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785B1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Google Patents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7785B1 KR101277785B1 KR1020100067368A KR20100067368A KR101277785B1 KR 101277785 B1 KR101277785 B1 KR 101277785B1 KR 1020100067368 A KR1020100067368 A KR 1020100067368A KR 20100067368 A KR20100067368 A KR 20100067368A KR 101277785 B1 KR101277785 B1 KR 101277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trainer
- grating
- main body
- sie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중에 낙엽, 자갈, 토사 및 쓰레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통수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이 마련되고 어느 일 측면이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노면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한 우수받이에 있어서,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공간 내에 장착되며, 표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trap equipped with a strainer that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fallen leaves, gravel, earth and sand and waste from flowing into the river and to secure a water flow area in rainwater, more specifically, In a rainwater receiver including a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is opened and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ipe,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e formed so that rainwater flows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grating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aper) is mount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further comprises a strain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gra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 중에 낙엽, 자갈, 토사 및 쓰레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통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trap equipped with a strainer that can prevent foreign matter, including fallen leaves, gravel, earth and sand and wastes from flowing into the rivers while ensuring rainwater.
일반적으로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는 처리를 요하는 물의 특성에 따라 폐수 또는 오수를 처리하는 경우와 우수를 처리하는 경우로 나뉘는데, 우수의 경우는 별다른 처리 없이 방류 수역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화되지 않은 우수에 함유된 오염 물질이 수로를 타고 그대로 하천 등에 방류됨으로써 수역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수와 함께 수로 내로 유입되는 부유물질 및 흙, 모래 등이 여과되지 않고 유입되어 배수로 내에 침전됨으로써 배수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general, the filtratio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is divided into the case of treating wastewater or sewage and the case of rainwa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o be treated, the rainwater is usu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water without any treatment. Therefore,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unpurified rainwater are discharged into rivers and the like as they ride on the waterways, and the pollution of the water is getting serious day by day.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drainage and the soil, sand, etc. flowing into the waterway with the rainwater is introduced without being filtered and settled in the drainage passage is clogged drain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우수받이나 수로의 상부에 망 형상의 여과 장치를 설치하여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하부에 도달하기 전에 여과 장치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우수받이의 하부 공간을 여과 장치가 차지하게 되면 우수받이의 배출구가 막히게 되어 빗물이 빠져나갈 수 없고, 수로의 하부 공간을 여과 장치가 차지하게 되면 하부 면을 타고 물을 흘려보내는 수로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으므로 우수받이나 수로의 하부 공간에 큰 여과 장치가 설치되면 안되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y installing a mesh-shaped filtering device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but allow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to pass through the filtering device before reaching the lower part. In this case, if the filtration device occupies the lower space of the storm receiver, the outlet of the storm receiver will be blocked and rainwater cannot escape. If the filtration device occupies the lower space of the channel, the water flows through the lower surface. Since the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there is a spatial limitation that a large filtration device should not be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channe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55693호 2008.09.03.)이 제시되었으나, 이 또한 우수받이 내에 장착된 여과 장치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우수받이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ainwater receiver (Korean Patent No. 0855693 2008.09.03.) Having a conventional dust removal function has been proposed, but this also requires replacing the rainwater receiver itself in order to replace the filtration device mounted in the rainwater receiver.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 중에 낙엽, 자갈, 토사 및 쓰레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통수면적을 확보하며, 특히 우수받이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내부에 설치된 여과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eciduous leaves, gravel, earth and sand and the like to flow into the river and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into the river, and in particular to receive excell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cellent receiver equipped with a strainer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the filter device installed therein while still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이 마련되고 측벽이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노면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한 우수받이에 있어서,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공간 내에 장착되며, 표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in net equipped with the si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 side wall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ipe, and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re formed so that rain water flows from the road surface. In a rainwater receiver including a grating coupl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t is mount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in a tapered shape, and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ar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grating.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trainer to remove.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름망은 어느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str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andle is mounted on any one side.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름망은 그 단면이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sie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름망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유출공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sie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size is redu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 거름망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sieve sieve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material.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는 공간 내에서 상기 거름망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받침턱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jaw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ieve can be seated in the space.
여기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은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Her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guid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inner surface, the sieve is formed with a rim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edg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to be.
또한, 상기 본체의 받침턱과 상기 거름망의 테두리부는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및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ase portion of the base jaw of the main body and each other, it may be fixed and coupled by a fixing means.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름망은 상기 그레이팅의 저면부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As an example, the str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grat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거름망이 우수받이에 장착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 중에 낙엽, 자갈, 토사 및 쓰레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거름망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충분한 통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eciduous leaves, gravel, soil, and garbage, from flowing into the river during rainwater flowing into the sieve by being mounted on the sieve, and the sieve is tap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sufficient water supply area.
또한, 거름망이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에 의해 우수받이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ainer is composed of a detachable, attachab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while still utilizing the excellent receiver.
도 1은 본 발명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의 거름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 receiving provided with a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ainer of the rain net equipped with the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siev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r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and 6b is a view showing the rain shower equipped with a si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의 실시예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rain net equipped with a si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의 거름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 net equipped with a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iner of the rain net with a s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ieve net.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는 우수 중에 낙엽, 자갈, 토사 및 쓰레기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통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ain net equipped with the si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eciduous leaves, gravel, soil and garbage from flowing into the river and to secure a water passage area.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는 통상의 우수받이와 같이 우수를 수용 및 배수하기 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ain gutter equipped with a si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본체(10)는 우수의 수용과 배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20)을 통해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노면 상에 매설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는 그레이팅(20)이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그레이팅(20)의 폭과 대응하는 단턱(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본체(10)의 적어도 일 측벽에는 본체(10)의 공간 내로 유입된 우수가 배수관로(미도시)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관(60)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해당 측벽에는 배출관(6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통공(10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상기 그레이팅(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13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노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공간으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면, 상기 그레이팅(20)은 직사각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유입공(200)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상기 유입공(200)을 통해서 그레이팅(20)을 통과하여 하부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200)은 그 크기나 모양이 통상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하며, 그레이팅(20)의 양 측면 상단부에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상기 그레이팅(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210)가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210)도 통상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하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그레이팅(20)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각종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두께 및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Her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는 우수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거름망(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o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rainer (30)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in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body (10).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본체(10)의 공간 내로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의 크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수량이 많더라도 통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30)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되, 그 단면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횡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30)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거름망(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의 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어느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31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거름망(30)은 상기 그레이팅(2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통과시키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표면에 복수의 유출공(300)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담배꽁초와 같은 이물질이 통과되지 않도록 유출공(300)의 간격은 1㎝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름망(30)의 유출공(300)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망(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유출공(300)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30)에 형성된 유출공(300)의 크기를 상부, 중앙부, 하부로 구분하여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폭우가 내렸거나 가을철 낙엽이 많이 떨어졌을 때에 거름망(30)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짧은 시간에 많은 이물질이 상기 거름망(30)에서 걸러지게 되면 거름망(30)의 하부측부터 막힘으로써 우수가 상기 그레이팅(20)을 통해 거름망(30)을 거쳐 배수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에 크게 형성된 유출공(300)을 통해서 이물질을 우수와 함께 본체(10)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size of the
상술한 거름망(30)은 통상적인 철사로 직조된 철망을 사용하지 않고 철판을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철망이 사용되는 경우 많은 양의 우수가 한번에 유입되거나 이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 이에 대한 하중에 상기 거름망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30)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처럼, 상술한 거름망(30)은 본체(10)에서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에 의해 우수받이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As such, the above-described sieve net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의 거름망의 장착 구조를 살펴보면, 2 가지의 실시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ieve of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wo implementation structures.
그 중 일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본체(10)의 공간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30)이 본체(10)의 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되기 위하여 본체는 측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받침턱(110)이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3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그리고, 상기 거름망(30)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턱(110)의 상부면과 대응하여 접할 수 있도록 그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320)의 경우도 복수의 유출공(300)이 형성되어 있어 테두리부(320)를 통해서도 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ieve (30) has a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받침턱(110)과 상기 거름망(30)의 테두리부(320)는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400)이 형성되고,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 및 결합하게 된다. 이때의 고정수단(40)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결합 또는 리벳팅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본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30)의 테두리부(32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0)과 대응하는 가이드 홈(330)이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30)이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다른 예로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30)은 앞서 설명한 거름망(30)과 동일하게 그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유출공(300)이 형성된 테두리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320)의 저면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안착다리(340)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다리(340)가 본체(10)의 바닥면에 접함으로써 안착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t least two seating
여기서, 상기 안착다리(34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안착다리(340)를 구성하고, 각 안착다리(34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편심에 의해 상기 거름망(3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안착다리(340)는 상기 테두리부(320)의 저면부와 수직을 이루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에서 적합한 장착 위치의 선정에 따라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구성해야함은 당연하다. Here,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그레이팅(20)의 저면부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6a and 6b is a view showing a rain net equipped with a si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이를 위해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그레이팅(20)과의 일체화를 제공하는 체결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체결수단(50)은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걸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50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clasp method shown in Figure 6a may be applied.
도 6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거름망(30)의 상부 측면 좌, 우측에는 각 1 개씩 총 2개의 걸쇠가 장착된다. 상기 걸쇠는 상기 거름망(30)의 측면에 용접 내지 리베팅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레이팅(20)의 유입공(200)을 통과하여 그레이팅(20)에 거름망(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거름망(30)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그레이팅(20)을 들어올리면 거름망(30)이 함께 들어 올려지도록 한 것이며, 이에 의해 거름망(30)의 유지 및 보수에 유용하며 그레이팅(20)의 도난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A, two clasps, one each of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본체 20 : 그레이팅
30 : 거름망 40 : 고정수단
50 : 체결수단 100 : 통공
110 : 받침턱 120 : 가이드 레일
200 : 유입공 300 : 유출공
310 : 손잡이 320 : 테두리부
330 : 가이드 홈 340 : 안착다리
400 : 결합공10: main body 20: grating
30: strainer 40: fixing means
50: fastening means 100: through
110: base jaw 120: guide rail
200: inlet hole 300: outlet hole
310: handle 320: frame
330: guide groove 340: seating leg
400: coupling hole
Claims (8)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평평한 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접하도록 장착되며, 측면 및 상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의 상부면은 걸쇠 방식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그레이팅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In the rainwater receiver including a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that is open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side wall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ipe,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e formed so that rainwater flows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grating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flat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taper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rating, and a plurality of outlet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grating. Include more strainers to rem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is equipped with a s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grating integrally by the fastening means of the clasp.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67368A KR101277785B1 (en) | 2010-07-13 | 2010-07-13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67368A KR101277785B1 (en) | 2010-07-13 | 2010-07-13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06734A KR20120006734A (en) | 2012-01-19 |
| KR101277785B1 true KR101277785B1 (en) | 2013-07-26 |
Family
ID=456123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67368A Active KR101277785B1 (en) | 2010-07-13 | 2010-07-13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77785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3002B1 (en) | 2018-12-13 | 2019-09-19 | 이래현 | A nonpoint-pollution purify system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well |
| KR200490374Y1 (en) * | 2019-05-29 | 2019-11-04 | 진효순 | Bridge drain unit |
| KR102552941B1 (en) * | 2022-10-13 | 2023-07-06 | 편용철 | Rain gutter with improved draina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17801A (en) | 2014-08-06 | 2016-02-17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Rain receptacle filter to prevent stench |
| KR101740033B1 (en) | 2014-12-03 | 2017-05-26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Filter for deceleration of influent water velocity and facilities using the same |
| CN108797767B (en) * | 2018-06-27 | 2020-11-13 | 浙江皓睿建设有限公司 | Municipal administration launching gear |
| CN110158403B (en) * | 2019-06-11 | 2024-02-13 | 浙江水利水电学院 | Urban rainwater system applied to sponge city |
| KR102704424B1 (en) * | 2024-02-27 | 2024-09-06 |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 Low-impact development technique facility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nd flood runoff reduction using natural infiltration ditch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58464A (en) * | 1994-12-09 | 1996-06-18 | Sekisui Chem Co Ltd | Rainwater pit |
| JP2004225371A (en) | 2003-01-23 | 2004-08-12 | Hokuei:Kk | Manhole insulation and deodorant sheet |
| JP2004285651A (en) | 2003-03-20 | 2004-10-14 | Honda Motor Co Ltd | Rainwater |
| KR100564921B1 (en) * | 2005-10-21 | 2006-03-30 | 씨엠엔지니어링(주) | Sewer pipe manhole |
-
2010
- 2010-07-13 KR KR1020100067368A patent/KR1012777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58464A (en) * | 1994-12-09 | 1996-06-18 | Sekisui Chem Co Ltd | Rainwater pit |
| JP2004225371A (en) | 2003-01-23 | 2004-08-12 | Hokuei:Kk | Manhole insulation and deodorant sheet |
| JP2004285651A (en) | 2003-03-20 | 2004-10-14 | Honda Motor Co Ltd | Rainwater |
| KR100564921B1 (en) * | 2005-10-21 | 2006-03-30 | 씨엠엔지니어링(주) | Sewer pipe manhol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3002B1 (en) | 2018-12-13 | 2019-09-19 | 이래현 | A nonpoint-pollution purify system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well |
| KR200490374Y1 (en) * | 2019-05-29 | 2019-11-04 | 진효순 | Bridge drain unit |
| KR102552941B1 (en) * | 2022-10-13 | 2023-07-06 | 편용철 | Rain gutter with improved drainag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06734A (en) | 2012-01-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77785B1 (en)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
| KR100957464B1 (en) | Rain gutter collection device | |
| US6649048B2 (en) |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 |
| US20130186811A1 (en) | Filter | |
| KR100721237B1 (en) |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with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early rain | |
| US6869526B2 (en) | Storm drain filter assembly | |
| KR100629151B1 (en) | Initial excellent multi filtration facility | |
| KR20130049310A (en) | Grating for road drain-outlet | |
| KR101023537B1 (en) |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 |
| KR20110010631U (en) | Sewage Filter for Sewer | |
| KR101683816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 KR101177714B1 (en) | Reducing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of early rainwater on the road | |
| KR100892834B1 (en) | Detachable sedimentation tank system device with various particle filtering function, quantity control, purification and water permeation | |
| KR20080105855A (en) | Trash filter | |
| US20110198273A1 (en) | Multi-stage storm drain filter insert | |
| KR100683119B1 (en) | Sewers where sewage can be collected | |
| KR101081568B1 (en)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 |
| KR101217390B1 (en) | Purifier for manhole | |
| KR100807987B1 (en) | Filter case casing for rain gutters or waterways | |
| JP2009270319A (en) | Execution structure of yard catch basin | |
| KR20050095959A (en) | Duplication wall pipe using pe for manhole | |
| KR200399238Y1 (en) | Rain drain eqipment | |
| KR100499612B1 (en) | Solid Separation and Filtered water obtainment method by Screen Channel | |
| KR100883616B1 (en)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screen for collecting impurities | |
| KR101889907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having a modular filter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