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425B1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4425B1 KR101284425B1 KR1020100086035A KR20100086035A KR101284425B1 KR 101284425 B1 KR101284425 B1 KR 101284425B1 KR 1020100086035 A KR1020100086035 A KR 1020100086035A KR 20100086035 A KR20100086035 A KR 20100086035A KR 101284425 B1 KR101284425 B1 KR 101284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refrigerant
- filter
- hole
- coo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25B2400/161—Receivers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25B2400/162—Receivers characterised by the plug or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건조제백이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와, 서브 냉각존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캡 및 캡에 외삽되는 필터몸체와, 필터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배플과, 하부는 배플의 관통홀을 따라 건조제백의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유입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어 관통홀로 냉매를 유출하고 건조제백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서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를 각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상기 액상의 냉매를 상기 냉매유출구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응축기와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 desiccant bag is inserted therein, and a coolant inlet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from a condense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nd a coolant outlet through which a liquid coolant flows out into a sub-cooling zone. A tubular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 cap fitted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 filter body extrapolated to the cap, a baff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body having a through hole of the baffle. Provided is a receiver dry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ilter tha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desiccant bag and has a coolant flowing from the first inlet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low out the coolant into the through hole and combine with the desiccant bag.
Therefore, the liquid phase refrigerant and the gaseous phase refrigeran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and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outle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Can improve.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냉매의 액상 및 기상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a liquid phase and a gaseous phase of an incoming refrigerant.
일반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액상의 냉매를 냉방부하에 따라 필요한 양을 증발기로 공급가능하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응축기로부터 응축되지 않은 가스 상태의 냉매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고 냉매 내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팽창 밸브로 완전한 액상의 냉매를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Generally, the receiver drier is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xpansion valve to temporarily store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so that the required amount can be supplied to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cooling load, and at the same time, the refrigerant and liquid state of the non-condensed gas state from the condenser It separates the coolant and removes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olant to supply a complete liquid coolant to the expansion valve.
그런데,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서 액상 및 기상의 냉매로 각각 분리하는 성능이 좋지 않았고, 이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로부터 저장된 냉매를 공급받는 응축기의 성능까지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ceiver dryer does not have a good performance of separating the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into the liquid phase and the gaseous refrigerant, respectively.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denser receiving the refrigerant stored from the receiver dryer.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서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를 각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분리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어 응축기와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separate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but also improve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lifespan of the condenser and the receiver dry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ver dri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건조제백이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와, 서브 냉각존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캡 및 상기 캡에 외삽되는 필터몸체와,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배플과, 하부는 상기 배플의 관통홀을 따라 상기 건조제백의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유입홀로부터 상기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로 상기 냉매를 유출하고 상기 건조제백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한다.In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 desiccant bag is inserted therein, and a coolant inlet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from a condense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nd a coolant outlet through which a liquid coolant flows out into a sub-cooling zone. A tubular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cap fitted to an opening of the main body, a filter body extrapolated to the cap, a baffle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affle.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lter including a coupling part which protrudes along the through hole in the direction of the desiccant bag and flows out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inlet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low out the refrigerant into the through hole and couples the desiccant bag. Provide a receiver dryer.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는, 결합부와 배플를 통하여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서 액상의 냉매와 기상의 냉매를 각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상기 액상의 냉매의 선회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액상의 냉매를 상기 냉매유출구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분리 성능 및 유입된 냉매의 유동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때문에 응축기와 리시버 드라이어의 성능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baffl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quid refrigerant introduced into In order to smoothly flow out the liquid refrigerant to the refrigerant outlet,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lows smoothly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life of the condenser and receiver dryer, etc.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를 통하여 리시버 드라이어로부터 건조제백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기 때문에 건조제백의 교환이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replacement of the desiccant bag since the desiccant bag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receiver dryer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필터 캡과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필터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필터 캡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 캡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결합부에 구비된 구획살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eiver dryer integrated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ceiver drier of FIG. 1.
3 and 4 are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low of the filter cap and the refrigerant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ap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cap of FIG. 3.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of FIG. 3.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low of a refrigerant along the filter cap of FIG. 7.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member of FIG. 4.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Of FIG.
1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of FIG. 11.
FIG. 1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of FIG. 1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10)에 결합하여, 냉매를 저장하고 냉매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20)는 상기 응축기(10)에 일체형으로 결합한 형태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으로 적용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우선, 상기 응축기(1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응축기(10)는 서로 팽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된 제1헤더파이프(13) 및 제2헤더파이프(14)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13)와 제2헤더파이프(14)에 양단부가 삽입되며 서로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튜브(11)와, 상기 튜브(11)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방열핀(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헤더파이프(14)의 상부 및 하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1)와,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헤더파이프(13)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0)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더파이프(13)와 제2헤더파이프(14)의 상,하단부에는 캡부재(13a,14a)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the
이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는, 본체(100), 캡(200), 필터(300), 연결부재(400) 및 건조제백(30)을 포함한다. 2 to 4, the receiver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2,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본체(100)는, 관형상으로, 상기 건조제백(30)이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상기 응축기의 제1헤더파이프(13)의 응축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110)와, 상기 냉매유입구(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응축기의 서브 냉각존(subcool zone; 과냉각 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서브 냉각존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하부가 외부와 개방된 구조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는, 밀폐되도록 제작하거나 개방되는 구조로 하고 별도의 밀폐부재를 밀착되게 삽입하여 밀폐된 구조로 할 수 있다.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후술되는 상기 상기 배플(320)과 상기 냉매유입구(110)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된 상기 냉매가 모여 안정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공간(storage place; damping space;140)을 한정하는 돌출가이드(13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가이드(132)는,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상기 저장공간(14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330)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3 and 4,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내주면에 상기 배플(320)의 상단부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필터(300)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한정하는 스토퍼(13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건조제백(3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몸체 내부에 건조제백(3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400)와는 융착 등을 통하여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한 구조에 의한 본 실시예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냉매유동은 이후 서술할 도 8의 상기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흐름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캡(200)은, 원통형의 캠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본체(100)를 밀폐된 구조로 되게 하며,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캡몸체(230)와, 상기 캡몸체(230)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한다. 5 and 6, the
상기 캡몸체(2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200)과 상기 본체(100)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오링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링안착부들이 구비되어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캡(200)은, 상기 캡몸체(23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오링(211,212)들이 안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오링안착부(210,220)들을 더 포함한다(도 5참조). 상기 복수 개의 오링안착부(210,220)들은 제1오링(211)이 끼워지는 제1오링안착부(210)와, 상기 제1오링안착부(21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오링(212)이 끼워지는 제2오링안착부(220)를 포함한다. The
한편, 상기 제1 및 제2오링안착부(210,220)는, 상기 제1 및 제2오링안착부(210,220) 각각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오링(211,212)들의 압축력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을 영구변형 한계 이상으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오링안착부(210,220)에 끼울 경우에는 초기단계에는 기밀성이 좋으나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누설이 발생되고,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의 압축량을 작게 하여 끼우면 초기단계에서 누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감안, 상기한 사항을 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 중 어느 하나는 압축량을 작게 하고 다른 하나는 압축량을 크게 하여,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의 누설을 장시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차단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 즉 동일한 압축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오링(211,212) 각각이 제1 및 제2오링안착부(210,220)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다른 압축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오링안착부와 상기 제2오링안착부(220)의 원주 길이(t)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O-ring seating portion (210,220) is formed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O-ring seating (210,220) respectively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O-ring seating portion (210,2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When the first and second O-
상기 캡(200)과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와의 결합구조는,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로 상기 캡(200)의 외주면이 압입되게 결합되는 구조, 또는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로 상기 캡(200)이 돌기부와 끼움홈 등을 통하여 스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견고하게 나사체결되는 구조 등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상기 캡몸체(230)의 하단부는, 편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캡몸체(230)의 하단부는 소재절감 차원에서 살빼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lower end of the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필터(300) 내부의 냉매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냉매유출구(120)로의 유출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312)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유출구(120)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냉매의 선회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냉매흐름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필터몸체(310) 내부의 공간을 축소하여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유출구(120)로 도달하는 시간을 줄여주어 유입되는 상기 냉매가 신속하게 상기 냉매유출구(120)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부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종단면형상이 삼각형이 아닌 타원형 등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단부가 상기 관통홀(312)보다 낮게 예를 들어 3mm정도 낮게 위치한다.The
상기 필터(300)는, 상기 캡(200)의 상부에 끼워지며, 필터몸체(310)와, 배플(320)과,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몸체(310)는, 중공형의 내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하부는 개방되어 하단부 내측으로 상기 캡(20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외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312)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311)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측면에는 상기 배출홀(311)로 유출되는 상기 냉매를 필터링하는 필터망(340)이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배플(320)은 상기 필터몸체(3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플(320)은, 상기 냉매유입구(110)와 상기 냉매유출구(120) 사이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100)의 내주측면에 대면접촉하여,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40)에서의 액상의 냉매가 안정화 하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플(320)은 상기 필터(300)의 상부 외주면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결합부(330)는, 관형상으로 하부는 상기 배플(320)의 관통홀(312)을 따라 상기 건조제백(30)의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유입홀(332)로부터 상기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312)로 상기 냉매를 유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제1유입홀(332)로 유입되는 상기 냉매의 흐름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330)를 상기 제1유입홀(332)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냉매의 흐름이 보다 원활할 수 있는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세워져 있다.The
도 7은 도 3의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300b)는, 상기 결합부(330)가 상기 제1유입홀(332)과 함께, 하부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2유입홀(334)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유입홀(334)은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하 방향으로 흐르는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312)로 유출되게 한다.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of FIG. 3.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한 구조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의 냉매의 유동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냉매는,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어 일부는 상기 건조제백(30)을 거쳐 액상의 냉매가 상기 제1유입홀(332)로 유입되어 관통홀(312)로 유출되고, 유입된 냉매 중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저장공간(140)으로 유입된 후 제2유입홀(334)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312)로 유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관통홀(31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상기 필터몸체(310)의 필터망(340)을 거쳐 상기 냉매유출구(120)로 유출된다. 즉, 상기 결합부(330)는, 상부로는 제1유입홀(332)을 형성하여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상 방향으로 이동한 뒤 상기 건조제백(30)을 거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입홀(3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제2유입홀(334)로는 상기 냉매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냉매 중 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 방향으로 가라앉은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기한 제1유입홀(332)과 제2유입홀(334)이 형성된 필터에 의하여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냉매 중의 액상냉매와 기상냉매의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필터내부에서의 냉매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냉매유출구로의 흐름을 좋게 하기 때문에 리시버 드라이어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ith respect to the flow of the coola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oolant is introduced from the
나아가, 상기 제2유입홀(334)은, 상기 저장공간(140)의 액상냉매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공간(140)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제1유입홀(332)과 상기 관통홀(312)이 상기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얼라인(align)되게 위치하도록 하여 냉매의 유입이 원활하게 한다.Further, the
상기 결합부(330)는,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후술되는 연결부재(400)의 탄성돌기부(410)가 끼워져 걸리는 복수 개의 걸림부(3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36)는 상기 탄성돌기부(410)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결합부(330) 내주면에 걸림홀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돌기부(410)가 상기 걸림홀에 관통삽입되거나, 이 외 상기 걸림부(336)를 홈형태로 하여 상기 탄성돌기부(410)가 끼워져결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는 등 상기 탄성돌기부(410)와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결합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Th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캡(200b)은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삽입홈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몸체(310)는, 상기 캡(200)의 상단부에 외삽되는 하단부 내측면을 따라 돌출부(35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캡(200)과 상기 필터몸체(310)는 상기 삽입홈부(250)와 상기 돌출부(350)에 의하여 상기 캡(200)과 상기 필터(300)의 축방향(상하방향)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건조제백(30)과 상기 필터(300)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부가 상기 건조제백(30)의 하부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필터(300)의 결합부(3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건조제백(30)과 상기 필터(3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캡(200)을 분리할 시 분리되는 상기 캡(200) 및 필터(300)와 함께 상기 건조제백(30)이 상기 개구부로 꺼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재(400)는, 일단부가 상기 건조제백(30)과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서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된 복수 개의 탄성돌기부(410)들을 통하여 상기 결합부(33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탄성돌기부(410)들은, 상기 결합부(33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336)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결합부(330)의 내부로 삽입될 시 오므라져서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걸림부(336)에 위치하였을 땐 벌어져 상기 걸림부(336)에 끼움결합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도 11은 상기 결합부(330)에서 걸림부(336)가 위치한 부분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330)는, 제조가 용이하고 냉매흐름이 원활한 형상인 원형관으로 되어 있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330b)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삽입결합되는 상기 결합부(330b) 내주면 형상이 상기 탄성돌기부(410)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우선 상기 연결부재(400)의 탄성돌기부(410)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고 벌어질 수 있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부재(400)를 직경이 큰 Ⅱ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한 뒤 90도 회전하여 Ⅰ방향으로 돌려 상기 탄성돌기부(410)가 상기 걸림부(336)가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탄성돌기부(410)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부(336)에 끼워지는 구조이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engaging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330)는, 중공의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상기 제1유입홀(332)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의 와류를 방지하고, 유입되는 냉매가 정상류(Steady flow)로 흐르도록 하는 구획살(6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획살은 본 실시예에서는 십자형상을 하고 있으나, 상기 냉매의 유동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와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20... 리시버 드라이어 100... 본체
140... 저장공간 200... 캡
300,300b... 필터 310... 필터몸체
320... 배플 330... 결합부
332... 제1유입홀 334... 제2유입홀
400... 연결부재 500... 가이드부재20 ... Receiver Drier 100 ... Main Unit
140 ...
300,300b ... Filter 310 ... Filter Body
320 ... baffle 330 ... mating
332 ...
400 ... connecting
Claims (19)
건조제백이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와, 서브 냉각존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매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유출구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에 외삽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In the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 desiccant bag is inserted therein, and a coolant inlet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from a condense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nd a coolant outlet through which a liquid coolant flows out into a sub-cooling zone, and an opening form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A cap including a cap bod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member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to guide the coolant flowing out from the coolant inlet to the coolant outlet; And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lter extrapolated to the cap.
상기 가이드부재는 콘형상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 receiver dryer for a car air conditioner of the cone shape.
상기 필터는,
상기 캡에 외삽되는 필터몸체와,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배플과,
하부는 상기 배플의 관통홀을 따라 상기 건조제백의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유입홀로부터 상기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로 상기 냉매를 유출하고 상기 건조제백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ncludes:
A filter body extrapolated to the cap,
A baff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ter body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 lower par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desiccant bag along the through-hole of the baffle,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first inlet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to flow out the refrigerant into the through-hole and combine with the desiccant bag. Receiver drier for equipment.
상기 필터몸체는,
중공형의 내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하부는 개방되어 하단부 내측으로 상기 캡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외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측면에는 상기 배출홀로 유출되는 상기 냉매를 필터링하는 필터망이 구비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lter body,
In the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cap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part,
The outer peripheral 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through hole is discharg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is provided with a filter network for filtering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discharge hole.
상기 배플은,
상기 냉매유입구와 상기 냉매유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상기 본체의 내주측면에 대면접촉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affle,
And a coolant outlet between the coolant inlet and the coolant outle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fac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관통홀로 유출되게 하는 복수 개의 제2유입홀들이 관통 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upling portion
A receiver dri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wherein a plurality of second inlet holes penetrat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allow a liquid refrigerant to flow out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본체는,
상기 배플과 상기 냉매유입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매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상기 결합부 사이로 유입되어 안정화 된 후 상기 제2유입홀들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공간(storage place; damping space)을 한정하는 돌출가이드를 구비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of claim 6,
The main body includes:
Located between the baffle and the coolant inlet, a storage place (damping space) to allow the coolant flowing from the coolant inlet flow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to be stabilized and flow out to the second inlet holes A receiver dri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having a protruding guide.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저장공간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여 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inlet hole is a receiver dry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storage space is located.
상기 돌출가이드는,
상기 냉매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돌출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trusion guide,
And a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protruded adjacent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to prevent the refrigerant in the gaseous phase from being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inlet.
상기 본체는,
내주면에 상기 배플의 상단부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의 삽입을 한정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er drier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wherein a stopper protrudes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ffle is restricted so that the filter restricts insertion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내주면에 상기 배플의 상단부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필터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의 삽입을 한정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er drier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wherein a stopper protrudes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ffle is restricted so that the filter restricts insertion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부는,
중공의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상기 제1유입홀을 구획하여, 상기 제1유입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의 와류를 방지하는 구획살이 구비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of claim 6,
The coupling portion
A receiver dryer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a hollow tubular shape, the partitioning portion which partitions the first inflow hol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events vortex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first inflow hole.
상기 결합부는, 관형상으로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세워지게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냉매가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of claim 6,
The coupling unit is located up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tubular shape, the receiver air dry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flow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first inlet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유입홀과 상기 관통홀은 상기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얼라인(align)되게 위치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And the first inflow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캡은,
상기 캡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오링들이 안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오링안착부들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ap
A receiver dryer for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further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O-ring seat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eated with a plurality of O-rings.
상기 건조제백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건조제백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상기 캡을 분리할 시 분리되는 상기 캡 및 필터와 함께 상기 건조제백이 상기 개구부로 꺼내지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건조제백과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탄성돌기부가 구비하고,
상기 필터의 상기 결합부 내주면에 상기 탄성돌기부가 끼워져 걸리는 복수 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nection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desiccant bag and the filter, th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esiccant ba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lter so that the desiccant bag is taken out into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cap and the filter separated when the cap is separated More,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desiccant ba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radially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to which the elastic protrusions are fitte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lter.
상기 결합부는,
내주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upling portion
Receiver dri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whose inner circumference has a circular or oval shape.
상기 캡은 상단부 둘레 일측이 개방된 제2 오링 안착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몸체(310)의 하단부에는 제2오링(2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오링(212) 지지부(313)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cap has a second O-ring seating portion 220,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round the upper end portion, and a second O-ring 212 support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body 310 to prevent the second O-ring 212 from being separated. A receiver drier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comprising 313.
상기 복수의 오링 안착부는 서로 다른 원주 길이를 갖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plurality of O-ring seating unit is a receiver dry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different circumferential length.
Priority Applications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6035A KR101284425B1 (en) | 2010-09-02 | 2010-09-02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 DE112011102899.7T DE112011102899B4 (en) | 2010-09-01 | 2011-07-07 | Dryer bottl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
| PCT/KR2011/004968 WO2012030063A1 (en) | 2010-09-01 | 2011-07-07 | Receiver dri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
| CN2011800516306A CN103180680A (en) | 2010-09-01 | 2011-07-07 | Receiver-dryers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
| US13/819,894 US9377228B2 (en) | 2010-09-01 | 2011-07-07 | Receiver dri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filter |
| JP2013526992A JP2013536932A (en) | 2010-09-01 | 2011-07-07 | Receiver dry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6035A KR101284425B1 (en) | 2010-09-02 | 2010-09-02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59663A KR20120059663A (en) | 2012-06-11 |
| KR101284425B1 true KR101284425B1 (en) | 2013-07-15 |
Family
ID=466107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86035A Active KR101284425B1 (en) | 2010-09-01 | 2010-09-02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844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89310B1 (en) * | 2011-07-11 | 2014-04-2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Condenser |
| CZ2014732A3 (en) * | 2014-10-30 | 2016-02-03 |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 Filter and drier assembly, especially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circui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30632Y1 (en) | 2006-08-07 | 2006-11-10 | 주식회사 두원공조 | Lower cap coupling structure of receiver dryer |
| KR100649591B1 (en) | 2004-09-02 | 2006-11-24 | 호일정공 주식회사 | Desiccant container for receiver dryer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KR20080006038U (en) * | 2007-06-04 | 2008-12-09 | 주식회사 두원공조 | Assembly structure of receiver tank and lower cap of receiver dryer |
-
2010
- 2010-09-02 KR KR1020100086035A patent/KR1012844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49591B1 (en) | 2004-09-02 | 2006-11-24 | 호일정공 주식회사 | Desiccant container for receiver dryer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KR200430632Y1 (en) | 2006-08-07 | 2006-11-10 | 주식회사 두원공조 | Lower cap coupling structure of receiver dryer |
| KR20080006038U (en) * | 2007-06-04 | 2008-12-09 | 주식회사 두원공조 | Assembly structure of receiver tank and lower cap of receiver dry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59663A (en) | 2012-06-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12030063A1 (en) | Receiver dri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 |
| CN102706045B (en) | Condenser | |
| US8789389B2 (en) | Intermediate heat exchanger | |
| CN101762131A (en) | Combined device comprising an internal heat exchanger and an accumulator participating to an AC loop, the combined device being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s internal component | |
| JP6905895B2 (en) | Capacitor | |
| JP2008032269A (en) | Accumulator | |
| EP4394285A1 (en) | Gas-liquid separation device | |
| KR102750535B1 (en) | Gas-liquid separation device for vehicle | |
| KR101284425B1 (en)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
| KR101045048B1 (en) | Receiver Dri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 CN106931689B (en) | Liquid reservoir and refrigerating system with same | |
| WO2010116739A1 (en) | Oil separator | |
| KR101513923B1 (en) | Condenser | |
| JP5622411B2 (en) | Capacitor | |
| KR20170047050A (en) | A condenser | |
| KR101655468B1 (en)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
| KR20030056589A (en) | Condenser with integral liquid reservoir | |
| KR101655469B1 (en) | Receiver Dryer for car air conditioner | |
| KR100687307B1 (en) | Accumulator | |
| JP2009299980A (en) | Liquid receiver, and heat exchanger integrated with liquid receiver | |
| KR20040067439A (en) | Vapor-liquid separator | |
| JP2020159589A (en) | Condenser | |
| KR101694547B1 (en) | Filter Cap for Receiver Dryer | |
| JP2014092327A (en) | Heat exchanger with liquid receiver | |
| KR101389310B1 (en) | Condens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