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229B1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5229B1 KR101275229B1 KR1020100126695A KR20100126695A KR101275229B1 KR 101275229 B1 KR101275229 B1 KR 101275229B1 KR 1020100126695 A KR1020100126695 A KR 1020100126695A KR 20100126695 A KR20100126695 A KR 20100126695A KR 101275229 B1 KR101275229 B1 KR 1012752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upply nozzle
- space
- bubble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수 또는 오존수를 제조할 때에 물속에 산소수 또는 오존수를 제조하기 위한 해당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공급하여 용존 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내부 공간(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출측 중앙부에는 나팔관 형태의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입측은 개방되고 그 개방된 입측의 전방 일 측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물 공급노즐(13)이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입측 개방부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기체공급노즐(21)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간(22)이 형성된 뚜껑(20)과, 상기 뚜껑과 몸체의 입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노즐에서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미세기공을 갖는 기포발생필터(30)와, 상기 기포발생필터(30)의 후면과 뚜껑(20)의 내면 사이에는 에어공간(23)을 마련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to increase the dissolved rate by supplying the gas for producing oxygen water or ozone water in a fine bubble when producing oxygen water or ozone water, the configuration is an internal space ( 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discharge port 12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is formed at the exit side, and the mouth side is opened and the water supply nozzle 13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at one front side of the open mouth side 10.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side of the body and the gas supply nozzle 21 is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lid 20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lid and the body, th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id and the mouth side of the body Bubble generation filter 30 having fine pores for finel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nozzle, the rear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filter 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that the air space 23.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소수 또는 오존수를 제조할 때에 물속에 산소수 또는 오존수를 제조하기 위한 해당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공급하여 용존 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to increase the dissolved rate by supplying the gas for producing oxygen water or ozone water in a fine bubble when producing oxygen water or ozone water.
최근,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수조나 하천 등의 물을 정화하고,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화학공장의 기액반응조에서 반응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욕조 등에서 기포를 포함하는 수류를 표면으로 향하게 하여 마사지 효과를 얻는 등의 각종 미세기포 발생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fine bubbles are generated to purify water in tanks and rivers,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water, to improve reaction efficiency in gas-liquid reaction tanks of chemical plants, or to generate water-containing bubbles in bathtubs. Various micro bubble generator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such as facing the surface to obtain a massage effect.
종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인본 특개평 2000-447호 공보(이하"종래기술1"이라 칭함)에는 " 원추형 스페이스를 갖는 용기본체, 동일 스페이스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설된 가압 액체도입구, 상기 원추형의 스페이스 저부에 개설된 기체 도입 공 및 상기 원추형의 스페이스의 정상부에 개설된 선회 기액 도출구로 구성되는 선회식 미세기포 발생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is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No. 2000-44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n the container body having a conical space, the pressurized liquid open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n a part of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e space A turning typ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inlet port, a gas introduc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ical space, and a swirling gas-liquid outlet opening formed in the top of the conical space.
또한 일본 실용공개 소63-74123호 공보(이하"종래기술2"라 칭함)에는 급액 공을 혼합실의 주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설치하고, 혼합실내의 후부로부터 전부를 향하여 돌출 배치된 공기관의 토출구를 혼합실의 분사구에 위치시킨 흡인 마사지 기포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3-7412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provides a liquid supply ball in a tang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mixing chamber, and discharges air pipes protruding from the rear part of the mixing chamber toward the whole. Disclosed is a suction massage bubble classifying apparatus in which a nozzle is positioned at an injection port of a mixing cha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잇다.However, the conventional micro bubble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기술1의 공보에 기재한 기술은 첫째, 기체가 원추형의 좁은 스페이스내에서 액체와 혼합되기 위하여 기포가 조대(粗大)하게 되어 분출되어 처리되는 액체와 기포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용존산소량과 반응효율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First,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of the prior art 1, first, the bubble is coarse so that the gas is mixed with the liquid in the conical narrow space is not enough to secu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iquid and the bubble to be ejected and treat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nd reaction efficiency could not be increased.
둘째, 기체 도입공이 원추형의 스페이스 저부에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를 포함하는 액체를 한 방향으로 밖에 토출시키지 못해, 수류의 토출상태를 제어하면서 하천이나 정수 설비 등에서 광범위하게 다량의 수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Second, since the gas introduction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ical space, the liquid containing bubbles can only be discharged in one direction,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in a wide range of rivers and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water stream. I had a problem that I could not do.
셋째, 원추형의 스페이스내에서 액체와 기체가 혼합되기 때문에, 대량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고, 또한 액체와 기체의 혼합비율을 소정 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Third, since liquid and gas are mixed in the conical space, there is a limit for supplying a large amount of ga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ixing ratio of liquid and gas to a predetermined value.
넷째, 펌프의 온/오프시에 원추형의 스페이스내의 압력이 변동되어 기체 도입공으로 액체가 역류되어, 액체 중에 혼입되어 있는 고형물에 의해 기체도입공이 막히기 쉬워 연속운전 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Fourth, the pressure in the conical space fluctuates when the pump is turned on and off, and the liquid flows back into the gas introduction hole, and the gas introduction hole is easily clogged by the solids mixed in the liqui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continuously operated.
다섯째, 기포를 보다 미세하게 하기 위해서 스페이스내를 가압하면, 기체 도입공으로 액체가 유입되어 버려, 조작성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Fifth, when pressurizing in space in order to make a bubble finer, liquid flowed into a gas introduction hole,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operability became bad.
또 종래기술2의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첫째, 공기관의 공기토출구가 혼합실의 분사구 바로 근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실내의 선회상태에 있는 수류와 공기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선회수류와 공기를 소정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접촉시켜서 소정의 크기나 형태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Further,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of the prior art 2 firstly, since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air pipe is disposed immediately near the injection port of the mixing chamber, the water flow and the swirling state in the mixing chamber are not directly contacted, and the swirling flow and air are prescrib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fine bubb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shape cannot be generated by making effective contact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area.
둘째, 개방단을 갖는 공기관이 노즐의 출구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내의 압력 변동에 의해 공기관으로 액체가 역류되어 액체 중에 혼입되어 있는 먼지 등에 의해 공기관이 막히기 쉬워 연속운전 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Second, since an air pipe having an open end is disposed near the outlet of the nozzle, liquid flows back to the air pipe due to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nozzle, and the air pipe is easily clogged by dust mixed in the liquid. there was.
셋째, 수류 중에 형성되는 미세기포의 크기나 발생량을 제어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공기관으로부터 필요량 이상의 공기가 흡입되고, 더구나 큰 기포가 형성되어 미세기포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마사지 효과나 세정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Third, since there is no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amount of microbubbles formed in the water flow, air more than necessary amount is sucked from the air tube, and furthermore, large bubbles are formed and microbubbles cannot be obtained, so that sufficient massage effect and cleaning effect can be obtained. I could not have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에 용존 되어야 할 해당 기체(산소, 오존)(이하"에어"라 칭함)의 기포를 미세화시켜 해당에어의 용존 율을 높임은 물론, 그 높아진 용존 율의 물을 해당 목적하는 곳(폐수, 식수)에 공급하여 폐수의 경우 정화효율을 높이고, 식수의 경우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도록 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issolved rate of the air by miniaturizing the bubbles of the gas (oxygen, oz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to be dissolved in water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water supply of the dissolved water to the desired place (waste water, drinking water),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waste water is improved, and in the case of drinking water, it provides a micro bubble generator that can benefit the human body.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내부 공간(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출측 중앙부에는 나팔관 형태의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입측은 개방되고 그 개방된 입측의 전방 일 측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물 공급노즐(13)이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입측 개방부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기체공급노즐(21)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간(22)이 형성된 뚜껑(20)과, 상기 뚜껑과 몸체의 입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노즐에서 공급되는 기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미세기공을 갖는 기포발생필터(30)와, 상기 기포발생필터(30)의 후면과 뚜껑(20)의 내면 사이에는 에어공간(23)을 마련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Characterist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그리고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물 공급노즐(13)의 설치위치는 내부공간(11)의 중심부로부터 5˚ 내지 내부공간(11)의 내벽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포발생필터(30)는 원통형패널 형태 또는 에어의 분출면적과 물 공급노즐(13)에서 공급되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노즐(13)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압은 1 - 4Bar이고, 상기 기체공급노즐(21)로 공급되는 기체의 공급 압은 0.25 - 5Bar이며, 상기 기포발생필터(30)의 표면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11)의 물과 함께 존재하는 기포의 크기는 50 - 100㎛이다.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물에 해당 에어(산소 오존)의 용존 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해당 에어를 미세기포로 만들고 그 만들어진 미세기포를 물에 공급하여 에어용존 율을 높임으로써 그 용존 율이 높이진 물을 폐수 또는 식수에 공급하여 폐수의 경우 정화효율을 높이고, 식수의 경우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dissolved rate of the air (oxygen ozone) in the water by making the air in the microbubble and supplying the microbubble made in water to increase the air dissolution rate By increasing the dissolved rate of the water to the waste water or drinking wate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e case of waste wa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n the case of drinking water.
도1은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결합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에서 물과 기포가 부딪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물 공급노즐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적용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cro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ombine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water and bubbles collid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nozzl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출측 중앙부에는 나팔관 형태의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입측은 개방되고 그 개방된 입측의 전방 일 측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물 공급노즐(13)이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입측 개방부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기체공급노즐(21)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간(22)이 형성된 뚜껑(20)과, 상기 뚜껑(20)과 몸체(10)의 입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노즐(21)에서 공급되는 에어(산소, 오존)를 50㎛이상으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미세기공을 갖는 기포발생필터(30)와, 상기 기포발생필터(30)의 후면과 뚜껑(20)의 내면 사이에 에어공간(23)을 마련된다.1 and 2,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has a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공급노즐(21)을 통하여 에어가 뚜껑(20)의 내부 공간(22)으로 공급되면 기포발생필터(30)의 후면과 뚜껑(2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에어공간(23)에는 상기 기체공급노즐(21)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기체공급노즐(21)에서 공급되는 에어 압과 동일한 압으로 충만하게 된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bubble generating filter when air is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은 에어공간(23)의 에어는 기포발생필터(30)의 후면을 통하여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이상의 미세기공을 통해 기포발생필터(30)의 표면으로 기포가 되어 배출되고, 그 기포발생필터(30)의 표면으로 기포가 되어 배출되는 에어는 물 공급노즐(13)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과 상기 기포발생필터(30) 표면에서 부딪치면서 기포를 분할함으로 기포는 더욱 미세하게 만든다.Air in the
또 상기 물 공급노즐(13)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기포를 분할함과 동시에 내부 공간(11)에서 물과 기포가 함께 회류(회전)하게 되고 그 회류에 따라 기포와 물은 골고루 혼합되면서 용존 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단 상기 기포는 50 - 100㎛의 크기를 유지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기포의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 이상이 되면 물속에서 기포의 부상 력이 좋아짐으로 그 부상 력이 좋아지는 만큼 용존 율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포의 크기는 50 - 100㎛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며, 용존 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기포의 크기를 본 발명의 범위 이하로 하면 된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bble maintains a size of 50-100 μm. The reason is that when the size of the bubble is greater tha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lotation force of the bubble is improved in water, the dissolved rate decreases as the flotation force is improved. Therefore, the size of the bubble is preferably maintained to 50-100㎛,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dissolved rate, the size of the bubble may be less tha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수차의 실험결과 기포의 크기가 50 - 100㎛를 유지하면 에어의 용존 율이 목적치를 달성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포의 크기를 50 - 100㎛로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기포크기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bble size is maintained at 50-100 μm, the dissolved rate of air can achieve the desired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size is 50-100 μm. Meanwhile, the bubble siz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물 공급노즐(13)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부 공간(11)에서 회류(회전)되는 원리는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물 공급노즐(13)의 설치위치가 내부공간(11)의 중심부로부터 10˚ 이상의 각을 유지하거나, 또는 내부공간(11)의 내벽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물이 내부 공간(11)의 내벽을 따라 회류하게 되는 것이다.The principle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물 공급노즐(13)의 설치위치가 내부공간(11)의 내벽과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되면 물의 회류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물 공급노즐(13)의 설치위치가 내부공간(11)의 중심부로부터 5˚ 이상의 각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물 공급노즐(13)의 설치위치가 내부공간(11)의 내벽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약하나 물이 회류되는 것은 마찬가지다.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또 본 발명의 상기 물 공급노즐(13)로 공급되는 물 공급 압은 1 - 4Bar인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0.5Bar이며, 상기 기체공급노즐(21)로 공급되는 에어공급 압은 0.25 - 5Bar인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3Bar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ressure supplied to the
상기 물 공급 압과 에어공급 압은 몸체(10)의 내부 공간(11)에서 물이 회류하데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물 공급 압이 1 - 4Bar를 초과하거나 미만을 유지하고, 에어공급 압이 0.25 - 5Bar를 초과하거나 미만을 유지하게 되면 내부 공간(11)에서 물의 회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물 공급 압이 최소 1Bar를 유지할 때에는 에어공급 압은 최소 0.25Bar를 유지해야 하고, 물 공급 압이 최대 4Bar를 유지할 때에는 에어공급 압은 최대 5Bar를 유지해야 내부 공간(11)에서의 물 회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water supply pressure and the air supply pressure are correlated to the flow of water in the
또 상기 에어공급 압이 0.25Bar를 유지하지 못하면 에어가 기포발생필터(30)를 통과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으로 에어공급 압은 최소 0.25Bar를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필터(30)는 자석 또는 세라믹이나 원 적외선이 방출되는 무기질 또는 금속의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수질을 위하여 좋다.In addition, if the air supply pressure does not maintain 0.25Bar, air is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또한 상기 토출구(12)를 나팔관 형태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내부 공간(11)에서 토출구(12)를 통하여 목적하는 곳으로 토출되는 물이 넓은 면적으로 일시에 토출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노즐(13)에는 물 공급 관 및 물 공급호스가 연결 설치되며, 그 물 공급 관 및 물 공급호스에는 물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밸브(도면 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체공급노즐(21)에도 기체공급 관 및 기체공급호스가 연결 설치되며 그 기체공급 관 및 기체공급호스에는 기체를 공급하고 차단하는 밸브(도면 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또 상기 기포발생필터(30)의 형태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에어 분출면적과 물 공급노즐(13)에서 공급되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파형으로 굴곡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물 공급노즐을 통하여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들어오는 물에 기포발생필터를 통과하는 에어의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함으로써 물에 에어 용존 율을 높여 폐수의 경우 정화효율을 높이고, 식수의 경우 인체에 유익함을 주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wastewater,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ir dissolution rate in water by pulverizing finely the air bubbles passing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filter in the incom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drinking water has the advantage of benefiting the human body.
10 : 몸체 11 : 내부 공간
12 : 토출구 13 : 물 공급노즐
20 : 뚜껑 21 : 기체공급노즐
22 : 공간 23 : 에어공간
30 : 기포발생필터 10
12
20: lid 21: gas supply nozzle
22: space 23: air space
30: bubble generation filter
Claims (7)
2.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bubbles existing together with the water in the internal space (11)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filter (30) is 50-100 µ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6695A KR101275229B1 (en) | 2010-12-13 | 2010-12-13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6695A KR101275229B1 (en) | 2010-12-13 | 2010-12-13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5520A KR20120065520A (en) | 2012-06-21 |
| KR101275229B1 true KR101275229B1 (en) | 2013-06-14 |
Family
ID=466851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266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5229B1 (en) | 2010-12-13 | 2010-12-13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752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19892B1 (en) * | 2012-09-28 | 2013-01-09 |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 Hybrid apparatus for treating of non-biodegradable water in the riv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195393A (en) * | 2002-12-19 | 2004-07-15 | Nomura Denshi Kogyo Kk | Gas-liquid mixer |
| JP2005103366A (en) * | 2003-09-29 | 2005-04-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Two-fluid nozzle |
| KR20050117416A (en) * | 2004-06-10 | 2005-12-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Twin fluid atomizing nozzle |
| KR100852465B1 (en) * | 2003-12-15 | 2008-08-14 | 미야자끼껭 | Method of forming monodisperse bubble |
-
2010
- 2010-12-13 KR KR1020100126695A patent/KR10127522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195393A (en) * | 2002-12-19 | 2004-07-15 | Nomura Denshi Kogyo Kk | Gas-liquid mixer |
| JP2005103366A (en) * | 2003-09-29 | 2005-04-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Two-fluid nozzle |
| KR100852465B1 (en) * | 2003-12-15 | 2008-08-14 | 미야자끼껭 | Method of forming monodisperse bubble |
| KR20050117416A (en) * | 2004-06-10 | 2005-12-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Twin fluid atomizing nozz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5520A (en) | 2012-06-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43970B1 (en) | Micro Bubble Generator | |
| US7866572B2 (en) | Bubble-generating structure, and showerhead that includes that structure | |
| WO2001036105A1 (en) | Micro-bubble generating nozzle and application device therefor | |
| KR101192809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Water Containing Micro-Nano Bubbles | |
| WO2001097958A9 (en) | Fine air bubble generator and fine air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the generator | |
| CN110891674A (en) |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microbubble generating method, and shower apparatus and oil-water sepa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JP2009045619A (en) | Integrated type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 |
| KR100915782B1 (en) | Compacked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 |
| CN101557869B (en) | Gas dissolution apparatus | |
| KR20100104973A (en) | Micro bubble nozzle and bubble generating module | |
| JP2011218343A (en) | Nozzle for gas-liquid mixing, gas-liquid mix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the same | |
| CN114950174A (en) | Bubble generation system of water purification unit and water purification unit | |
| KR100884802B1 (en) | Microbubble Nozzle | |
| KR200449102Y1 (en) | Micro bubble nozzle | |
| KR101275229B1 (en)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
| JP2001187326A (en) | Device for mixing gas and water | |
| JP2009274026A (en) | Micro-bubble unit for faucet | |
| JP2006122813A (en) | Mixer and mixing apparatus using this | |
| KR200497600Y1 (en) | Connector for nano bubble generator | |
| JPH10230150A (en) | Aerator | |
| JP5081099B2 (en) | Micro-bubble mixed water supply device | |
| KR20160028170A (en) | Micro-bubble generator | |
| JP2001252546A (en) |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 and method for generating fine bubble using the same | |
| KR20220005885A (en) | Nano-bubble generator device | |
| KR101027212B1 (en) | Intensive Micro Bubble Gener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6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1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