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52B1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2252B1 KR101262252B1 KR1020110106676A KR20110106676A KR101262252B1 KR 101262252 B1 KR101262252 B1 KR 101262252B1 KR 1020110106676 A KR1020110106676 A KR 1020110106676A KR 20110106676 A KR20110106676 A KR 20110106676A KR 101262252 B1 KR101262252 B1 KR 101262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layer
- opening
- color
- light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제1 컬러층,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컬러층 상에 상기 제1 컬러층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제2 컬러층,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을 향해 입사된 적외선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컬러층을 포함한다.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base member i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re defi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opening disposed on the first color layer, the base member and the first color 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 second color layer, and a third color layer which prevents infrared light incident towar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from being refl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lor lay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광 센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member and an optical sensor part.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televisions, mobile phones, navigation systems, computer monitors, and game machines are being developed.
상기 표시장치들은 표시패널, 윈도우 부재, 및 광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센서부는 상기 윈도우 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광 발생부와 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부로부터 상기 윈도우 부재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이 인접한 사용자 등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 수신부에서 인식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광은 주로 적외선 광이다. 상기 광 센서부가 포함된 표시장치에 의해 전력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s include a display panel, a window member, and an optical sensor unit. The optical sensor unit is disposed under the window member and includes a light genera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display panel determines whether to display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whethe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enerator toward the window member is reflected by an adjacent user or the like and recognized by the light receiver. The light is mainly infrared light.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sensor unit may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 윈도우 부재는 표시장치의 외측에 배치되어 표시패널 등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윈도우 부재 내측 일부에 검정색의 컬러층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 window member is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and the like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The window member has a black color layer disposed inside a portion of the window member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visible.
하지만 최근 표시장치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컬러층을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특히, 흰색)을 가지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however, in view of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having a color other than black (especially white) has been developed.
종래 표시장치들은 상기 컬러층이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을 가지는 경우에, 흰색은 검정색에 비해 광을 반사시키려는 성질이 크므로 상기 광 발생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광이 컬러층에 의해 난반사되어 인접한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광 수신부에서 상기 난반사된 상기 광을 인식하여 상기 광 센서부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when the color layer has a color other than black, white has a greater property of reflecting light than black,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enerating unit is diffusely reflected by the color layer so that an adjacent user Even if there is n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recognizes the diffusely reflected light to cause a malfunction of the light sensor unit.
본 발명은 광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광의 난반사를 방지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diffuse reflection of light emitted from an optical sensor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 센서부로부터 출사된 내부광의 난반사를 방지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diffuse reflection of internal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제1 컬러층,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컬러층 상에 상기 제1 컬러층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제2 컬러층, 및 적어도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벽에 배치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한다.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base member hav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opening disposed on the first color layer, the base member and the first color layer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 second color layer, and a third color layer disposed on at least an inner wall of the first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In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lo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에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보다 더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1 컬러층의 노출된 상기 일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In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pening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ing in a plane, and the second opening may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have. The third colo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에 더 배치될 수 있다.In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lo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컬러층의 노출된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In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lo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color layer.
상기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에서, 상기 제1 컬러층은 실질적으로 화이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컬러층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In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olor layer may have a substantially white color. In addition, the third color layer may have a substantially black col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and a window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he window member may be 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하게 배치된 광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센서부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은 적외선 광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pening. The optical sensor unit includes a light generating unit genera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ing unit. The light may be infrared l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제1 및 제2 컬러층들 중 적어도 하나로 입사되는 광이 난반사 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light incident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lor layers from being diffusely refl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광 센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상기 광 센서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 중 적어도 하나로 입사되는 광이 난반사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난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광 센서부의 오작동을 방지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member for the display device and the optical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prevents diffuse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optical sensor uni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lor layers. By preventing the diffuse reflection, malfunction of the optical sensor unit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를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와 광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인접한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 도 10의 Ⅱ-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인접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 도 10의 Ⅱ-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ember window member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window member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ember window member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member for a display device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window member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dow member and an optical sensor unit for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9.
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0 when there are no adjacent users.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0 when there are adjacent user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이다.1 i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휴대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텔레비전,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 다양한 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한다.In FIG. 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arily illustrates a mobile phone. Howev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nd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navigation device, a computer monitor, and a game mach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상기 표시패널(100)을 수납하는 하우징(200), 및 상기 표시패널(100)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30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표시패널(100)을 수납한다. 도 1에서 1개의 부재로 구성된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200)는 2개 이상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1개의 부재로 구성된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표시패널(100) 이외에 복수의 능동소자(미도시) 및/또는 복수의 수동소자(미도시)가 실장된 회로기판(PCB)을 더 수납한다. 또한, 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더 수납할 수 있다. The
상기 윈도우 부재(300)는 상기 표시패널(1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0)과 함께 표시장치의 외면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윈도우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윈도우 부재(300)는 평면상으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R)과 상기 표시영역(AR)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R)을 포함한다. The
상기 비표시영역(NAR)에서는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비표시영역(NAR) 중 적어도 일부가 광 센서 영역(NAR-IR)으로 정의된다.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인쇄층(310)의 제1 개구부(OP1)가 배치된 영역이다. The image is not displayed in the non-display area NAR.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NAR is defined as an optical sensor area NAR-IR. The optical sensor region NAR-IR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OP1 of the first printed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하우징(200)에 수납되어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에 광을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광의 일부를 수신하는 광 센서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센서부(400)는 상기 광 센서부(400) 내부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윈도우 부재(300) 외부로 진행하다가 인접한 사용자 등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의 일부가 상기 광 센서부(400)에서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패널(100)의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광은 적외선 광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식 터치패널 또는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The touch panel may be a resistive touch panel or a capacitive touch pane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로서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dow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and FIGS. 3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a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8, like elements bear like reference numerals.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검토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윈도우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310), 제1 개구부(OP1)가 구비된 제1 컬러층(320), 제2 개구부(OP2)가 구비된 제2 컬러층(330) 및 제3 컬러층(340)을 포함한다.The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투명한 판 형상의 부재로 평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통과하는 표시영역(AR)과 상기 표시영역(AR)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R)을 포함한다. The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영역(AR)은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표시영역(NAR)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영역(AR)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area AR may be surrounded by the non-display area N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on-display area NAR may be divided into two areas on the plane with the display area AR therebetween.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유리가 채용될 수 있고, 통상의 유리보다 경도가 높은 강화유리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이 채용될 수 있고, 플라스틱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상기 제1 컬러층(32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NAR)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도 2는 상기 제1 컬러층(320)이 상기 비표시영역(NAR)의 전 부분에 대응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컬러층(32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타면 상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킨다.The
상기 제1 컬러층(320)은 실질적으로 화이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화이트 컬러는 광이 반사되는 정도가 가장 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는 의미에서 선택한 컬러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컬러층(320)은 모든 광을 흡수하는 블랙 컬러를 제외한 레드, 그린, 블루, 브라운, 그레이, 핑크, 옐로우 등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1 컬러층(32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화이트 컬러는 다른 컬러에 비해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다른 컬러보다 더 많은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컬러층(320)은 제1 개구부(OP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개구부(OP1)은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에 대응된다. 도 2는 하나의 제1 개구부(OP1)가 구비된 제1 컬러층(320)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3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1 개구부(OP1)은 평면상에서 원형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광이 통과할 수 있다면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및 불규칙형일 수 있다.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 및 상기 제1 컬러층(3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컬러층(32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제1 컬러층(320)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타면 상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킨다.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그레이 등의 컬러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타면 상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1 컬러층(320)을 통과한 광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컬러층(320)의 컬러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개구부(OP2)는 상기 제1 개구부(OP1)에 대응된다. 상기 제2 개구부(OP2)는 평면상에서 원형일 수 있으나, 광이 통과할 수 있다면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및 불규칙형일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310), 제1 컬러층(320), 제2 컬러층(330), 제3 컬러층(340)을 포함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부재(310) 및 제1 컬러층(320)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2 컬러층(330) 및 제3 컬러층(340)에 대해 자세히 검토한다. Hereinafter, the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제2 컬러층(3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 및 상기 제2 개구부(OP2)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 및 제2 개구부(OP2)에 연결된 제2 컬러층(32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 및 상기 제1 컬러층(3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컬러층(32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제1 컬러층(320)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타면 상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킨다.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그레이 등의 컬러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타면 상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1 컬러층(320)을 통과한 광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컬러층(320)의 컬러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개구부(OP2)는 상기 제1 개구부(OP1)에 대응된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2 개구부(OP2)는 상기 제1 개구부(OP1)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다. 상기 제2 개구부(OP2)는 상기 제1 컬러층(320)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상기 제2 개구부(OP2)는 평면상에서 원형일 수 있으나, 광이 통과할 수 있다면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및 불규칙형일 수 있다.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 및 상기 제1 컬러층의 노출된 상기 일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 상기 제1 컬러층(320)의 노출된 상기 일부 및 제2 개구부(OP2)에 연결된 제2 컬러층(32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기 제2 컬러층(3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 상기 제2 개구부(OP2)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 및 상기 제2 개구부(OP2)의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 상기 제1 컬러층(320)의 노출된 상기 일부 및 제2 개구부(OP2)에 연결된 제2 컬러층(32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기 제2 컬러층(3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 상기 제2 개구부(OP2)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 상기 제2 개구부(OP2)의 내벽, 및 상기 제2 컬러층(330)의 노출된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 상기 제1 컬러층(320)의 노출된 상기 일부 및 제2 개구부(OP2)에 연결된 제2 컬러층(320)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제2 컬러층(33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기 제2 컬러층(3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 내벽, 상기 제2 개구부(OP2)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 상기 제2 개구부(OP2)의 내벽, 및 상기 제2 컬러층(330)의 노출된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연결된 제1 컬러층(320)의 측벽, 상기 제1 컬러층(320)의 노출된 상기 일부 및 제2 개구부(OP2)에 연결된 제2 컬러층(32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향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32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컬러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3 컬러층(34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하,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300)에 대해 검토한다.Hereinafter, a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310), 제1 컬러층(320), 제2 컬러층(330), 제3 컬러층(340), 및 제4 컬러층(350)을 포함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부재(310), 제1 컬러층(320), 제2 컬러층(330), 및 제3 컬러층(340)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4 컬러층(350)에 대해 자세히 검토한다.The
상기 제4 컬러층(350)은 상기 제1 개구부(OP1)를 향해 입사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킨다. 상기 제4 컬러층(350)의 컬러, 두께에 따라 상기 입사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제4 컬러층(350)은 상기 제1 컬러층(320)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일면상에 상기 제1 개구부(OP1)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컬러층(350)은 상기 제1 개구부(OP1)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개구부(OP2)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컬러층(35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층들(320, 330, 340)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4 컬러층(350)은 상기 제1 개구부(OP1)를 향해 입사된 상기 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면 컬러에 제한되지 않는다.상기 제4 컬러층(350)은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윈도우 부재(300)와 광 센서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Ⅱ-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상기 윈도우 부재(300)는 도 9에 도시된 상기 윈도우 부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광 센서부(400)와 관련된 부분만 자세히 설명한다.The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부재(300)는 평면상으로 표시영역(AR)과 상기 표시영역(AR)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R)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NAR) 중 적어도 일부가 광 센서 영역(NAR-IR)으로 정의된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은 하나의 영역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은 복수의 영역일 수 있다. 10, 11A, and 11B, the
상기 광 센서부(400)는 표시장치에 내부에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광 센서부(400)는 광 발생부(410)와 광 수신부(420)를 포함한다. 도 11a와 도 11b에서 상기 광 발생부(410)와 상기 광 수신부(420)는 하나의 상기 광 센서 영역(NAR-IR)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광 발생부(410)와 상기 광 수신부(420)는 서로 다른 광 센서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광 발생부(410)는 표시장치 내부에서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통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은 적외선 광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출사된 상기 광의 일부는 상기 제4 컬러층(350)을 통과하고, 상기 제4 컬러층(350)에 의해 광 투과율이 조절된다. 상기 제4 컬러층(350)이 없는 경우에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10)를 통과한 적외선 광은 약 90% 투과된다. 하지만, 제4 컬러층(350)을 통과한 적외선 광은 75%~85%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제4 컬러층(350)에 의해 적외선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광이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과도하게 출사되는 것을 방지한다.상기 광 수신부(420)는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출사된 광의 일부 중 인접한 사용자(50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통하여 입사된 광을 수신한다. 상기 광 수신부(420)에 광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패널의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The
도 11a는 인접한 사용자가 없을 때의 광 센서부(400) 동작을 도시한 윈도우 부재(300) 및 광 센서부(400)의 단면도이고, 도 11b는 인접한 사용자(500)가 있을 때의 광 센서부(400) 동작을 도시한 윈도우 부재(300) 및 광 센서부(400)의 단면도이다.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11a를 참조하면, 인접한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통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출사된다.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층들(320, 330, 340)로 입사되고, 상기 제3 컬러층(340)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Referring to FIG. 11A, when there is no adjacent user, a par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광 수신부(420)에서 수신되지 않으므로, 표시장치는 온(ON)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도 10B를 참조하면, 인접한 사용자(500)가 있는 경우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출사된 광의 일부는 인접한 사용자(50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 OP2)을 통하여 표시장치 내부로 입사되고 상기 광 수신부(420)에 수신된다.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층들(320, 330, 340)로 입사되고, 상기 제3 컬러층(340)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Referring to FIG. 10B, when there is an
상기 인접한 사용자(500)는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발생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300) 상방으로 출사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는 어떠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나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실시예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아닌 물체가 적용될 수 있다.The
상기 광 발생부(410)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광 수신부(420)에서 수신되지 않으므로, 표시장치는 오프(OFF)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패널 200: 하우징
300: 윈도우 부재 400: 광 센서부
310: 베이스 부재 320: 제1 컬러층
330: 제2 컬러층 340: 제3 컬러층
410: 광 발생부 420: 광 수신부100: display panel 200: housing
300: window member 400: light sensor
310: base member 320: first color layer
330: second color layer 340: third color layer
410: light generating unit 420: light receiving unit
Claims (20)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제1 컬러층;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컬러층 상에 상기 제1 컬러층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제2 컬러층; 및
적어도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벽에 배치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A base member hav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 first col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and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color layer disposed on the base member and the first color lay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nd
And at least a third color layer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first opening.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평면상에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보다 더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ane the second opening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exposes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1 컬러층의 노출된 상기 일부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of claim 3,
And wherein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컬러층의 노출된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color layer.
상기 제1 컬러층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상에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입사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제4 컬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ourth col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first color layer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light incident toward the first opening. absence.
상기 제1 컬러층은 실질적으로 화이트 컬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color layer has a substantially white color.
상기 제3 컬러층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third color layer has a substantially black color.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제1 컬러층;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컬러층 상에 상기 제1 컬러층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제2 컬러층;
적어도 상기 제1 개구부의 내벽에 배치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And
A window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he window member,
A base member defining a display area through which the image is transmitted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 first col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and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color layer disposed on the base member and the first color lay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nd a third color layer disposed on at least an inner wall of the first opening.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하게 배치된 광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nd a light sensor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pening.
상기 광 센서부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부; 및
상기 광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optical sensor unit,
A light generator for generating light; And
And a ligh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상기 광은 적외선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light is infrared light.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평면상에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보다 더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plane the second opening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exposes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1 컬러층의 노출된 상기 일부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벽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3 컬러층은 상기 제2 컬러층의 노출된 일면 상에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third color layer is further dispos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color layer.
상기 제1 컬러층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상에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입사된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제4 컬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fourth col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first color layer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light incident toward the first opening.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상기 비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제1 컬러층;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컬러층 상에 상기 제1 컬러층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제2 컬러층; 및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을 향해 입사된 적외선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컬러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컬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A base member hav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 first col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and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color layer disposed on the base member and the first color layer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 lay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nd
And a third color layer which prevents infrared light incident towar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from being reflec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lor layers.
Priority Applications (9)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6676A KR101262252B1 (en) | 2011-10-18 | 2011-10-18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12107537A JP2013088806A (en) | 2011-10-18 | 2012-05-09 | Window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3/593,927 US10133111B2 (en) | 2011-10-18 | 2012-08-24 |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TW101138214A TWI553329B (en) | 2011-10-18 | 2012-10-17 |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12189102.2A EP2584767B1 (en) | 2011-10-18 | 2012-10-18 |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2012205347908U CN203179411U (en) | 2011-10-18 | 2012-10-18 | Protection panel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01210397554.0A CN103065549B (en) | 2011-10-18 | 2012-10-18 | For display device protection panel and comprise the display device of this protection panel |
| US16/192,611 US10571734B2 (en) | 2011-10-18 | 2018-11-15 |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6/790,586 US11106076B2 (en) | 2011-10-18 | 2020-02-13 |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6676A KR101262252B1 (en) | 2011-10-18 | 2011-10-18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42682A KR20130042682A (en) | 2013-04-29 |
| KR101262252B1 true KR101262252B1 (en) | 2013-05-10 |
Family
ID=472153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06676A Active KR101262252B1 (en) | 2011-10-18 | 2011-10-18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3) | US10133111B2 (en) |
| EP (1) | EP2584767B1 (en) |
| JP (1) | JP2013088806A (en) |
| KR (1) | KR101262252B1 (en) |
| CN (2) | CN103065549B (en) |
| TW (1) | TWI553329B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720532B2 (en) | 2013-10-11 | 2017-08-01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128114A (en) * | 2017-05-22 | 2018-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US11660845B2 (en) | 2020-02-26 | 2023-05-30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62252B1 (en) * | 2011-10-18 | 2013-05-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TWI476454B (en) * | 2013-05-16 | 2015-03-11 | Au Optronics Corp | Touch display panel |
| TWI553597B (en) * | 2013-09-24 | 2016-10-1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Display device with force dispersal structure |
| US9664540B2 (en) * | 2014-01-07 | 2017-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
| KR20160028595A (en) * | 2014-09-03 | 2016-03-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window,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160085037A (en) | 2015-01-07 | 2016-07-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CN105943179B (en) * | 2016-06-15 | 2018-06-19 | 宁波赛嘉电器有限公司 | Power toothbrush handle and electric toothbrush |
| CN106131273B (en) * | 2016-08-31 | 2019-03-0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A kind of mobile terminal |
| EP3529648A4 (en) * | 2016-10-20 | 2020-06-1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evice optical window camouflage |
| KR102760642B1 (en) * | 2016-11-22 | 2025-01-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Window paenl, display device having the window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6918905B (en) * | 2017-02-24 | 2019-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Optical components and smart terminals |
| KR102511474B1 (en) * | 2017-09-13 | 2023-03-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528525B1 (en) * | 2018-01-10 | 2023-05-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USD978847S1 (en) * | 2018-02-02 | 2023-02-2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module |
| USD978845S1 (en) * | 2018-02-02 | 2023-02-2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module |
| USD978846S1 (en) * | 2018-02-02 | 2023-02-2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module |
| US10620665B2 (en) * | 2018-02-05 | 2020-04-14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 | Terminal displa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
| CN108600419A (en) * | 2018-03-09 | 2018-09-2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8494909B (en) * | 2018-03-09 | 2020-03-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2560099B1 (en) * | 2018-03-30 | 2023-07-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CN108810197B (en) * | 2018-05-07 | 2020-05-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s, cover assemblies and display modules |
| KR102717225B1 (en) | 2018-09-28 | 2024-10-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2582647B1 (en) * | 2018-10-10 | 2023-09-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D1009870S1 (en) | 2018-11-15 | 2024-01-0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panel |
| CN110648586B (en) * | 2018-11-21 | 2022-04-0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an electronic device |
| CN109785744B (en) * | 2018-12-25 | 2023-06-30 |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same |
| CN109828636A (en) * | 2019-01-30 | 2019-05-3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A kind of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1510522B (en) * | 2019-01-31 | 2022-05-06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Screen Bezels, Display Modules and Terminals |
| KR102795013B1 (en) | 2019-05-09 | 2025-04-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module including sensor and elecronic device including the didsplay module |
| KR20210003990A (en) * | 2019-07-02 | 2021-01-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763576B1 (en) | 2019-07-24 | 2025-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idng optical sensor module |
| KR102711649B1 (en) * | 2019-09-23 | 2024-09-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sy and camera unit |
| KR102748868B1 (en) * | 2019-09-27 | 2025-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which is disposed below a display |
| KR20210050611A (en) * | 2019-10-28 | 2021-05-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CN111276061B (en) * | 2020-01-21 | 2022-12-1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Pole screen, preparation method of pole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1193822B (en) * | 2020-03-19 | 2021-06-1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 CN111524451B (en) * | 2020-04-30 | 2022-03-22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CN112289840B (en) * | 2020-10-30 | 2022-12-13 |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 Display device |
| USD1020725S1 (en) * | 2022-04-26 | 2024-04-02 | E.V.I. Gmbh | Supporting device for installing screen protectors on mobile telephone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151039A (en) | 2007-12-19 | 2009-07-09 | Sony Corp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325633A (en) * | 1980-06-02 | 1982-04-20 | Hughes Aircraft Company | Apparatus for determining of angle of incidence of electromagnetic energy |
| KR100641628B1 (en) * | 2000-08-21 | 2006-11-0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Reflective and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Black Resin |
| KR20030058719A (en) | 2001-12-31 | 2003-07-07 |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Apparatus for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light sensor |
| JP4511248B2 (en) * | 2004-05-28 | 2010-07-28 | 京セラ株式会社 | Liquid crystal display |
| JP2006072151A (en) | 2004-09-03 | 2006-03-16 | Fujinon Corp | Diaphragm plate |
| KR101097920B1 (en) | 2004-12-10 | 2011-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hoto sensor an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070097108A1 (en) * | 2005-10-28 | 2007-05-03 | Brewer Donald R | Elastic fiber optic image guide |
| KR101256663B1 (en) | 2005-12-28 | 2013-04-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080037187A (en) | 2006-10-25 | 2008-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CD Display |
| KR20080057524A (en) | 2006-12-20 | 2008-06-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CD Display |
| US8031174B2 (en) * | 2007-01-03 | 2011-10-04 | Apple Inc. | Multi-touch surface stackup arrangement |
| JP4543072B2 (en) * | 2007-10-24 | 2010-09-15 | シャープ株式会社 | Case member, sensor module, and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
| JP5301240B2 (en) | 2007-12-05 | 2013-09-2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 Display device |
| JP2010020237A (en) * | 2008-07-14 | 2010-01-28 | Sony Corp | Image detectio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021534B1 (en) | 2009-02-18 | 2011-03-14 | 최창주 | Outdoor display device having a protective plate for preventing anti-refl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otective plate |
| KR20100109645A (en) | 2009-04-01 | 2010-10-11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Bonding method of window-glass and panel and window-glass module |
| JP5333920B2 (en) | 2009-04-14 | 2013-11-0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Display devic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KR20110019157A (en) | 2009-08-19 | 2011-02-25 |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 Main window of touch screen. |
| JP2011049473A (en) * | 2009-08-28 | 2011-03-10 | Sharp Corp | Light det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1042955B1 (en) * | 2009-09-02 | 2011-06-20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function |
| JP5585147B2 (en) * | 2010-03-23 | 2014-09-10 | 凸版印刷株式会社 | Bezel decoration |
| US8610822B2 (en) * | 2010-04-19 | 2013-12-17 | Apple Inc. |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
| US20120050225A1 (en) * | 2010-08-27 | 2012-03-01 | Shih-Liang Chou | Integrated touch panel with anti-electromanetic interference capability |
| DE102011089443B4 (en) * | 2011-02-14 | 2016-12-01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 US9140900B2 (en) * | 2011-07-20 | 2015-09-22 | Pixtronix, Inc. | Displays having self-aligned aper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US8912480B2 (en) * | 2011-08-31 | 2014-12-16 | Apple Inc. | Light sensor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1262252B1 (en) | 2011-10-18 | 2013-05-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8684613B2 (en) * | 2012-01-10 | 2014-04-01 | Apple Inc. | Integrated camera window |
-
2011
- 2011-10-18 KR KR1020110106676A patent/KR101262252B1/en active Active
-
2012
- 2012-05-09 JP JP2012107537A patent/JP2013088806A/en active Pending
- 2012-08-24 US US13/593,927 patent/US10133111B2/en active Active
- 2012-10-17 TW TW101138214A patent/TWI553329B/en active
- 2012-10-18 CN CN201210397554.0A patent/CN103065549B/en active Active
- 2012-10-18 EP EP12189102.2A patent/EP2584767B1/en active Active
- 2012-10-18 CN CN2012205347908U patent/CN203179411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8
- 2018-11-15 US US16/192,611 patent/US10571734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2-13 US US16/790,586 patent/US1110607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151039A (en) | 2007-12-19 | 2009-07-09 | Sony Corp | Display device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720532B2 (en) | 2013-10-11 | 2017-08-01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128114A (en) * | 2017-05-22 | 2018-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383915B1 (en) * | 2017-05-22 | 2022-04-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US11660845B2 (en) | 2020-02-26 | 2023-05-30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130094184A1 (en) | 2013-04-18 |
| JP2013088806A (en) | 2013-05-13 |
| US10571734B2 (en) | 2020-02-25 |
| EP2584767B1 (en) | 2017-01-11 |
| US10133111B2 (en) | 2018-11-20 |
| TWI553329B (en) | 2016-10-11 |
| US20190086717A1 (en) | 2019-03-21 |
| TW201319608A (en) | 2013-05-16 |
| CN103065549B (en) | 2016-01-20 |
| CN103065549A (en) | 2013-04-24 |
| US20200209676A1 (en) | 2020-07-02 |
| EP2584767A1 (en) | 2013-04-24 |
| CN203179411U (en) | 2013-09-04 |
| KR20130042682A (en) | 2013-04-29 |
| US11106076B2 (en) | 2021-08-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62252B1 (en)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1451925B1 (en) | Window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1579027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illuminated logo structures | |
| KR102455050B1 (en) | Dipslay apdaratus and portable terminel | |
| US9927567B2 (en) | Display with additional lighting effects | |
| CN108600421A (en) | Electronic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US20190130153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 US20130229828A1 (en) | Display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 |
| US11963425B1 (en) |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curved surfaces | |
| CN108833615B (en) | Electronic device | |
| US20230263004A1 (en) | Electronic Devices Having Curved Displays With Supporting Frames | |
| JP4988029B2 (en) | Electronics | |
| US20120229713A1 (en) | Televis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 |
| JPWO2011052379A1 (en) | Light guiding unit and input device | |
| US20130057780A1 (en) |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 |
| CN108521481B (en) | Electronic device | |
| US20120236601A1 (en) | Electronic device | |
| RU2784010C2 (en) | Display screen node and electronic device | |
| WO2020029676A1 (en) |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 JP2014090392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 JP2020173798A (en) | Case of settlement device and settlement device | |
| CN112925441A (en) |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