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79B1 -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Google Patents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0379B1 KR101260379B1 KR1020080086530A KR20080086530A KR101260379B1 KR 101260379 B1 KR101260379 B1 KR 101260379B1 KR 1020080086530 A KR1020080086530 A KR 1020080086530A KR 20080086530 A KR20080086530 A KR 20080086530A KR 101260379 B1 KR101260379 B1 KR 101260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light collecting
- pillar
- lower light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0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orientation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8—Photoelectric means, i.e. photovoltaic or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은 화창한 날씨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제공하고, 또한 바람이 광풍으로 부는 날씨에는 바람의 부는 방향을 공중으로 향하도록 발전판이 비스듬하게 제공하여서, 이에 따른 풍해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제공하면서, 여기서 공중지역으로 유도되는 바람을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로 유도되도록 구성하여서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풍력발전기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지역은 대부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하여야 회전 날개에 의한 회전으로 인하여 혼류로 변화하는 바람의 유선을 원위치로 회복하여 주어야, 다음 위치에 설치된 풍력발전기의 회전 날개에 대한 회전이 원래의 풍속에 의하도록 제공되므로, 이로 인하여 비교적 넓은 면적의 단지가 소요되는 것이며, 또한 강풍을 유도하여 주도록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발전장치를 설치하므로 높은 기둥을 사용하여 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시공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3에 대한 시공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7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1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2의 사시도이며, 도 10는 도 8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 C-C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은 도 10에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D-D선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서 E-E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F-F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는 도 10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에서 G-G선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19 도 1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0는 도 19에서 H-H선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고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대기 중에 부는 바람은 지면에서 공중에 이르는 공간에서 골고루 불어주는 것이므로,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지역에서,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서 회전날개(222)의 회전으로 발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능한 공중 높이 지지기둥을 높이 올려주어야 강풍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지기둥(225)이 형성되는 공간에서 부는 바람을 회전날개(222)의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225)의 가장자리의 외측 공간에다 다수개의 태양광 발전기(100)을 구비하여서 형성되는 블럭(200)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블럭(200)에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판(220)(이하에서는 발전판으로 칭한다)응 풍력발전기용 회전날개(222)가 형성되는 공중으로 바람이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준다.
즉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발전단지(230)에서 발전판(220)으로 풍력을 유도하여 주어서 풍력의 발전력을 보강하여 주고, 또한 무풍이면서 맑은 날씨의 햇볕으로는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지면(226)에서 돌출로 형성되는 지지기둥(225)의 상측 모서리에 회전날개(222)와 이에 따른 발전장치로 형성되는 풍력발전기의 외측 가장자리에 경사지는 발전판(220)이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장치(10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발전용 블럭(200)을 제공함이다.
고로 상기 블럭(200)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풍력발전기의 발전단지(230)의 지면(226)에서 고정되면서 돌출로 형성되는 풍력발전기용 지지기둥(225)의 사이사이의 간격에다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면서 바람이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경사지는 발전판(220)을 형성하여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블럭(200)을 연속 반복적으로 구비하여 주되, 상기 발전판(220)을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제공하면, 이동하는 바람이 상기 설명되는 발전판(220)의 기울어진 경사면에 따라 공중으로 방향이동이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 이동하는 바람이 회전날개(222)를 움직여서 회전력을 보강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회전날개(222)에 대한 바람의 이동에 의한 위치 변환은 자동적으로 쎈서 등으로 조정이 되며, 또한 상기 발전판(220)은 무풍이면서 햇볕이 비치는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발전판(220)의 전면에는 발전 소자를 형성하여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회전날개의 방향회전과 동시에 상기 발전판(220)의 위치가 회전으로 형성되어서 바람의 유도를 제공함이다.
즉 햇볕이 비치는 맑은 날씨에 햇볕으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햇볕의 이동에 따른 발전판(220)의 경사지는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사이에서 강풍의 피해를 감소하기 위하는 이동구(180)를 형성하여 주되,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양측 가장자리에다 상측 방향으로 방향이동이 용이하는 유도벽(177)을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발전판(220)에는 상,하측 방향으로, 양측 폭을 등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보조 유도벽(177')을 다수개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이동구(180)를 형성하는 하측 집광판(122)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유도판(182)을 구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 사이에는 별도의 중측 집광판(123)을 형성하여 주되되, 연결되는 구간 사이에는 이동구(180')을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상측 집광판(120)을 연결하면서, 후측으로 돌출하는 유도판(182')을 형성함으로서, 불어주는 풍력의 바람을 공중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면서 강풍에 의한 발전판(220)에 대한 저항의 감소를 제공함으로서 내구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주는 장치로서, 이는 넓은 면적의 바람을 공중으로 유도하여서 발전력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인 보조 이동구(180')와 유도판(182)을 형성하여 주는 발전판(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판(220)의 뒷면에서는 상,하측으로 각각 캡(147)을 고정하되 이에 지지빔(129)과 고정빔(129')으로 연결로 결합되는 샤후드(150)가 삽입으로 결합되는 하우징(163)을 기둥(125)에 조립하도록 제공함으로서, 상기 집광판이 태양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조립된 구조는 시공 현장의 상황에 적절하게 조정시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본 발명은 햇볕으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도록, 햇볕의 이동에 따른 집광판의 수임력을 보강하면서, 이와 아울러 날씨가 흐리거나 야간에 강풍과 같은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서 풍력 발전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시공 장치의 제공을 위하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은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기둥(125)의 중,상측 부위에다 베아링(175)과 하우징(163)으로 조립시켜 회전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163)의 하측면에 결합으로 맞추어 주는 평기어(174)와 이에 연동되는 기어(172)와 모터(155')를 기둥(125)에 고정으로 구성시켜 줌으로서 제공으로서, 상기 미도시된 제어장치의 제어로 연동되는 모터(155')의 구동에 의하는 하우징(163)의 회전으로, 이에 삽입됨으로서 고정되는 샤후드(150)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서 상,하측 집광판(120)(122)이 태양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 하도록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회전하는 샤후드(150)의 구동에 관한 조정은 미도시된 태양 추적 쎈서 및 풍향계 등의 감지에 의하여 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역할로 상기 모터(155')의 구동을 조정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준다.
또한 태양의 이동 방향에 따라 최적의 태양광 수임을 위하여서는, 태양은 매일 매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계절에 따라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이동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구성은, 상기 하우징(163)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시켜 주는 샤후드(150)의 상측부위에는 외측으로 경사도가 형성하는 상측 집광판(120)을 고정하여 주고, 이의 하측부위에는 내측으로 더 경사지는 하측 집광판(122)을 상기 하우징(163)과 지지기둥(125)가 형성되는 구간만큼 분리하여서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배면을 캡(147')에 의하여 고정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캡(147')이 형성된 부위에는 지지앵글(152')로 집광판의 폭으로 지지하여서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고로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전면에는 태양광 발전소자를 형성하여 주면서, 상,하측 집광판(120)(122)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상측집광판(120)의 하측에 이동구(180)을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180)은 상측 집광판(120)의 폭에 맞추어서 형성하여 주되, 이의 보강을 위하여 상하측으로 연결되는 앵글(152)을 일체로 지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경사각도를 각각 이동하여 주어서 햇볕의 이동이나, 바람의 부는 방향에 따라 기울기 등을 조정하여 준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둥(125)에서 조립되는 하우징(163)에서 천공되는 조립구(140)와 보조조립구(140')에 각각 샤후드(150)를 각각 삽입으로 고정하여 주되, 상기 샤후드(150)와 보조샤후드(150') 사이의 가장자리를 별도의 보조샤후드로 지지하여 주면서, 상기 샤후드(150)과 보조샤후드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지지빔(129)을 상측 집광판(120)의 배면의 캡(147)에 고정하여 준다.
또한 하측 집광판(122)의 배면에 고정되는 캡(147)에서 조립되는 지지빔은, 상기 설명되는 하우징(163)의 조립구(140)에 삽설되는 샤후드(150)에 연결로 고정하여 주어서,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이 견고성이 보강되면서 햇볕의 이동에 따라 회전으로 이동하게 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하측 집광판(122)의 배면에 고정되는 캡(147)은 하측 집광판(122)의 폭 방향을 고정하는 보조 샤후드(150')를 지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기(100)에서 강풍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는 하측부위에 대한 구조는,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5)의 중간층에 반원형하우징(163')을 고정하되, 이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빔(129')을 발전판(220)의 하측부위인 하측집광판(122)의 배면에 고정되는 캡(147')에 연결로 조립시켜서 제공하면, 강풍에 대한 내구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기(100)에 대한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여서 더 많은 발전을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이 형성되는 태양광발전기(100)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중측 집광판(123)을 형성하여 주되, 이의 하측부위에는 보조 이동구(180')을 형성하여 주면,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크기가 확대로 제공하는 구조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태양광발전기(100)의 폭을 확대하여 주면서 이에 대한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방전기(100)의 폭 방향으로 대수개의 보조 유도벽(177')을 상하측 방향으로 일체되게 형성하여 제공하면, 상기 이동구(180) 사이의 취약한 구조를 보강하여 주면서, 강풍에 대한 공중으로 방향이동을 보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보조 이동구(180')에다 유도판(182)을 형성하여서 제공하여 주면, 본 발명의 목적인 강풍의 방향이동에 대한 구조를 보강하여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인 태양광발전기(100)의 태양이동에 의한 회전장치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5)의 상측에 베아링과 같이 조립되는 하우징(163)에서 고정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빔(129')을 태양광발전기(100)의 상측 집광판(120) 배면에서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는 캡(147)에 조립되면서 하강되는 지지빔(129)에 맞추어 고정하면서 하향되는 단부에 바퀴(196)를 구비하면서 지중(139)에 구축되는 원주형레일(190)에서 이동하도록 맞추어 준다.
또한 상기 기둥(125)의 상측에 베아링과 같이 조립되는 하우징(163)에서 고정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빔(129')의 일부를 하측 집광판(122) 배면에 고정되는 캡(147')에 조립으로 구성하여 주면서, 이에 연동되도록 보조빔(129")의 하측단부에 바퀴(196)를 구비하면서, 상기 설명되는 원주형 레일(190)에다 구동이 되도록 구성하여 준다.
고로 상기 태양광 발전기(100)가 햇볕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둥(125)을 중심으로 미도시된 모터(155')와 기어(172) 및 쎈서 등의 조정에 의하여 회전으로 구동하는 발명으로서, 성기 넓은 면적이면서 무거운 태양광 발전기(100)의 안정적으로 구동이 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실시예의 1)
또한 여기서 발전단지(230)가 건조지역이나 냉해지역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 친환경적인 지중(139)으로 제공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건조지역에 대한 제공을 위하여, 첨부된 도 21에 의하여,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건조지역의 지중(139)에서의 냉각이나 보온을 제공함으로서 친환경적인 식생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과 기둥(125) 사이를 고정함으로서 형성되는 그늘지역으로 발생되는 내측 공간에는,
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에서 발전되는 전력으로 사용되도록, 축전기와 냉동기 등을 구성하는 콤푸레셔(130)을 설치하여 주면서, 이에 연결되는 응축관(128)을 구성하되, 상기 응축관(128)에는 공급관(127)으로 연결하면서 지중(226)에 매설로 연결되는 암거배수관(145)을 지나면서 지중에 분출을 시켜주고, 남은 응축된 냉각수를 물탱크(194)에 저장이 되도록 제공한다.
이는 계정의 변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에 대하여 적절한 지온으로 조정을 함으로서, 친환경적인 식생을 하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응축관(128)의 표면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지중 매설된 암거배수관(145)로 공급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관(128)의 외측으로 제2하우징(126)을 감싸주면서 미도시된 공급펌프와 연동되는 공급관(127)의 공기를 암거배수관(145)의 내측 공간으로 고압상태로 불어주도록 구성된 발명으로서, 상기 응축관(128)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가 하우징(141)의 주입구(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면서 신속히 지중(139)에 매설되는 암거배수관(145)으로 공급이 촉진됨으로서, 이는 상기 냉각된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지중에 제공하기 위함이며, 상기 암거배수관(145)을 통과하는 동안, 일부는 지중(139)에 제공하고, 나머지 여분의 응축수는 응축으로 물탱크에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145 : 암거배수관 147 : 캡 158 : 유입구
Claims (4)
- 삭제
- 지지기둥(225)에 형성되는 풍력발전기 사이사이의 구간이 지중(139)으로 구성되는 발전단지(230)에, 태양광발전기용 기둥(125)의 외측 가장자리에다 태양광발전판(220)이 회전날개(222)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공으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발전기용 기둥(125)의 중,상측 부위에다 베아링(175)과 하우징(163)으로 조립시켜 회전하도록 형성하되,상기 하우징(163)의 조립구(140)와 보조조립구(140')에 삽입된 샤후드(150)에서 각각 보조샤후드(150')로 지지시켜 주는 모서리에다 각각의 지지빔(129)을 결합 형성하여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배면에 고정되는 캡(147)(147')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기둥(125)과 상,하측 집광판(120)(122) 사이를 결합하여 상,하측 집광판(120)(122)이 회전구동을 하여 주도록 제공시켜 주고,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 사이에서의 구간에는 이동구(180)을 구비하여 주되,상기 이동구(180)의 하측 집광판(122)에서 돌출로 연결되는 이동판(182)을 형성하여서 풍력을 유도시켜 주고,상기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상,하측 사이에는 중측 집광판(123)을 형성하여 주면서 보조이동구(180')를 형성하여 주고,상기 기둥(125)에서 중간층의 반원형하우징(163')에서 돌출되는 고정빔(129')을 하측 집광판(122)의 캡(147')에 연결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바람을 이용하여서 회전날개(222)의 회전으로 발전을 수행하도록 지면(226)에서 돌출 형성되는 풍력발전기의 발전단지(230)가 구비되는 지지기둥(225) 사이의 구간에서 돌출되는 태양광발전기용 기둥(125)의 외측 가장자리에다 상,하측 집광판(120)(122)의 사이에 중측 집광판(123)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220)이 회전날개(222)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도되도록 형성하여 제공으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에 있어서,상기 기둥(125)의 둘레의 지면에 원주형 레일(190)을 구비시켜 주고,상기 기둥(125)의 상측에 구비되는 하우징(163)에서 일측으로 2개 이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빔(129')을 하측집광판(122)에 고정되는 캡(147')에 조립하여 주되,상기 고정빔(129')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조빔(129")의 하측 단부에 바퀴(196)를 구비하여 주어서 원주형 레일(190)에다 구성하여 주며, 상기 기둥(125)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빔(129)의 상측단부는 상기 상측 집광판(120) 배면의 캡(147)에 결합으로 조립시켜 주고, 상기 지지빔(129)의 하측단부에 바퀴(196)를 구비하여 주면서 원주형 레일(190)에서 이동하도록 맞추어 주어 구성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86530A KR101260379B1 (ko) | 2008-09-01 | 2008-09-01 |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86530A KR101260379B1 (ko) | 2008-09-01 | 2008-09-01 |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26902A KR20100026902A (ko) | 2010-03-10 |
| KR101260379B1 true KR101260379B1 (ko) | 2013-05-08 |
Family
ID=421781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865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0379B1 (ko) | 2008-09-01 | 2008-09-01 |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603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7914B1 (ko) * | 2010-10-06 | 2014-01-10 | 민승기 | 응축수 포집되는 수면 구조물 |
| KR101291356B1 (ko) * | 2011-06-08 | 2013-07-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발전기용 기류 상승장치 |
| KR101307488B1 (ko) * | 2011-12-05 | 2013-09-11 | 한국도로공사 |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
| US11041481B2 (en) * | 2019-08-27 | 2021-06-22 | William Larry Hamilton | Wind turbine farm |
| KR102464775B1 (ko) * | 2020-01-24 | 2022-11-09 | 민승기 | 용수공급을 위한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
| AU2022292889A1 (en) * | 2021-06-15 | 2024-01-25 | Winnowave Sl | Wind farm system comprising improved wind guide configuratio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270455A (ja) * | 1997-12-26 | 1999-10-05 | Ebara Corp | 風力発電装置 |
| KR100688070B1 (ko) * | 2004-10-29 | 2007-02-28 | 김윤세 |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
-
2008
- 2008-09-01 KR KR1020080086530A patent/KR10126037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270455A (ja) * | 1997-12-26 | 1999-10-05 | Ebara Corp | 風力発電装置 |
| KR100688070B1 (ko) * | 2004-10-29 | 2007-02-28 | 김윤세 |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26902A (ko) | 2010-03-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46117B1 (ko) |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 |
| US20120138447A1 (en) | Solar desalination system with solar-initiated wind power pumps | |
| KR101260379B1 (ko) |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 |
| KR100688070B1 (ko) |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 |
| US20030217551A1 (en) | Solar chimney wind turbine | |
| KR101636199B1 (ko) |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에너지 발전장치 | |
| KR101145104B1 (ko) |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 |
| AU2001267224A1 (en) | Solar chimney wind turbine | |
| KR101831577B1 (ko) |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에 겸비된 주거시설 | |
| KR101175662B1 (ko) |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 |
| KR100909588B1 (ko) | 태양광 집광 장치 | |
| KR101111301B1 (ko) |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 |
| KR101557697B1 (ko) |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 |
| KR101268404B1 (ko) |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 |
| KR101362447B1 (ko) | 풍력 발전기가 구비된 태양광 가로등 | |
| KR101014755B1 (ko) | 풍해방지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 |
| US8115332B2 (en) | Solar-initi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 |
| KR101176418B1 (ko) | 풍해 방지를 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
| KR101700741B1 (ko) | 태양광 발전판용 냉각장치 | |
| KR101328188B1 (ko) | 풍력유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 |
| KR20120134529A (ko) | 태양광 발전판용 공냉각장치 | |
| KR20100013230A (ko) | 지지대 조립용 태양광 발전기 | |
| KR20160079750A (ko) | 발전력 보강된 태양광발전판용 조립블럭 | |
| KR20110094168A (ko) |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 |
| KR101138503B1 (ko) | 태양열 집 열기와 수직축 집 풍기를 갖는 풍력 발전기의 하이브리드 온수 생산 방식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N-3-6-B10-B17-rex-PB0601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23 Effective date: 20120501 |
|
| P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20501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8 0086530 Appeal request date: 20111023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1101007800 |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