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691B1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 Google Patents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0691B1 KR101280691B1 KR1020110128174A KR20110128174A KR101280691B1 KR 101280691 B1 KR101280691 B1 KR 101280691B1 KR 1020110128174 A KR1020110128174 A KR 1020110128174A KR 20110128174 A KR20110128174 A KR 20110128174A KR 101280691 B1 KR101280691 B1 KR 101280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pickup roller
- support plate
- media
-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매체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제1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이격되며, 제2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를 포함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media storage. Media storag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the first medium; A second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a second medium; And a pickup rol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to selectively pick up the first medium or the second medium.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dia withdrawal method in a media storage box, a media processing apparatus, a financial device, and a media storage box.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Generally, a financial instrument is a device that processes a financial business desired by a customer. The financial instrument can deposit and withdraw the medium or automatically transfer the medium.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보관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nancial device includes a medi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media. One or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may be formed in the media storage box.
종래의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매체보관함의 경우, 매체의 입금 및 출입을 위한 이송 유닛이 매체 보관공간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었다. 상기 이송 유닛은, 매체를 입금하기 위한 피드롤러와 게이트 롤러, 매체의 출금을 위하여 매체의 픽업을 위한 픽업 롤러, 피드롤러 및/또는 픽업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edia storage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are formed, transfer units for depositing and inserting media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media storage spaces.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feed roller and gate roller for depositing the medium, a pickup roller for picking up the medium for withdrawal of the medium,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feed roller and / or the pickup roller.
따라서, 종래의 매체보관함의 경우, 매체 보관공간과 동일한 수의 이송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매체보관함 내부의 매체 보관공간의 사이즈가 줄어들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dia storage box,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medium storage space inside the medium storage box is reduced due to the same number of transfer units as the medium storage spa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 보관용량이 증가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며 제작 비용이 줄어드는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um storage box, a media processing apparatus, a financial device, and a method for extracting a medium from the media storage box, in which the media storage capacity is increase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일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제1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2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판에 보관된 매체가 단일의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서 픽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dia storag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the first medium; A second support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a second medium; And a pickup rol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for picking up the first medium or the second medium selectively, wherein the media stored in each of the support plates is placed on the single pick-up 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icked up by.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 출입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매체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함에는 다수의 매체가 구분되어 보관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보관공간에 보관된 각 매체는 단일의 픽업 롤러에 의해서 픽업되어 상기 매체 보관함에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ancial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media access part is formed; And a media storage box moun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media storage box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for storing a plurality of media separately, and each media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has a single pickup roller. It can be picked up by and discharged from the media storag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은, 다수의 매체가 구분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을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에 있어서, 픽업 롤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 중 어느 한 보관공간에 보관된 제1매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 중 다른 한 보관공간에 보관된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xtracting media from a media storage box, the method of ejecting media from a media storag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for allowing a plurality of media to be stored separately. Withdrawing the first medium stor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And rotating the pickup rolle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withdraw a second medium stored in another storage space among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는, 다수의 매체보관공간; 상기 다수의 매체보관공간 각각에 구비되어 매체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 및 상기 다수의 지지판과 상대 운동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지지판 각각에 지지된 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단일의 픽업 롤러를 포함한다. Medi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to support the media; And a single pickup roller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or selectively picking up the medium suppor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픽업 롤러에 의해서 제1매체 또는 제2매체의 픽업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픽업 롤러가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매체보관함 내의 매체 보관용량이 증가되고, 상기 매체보관함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ick up the first medium or the second medium by a single pick-up roller, so that an additional pickup roller becomes unnecessary and the medium storage capacity in the medium storage is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ification.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매체가 출금되고,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2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di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posited.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irst medium is withdrawn and a second medium is deposi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and 7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second medium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nancial device that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including checks), giro, coins, gift certificates, etc. and processes and / or withdraws such as deposits, Such as processing such as issuance of paper money, release of paper money, release of gift certificate,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financial instruments inclu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machine, and the lik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 devices for automating the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financial automatic instrument. However, this assumption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가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부(13)와,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20)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financial instru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he media input /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nancial device 1, it may further include a bankbook entry and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보관함(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di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매체보관함(20)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20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상기 하우징(200)은 제1매체의 입출을 위한 제1통로(201)와, 제2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2통로(202)와, 상기 제2매체의 출금을 위한 제3통로(2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매체는 상기 제1통로(201)를 통하여 인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매체는 상기 제2통로(202)를 통하여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제3통로(20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제1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판(2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매체보관함(20)에는 매체가 보관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에는 각각 동종의 매체가 보관되거나 타종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에는 서로 다른 상태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매체 보관공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감별부에서 정상 상태로 판별된 매체가 보관될 수 있고, 제2매체 보관공간에는 상기 감별부에서 비정상 상태로 판별된 매체나 고객의 미수취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보관공간에 보관되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 may be stored in the same type of media or other types of media, respectively.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may store media in different states. For example, in the first medium storage space, a medium identified as a normal state can be stored in a not-shown discriminating portion, and in the second medium storage space, a medium identified as an abnormal state by the discrimination portion, Can be sto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lear that the type and state of the media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are not limited.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기 제1지지판(211)의 상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은 상하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이 좌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통로(201)의 상방에 제3통로(203)가 위치되고, 상기 제3통로(203)의 상방에 상기 제2통로(20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통로(201)와 상기 제2통로(202) 사이에 상기 제2통로(20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은 독립적인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매체보관함(20)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제1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1피드 롤러(221: feed roller) 및 제1게이트 롤러(gate roller: 225)와, 보관된 제1매체 또는 제2매체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pick-up roller: 22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는 상기 제1피드 롤러(2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드 롤러(22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피드 롤러(221)와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의 회전 방식은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상기 픽업 롤러(222)와 상기 제1피드 롤러(221)는 벨트(22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픽업 롤러(222)와 상기 제1피드 롤러(221)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The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제1매체 또는 제2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롤러(222)는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제2지지판(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의 회전축에는 제1매체가 하방으로(제1지지판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상기 제1매체를 타격하는 분리롤러(226)가 연결될 수 있다. A
또한,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제2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2피드 롤러(227) 및 제2게이트 롤러(228)와, 상기 제1피드 롤러(221)와 함께 상기 제2매체의 출금을 위한 이송 롤러(229)와, 상기 제2매체의 출금 시 상기 제2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시적으로 상기 제2피드 롤러(227)는 상기 제1피드 롤러(2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거나, 상기 제1피드 롤러(221)의 구동부와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8)는 상기 제2피드 롤러(22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피드롤러(227)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입금되는 제2매체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가압판(213)은 상기 제2지지판(212)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판(213)은 상기 제2매체의 출금 시 상기 제2지지판(212)에 보관된 제2매체를 상기 픽업 롤러(223)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판(213)은 상기 제2지지판(212)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피드롤러(221)의 제1회전축(241)과,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제2회전축(242)은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프레임(frame: 205)을 관통한다. 상기 프레임(205)에는 상기 제1회전축(241)이 관통하기 위한 제1홀(207)과, 상기 제2회전축(242)이 관통하기 위한 제2홀(208)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a first
상기 프레임(205)을 관통한 상기 제1회전축(241) 및 상기 제2회전축(242)은 연결판(2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5)을 기준으로 일측(도 3에서는 좌측)에 제1피드롤러(221) 및 픽업 롤러(222)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연결판(230)이 배치된다. The first
상기 연결판(230)에는 연결핀(23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핀(232)은 상기 제2회전축(242)과 이격된다. 상기 연결핀(232)은 상기 프레임(232)의 핀 홀(206)을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232)을 관통한 상기 연결핀(232)에는 체결판(234)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232)에는 탄성부재(250)가 연결된다. The connecting
상기 연결판(230)은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홀(208) 및 상기 핀 홀(206)은 상기 제2회전축(242) 및 상기 연결핀(23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상기 탄성부재(250)의 일단은 상기 연결핀(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핀(232)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20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일 예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제2매체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픽업 롤러(222)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도 2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50)는 인장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250)는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23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In order to withdraw the second medium, the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연결핀(232)에 직접 탄성력을 제공하나, 상기 탄성력은 상기 연결판(230)에도 전달되므로,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연결판(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The
다른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25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연결핀(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핀(23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205)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250)가 상기 연결판(2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50)의 종류 및 연결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매체보관함(20)은 상기 연결판(2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일 례로 솔레노이드(260)일 수 있다. 상기 연결판(23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60)에 구비된 고정부(262)가 관통하기 위한 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출금되는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ocess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the first and second media.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positing a first medium and a second medium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4에는 제1매체 및 제2매체가 동시에 상기 매체보관함에 입금되는 것이 도시되나, 제1매체 및 제2매체 중 어느 하나가 입금된 후에 다른 하나가 입금되는 것도 가능하다. 4 shows that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are simultaneously deposited in the media storage box, but it is also possible for another one to be deposited after one of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is deposited.
도 4를 참조하면, 제1매체(M1)는 상기 제1통로(20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1매체(M1)는 상기 제1피드롤러(221)와,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판(211)의 상측으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제1피드 롤러(221)는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입금되는 제1매체의 개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1지지판(211)은 하강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a first medium M1 is introduced into the
제2매체(M2)는 상기 제2통로(20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2매체(M2)는 상기 제2피드롤러(227)와 상기 제2게이트 롤러(228)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판(212)으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제2피드 롤러(221)는 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게이트 롤러(2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입금되는 제2매체의 개수가 증가되면 상기 제2지지판(212)은 하강하게 된다. And the second medium M2 is drawn into the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매체가 출금되고,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first medium is withdrawn and a second medium is deposited.
도 5에는 제1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에서 제2매체가 입금되는 것이 도시되나, 제1매체의 출금 및 제2매체의 입금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다른 하나가 나중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서 제2매체가 입금되는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5 shows that the second medium is deposited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first medium, but one of the withdrawal of the first medium and the deposit of the second medium may be performed and the other may be performed later.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second medium in FIG. 5 is the same as described in FIG. 4 and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보관된 제1매체(M1)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기 제1지지판(211)에 놓인 제1매체(M1)가 상기 픽업 롤러(222)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한다. 그 다음,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판(211)에 놓인 제1매체(M1)는 한 장씩 픽업되고, 픽업된 제1매체(M1)는 상기 제1통로(20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픽업 롤러(222) 및 상기 제1피드 롤러(221)는 시계 방향(제1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매체가 출금될 때, 상기 제2회전축(242)은 상기 제1회전축(241) 보다 낮게 위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2매체가 출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6 and 7 illustrate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second medium of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매체(M2)를 출금하기 위해서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이동된다. 도 6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상승한다.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1지지판(211)의 지속적인 상승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기 픽업 롤러(222)를 들어올린다. 이 때, 상기 제1지지판(211)에 제1매체(M1)가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1지지판(211)에 제1매체가 놓인 경우에는 상기 제1매체(M1)가 상기 픽업 롤러(222)와 접촉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6,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상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픽업 롤러(222)와 연결된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6과 같이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제2회전축(242)은 상기 제1회전축(241)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므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각 지지판과 상대 운동 가능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When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정지 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픽업 롤러(222), 제2회전축(242), 연결판(23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정지 위치까지 상기 픽업 롤러(222)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고정기구가 상기 연결판(2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260)의 고정부(262)가 상기 연결판(230)을 관통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가 고정된다. When the
그 다음, 상기 제1지지판(211)은 상기 픽업 롤러(222)에서 이격되기 위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판(211)이 상기 픽업 롤러(222)에서 이격되는 이유는 상기 제2매체를 상기 픽업 롤러(222)가 픽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판(211)과 상기 픽업 롤러(222)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함이다. Next, the
그 다음,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 6에서는 상기 제2지지판(212)이 상기 픽업 롤러(222)를 향하여 하강한다. Next, the
상기 제2지지판(212)에는 상기 픽업 롤러(222)가 관통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상기 픽업 롤러(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판(212)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매체(M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2매체(M2)의 픽업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이 때,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제2매체(M2)를 원활히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판(213)이 하강하여 상기 제2매체(M2)를 상기 픽업 롤러(222) 측으로 가압한다.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상기 제2매체(M2)가 한 장씩 픽업되고, 픽업된 제2매체(M2)는 상기 제3통로(20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Finally, the second medium M2 is picked up one by one by the
이 때, 상기 픽업 롤러(222) 및 상기 제1피드 롤러(221)는 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송 롤러(22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제2매체의 픽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연결판(230)의 위치 고정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픽업 롤러(222)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픽업 롤러(222)의 제2회전축(242)이 상기 제1지지판(21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ick-up operation of the second medium is completed, the position fixing of the connecting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픽업 롤러(222)에 의해서 제1매체 또는 제2매체의 픽업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픽업 롤러(222)가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매체보관함 내의 매체 보관용량이 증가되고, 상기 매체보관함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single pick-up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피드 롤러(221)의 직경 보다 상기 픽업 롤러(222)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제1매체(M1)의 픽업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제2회전축(242)이 상기 제1회전축(241) 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 롤러(222)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매체(M2)를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롤러(222)를 들어올리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ameter of the
그러나, 상기 픽업 롤러(222)의 직경을 상기 제1피드 롤러(221)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픽업 롤러(222)를 들어올리지 않고 상기 제2매체(M2)의 픽업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픽업 롤러(222)의 증기 증가에 따라 상기 매체보관함의 내의 매체 보관용량은 줄어들 수 있다. 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 및 상기 제2회전축(242)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회전축(242)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픽업 롤러(222)가 상기 제1피드 롤러(221)와 벨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판(230)이 상기 제1회전축(24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다른 예로서, 상기 각 지지판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가 설치된 연결판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각 지지판에 지지된 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판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픽업 롤러가 제2지지판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제2지지판에 지지된 매체를 픽업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ing plates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late on which the pickup rollers are installed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ickup rollers may selectively pick up the medium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s. For example, the pickup roller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plate may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late to pick up the medium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lat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매체보관함의 구성 중, 적어도 다수의 매체보관공간, 다수의 지지판 및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매체처리장치로 이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a storage box, a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a pickup roller may be referred to as a media processing apparatu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매체 보관함 211: 제1지지판
212; 제2지지판 220: 픽업 롤러20: media storage box 211: first support plate
212; Second support plate 220: pickup roller
Claims (18)
상기 제1지지판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2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판에 보관된 매체가 단일의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서 픽업되는 매체보관함. A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a first medium;
A second support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support plate for storing a second medium; And
A pickup rol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for picking up the first medium or the second medium selectively;
Storage medium in which the media stored in each support plate is picked up by a single said pickup roller.
상기 제1매체의 입출을 위한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2매체의 인입을 위한 제2통로와,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매체의 인출을 위한 제3통로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assag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first medium,
A second passage located above the first passage, for introducing the second medium;
And a third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the third passage for drawing out the second medium.
상기 제1지지판은 상기 픽업 롤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픽업 롤러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판에는 상기 픽업 롤러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plate is disposed below the pickup roller,
The second support plate is disposed above the pickup roller,
The second storage plate is a medium storage container for forming a hole for the pickup roller to pass through.
상기 제2매체의 픽업을 위하여 상기 제2지지판에 놓인 상기 제2매체를 상기 픽업 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the second medium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to the pickup roller side for pickup of the second medium.
상기 픽업 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판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지지판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연결판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ickup roller;
And a resilient member for providing the connecting plate with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rotating shaft toward the first support plate.
상기 제2매체의 출금 시, 상기 제1지지판이 상기 픽업 롤러 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연결판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연결판이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기구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medium, the first support plate provides a pressing force toward the pickup roller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mov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Storage medium is fixed to the position by the fixing mechanism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plate is moved.
상기 제1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1피드 롤러와,
상기 제2매체의 입금을 위한 제2피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eed roller for depositing the first medium,
Storage medium further comprises a second feed roller for depositing the second medium.
상기 제2매체의 출금 시, 상기 제1피드 롤러는 상기 픽업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매체의 출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8,
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second medium, the first feed roller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ckup roller to the medium storage to enable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medium.
상기 제1매체의 출금 시 상기 픽업 롤러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매체의 출금 시 상기 픽업 롤러는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매체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withdrawal of the first medium, the pickup roller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medium, the pickup roller is to be stored in the medium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매체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함에는 다수의 매체가 구분되어 보관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보관공간에 보관된 각 매체는 단일의 픽업 롤러에 의해서 픽업되어 상기 매체 보관함에서 배출될 수 있는 금융기기. A main body in which the media entrance is formed; And
A media storage box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media storage box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media are divided,
And each medium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may be picked up by a single pickup roller and discharged from the medium storage box.
상기 매체보관함에는 다수의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다수의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dia storage box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he pickup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픽업 롤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 중 어느 한 보관공간에 보관된 제1매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매체 보관공간 중 다른 한 보관공간에 보관된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In the media withdrawal method in a media storag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 for allowing a plurality of media to be stored separately,
Rotating the pickup roller in a first direction to withdraw the first medium stor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And
Rotating the pick-up rolle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withdraw a second medium stored in another storage space among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상기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판을 이용하여 상기 픽업 롤러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판을 상기 픽업 롤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지지판에 놓인 상기 제2매체를 상기 픽업 롤러가 픽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awing of the second medium may include:
Moving the pickup roller by using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first medium;
Moving a second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second medium to the pickup roller side; And
And the pickup roller picking up the second medium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상기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지지판이 상기 픽업 롤러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1지지판이 상기 픽업 롤러에서 이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awing of the second medium may include:
And after the first support plate moves the pickup roller, the first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pickup roller.
상기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픽업 롤러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awing of the second medium may include:
And fixing the moved position of the pick-up roller.
상기 제2매체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픽업 롤러 측으로 이동된 상기 제2지지판에 놓인 제2매체를 가압판을 이용하여 상기 픽업 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awing of the second medium may include:
And pressing the second medium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late moved to the pickup roller side to the pickup roller side using a pressure plate.
상기 다수의 매체보관공간 각각에 구비되어 매체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 및
상기 다수의 지지판과 상대 운동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지지판 각각에 지지된 매체를 선택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단일의 픽업 롤러를 포함하는 매체처리장치.
A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a storage spaces to support the media; And
And a single pickup roller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said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for selectively picking up media supported on each of said plurality of support plates.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28174A KR101280691B1 (en) | 2011-12-02 | 2011-12-02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
| US13/687,668 US9346639B2 (en) | 2011-12-02 | 2012-11-28 |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EP12194986.1A EP2600322B1 (en) | 2011-12-02 | 2012-11-30 | Medium storage box |
| JP2012264368A JP5502182B2 (en) | 2011-12-02 | 2012-12-03 | Medium storage box,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equipment |
| CN201210510152.7A CN103136850B (en) | 2011-12-02 | 2012-12-03 | Medium storage box, medium operating control and finan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28174A KR101280691B1 (en) | 2011-12-02 | 2011-12-02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61879A KR20130061879A (en) | 2013-06-12 |
| KR101280691B1 true KR101280691B1 (en) | 2013-07-05 |
Family
ID=488597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28174A Active KR101280691B1 (en) | 2011-12-02 | 2011-12-02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806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71437B1 (en) * | 2016-05-17 | 2018-06-26 |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 Media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US10233049B2 (en) | 2016-05-17 | 2019-03-19 | Lg Cns Co., Ltd | Finan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32988B1 (en) | 1991-06-06 | 1999-12-01 | 사와무라 시코 | Bill automatic payment device |
| KR100960666B1 (en) | 2006-12-15 | 2010-06-07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Paper storage and paper handling equipment |
| KR20110012910A (en) * | 2009-07-31 | 2011-02-09 | 엘지엔시스(주) | Media accumulation device and its media accumulation method |
| KR101046045B1 (en) | 2009-08-13 | 2011-07-01 | 엘지엔시스(주) | Media integration device of media dispenser |
-
2011
- 2011-12-02 KR KR1020110128174A patent/KR1012806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32988B1 (en) | 1991-06-06 | 1999-12-01 | 사와무라 시코 | Bill automatic payment device |
| KR100960666B1 (en) | 2006-12-15 | 2010-06-07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Paper storage and paper handling equipment |
| KR20110012910A (en) * | 2009-07-31 | 2011-02-09 | 엘지엔시스(주) | Media accumulation device and its media accumulation method |
| KR101046045B1 (en) | 2009-08-13 | 2011-07-01 | 엘지엔시스(주) | Media integration device of media dispens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61879A (en) | 2013-06-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346639B2 (en) |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432927B1 (en) | Medium pick-up apparatus,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830770B1 (en) | A cassette for various kinds of banknotes having a movable bill stopper and the stacking method thereof | |
| EP3101632B1 (en) |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 |
| KR101250693B1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 KR20170112341A (en) |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with variable stopper | |
| JP6051060B2 (en) | Banknote handling equipment | |
| KR101280691B1 (en)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medium dispensing at a medium cassette | |
| KR101016245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1775779B1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385411B1 (en)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426589B1 (en)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099900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1077317B1 (en) | Reject box for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101892478B1 (en) | Financial device,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 |
| KR101942545B1 (en)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468290B1 (en) |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761478B1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699633B1 (en) |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
| KR102004729B1 (en) | Financial Device | |
| KR101751645B1 (en) |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815385B1 (en) | Medium stacking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KR101799393B1 (en) |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 KR101618960B1 (en) |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 KR101550129B1 (en) |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6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