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45B1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0045B1 KR101260045B1 KR1020110071688A KR20110071688A KR101260045B1 KR 101260045 B1 KR101260045 B1 KR 101260045B1 KR 1020110071688 A KR1020110071688 A KR 1020110071688A KR 20110071688 A KR20110071688 A KR 20110071688A KR 101260045 B1 KR101260045 B1 KR 101260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kler
- support
- coupling
- rail
- coup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5 diast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천장반자에 배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천장지지레일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 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어느 일부분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브라켓은, 각각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단이 축봉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시키는 결합봉을 포함함으로써,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높이를 보다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Sprink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support rail disposed on the ceiling half, the pai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side brackets And a center bracket coupled to any part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ceiling support rail and mounted with a sprinkler coupler connected to a sprinkler head, wherein the center bracket respectively passes through the support.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ach of which has a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be hinged by an axial rod, and rotatably formed around the axial rod to fix or release the sprinkler coupler. And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o support the fixation. , It can be more easily and precis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coupled sphere by inclu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지지대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천장지지레일에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kler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inkler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prinkler coupler to the support, and for mounting the support to the ceiling support rail.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수를 일정압으로 방수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소방대상물의 천정, 벽 등에 장착되고 화재를 감지하며 소화수를 소방대상물에 분사한다.Sprinkler system i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can extinguish fire automatically by waterproofing extinguishing water at a certain pressure. In general, the sprinkler head is mounted on the ceiling, wall, etc. of the fire object, detects fire, and sprays fire extinguishing water on the fire object.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천장 안쪽에서 천장반자를 지지하는 천장지지레일(Ceiling Supporter Rail)에 지지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에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고정하며, 결합구의 하단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Fixing device of the sprinkler supports the support to the ceiling support rail (Ceiling Supporter Rail) for supporting the ceiling half in the ceiling, to fix the sprinkler coupler to the support, the sprinkler head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upler.
그러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각 부품간의 결합관계 때문에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결합구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However, the sprinkler fix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work for installing the support is cumbersome and the working time is long, and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oupler is difficult becaus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Therefore, a solu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이 간편하고 다양한 규격의 천장지지레일 및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prinkler fix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eiling support rail and sprinkler head of various specifications.
또한, 본 발명은 주위환경에 관계없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rinkler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sprinkler head in a more accurate position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는, 천장반자에 배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천장지지레일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 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어느 일부분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브라켓은, 각각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단이 축봉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시키는 결합봉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에 의한 고정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바디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일측이 상기 관통홀을 지나는 상기 지지대의 일부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prink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support rail is disposed on the ceiling half, and the pair facing each oth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crosses the first direction And a center bracket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oupled to a side bracket, connected to the ceiling support rail, and coupled to any portion of the support, to which a sprinkler coupler connected to a sprinkler head is mounted. The center brackets each have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each end of which is hinged by an axis rod, and rotates about the axis rod so as to fix or release the sprinkler coupler.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to suppor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fixing is formed And a coupling rod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when fixed by the coupling rod, one side of the sprinkler coupling hol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facing each other. It is arranged to abu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고정시 상기 지지대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형성되는 지지봉과 접촉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uppo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prinkler coupler, and the other side may contact the support rod form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천장지지레일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support rail may include a rail unit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 support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rail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rail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bent to be inclined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the supporter;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coup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지지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태핑나사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방향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be parallel to the support, a tapping screw for coupl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support, and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late. And, it may include a protrusion guide for supporting the side of the support is arranged to be stacked on the coupling pl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레일부의 측면을 덮으며, 상면과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관통하는 조임볼트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may be bent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rail unit, to cover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to penetrate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It can be combined while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by a tightening bol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bracke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bent to be inclin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to fac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tightening bolt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s. 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면은, 상기 레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rail par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결합봉이 통관할 수 있도록 각각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봉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고정홀을 지나 제2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나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provided with fixing holes so that the coupling rods can pass through, and the coupling rods pass through the fix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t may be screwed to a screw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천장반자를 관통하여 실내로 돌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소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이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 및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상기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를 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protrud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ceiling half, sprinkler coupl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prinkler head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sprinkler head and the sprinkler coupler ceiling Disclosed is a sprinkler comprising the sprinkler fixing device configured to be fixed to a support connected to a support rai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는 센터 브라켓을 복수의 바디가 힌지 결합하도록 하고, 바디들을 관통하는 결합봉을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높이를 보다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sprink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plurality of bodies to be hinged to the center bracket, and the coupling rod penetrates the bodies so tha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coupler can be more easily and precise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브라켓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와, 지지대를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태핑나사를 통하여, 지지대를 천장지지레일에 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단일 규격의 장치로서도 여러 규격의 천장지지레일 및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할 수 있는 고정 장치가 구현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ightening bol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constituting the side bracket, and through the tapping screw fastened through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upport to the ceiling support rail more simply and stably. Can b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ix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ceiling support rails and sprinkler heads of various sizes even as a single sized device, while simplifying the work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가 적용된 스프링클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의 분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의 동작도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의 분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의 종단정면도 및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to which a sprink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enter bracket shown in FIG. 1. FIG.
3a to 3b are operation views of the center bracket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side bracket shown in FIG.
5A and 5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nd side views of the side bracket shown in FIG. 4,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sprinkler fixing device and a sprinkl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가 적용된 스프링클러(S)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S to which a
개시된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감열체(211) 및 디플렉터(212)를 구비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일 예로, 스프링클러 리듀서(Sprinkler Reducer)를 예시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closed
감열체(211)는 열감응체로서 열을 감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이를 이용하여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디플렉터(212)는 소화수를 확산시키도록 스프링클러 헤드(210)의 일단에 배치된다.The heat sensing
도시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210)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단부에 장착되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에 의하여 천정반자(230)에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210)가 천정에서 실내를 향하여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스프링클러 고정장치(100)는 지지대(110), 센터 브라켓(120) 및 사이드 브라켓(130)을 포함한다.The
지지대(110)는 천정반자(230)에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240)에 연결되며, 바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대(110)는 양단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지지레일들(240a, 240b)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The
센터 브라켓(120)은 지지대(110)의 어느 일부분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천장지지레일(240)은 대략 철도레일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며, 천장지지레일(240)과 지지대(110)는 사이드 브라켓(1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브라켓(130)은 지지대(110)의 단부에 장착되며, 천장지지레일(240)에 지지대(110)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1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센터 브라켓(120)의 동작도들이다.Hereinafter, the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센터 브라켓(120)은 제1 바디(121), 제2 바디(122), 그리고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를 결합시키는 결합봉(12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는 지지대(110)가 관통하는 관통홀(125)을 구비한다. 각 바디(121, 122)는 서로 대면하는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의 어느 일단이 서로를 향하도록 절곡(121c, 122c)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관통홀(125)은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 간의 서로 이격된 갭 및 내부 빈공간으로 한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통홀(125)은 갭 및 내부 빈공간과 아울러, 후술하는 지지봉(124a, 124b) 및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센터 브라켓(120)은 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The through
제1 바디(121) 또는 제2 바디(122)는 지지대(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을 관통하는 지지봉(124a, 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24a, 124b)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임볼트와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바디(121) 또는 제2 바디(122) 중 어느 한 바디에 고정홀(127a)을 형성하고, 고정홀(127a)의 내주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ort the
또한, 지지봉(124a, 124b)과 축봉(123)은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고, 그 일단이 압축에 의해 절곡이 되는 리벳봉으로 형성되어,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과 리벳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는 어느 한 바디가 축봉(12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를 구성하는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은 일 예로, "ㄷ"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ㄷ" 형태의 내측의 오목한 부분에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끼워지게 된다. The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의 대면하는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의 내주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스프링클러 결합구(220) 중 결합구 바디(213)의 단면이 사각형이면,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의 대면하는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의 내주는 사각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의 내주에 고정될 수 있다. The inner circumferences of the
이러한 고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에 배치된 축봉(123)의 반대편에는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를 결합시키는 결합봉(126)이 배치된다. In order to support this fixing, a coupling rod for coupling the
결합봉(126)은 각 바디의 평면판들(121a, 121b, 122a, 122b)을 서로 연결하는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홀들, 즉 제1 바디(121)에 형성된 홀과 제2 바디(122)에 형성된 고정홀(129)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결합봉(126)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임볼트와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와 달리 제1 바디(121) 또는 제2 바디(122) 중 어느 한 바디에 고정홀을 형성하고, 고정홀의 내주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결합봉(126)은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봉(126)은 중간 부분에 오링(1261)을 포함한다. 오링(1261)은 결합봉이 제1 바디나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Unlike this, a fixing hole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도 3a를 참조하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는 결합봉(126)이 고정홀로부터 이탈되면, 제1 바디(121) 또는 제2 바디(122)가 축봉(123)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센터 브라켓(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달리, 도 3b에 의하면, 제1 바디(121)나 제2 바디(122)를 스프링클러 결합구(220)를 감싸도록 회전시키고, 결합봉(126)을 고정홀에 결합시키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의 이탈이 제한된다. 즉,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센터 브라켓(120)에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3A, when th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센터 브라켓(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지지대(110)의 일면과 접촉하게 된다. 결합봉(126)의 회전에 의해, 제1 바디(121)와 제2 바디(122)가 점차적으로 근접하게 되면, 제1 바디(121)와 제2 바디(122) 사이에 있는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지지대(110)를 점차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B, the
즉, 스프링클러 결합구(220)가 지지대(110)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스프링클러 결합구(220), 센터 브라켓(120) 및 지지대(110)는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That is, the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지지대(110)는 사이드 브라켓(130)에 의하여 천장지지레일(240)에 고정된다. 이하, 사이드 브라켓(13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130)의 분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브라켓(130)의 종단정면도 및 측면도이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도 4를 참조하면, 천장지지레일(240)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레일부(243)와 레일부(243)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41) 및 지지부(2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천장반자(230)가 결합되는 천장반자결합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부(243)는 일예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상면(243a), 측면(243b)들 및 하면(243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이 때, 하면(243c)은 후술하는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의 절곡되는 부분에서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사이드 브라켓(13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 각 플레이트로부터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4, 135) 및 어느 하나의 연결부(134, 135)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레일부(24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즉 측면으로는 레일부(243)의 측면과 접촉하며, 각각 측면의 어느 일지점에서 절곡되어 레일부(243)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sid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이와 같이, 레일부(243)를 감싸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31, 132)의 단면은, 상기 레일부(24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As such,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and
또한,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4, 135)를 포함하는데, 각 연결부(134, 135)가 홀(138b)을 구비하고, 홀을 관통하는 조임 볼트(138a)의 조임 작동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 및 레일부(243)가 일체로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조임 볼트는 나사선을 구비하기 때문에, 회전에 따라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임 볼트에 대응하여 조임 나사(138c)가 맞은 편에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tightening bolt has a thread, the gap between the
연결부(134, 135)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로부터 일정 경사를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이렇게 경사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연결부(134, 135) 및 조임 볼트는 적은 수로도,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 및 레일부(243)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결합부(136)는 제1 플레이트(131)나 제2 플레이트(132) 중 어느 한 플레이트의 연결부(134, 135)에 형성된다. 결합부(136)는 결합플레이트(136a), 태핑나사(137) 및 돌출 가이드(136b)를 포함한다. 결합플레이트는 연결부(134, 135)로부터 지지대(110)와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태핑나사는 몸체를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것으로서, 결합플레이트와 지지대(1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태핑나사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대(1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관통할 때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지지대(1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합관계는 간단하게 체결되나 지지대(110)의 흔들림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Coupling
돌출가이드(136b)는 결합플레이트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대(110)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로써, 지지대(110)는 결합플레이트와의 결합시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이드 브라켓은 연결부와 맞은 편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133)는 지지부를 관통하여 일정 위치에 사이드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133a)과 고정나사(133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홀을 통하여 사이드 브라켓 및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extending opposite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sprinkler head fixing device and the sprinkler having the sam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Claims (10)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 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어느 일부분에 결합되며, 스플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가 장착되는 센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브라켓은,
각각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단이 축봉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시키는 결합봉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에 의한 고정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바디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의 일측이 상기 관통홀을 지나는 상기 지지대의 일부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천장지지레일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A ceiling support rail disposed on the ceiling half and facing each other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upport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eiling support rail in combination with a side bracket; And
A center bracket which is coupled to any part of the support and is equipped with a sprinkler coupler connected to a sprinkler head,
The center bracket,
A first hole having a through hole respectively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one end of which is hinged by an axis rod, and rotatably formed around the axis rod so as to fix or release the sprinkler coupler; Body and second body; And
A coupling rod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so as to support the fixing;
When fixed by the coupling ro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is arranged so that one side of the sprinkler coupler abuts a portion of the suppor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ceiling support rail,
A rail unit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It includes a support extending in any one direction from the rail,
The side bracket,
First and second pl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surround the rail unit;
A first connecting portion bent to be inclined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Sprinkler fixing device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고정시, 상기 지지대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형성되는 지지봉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n fixed, one side of the support is in contact with the sprinkler coupler, the other side is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form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지지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태핑나사;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방향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A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 be parallel to the support;
Tapping screws for coupl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support; And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late, the protrusion guide for supporting the side of the support is disposed to be laminated to the coupling plate.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레일부의 측면을 덮으며, 상면과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관통하는 조임볼트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lates,
Respectively covering the side of the rail, bent to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by adjusting the spacing by the fastening bolt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ide bracket,
A second connecting part bent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to face the first connecting part,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olt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면은, 상기 레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rail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portion.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기 결합봉이 통관할 수 있도록 각각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봉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고정홀을 지나 제2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each of the coupling rod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so that the clearance,
The coupling rod is a sprinkler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crewed to the screw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through the fix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소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이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 및
상기 스프링클러 결합구를 천장지지레일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청구항 제1항을 따르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A sprinkler head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ceiling half;
A sprinkler coupl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prinkler head to discharge the extinguishing water to the sprinkler head; And
A sprinkler comprising a sprinkl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kler coupler is fixed to a support connected to a ceiling support rai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1688A KR101260045B1 (en) | 2011-07-19 | 2011-07-19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1688A KR101260045B1 (en) | 2011-07-19 | 2011-07-19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10807A KR20130010807A (en) | 2013-01-29 |
| KR101260045B1 true KR101260045B1 (en) | 2013-04-30 |
Family
ID=478399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71688A Active KR101260045B1 (en) | 2011-07-19 | 2011-07-19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60045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91607A (en) * | 2020-01-14 | 2021-07-22 | 김주완 | Fixing apparatus for reduer of sprinkler |
| WO2022255514A1 (en) * | 2021-06-02 | 2022-12-08 | 에스와이플렉스㈜ | Sprinkler system integrated bracke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004421B2 (en) * | 2011-11-02 | 2015-04-14 | The Viking Corporation | Fire protection sprinkler support system |
| US9004422B2 (en) | 2011-11-02 | 2015-04-14 | The Viking Corporation | Fire protection sprinkler support syste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94886A (en) * | 2005-02-25 | 2006-08-30 | 주식회사 코뿔소 | Sprinkler mounting structure |
| KR200440808Y1 (en) * | 2007-08-20 | 2008-07-04 | 임영순 | Clamp Device for Fire Sprinkler |
-
2011
- 2011-07-19 KR KR1020110071688A patent/KR1012600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94886A (en) * | 2005-02-25 | 2006-08-30 | 주식회사 코뿔소 | Sprinkler mounting structure |
| KR200440808Y1 (en) * | 2007-08-20 | 2008-07-04 | 임영순 | Clamp Device for Fire Sprinkler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91607A (en) * | 2020-01-14 | 2021-07-22 | 김주완 | Fixing apparatus for reduer of sprinkler |
| KR102340752B1 (en) | 2020-01-14 | 2021-12-16 | 김주완 | Fixing apparatus for reduer of sprinkler |
| WO2022255514A1 (en) * | 2021-06-02 | 2022-12-08 | 에스와이플렉스㈜ | Sprinkler system integrated bracke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10807A (en) | 2013-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48460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
| KR101260045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sprinkler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 |
| KR101335984B1 (en) | Apparatus for fixing splinkler head | |
| JP5300858B2 (en) | Support device for medical equipment | |
| JP2007519494A (en) | Suspended shelves | |
| US8020823B2 (en) | Three-dimensional multi-directional rotation support | |
| US7641162B2 (en) | Adjustable support arm assembly | |
| AU2005262951A1 (en) |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for a horizontal support | |
| KR101842931B1 (en) | A device for attaching a finishing panel to a construction | |
| KR200445213Y1 (en) | Formwork support | |
| KR102091868B1 (en) | Panel fastening device for building | |
| US10393311B2 (en) | Support assembly | |
| KR20080094508A (en) | Height adjustment of sprinkler head | |
| KR101356687B1 (en) | A bracket for fixing expansion joint of splinkler | |
| KR101359247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 | |
| JP6890519B2 (en) | Bolt connector | |
| KR200458634Y1 (en) | Fishing Stand Mount | |
| CN212537765U (en) | Light pole system based on multi-groove mounting structure | |
| JP2006219823A (en) | Pipe supporting implement and pipe supporting device using it | |
| JP6738451B1 (en) | Fixture for scaffolding board and method for fixing scaffolding board | |
| KR200475224Y1 (en) | Concrete mold assembly | |
| US7861466B2 (en) | Mounting apparatus for lighting and lighting accessories | |
| JP2007190185A (en) | Pair bed equipment | |
| CN223006969U (en) | Antenna rod assembly and antenna | |
| KR200382868Y1 (en) | A cross bar connection apparatus to be used in spinal fixa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