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183B1 -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1183B1 KR101281183B1 KR20060106946A KR20060106946A KR101281183B1 KR 101281183 B1 KR101281183 B1 KR 101281183B1 KR 20060106946 A KR20060106946 A KR 20060106946A KR 20060106946 A KR20060106946 A KR 20060106946A KR 101281183 B1 KR101281183 B1 KR 101281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dsl
- module
- booting
- bo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폰 바이오스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들을 다수개의 DSL(Dynamic system library) 모듈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비 휘발성메모리인 제1 저장매체와; 상기 제1 저장매체로부터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로딩시키는 휘발성메모리인 제2 저장매체와; 상기 제2 저장매체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이 로딩되도록 제어하고 부팅 후 그 로딩된 폰바이오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시키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a first storage medium configured to store and store phone BIOS data and application programs in a plurality of DSL modules; A second storage medium which is a volatile memory for loading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a platform at boot time from the first storage medium;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load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platform operation when booting to the second storage medium and to execute the application function of the platform by using the loaded phone bios data after booting Provides a terminal equipment having a lazy load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팅 시에 단말장비의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로딩시키므로 써, 단말장비의 부팅 시 구동에 필요한 부팅데이터만을 활용하므로 그에 따라 플랫폼의 초기구동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loads only the minimum DSL module necessary for driving the platform of the terminal device during booting, thereby utilizing only boot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terminal device during booting,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initial startup time of the platform. Have
플랫폼, 레이지, 부팅, 폰바이오스, 라이브러리, DSL Platform, lazy, boot, ponbios, library, DSL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단말장비의 부팅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booting function of a conventional terminal equipment.
도 2는 본 발명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장비를 설명하는 설명도. Figure 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3 is a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상세한 설명> <Detailed Description of Codes>
1 : 단말장비 2 : 제1 저장매체1: terminal equipment 2: first storage medium
3 : 제2 저장매체 4 : 주제어부3: second storage medium 4 main controller
5 : 무선접속망시스템 6 : 무선모듈부5: Wireless access network system 6: Wireless module
7 : 디스플레이 8 : 송수화폰7: display 8: handset
9 : 코덱부 10: 키패널부9: Codec section 10: Key panel section
11: 단말장비 11: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부트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 및 그 제어방법 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장비의 폰 바이오스 데이터들을 다수개의 DSL모듈로 구성하고 부팅 시에 단말장비의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과 라이브러리만을 로딩시키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부트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 및 그 제어방법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a phone bios data of the terminal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SL modules and is required for driving the platform of the terminal device at boot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for loading only a minimum DSL module and a librar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이동중인 사람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장비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주고받는 통신기능을 무선데이터 통신이라고 말하는데, 이러한 무선데이터 통신은 예컨대, 셀룰러폰, 휴대용 컴퓨터, 팩시밀리, 신용카드 조회기 등 각종 단말장비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 양방향으로 자료를 교환하거나 검색하는 이동 통신체계이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such as letters, numbers, and images wirelessly through a base station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uc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cellular. It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xchanges or retrieves data in both directions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phones, portable computers, fax machines, and credit card checkers.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체계 중 단말장비에는 내장된 메모리를 관리하는 운영체제가 단말장비를 제조한 제조사(OEM) 영역이 있고, 반면에 그러한 단말장비의 통신망을 운용하는 망운용사업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 단말장비는 시스템이 구동될 경우 예컨대, 제조사나 WIPI플랫폼을 초기에 구동시키위한 부팅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부팅과정에는 플랫폼의 운영체제가 포함된 일명 임베디드 시스템 형태의 폰 바이오스 데이터를 휘발성메모리에 복사하여 로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However, amo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equipment has a manufacturer (OEM) area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for managing internal memory is manufactured by the operating system that manages the built-in memory, while managed by a network operator opera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such terminal equipment. There exists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area.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rminal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must perform a booting process for initially driving the manufacturer or the WIPI platform when the system is running. Such a booting process includes a platform of a so-called embedded system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of the platform. The process of copying and loading the BIOS data into the volatile memory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 내장하여 특수한 기능만을 가지도록 만든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와는 달리 특정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미리 정의된 작업(task)만을 수행한다. 예컨대, PC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에 운영체제를 내장하고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OS와 응용프로그램들이 ROM(Flash)에 이미지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부팅과 동시에 RAM Disk를 만든 후, RAM 디스크 상에 OS와 응용프로그램들이 구성되고 구동되는 시스템입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의 예로는 PS2, X-Box 등의 게임기, PDA, 휴대폰 등이 있습니다.Here, the embedded system as described above refers to a system made to have only special functions by embedding software in hardware. Unlike a personal computer, such an embedded system has specific requirements and performs only predefined tasks. For example, a PC has an operating system embedded in a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but in an embedded system, the OS and applications are stored in an image form in a ROM (Flash), and a RAM disk is created at the time of booting. It is a system where the OS and applications are configured and run. Examples of embedded systems include game consoles such as PS2 and X-Box, PDAs, and mobile phones.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플랫폼 로딩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70)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플랫폼 운용을 위한 폰바이오스 데이터가 임베디드형태로 저장된 비 휘발성메모리인 ROM(71)과; Then, referring to the
상기 ROM(71)으로부터 복사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내부에서 처리된 임시데이터들을 저장하는 RAM(72)과;A
상기 RAM(72)에 복사된 폰바이오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 예컨대, 제조사나 WIPI 플랫폼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어부(73)를 포함한다. And a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임베드타입의 플랫폼 데이터를 갖는 단말장비의 부팅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장비(70)의 제어부(73)는 단말장비 사용자가 키패드(74)의 시작버튼을 눌러 시스템을 온시킬경우 맨 처음 단말장비(70)를 부팅시키 게 된다. 즉, 상기 단말장비(70)의 ROM(71)에 폰 바이오스 데이터 예컨대, OS와 응용프로그램들이 이미지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부팅과 동시에 RAM(72)에 로딩되어 RAM Disk를 만든 후, RAM 디스크 상에서 OS와 응용프로그램 예컨대, 제조사 어플리케이션이나 WIPI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팅과정이 성공할 경우 단말장비(70)의 제어부(73)는 단말장비 사용자가 설정해주는 다른 기능을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boot operation of the terminal equipment having the conventional embedded type platform data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임베드타입의 플랫폼방식의 단말장비는 부팅 시 폰 바이오스의 모든 라이브러리(implicit call)까지 로딩하느라 어플리케이션의 로딩시간이 매우 길어져 단말장비 사용자에게 부팅하는 동안 매우 지루해하고 불편하게 하므로 그에 따라 단말장비의 사용편의성을 저하시켰으며, 또한, 부팅 시 지금 당장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라이브러리까지 모두 로딩하여 메모리공간을 차지하게 하므로 그에 따라 메모리 공간의 활용성 측면에서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terminal device of the conventional embedded type platform type as described above is very tedious and inconvenient during booting to the terminal device user because the loading time of the application is very long to load up to all libraries (implicit call) of the phone BIOS at boot time. Accordingly, the ease of use of the terminal equipment has been reduced, and also, since all libraries that do not need to be used right now at boot time are occupied by the memory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emory space is considerably reduc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단말장비의 부팅 시 구동에 필요한 부팅데이터만을 활용하므로 그에 따라 플랫폼의 초기구동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키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부트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oot rage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itial operating time of the platform according to utilizing only the boot data required for driving the terminal equipment boot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폰바이오스 데이터들 중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과 라이브러리만을 로딩시키기 때문에 종래 부팅 시에 비해 메모리 공간의 여유가 확보되므로 그에 따라 단말장비에 구비된 메모리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부트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ad only the minimum DSL module and library required for the platform running of the phone bios data, so that the space of the memory space is secur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ooting, accordingly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emory provided in the terminal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폰 바이오스 데이터와 응용프로그램들을 다수개의 DSL(Dynamic system library) 모듈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비 휘발성메모리인 제1 저장매체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storage medium which i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the phone BIOS data and application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SL (Dynamic system library) module;
상기 제1 저장매체로부터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을 로딩시키는 휘발성메모리인 제2 저장매체와;A second storage medium which is a volatile memory for loading a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a platform at boot time from the first storage medium;
상기 제2 저장매체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이 로딩되도록 제어하고 부팅 후 그 로딩된 폰바이오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시키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를 제공한다. Controlling to load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platform operation when booting to the second storage medium, and after booting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to execute the application function of the platform using the loaded phone bios data It provides a terminal equipment with a lazy load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단말장비에서 시스템이 온 되였을 경우 단말장비의 롬에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확보하는 시스템 부팅 준비단계와;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booting preparation step of securing a minimum DSL module necessary for driving a platform when booting from a ROM of a terminal device when the system is turned on in a terminal device;
상기 시스템 부팅 준비단계후에 단말장비의 롬에서 확보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을 램에 로딩시켜 단말장비의 부팅을 실행하는 부트 레이지로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모듈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fter the system boot preparation step, the lazy loading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including a boot lazy loading step of booting the terminal equipment by loading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platform operation at the time of booting secured from the ROM of the terminal equipment.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having a loading func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 바이오스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들을 다수개의 DSL(Dynamic system library) 모듈로 구성하고 부팅 시에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을 메모리 장치에 로딩시키고 그 부팅된 후에 로딩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장비(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hone bios data and application program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ynamic system library (DSL) modules, and a minimum DSL module necessary for driving a platform at boot time is loaded into a memory device and then booted. It comprises a terminal equipment (1) for executing a function set by the user by utilizing the application of the loaded platform.
여기서, 상기 단말장비(1)에는 무선모듈이 구비된 PDA, 무선모듈이 구비된 노트북, 무선모듈이 구비된 PC 및 휴대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DSL모듈은 다수개의 라이브러리들이 모인 모듈을 말한다.Here, the terminal equipment (1) includes a PDA with a wireless module, a laptop with a wireless module, a PC with a wireless module and a mobile phone. Also, the DSL module refers to 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libraries are collected.
그리고, 상기 단말장비(1)에는 폰 바이오스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들을 다수개의 DSL(Dynamic system library) 모듈로 구성하여 저장되는 비 휘발성메모리(ROM)인 제1 저장매체(2: 이하 ROM이라 함)와; In addition, the
상기 ROM(2)으로부터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로딩시키고 단말장비 내부에서 처리된 임시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휘발성메모리(RAM)인 제2 저장매체(3: 이하 RAM이라 함)와;A second storage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M), which is a volatile memory (RAM), which loads only the minimum DSL module necessary for driving the platform at boot time from the ROM 2 and stores temporary data processed in the terminal equipment;
상기 RAM(3)으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이 로딩되도록 제어하고 부팅 후 그 로딩된 폰바이오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 예컨대, 제조사나 WIPI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시키는 주제어부(4)와;The main control unit 4 controls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the platform to be loaded when the
주제어부(4)의 전송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접속망시스템(5)를 경유하여 단말장비(1)로 송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가 포함된 무선 호신호(멀티미디어신호 포함)를 처리하는 무선모듈부(6)와; A wireless module unit for processing a wireless call signal (including a multimedia signal) including video and audio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주제어부(4)의 표시기능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장비(1)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와; A display 7 which displays various data processed by the
주제어부(4)의 호연결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화폰(8)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9)와; A codec unit 9 for converting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handset phone 8 into a digital signal or converting a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4;
주제어부(4)의 일단에 연결되어 주제어부(4)로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널부(10)를 포함한다.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control unit 4 includes a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abov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온상태 확인단계(S1)로 진행하여 단말장비가 현재 시스템이 온 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시스템 온상태 확인단계(S1)중에 확인한 결과 단말장비에서 시스템이 온 되지 않을 경우 종료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시스템 온상태 확인단계(S1)중에 확인한 결과 단말장비에서 시스템이 온 되였을 경우 시스템 부팅 준비단계(S2)로 진행하여 단말장비의 ROM에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확보한다. 그리고, 시스템 부팅 준비단계(S2)후에 부트 레이지로딩단계(S3)로 진행하여 단말장비의 롬에서 확보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RAM에 로딩시켜 단말장비의 부팅을 실행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the system on state checking step S1 as shown in FIG. 3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equipment is currently on. At this time, as a result of checking during the system on state checking step (S1), if the system is not turned on in the terminal equipmen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nd step. However, when the system is turned on in the terminal equipmen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ystem on state (S1), the system proceeds to the system boot preparation stage (S2) to secure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platform operation when booting from the ROM of the terminal equipment. . Then, after the system boot preparation step (S2) proceeds to the boot lazy loading step (S3) to boot the terminal equipment by loading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the platform during booting secured from the ROM of the terminal equipment.
또한, 상기 부트 레이지로딩단계(S3)후에 기능실행단계(S4)로 진행하여 단말장비가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In addition, after the boot lazy loading step (S3) to proceed to the function execution step (S4) and the terminal device to run the application of the platform to execute the function specified by the user.
즉, 본 발명의 단말장비(1)는 사용자가 단말장비를 켜기 위해 키패널부(10)의 시작버튼을 누를 경우 주제어부(4)가 이를 인식하여 부팅기능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제어부(4)는 ROM(2)에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확보한다. 그리고 주제어부(4)는 단말장비의 ROM(2)에서 확보한 부팅 시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RAM(2)에 로딩시켜 단말장비(1)의 부팅을 실행한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을 거쳐 단말장비(1)가 부팅될 경우 부팅 시 불필요하게 라이브러리를 불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로딩시간이나 짧아지고, 메모리공간도 더 활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단말장비(1)가 부팅되어 시스템이 온 될 경우 단말장비(1)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장비(1)의 주제어부(4)는 사용자가 키패널부(10)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고 통화버튼을 누를 경우 이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무선모듈부(6)를 통해 액세스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접속망시스템(5)으로 시스템접속을 실행한 다음 해당 전화번호로 발신호신호를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면, 무선접속망시스템(5)는 단말장비(1)로부터 송출된 발신호를 인증한 다음 그 발신호에 포함된 라우팅정보를 분리처리하고 상대방 단말기(11)로 착신 호를 전송하여 호를 형성시킨다. Then, the wireless access network system 5 authenticates the outgo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이때, 단말장비(1)의 사용자가 송수화폰(8)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주면 단말장비(1)의 코덱부(9)는 송수화폰(12)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무선모듈부(6)로 입력한다. 그리고, 단말장비(1)의 주제어부(4)의 기능제어를 받는 무선모듈부(6)는 코덱부(9)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선 처리하여 무선접속망시스템(5)을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11)로 전송하므로 통상의 통화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of the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장비의 폰 바이오스 데이터들을 다수개의 DSL(Dynamic system library) 모듈로 구성하고 부팅 시에 단말장비의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로딩시키므로 써, 단말장비의 부팅 시 구동에 필요한 부팅데이터만을 활용하므로 그에 따라 플랫폼의 초기구동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phone BIOS data of the terminal equipment into a plurality of DSL (Dynamic system library) modules and loads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the platform of the terminal equipment at boot time, thereby booting the terminal equipment. Since only the boot data needed to start up is used, the initial startup time of the platform is considerably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폰바이오스 데이터들 중 플랫폼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DSL 모듈만을 로딩시키기 때문에 종래 부팅 시에 비해 메모리공간의 여유가 확보되므로 그에 따라 단말장비에 구비된 메모리의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minimum DSL module required for driving the platform among the phone bios data is loaded, the memory space is secur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ooting,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emory provided in the terminal equipment. There is also an effec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60106946A KR101281183B1 (en) | 2006-10-31 | 2006-10-31 |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PCT/KR2007/005425 WO2008054134A1 (en) | 2006-10-31 | 2007-10-31 | Terminal having boot lazy loading function for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60106946A KR101281183B1 (en) | 2006-10-31 | 2006-10-31 |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39154A KR20080039154A (en) | 2008-05-07 |
| KR101281183B1 true KR101281183B1 (en) | 2013-07-02 |
Family
ID=393444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60106946A Active KR101281183B1 (en) | 2006-10-31 | 2006-10-31 |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81183B1 (en) |
| WO (1) | WO200805413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24647B1 (en) * | 2008-08-07 | 2009-11-02 | 주식회사 케이티 | Mobile platform runtime dynamic linking libra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KR101034697B1 (en) * | 2008-08-07 | 2011-05-16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ynamic loading of mobile platform module |
| US9886282B2 (en) | 2010-10-25 | 2018-02-06 | Bally Gaming, Inc. | Computer BIOS protection and authentication |
| DK3703390T3 (en) | 2019-02-27 | 2024-02-05 | Sonova Ag | DISTRIBUTION OF SOFTWARE BETWEEN HEARING DEVICE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055631A (en) * | 1997-12-18 | 2000-04-25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 KR20040042271A (en) * | 2002-11-13 | 200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boo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44211A (en)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How to Boot a Portable Terminal |
| KR20060081461A (en) * | 2005-01-07 | 2006-07-13 | 주식회사 팬택 | How to boot a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093116B2 (en) * | 2003-04-28 | 2006-08-15 | Intel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to operate in multiple phases of a basic input/output system (BIOS) |
-
2006
- 2006-10-31 KR KR20060106946A patent/KR101281183B1/en active Active
-
2007
- 2007-10-31 WO PCT/KR2007/005425 patent/WO20080541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055631A (en) * | 1997-12-18 | 2000-04-25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 KR20040042271A (en) * | 2002-11-13 | 200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boo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44211A (en)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How to Boot a Portable Terminal |
| KR20060081461A (en) * | 2005-01-07 | 2006-07-13 | 주식회사 팬택 | How to boot a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39154A (en) | 2008-05-07 |
| WO2008054134A1 (en) | 2008-05-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54534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startup method for the same | |
| US7925634B2 (en) | Data recovery method and system of mobile device | |
| KR20120109800A (en) | Data update method based on a firmware on the ai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CN107168818B (en) | Terminal and machine-refreshing failure recovery method | |
| US2003015613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a mobile device | |
| KR101281183B1 (en) | terminal system having a boot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CN105468410A (en) | System upgrading method and device | |
| US200800722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software in portable terminal | |
| KR100678023B1 (en) | How to reduce booting tim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WO2004102932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suspension method | |
| CN103731468A (en) |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hands-free communication protocol control | |
| KR101182534B1 (en) | terminal having a mutual calling function an API in the platform library, DSL module generating method and mutual API calling method | |
| KR20070094167A (en) | Multi-operating system driving device and method using memory in mobile terminal | |
| KR20090034140A (en) | A portable terminal and a boot control method having a memory having a plurality of ports | |
| US20060282658A1 (en) | Boot systems an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 |
| JPWO2006035658A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execution environment softwar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KR101200236B1 (en) | terminal having a lazy loading func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KR101273914B1 (en) | terminal having a platform library dynamic lin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KR20040013356A (en) | Portable terminal using a mobile phone as a peripheral device | |
| JP5820624B2 (en) | Wireless controller and wireless control method | |
| KR20090011150A (en) | Application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therein | |
| CN113805705A (en) | Terminal shortcut key operation method and device | |
| JP5812504B2 (en) | Thin client terminal system | |
| CA2759741A1 (en) | Multi-plane activation side key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101196742B1 (en) | Method for hierarchical user interface using multi demensional graphi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