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692B1 - Water treatment unit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692B1 KR101288692B1 KR1020120003666A KR20120003666A KR101288692B1 KR 101288692 B1 KR101288692 B1 KR 101288692B1 KR 1020120003666 A KR1020120003666 A KR 1020120003666A KR 20120003666 A KR20120003666 A KR 20120003666A KR 101288692 B1 KR101288692 B1 KR 101288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ver
- opening
- water
- membr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서 필터링된 처리수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갖는 멤브레인모듈과; 상기 멤브레인모듈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수집부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단부와 상기 개구부 단부 둘레에 걸쳐 고정되는 클램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이 클램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커버와 하우징을 맞댄 후 클램프의 링크를 걸어 조임부를 조이는 것만으로 커버와 하우징의 조립이 완성되므로 결합 및 해제가 매우 간편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unit, and in particular, a housing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ste water into the housing; A membrane module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membrane for filtering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a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membrane;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waste water not processed by the membran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open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at one central side thereof, the discharged wate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treated water; A clamp fixed to the opening and fixed around an end of the cover and an end of the opening to seal the inside of the housing; .
Therefore,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is made through the clamp, the assembly of the cover and the housing is completed by simply tightening the fastening part by engaging the link of the clamp after the cover and the housing, and thus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are very easy.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유닛에 대한 것으로, 특히,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을 클램프를 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체결 및 해제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하우징의 재질을 가벼우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변경하여 수처리 유닛 자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폐기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처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unit, and in particular, by fastening and releasing a cover and a housing through a clamp, the fastening and releasing is very easy, and the material of the housing is changed to a light and recyclable material to change the weight of the water treatment unit itself. In addition to reducing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unit capable of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isposal.
막 분리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기술은 유럽,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최근 30여년간 기초 연구와 상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왔다.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membrane separation process has been developed in the last 30 years through basic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in Europ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최근 오폐수 처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분리막(멤브레인)은 기존 생물학적, 화학적 처리방법을 대체한 것이다. Recently, membranes (membrane), which are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wastewater treatment, replace the existing biological and chemical treatment methods.
이러한 막분리 기술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기술은 우수한 처리 효율과 안정적인 처리를 보증하기 때문에 향후 수처리 분야에서 주도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is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come a leading technology in the water treatment field because it guarantees excellent treatment efficiency and stable treatment.
종래 오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분리막 중 멤브레인을 이용한 수처리 유닛은 하우징과, 오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과, 멤브레인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유입관과, 메브레인에 의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멤브레인에 의하여 필터링되지 않고 고동도로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관을 포함한다. The water treatment unit using a membrane among the membranes used in the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includes a housing, a membrane for filtering the wastewater, an inlet pipe for supplying the wastewater to the membrane,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membrane, and a membrane. It includes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which is discharged without filtering.
그런데, 상기 종래의 수처리 유닛은 멤브레인과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이 복잡하여 수처리 유닛을 조립하거나, 멤브레인 교체를 위하여 하우징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unit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ssemble the water treatment unit or to separate the housing for membrane replacement because the combination of the membrane, the housing and the cover is complicated.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멤브레인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일반적으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 FRP)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FRP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하우징이 수처리 유닛의 전체 무게에 기여하는 정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따라 수처리 유닛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여 제조, 설치는 물론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generally used to surround the membrane,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By the way, while FRP has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the housing contributes to the total weight of the water treatment unit is very large, thus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entire water treatment unit, which is not easy to manufacture, install and manage There was this.
또한, FRP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수처리 유닛을 폐기 처분하는 경우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FRP is impossible to recy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discarding the water treatment unit.
한편, 종래의 수처리 유닛에 오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미처리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관은 외부관과 커플링방식으로만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점 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let pipe for introducing waste water into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unit and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untreated waste water to the outside should be connected only to the outer tube and the coupling method.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없어 범용성이 저하됨은 물론, 양측을 모두 커플링을 통해 연결하여야 하므로 외부관과의 결합 및 분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various types of connection methods cannot be used, and as a result, the generality is deteriorated, and both sides must be connected through a coupling, which causes troublesome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the external tub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와 하우징을 클램프를 통해 결합 및 해제함으로써 커버와 하우징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한 수처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unit which is very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he cover and the housing by engaging and releasing the cover and the housing through the clamp.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스텐레스 재질로 마련함으로써, 종래 FRP 재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수처리 유닛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테인레스 강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폐기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처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ousing made of stainless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water treatment unit than using a conventional FRP material, as well as stainless steel can be recycled, so tha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caused by disposal It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uni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유입부 및 토출부와 외부관의 연결방법을 유니온, 닛블 또는 소켓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이 증가됨은 물론,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한 수처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unit that is easy to combine and replace, as well as increase the versatility by changing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outer tube in various ways such as union, nibble or socket. .
또한, 본 발명은, 가스킷을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게재함으로써,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밀폐성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어서, 유입부 쪽으로 가해지는 높은 수압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커버와 하우징 사이로 오폐수가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처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secure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by placing the gasket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thereby firmly supporting the high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inlet portion, and counting the waste water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It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unit that can be preven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서 필터링된 처리수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갖는 멤브레인모듈과; 상기 멤브레인모듈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수집부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단부와 상기 개구부 단부 둘레에 걸쳐 고정되는 클램프; 포함하는 수처리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ste water into the housing; A membrane module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membrane for filtering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a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membrane;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waste water not processed by the membran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open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at one central side thereof, the discharged wate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treated water; A clamp fixed to the opening and fixed around an end of the cover and an end of the opening to seal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achieved by a water treatment unit comprising.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측 하우징의 단부 및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는 2 이상의 링크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커버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마련되되, 상기 각 링크의 내부에는 상기 각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체결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링크 단부에는 회전조임에 의하여 상기 2개의 링크 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조임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cov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and the cover of the opening-side housing, respectively, the clamp is connected to the two or more links by a hinge and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as a whole It is provided to form a shape, the inside of each link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espective engaging projections, the two link ends facing each other when fastening tightening to fix and release the two link ends by the rotational tightening An additional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상기 하우징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결합고정되어, 수처리된 처리수가 상기 하우징의 양단으로 배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and the cover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to be discharg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상기 커버와 상기 개구부 측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의 밀폐시 밀폐력을 증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가스킷이 더 마련될 수 있다. A ring-shaped gasket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ver and the opening side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when the cover is closed.
상기 커버와 상기 멤브레인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상기 커버의 배출부로 유도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embrane module, to guide 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ver.
상기 커넥터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는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커버유도관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one end may be inserted into a cover guide tube formed at the discharge part, and the other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part.
상기 커넥터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에는 내측벽에 상기 커버유도관 또는 상기 수집부와의 삽입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rt for improving the sealing force when the insert coupling with the cover guide pipe or the collection part on the inner wall.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밀폐홈과, 상기 각 밀폐홈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을 갖는 복수의 밀폐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ling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sealing rings having elastic material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sealing grooves.
상기 유입부 및 토출부는 유니온, 닛블 또는 소켓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외부관과 연결될 수 있다.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tube by any one of a union, a nibble or a socke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유닛에 따르면,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이 클램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커버와 하우징을 맞댄 후 클램프의 링크를 걸어 조임부를 조이는 것만으로 커버와 하우징의 조립이 완성되므로 결합 및 해제가 매우 간편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is made through the clamp, the assembly of the cover and the housing is completed only by tightening the fastening part by engaging the link of the clamp after the cover and the housing. It is very easy to rele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유닛은, 스텐레스 재질로 마련되므로, 종래 FRP 재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수처리 유닛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테인레스 강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폐기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ainless steel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water treatment unit as compared to using a conventional FRP material, as well as stainless steel can be recycled, and thu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isposal. Problems can be prevented beforehand.
또한, 유입부 및 토출부와 외부관의 연결방법을 유니온, 닛블 또는 소켓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증가됨은 물론,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outer tub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union, nibble or sock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rsatility is increased, as well as easy to combine and replace.
또한, 가스킷을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게재함으로써,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밀폐성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어서, 유입부 쪽으로 가해지는 높은 수압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커버와 하우징 사이로 오폐수가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gasket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can be further strengthened, so that the high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inlet can be firmly supported, and the wast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count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유닛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처리 유닛 중 커버측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side of the water treatment unit illustrated in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유닛(1)은, 하우징(10)과, 유입부(13)와, 멤브레인모듈(20)과, 토출부(14)와, 커버(30)와, 클램프(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하우징(10)은 일측에 개구부(11)를 갖는다. The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이 경우, 개구부(11)는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단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가 하우징(10)의 양단 모두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양단 개구부(11)에 배출부(31)가 마련된 커버(30)가 고정결합되므로, 양단으로 처리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opening 11 may be formed at only one side, or may be formed at both ends. When the
배출부(31)를 하우징(10)의 양단에 모두 형성할 것인지 아니면 어느 일측에만 형성할 것인지는 처리수의 배출방향 또는 배출량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Whether the
개구부(11) 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클램프(60)와의 결합고정을 위해, 둘레를 따라 제2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On the opening 11 side, as shown in FIG. 4, the
한편, 하우징(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스텐레스 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에 의해, 종래 FRP 재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수처리 유닛(1)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테인레스 강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폐기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eight of the entire
유입부(13)는 하우징(10)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측면에는 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2개의 관이 형성되는 바, 하나는 하우징(10) 내부로 오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부(13)로 마련되며, 다른 하나는 멤브레인모듈(20)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가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14)로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side of the
유입부(13) 및 토출부(14)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바꿔서 형성될 수 있음은 ㅁ물론이다. Of course, the
상기 유입부(13) 및 토출부(14)는 유니온, 닛블 또는 소켓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외부관과 연결될 수 있다. The
이에 의해, 다양한 방식에 의해 외부관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증가됨은 물론,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since it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tube by various methods, the versatility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coupling and replacement.
멤브레인모듈(20)은 하우징(10) 내부에 결합되며, 유입부(13)로 유입된 오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21)과, 멤브레인(21)에서 필터링된 처리수가 수집되는 수집부(23)를 포함한다. The
멤브레인(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23)를 중심으로 외부를 둘러싸며 마련되며, 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는 유압에 의해 멤브레인(21)를 거치면서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처리수는 수집부(23)에 수집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수집부(2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21)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커버(30)를 향하는 측은 커넥터(50)와의 결합을 위해 멤브레인(21)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21)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커버(30)는 개구부(11)에 결합되며, 중앙 일측에 수집부(23)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31)가 형성된다. The
커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개구부(11)가 2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1)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배출부(31)는 커버(30)의 중앙 일측에서 양쪽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0) 내부를 향하는 커버(30)의 일측으로 형성된 부분은 커넥터(50)를 통해 수집부(23)와 연결되며, 하우징(10) 외부를 향하는 커버(30)의 타측에 형성된 부분은 외부관과 연결된다.
커버(3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개구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예를 들어, 하우징(1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커버(30)는 개구부(1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커버(30)의 둘레를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걸림돌기(351)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351)는 개구부(11) 측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커버(30)가 개구부(11)에 고정될 때, 제2걸림돌기(112)와 함께 링크(61)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63)에 수용된다.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가스킷(40)은 커버(30)와 개구부(11) 측 하우징(10)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커버(30)의 밀폐시 밀폐력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The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스킷(40)은 링타입으로 마련되며, 링의 둘레를 따라 양측으로 돌기(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41)에 대응하여 커버(30)의 제1걸림돌기(351)와 하우징(10)의 제2걸림돌기(112)에는 돌기수용홈(43)이 형성된다. 1 and 4, the
이에, 상기 가스킷(40)이 커버(30)와 하우징(10) 사이에 게재될 때, 가스킷(4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Thus, when the
한편, 가스킷(40)에 의해 커버(30)와 하우징(10) 사이에 밀폐성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어서, 유입부(13) 쪽으로 가해지는 높은 수압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커버(30)와 하우징(10) 사이로 오폐수가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the
커넥터(50)는 커버(30)와 멤브레인모듈(20) 사이에 마련되며, 수집부(23)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커버(30)의 배출부(31)로 유도하도록 마련된다. The
즉, 커넥터(50)는 수집부(23)에 모여진 처리수가 다시 멤브레인(21) 쪽으로 유출됨이 없이 배출부(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That is, the
커넥터(5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커넥터(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는 배출부(31)에 형성된 커버유도관(33)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수집부(2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이 경우, 커넥터(50)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에는 내측벽에 커버유도관(33) 또는 수집부(23)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즉, 커넥터(50)와 커버(30)의 결합부위 또는 커넥터(50)와 수집부(23)와의 결합부위에는 제조공차 또는 사용에 따른 마모나, 유압에 의해 틈새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부(51)를 통하여 각 결합부위를 견고하게 밀폐시키는 것이다. That is, the coupling part of the
밀폐부(51)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밀폐홈(511)과, 각 밀폐홈(511)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을 갖는 복수의 밀폐링(5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또는, 커넥터(50)의 내측벽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locking jaws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클램프(60)는 커버(30)가 개구부(11)에 고정되어 하우징(10) 내부가 밀폐되도록 커버(30)의 단부와 개구부(11) 단부 둘레에 걸쳐 고정된다. The
클램프(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링크(61)가 힌지(62)에 의해 연결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링크(61)의 수는 제한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상기 각 링크(61)의 내부에는 제1걸림돌기(351) 및 제2걸림돌기(1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63)이 형성되어 체결시 제1걸림돌기(351) 및 제2걸림돌기(112)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Receiving
또한, 체결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링크(61a, 61c) 단부에는 회전 조임에 의하여 2개의 링크(61) 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조임부(64)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조임부(64)는 상기 링크(61) 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것 이외에, 조인 상태에서 체결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fixing and releasing the end of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유닛(1)은 커버(30)와 하우징(10)을 맞댄 다음, 클램프(60)의 링크(61)를 걸어 제1걸림돌기(351)와 제2걸림돌기(112)가 수용홈(63)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조임부(64)를 조이는 것만으로 커버(30)와 하우징(10)의 조립이 완성되므로 결합 및 해제가 매우 간편하다.
Therefore, th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유닛(1)의 조립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1 and 2, the assembly and operation of the
먼저, 하우징(10) 내부에 멤브레인모듈(20)을 삽입한 후에, 커넥터(50)를 수집부(23) 측에 삽입연결한다. First, the
다음, 가스킷(40)의 돌기(41)가 하우징(10) 측에 형성된 홈에 돌기수용홈(43)에 수용되도록 하여 가스킷(40)을 커버(30)와 하우징(10) 사이에 게재시킨다. Next, the
그리고, 커버(30)의 내측 배출부(31)를 커넥터(50)에 삽입시키면서 커버(30)가 하우징(10)의 개구부(11)에 안착되도록 한다. Then, the
마지막으로, 클램프(60)의 링크(61)를 커버(30)와 하우징(10)이 맞닿은 측에 걸어 제1걸림돌기(351)와 제2걸림돌기(112)가 링크(61) 내측의 수용홈(63)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조임부(64)를 조여 커버(30)가 하우징(10)에 고정되도록 한다. Finally, the
이후에, 하우징(10)의 유입부(13), 토출부(14) 및 커버(30)의 배출부(31)에 외부관을 연결시킨다. Thereafter, the outer tube is connected to the
이에, 유입부(13)로 오폐수를 유입하면, 유입된 오폐수는 멤브레인(21)에서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처리수는 수집부(23)에 모이고, 필터링되지 않은 오폐수는 토출부(14)로 토출된다. Accordingly, when the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수집부(23)에 수집된 처리수는 커넥터(50)를 통해 커버(30)의 배출부(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1 : 수처리 유닛
10 : 하우징 11 : 개구부
112 : 제2걸림돌기
13 : 유입부 14 : 토출부
20 : 멤브레인모듈 21 : 멤브레인
23 : 수집부 30 : 커버
31 : 배출부 351 : 제1걸림돌기
33 : 커버유도관
40 : 가스킷 41 : 돌기
43 : 돌기수용홈
50 : 커넥터 51 : 밀폐부
511 : 밀폐홈 513 : 밀폐링
60 : 클램프 61 : 링크
62 : 힌지 63 : 수용홈
64 : 조임부 1: water treatment unit
10: housing 11: opening
112: second jamming projection
13
20: membrane module 21: membrane
23: collection unit 30: cover
31: discharge part 351: first jamming projection
33: cover induction pipe
40: gasket 41: protrusion
43: projection receiving groove
50
511: sealing groove 513: sealing ring
60: clamp 61: link
62: hinge 63: receiving groove
64: tightening part
Claims (10)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서 필터링된 처리수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갖는 멤브레인모듈과;
상기 멤브레인모듈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수집부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의 단부와 상기 개구부 단부 둘레에 걸쳐 고정되는 클램프; 포함하는 수처리 유닛.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ste water into the housing;
A membrane module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membrane for filtering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a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membrane;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waste water not processed by the membran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cover coupled to the open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at one central side thereof, the discharged water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treated water;
A clamp fixed to the opening and fixed around an end of the cover and an end of the opening to seal the inside of the housing; A water treatment unit comprising.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측 하우징의 단부 및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는 2 이상의 링크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커버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마련되되, 상기 각 링크의 내부에는 상기 각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체결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링크 단부에는 회전조임에 의하여 상기 2개의 링크 단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조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Engaging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end portions of the opening-side housing and a circumference of the cover,
The clamp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links are connected by a hinge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as a whole,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links to accommodate the engaging projections, the two facing each other when fastening Two link ends are provided with a tightening part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two link ends by rotational tightening.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housing is water treat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stainless steel.
상기 하우징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결합고정되어, 수처리된 처리수가 상기 하우징의 양단으로 배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and the cover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the water treat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ed water is provided to be discharged to both ends of the housing.
상기 커버와 상기 개구부 측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의 밀폐시 밀폐력을 증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가스킷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ing-shaped gasket for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when the cover is closed at the end of the cover and the opening side of the housing.
상기 커버와 상기 멤브레인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상기 커버의 배출부로 유도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embrane module to guide 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ver.
상기 커넥터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는 상기 배출부에 형성된 커버유도관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집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or has a tubular shape,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a cover guide tube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portion.
상기 커넥터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에는 내측벽에 상기 커버유도관 또는 상기 수집부와의 삽입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sealing force when the insert coupling with the cover guide pipe or the collection portion on the inner wall.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밀폐홈과, 상기 각 밀폐홈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을 갖는 복수의 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eal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sealing rings having elastic material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sealing grooves.
상기 유입부 및 토출부는 유니온, 닛블 또는 소켓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외부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water treatment unit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outer tube by any one of the union, nibble or sock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3666A KR101288692B1 (en) | 2012-01-12 | 2012-01-12 | Water treatmen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3666A KR101288692B1 (en) | 2012-01-12 | 2012-01-12 | Water treatment uni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88692B1 true KR101288692B1 (en) | 2013-07-22 |
Family
ID=489978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3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8692B1 (en) | 2012-01-12 | 2012-01-12 | Water treatment un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88692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74317B1 (en) * | 2018-10-31 | 2019-05-02 | 케이에프엔지에스(주) | Easy operation gas filter cover of gas pipe |
| KR102308013B1 (en) * | 2020-08-11 | 2021-10-01 | 홍현진 | Water Filter |
| KR102409554B1 (en) * | 2021-10-13 | 2022-06-16 | 주식회사 한미자외선 | Running water disinfection devi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49947A (en) | 2002-07-16 | 2004-02-19 | Toray Ind Inc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060015888A (en) * | 2004-08-16 | 2006-02-21 | (주)필로스 |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JP4371412B2 (en) | 2001-11-05 | 2009-11-25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100013830A (en) * | 2008-08-01 | 2010-02-10 | (주)필로스 | Membrane module |
-
2012
- 2012-01-12 KR KR1020120003666A patent/KR1012886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371412B2 (en) | 2001-11-05 | 2009-11-25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JP2004049947A (en) | 2002-07-16 | 2004-02-19 | Toray Ind Inc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060015888A (en) * | 2004-08-16 | 2006-02-21 | (주)필로스 |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100013830A (en) * | 2008-08-01 | 2010-02-10 | (주)필로스 | Membrane modul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74317B1 (en) * | 2018-10-31 | 2019-05-02 | 케이에프엔지에스(주) | Easy operation gas filter cover of gas pipe |
| KR102308013B1 (en) * | 2020-08-11 | 2021-10-01 | 홍현진 | Water Filter |
| KR102409554B1 (en) * | 2021-10-13 | 2022-06-16 | 주식회사 한미자외선 | Running water disinf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173157B2 (en) | Filter assembly | |
| KR101076160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ter filter | |
| KR100885557B1 (en) | Assembly method of filtration member and filtration assembly | |
| JP4121456B2 (en) | Separation membrane end cap | |
| KR101288692B1 (en) | Water treatment unit | |
| EP3721963B1 (en) |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 |
| KR20070103159A (en) | Water filter, water filter assembly connector and water purifier installed | |
| KR100722332B1 (en) | Block type flat membrane module frame | |
| US20250214009A1 (en) | Filtration system with bypass and filtering configurations, and component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 |
| RU2436617C2 (en) | System of water treatment and filtering element for such system | |
| CN210186544U (en) | Composite filter element and water treatment equipment with same | |
| KR100917576B1 (en) | Water Purifier Filter System with Removable Integral Housing | |
| JP6103064B2 (en) | Cartridge holder and cartridge device | |
| KR100494595B1 (en) | Filtering device for a water purifier | |
| CN219570991U (en) | Tap and purifier | |
| CN212067989U (en) | Filter element structure | |
| KR20110007459A (en) | Assembly structure of filter mechanism for water purifier | |
| KR20180137396A (en) | Water purifying device for filter configured structure | |
| KR101902302B1 (en) | Assembly filter module embed ultrafiltration and filter device thereof | |
| CN113513645A (en) | IFAS filler interception system | |
| KR200420696Y1 (en) | Water filter | |
| KR101861614B1 (en) | Filter for a water purifier | |
| JP3820416B2 (en) | Water purifier connector | |
| KR100874931B1 (en) | Pressure-resistant hollow fiber metal membrane module and pressure vessel | |
| KR20170060637A (en) | Leak-proof structure for water purifying fil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7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