터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Accordingl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간의 VoIP 통신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로 호처리 데이터를 보내며,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는 상기 호처리 데이터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보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oIP communication between the
이 때,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가 복수 개의 VoIP 단말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러 호처리 데이터가 무분별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은 상기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호처리 데이터를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전달받은 호처리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의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로 송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이 때,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호처리 데이터를 8ms 또는, 16ms 주기로 다중화할 수 있으며, 이는 VoIP 단말이 가지고 있는 폴링 특성에 따른 주기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In this case, the first multiplexing /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는 수신한 다중화된 상기 호처리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로 전달하며,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는 상기 호처리 데이터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로 보낼 수 있다.The second multiplexing /
이 때,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는 제어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수신받은 제어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multiplexing /
이를 통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 간의 VoIP 통신망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호처리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또는 목적 주소가 같은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므로 처리되는 패킷 수가 감소되며, 이에 따른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ll processing data is multiplex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또한, 임의의 시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이 없으므로 통신의 품질(QoS)이 보장되며, 통신 처리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packet transmitted or received at any tim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QoS) is guaranteed, and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processing can be improved.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통산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개의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의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VoIP 단말에서 발생하는 호처리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의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로 송신할 수 있다.That is, in other words, the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width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multiplexing /
이와 반대로,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은 다중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로 전달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the first multiplexing /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40)는 다중화된 호처리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1 내지 1N)의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1 내지 3N)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The second multiplexing /
이를 통해서, VoIP 통신망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가 같은 데이터가 하나의 다중화된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므로 단위시간당 처리되는 패킷 수가 감소되며, 이에 따른 통신대역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처리가능한 유효대역폭은 최대화되어 통신 처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임의의 시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이 없으므로 통신의 품질(QoS)을 관리가 용이하다.
Through this, since the data having the same destination address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ingle multiplexed signal in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the number of packets processed per unit time is reduced, and the communication bandwidth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by enabling effective bandwidth. Can be maximiz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packet transmitted or received at any time, it is easy to manag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Qo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내지 1N : 미디어 게이트웨이(MG, Media Gateway) (N은 1이상의 정수)
20 :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MGC, Media Gateway Controller)
31 내지 3N :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40 :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11 to 1N: Media Gateway (MG, Media Gateway)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20: Media Gateway Controller (MGC)
31 to 3N: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apparatus
40: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Claims (6)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제 1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거나,
또다른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며,
또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호처리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로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로 송신하거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받은 다중화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는 제 2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호처리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목적 주소 별로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
In a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width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media gateway (MG) and a media gateway controller (MGC),
The media gateway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device,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Voice data,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digital data received from one media gateway are multiplexed by a destination addres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n transmitted to another media gateway,
Demultiplexing the voice data,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to one media gateway;
or,
The call processing data of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is multiplexed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ted to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Demultiplexing the control data of the multiplex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and delivering the demultiplexed control data to the media gateway,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MUX / DeMUX) device,
The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Demultiplexing call processing data of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apparatus of the media gateway,
And a control data of the digital data is multiplexed by a target addres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of the media gateway.
상기 제 1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The communication bandwidth reduction system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ware is programmed in the media gateway or provided outside.
상기 제 2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는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화되거나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통신망에서의 통신대역 절감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vice
The communication bandwidth reduction system in the VoIP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ware is programmed in the media gateway controller or provided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3991A KR101265210B1 (en) | 2012-10-15 | 2012-10-15 |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3991A KR101265210B1 (en) | 2012-10-15 | 2012-10-15 |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65210B1 true KR101265210B1 (en) | 2013-05-27 |
Family
ID=486663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13991A Active KR101265210B1 (en) | 2012-10-15 | 2012-10-15 |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65210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9420B1 (en) * | 2006-09-29 | 2008-03-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IP interface device that provides telephone service over the Internet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3991A patent/KR1012652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9420B1 (en) * | 2006-09-29 | 2008-03-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IP interface device that provides telephone service over the Intern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70014B2 (en) | Method of providing a real-time communication connection | |
| Sze et al. | A multiplexing scheme for H. 323 voice-over-IP applications | |
| US696134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packet payload size | |
| GB2437666A (en) | Distributed voice network | |
| EP14956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voip traffic | |
| WO2004063849A3 (en) | Routing calls through a network | |
| WO2008039721A2 (en) | Media terminal adapter with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roxy | |
| US7836124B2 (en) | RTP, UDP, IP header compression on the circuit switched type airlink access | |
| JP5836733B2 (en) | Buffer control device, buffer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device | |
| US7295547B2 (en) | Audio gateway device | |
| US914825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elays in a packets switched network | |
| JP2007243646A (en) | Redundant voip gateway system | |
| US7813378B2 (en) | Wideband-narrowband telecommunication | |
| JP4020018B2 (en) | Packet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 |
| CN1777152B (en) | Data transmission between a media gateway and server | |
| KR101265210B1 (en) | System for reducing communication band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
| JP2007019767A (en) | Ip telephone set | |
| US20090238176A1 (en) | Method,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terminal for call session | |
| US20080317018A1 (en) | System for Switching from an Established Media Path to a New Media Path in a Packet Based Network | |
| CN101507133A (en) | PTT/PTS signaling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 |
| EP2747348A1 (en) | Apparatus adapted for connecting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provider network | |
| JP2004343417A (en) | VoIP MULTIPLEXER | |
| EP2234363B1 (en) |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upport for transmitting a media stream embedded in the control stream | |
| US9264456B2 (en) |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 |
| JP4492516B2 (en) | Voice IP packet switch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