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167B1 - Coal sepa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oal separ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5167B1 KR101295167B1 KR1020130037326A KR20130037326A KR101295167B1 KR 101295167 B1 KR101295167 B1 KR 101295167B1 KR 1020130037326 A KR1020130037326 A KR 1020130037326A KR 20130037326 A KR20130037326 A KR 20130037326A KR 101295167 B1 KR101295167 B1 KR 101295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l
- corner
- deck
- sorting apparatus
- part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는 본체; 제1데크; 가이드; 공기송풍팬; 및 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oal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ain body; First deck; guide; Air blowing fan; And a vibr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석탄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탄에 함유된 정탄과 맥석을 선별하는 석탄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l sorting apparatus, and to a coal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coal and gangue contained in raw coal.
최근 원유의 값이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원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태양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산업적 이용에는 아직 많은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다시 석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As the price of crude oil has exploded in recent years, efforts to secure energy sources that can replace crude oil are increasing. Research into new energy sources that can replace existing fossil fuels such as solar energy and bioenerg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in industrial use. Recently, demand for coal has increased again.
탄층에서 캐낸 그대로의 석탄인 원탄(run of mine coal)은 석탄분을 다량 함유하며 회분이 적은 정탄과 암석의 파괴석인 맥석(gangue)이 혼재되어 있다.Run of mine coal, which is coal extracted from the coal seam, contains a large amount of coal, and has low ash ash and gangue, which is a destructive rock.
이 때, 맥석이 정탄에 함유되어 있으면 정탄의 연소과정에서 열량이 저하되고 유해가스(SOx)가 발생된다. 특히, 맥석 중 운모 및 녹니석, 점토 등에 함유된 알카리 성분 (K2O, Na2O)은 연소과정에서 회분의 융점을 저하시켜 화력발전소 보일러 내부의 Slagging이나 fouling을 발생시켜 보일러의 수명 단축원인이 된다.At this time, if gangue is contained in the coal, the calorific value decreases during combustion of the coal and harmful gas (SO x ) is generated. In particular, alkali components (K 2 O, Na 2 O) contained in mica, chlorite, and clay in gangue lower the melting point of ash during combustion, causing slagging or fouling inside the thermal power plant boiler, which causes shortening of boiler life. do.
따라서 연소효율 향상과 보일러의 수명 연장 등을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원탄에 혼합된 맥석의 제거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ombustion efficiency and extend the life of a boiler, a technology development for removing gangue mixed with raw coal by physical methods has been attempted.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1010940호에서는 회분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저등급의 석탄과 물을 함께 수용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쇄기 본체와, 상기 분쇄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석탄과의 충돌 및 마찰을 통해 상기 석탄을 분쇄하는 다수의 마찰볼 및 상기 분쇄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석탄과 마찰볼이 상호 충돌 및 마찰되도록 교반해주는 교반기를 구비하는 마모분쇄기; 및 상기 마모분쇄기의 수용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정한 크기 이하의 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투과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및 상기 마모분쇄기에서 분쇄된 석탄입자가 상기 수용부의 상측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분쇄된 석탄입자를 소수성화 하는 포수제를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기 포수제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종래기술은 원탄을 부유선별하여 정탄 입자와 맥석 입자로 분류한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0940, a crusher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low grade coal and water having a ash content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crusher main body colliding with and rubbing the coal. A wear crusher having a plurality of friction balls for crushing the coal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crusher main body, the stirrer for stirring the coal and the friction ball to collide with each other and friction; And a screen installed above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wear crus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through which only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can pass therethrough. And a catcher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a catcher for hydrophobizing the pulverized coal particles to the receiver so that the coal particles crushed in the wear grinder are suspended above the receiver. A high quality coal refiner is presented. In summary, the prior art sorts raw coal by flotation and classifies it into coal particles and gangue particles.
그러나 종래기술은 정탄 입자를 탈수 및 건조하는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requires a post-treatment process for dewatering and drying the coal particles, which leads to a high cost.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석탄선별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coal screening devi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탄에 혼합된 정탄 입자와 맥석 입자를 비중차이에 의해 서로 선별하여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석탄선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coal sort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post-treatment process by screening the coal particles and gangue particles mixed in the raw coal by specific gravity difference.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면이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0)이 개구된 본체(100);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안착되며 다수의 제1타공(211)이 형성되는 제1데크(210);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220);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으로 원탄 분쇄물을 공급하는 원탄공급부(3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타공(211)에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팬(400); 및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의 진동을 가하여 원탄 분쇄물 중 정탄 입자와 폐석 입자가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되게 하는 진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1데크(210)와 공기송풍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된 공기를 균일한 크기로 분할하는 다수의 제2타공(231)이 형성되는 제2데크(230); 및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기 제1데크(210) 및 제2데크(230)가 끼워져서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상기 경사면(110)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는 틀(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2데크(230)는 상기 제2타공(231)이 상기 제1타공(211)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1데크(210)의 코너들을 각각 높게 위치하는 순으로 제1코너(212), 제2코너(213), 제3코너(214), 제4코너(215)라고 할 때, 상기 제2코너(213)의 상단과 제4코너(215)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제1리플(250);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제2리플(260); 및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2코너(213)의 상단 사이를 둘러싸는 차단벽(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1데크(210)의 코너들을 각각 높게 위치하는 순으로 제1코너(212), 제2코너(213), 제3코너(214), 제4코너(215)라고 할 때,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가 제1구획벽(280)과 제2구획벽(290)에 의해 상기 제4코너(215)에 인접하는 제1배출공간(216)과 상기 제3코너(214)에 인접하는 제2배출공간(217)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데크(210)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 중 미량의 맥석 입자가 혼합된 정탄 입자가 상기 제1배출공간(216)으로 배출되고 미량의 정탄 입자가 혼합된 맥석 입자가 상기 제2배출공간(217)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수학식 1>&Quot; (1) "
CR = 0.2173FR2 - 7.6525FR + 96.385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FR은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 FR = 2 ~ 6 ) CR = 0.2173FR 2 - 7.6525FR + 96.385 ( stage, CR raw coal is pulverized combusti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water recovery ratio, FR is per pulverized raw coal feed rate of the raw coal supply unit (300), FR = 2 ~ 6)
또한, 상기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수학식 2>&Quot; (2) "
CR = 0.0221ABF2-1.4684ABF + 91.983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ABF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 ABF = 30 ~ 60)CR = 0.0221ABF 2 -1.4684ABF + 91.983 (However, CR is the recovery rate of flammabl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al pulverization, ABF i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또한, 상기 제1데크(210)는 상면이 단차면(218)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는 원탄 분쇄물에 혼합된 정탄 입자와 맥석 입자가 비중차이에 의해 건식으로 서로 선별되어 탈수 및 건조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l particles and the gangue particles mixed in the raw coal pulverized product are selectiv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post-treatment process of dehydration and dry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데크, 제2데크, 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제1데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1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1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2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eck, the second deck,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deck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of the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8 is an operation of the
9 is a side view of Embodiment 2 of a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방향표시에 있어서, 도면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 도면의 좌우방향을 좌우방향, 도면의 전후방향을 전후방향, 도면의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을 통틀어 수평방향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In the direction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awing is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rawi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rawing,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의 확대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본체(100), 제1데크(210), 가이드(220), 원탄공급부(300), 공기송풍팬(400), 및 진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o 2, the
상기 본체(100)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직육면체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경사지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0)의 중앙이 개구되며, 다수의 지지부재(120)가 상기 경사면(110)의 테두리에 배열 형성된다.The
이 때, 상기 경사면(110)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경사지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경사면(110)은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라면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제1데크(210)는 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상기 경사면(110)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120)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제1타공(211)이 상기 경사면(110)의 경사방향으로 촘촘히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데크(210)는 메쉬판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제1데크(210)의 코너들을 각각 높게 위치하는 순으로 제1코너(212), 제2코너(213), 제3코너(214), 제4코너(215)라고 할 때,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제4코너(215)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다수개가 상기 제2코너(213)에서 제3코너(214)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결합된다. When the
상기 원탄공급부(300)는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 중 상기 제2코너(213)와 인접한 곳으로 원탄 분쇄물을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제1타공(211)들은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이 난입되지 않도록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입자들보다 면적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w
상기 공기송풍팬(400)는 공기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211)에 공기를 송풍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부(500)는 상기 제1데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의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 중 상기 제1타공(211)들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유동력을 갖게 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게 하고 정탄 입자보다 비중이 높아서 유동력을 갖지 않으며 미립이고 판상형인 맥석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정탄 입자의 비중은 1.9kg/㎥ 이하이고, 맥석 입자의 비중은 2.2kg/㎥이상이다.As shown in FIG. 3,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정탄 입자와 맥석 입자가 비중차이에 의해 건식으로 서로 선별되어 탈수 및 건조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n the
한편, 상기 진동부(500)는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하는 피스톤(미도시)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는 크랭크축(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한 진동만 받게 되어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입자들이 서로 부딪쳐서 부서질 확률이 감소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는 정탄 입자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에에 설치되는 제1안내부재(610)와,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되는 맥석 입자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안내부재(6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제4코너(215)와 인접한 곳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220)가 상기 제4코너(215)에 인접한 곳에 형성되면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데크, 제2데크, 틀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eck, the second deck,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균일한 크기로 분할된 후 상기 제1타공(211)에 송풍될 수 있도록 제2데크(230), 및 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2데크(230)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데크(210)와 공기송풍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된 공기를 균일한 크기로 분할하는 다수의 제2타공(231)이 촘촘히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타공(231)은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된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타공(211)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The
상기 틀(240)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판형태로 형성되며,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기 제1데크(210) 및 제2데크(230)가 끼워져서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상기 경사면(110)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착된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는 제2데크(230), 및 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2타공(231)들을 통해 균일한 크기로 분할된 후 상기 제1타공(211)에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이 때,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 중 정탄 입자는 상기 제1타공(211)들을 통과하는 균일한 크기의 공기에 의해,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분포된 영역마다 균일한 크기의 유동력을 갖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ne coal particles of the raw coal pulverized product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제1리플(250), 제2리플(260), 및 차단벽(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상기 제1리플(250)은 상기 제2코너(213)의 상단과 제4코너(215)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코너(213)와 상기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는 정탄 입자를 일방향으로 안내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1리플(250)이 정탄 입자를 상기 제4코너(215)를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제2리플(260)은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코너(212)와 상기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되는 맥석 입자를 일방향으로 안내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2리플(260)이 맥석 입자를 상기 제3코너(2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차단벽(270)은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2코너(213)의 상단 사이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이 상기 제1코너(212)와 제2코너(213) 사이로 난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The blocking
도 5는 본 발명에 제1데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deck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데크(210)는 맥석 입자가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면이 상기 제4코너(215)에서 제1코너(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2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작동도이다.6 is an operation of the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먼저, 상기 원탄공급부(300)가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 중 상기 제2코너(213)와 인접한 곳으로 원탄 분쇄물을 공급한다. 이 때, 원탄 분쇄물은 상기 차단벽(270)에 의해 상기 제1코너(212)와 제2코너(213) 사이로 난출되지 않는다.First, the raw
다음으로, 상기 공기송풍팬(400)가 상기 제2타공(231)들로 공기를 송풍한다. 이 때,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제2타공(231)들에서 균일한 크기로 분할된 후, 상기 제1타공(211)에 송풍된다.Next, the
이 때, 상기 제1타공(211)들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상기 제1데크(210)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입자들은 비중이 낮은 순으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b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제1타공(211)들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원탄 분쇄물 중 정탄 입자가 비중이 제일 낮은 관계로 제일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되고,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가 비중이 두 번째로 낮은 관계로 두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되고, 미량의 정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가 비중이 세 번째로 낮은 관계로 세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되고, 맥석 입자가 비중이 제일 높은 관계로 유동력을 갖지 않게 된다.In more detail, due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이 때, 도 6에는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입자들의 이동경로를 좀 더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정탄 입자를 원형으로 도시하고,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를 삼각형이 표면에 결합된 원형으로 도시하고, 미량의 정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를 원형이 표면에 결합된 삼각형으로 도시되고, 맥석 입자를 삼각형 입자로 도시하였다.In this case, in order to more easily show the movement path of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raw coal pulverized, the coal particles are shown in a circle, and the coal particles mixed with a trace amount of gangue particles are shown in a circle combined with a triangle on the surface. Then, the gangue particles mixed with the traces of the fine particles are shown as triangles in which a circle is bound to the surface, and the gangue particles are shown as triangle particles.
다음으로, 상기 진동부(500)가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의 진동을 가하여 제일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고, 두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넘어가서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 중 상기 제4코너(215)에 가까운 곳으로 배출되고, 세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정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넘어가서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 중 상기 제3코너(214)에 가까운 곳으로 배출되고, 유동력을 갖지 않은 맥석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된다.Next, the fine particles having the highest flow force by vibrating the
이 때, 상기 제1리플(250)은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는 정탄 입자가 제1데크(210)의 상면에서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리플(260)은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되는 맥석 입자가 제1데크(210)의 상면에서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제1데크(210)의 상면에 공급된 정탄 입자와 폐석 입자의 처리량을 증가시켜 에너지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원탄 분쇄물을 정탄 입자와 맥석 입자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와 미량의 원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1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가 제1구획벽(280)과 제2구획벽(290)에 의해 상기 제4코너(215)에 인접하는 제1배출공간(216)과 상기 제3코너(214)에 인접하는 제2배출공간(217)으로 구획된다.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상기 제1구획벽(280)은 상기 제4코너(215)에서 상기 제1코너(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구획벽(280)은 하단이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2구획벽(290)은 상기 제3코너(214)에서 상기 제2코너(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과 상기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2구획벽(290)은 하단이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과 상기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1의 작동도이다.8 is an operation of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의 실시예 1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8,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석별장치의 작동원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부(500)가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의 진동을 가하여 제일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2코너(213)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고, 두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넘어가서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고, 세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정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넘어가서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고, 유동력을 갖지 않은 맥석 입자가 상기 가이드(220)를 따라 상기 제1코너(212)와 제3코너(214) 사이로 배출된다.As described i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coa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ng
이 때, 두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는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되, 상기 제4코너(215)에 인접하는 제1배출공간(216)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refined particles mixed with the trace amount of gangue particles having the second highest flow force are discharged between the
또한, 세 번째로 높은 유동력을 갖게 된 미량의 정탄 입자와 혼합된 맥석 입자는 상기 제3코너(214)와 제4코너(215) 사이로 배출되되,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보다 낮은 유동력을 갖게되어 상기 제3코너(214)에 인접하는 제2배출공간(217)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gangue particles mixed with the trace amount of the fine coal particles having the third highest flow force is discharged between the
이 때, 상기 제1구획벽(280)과 제2구획벽(290)이 서로 이루는 각도 또는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제1배출공간(216)으로 배출되는 미량의 맥석 입자와 혼합된 정탄 입자의 미량의 맥석 입자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ngle or position of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의 실시예 2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Embodiment 2 of a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의 실시예 2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입자들의 선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입부(700)는 진공흡입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이하 본 발명을 아래와 같은 실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정탄의 품위는 정탄에 함유된 고정탄소(Fixed Carbon)와 회분의 함량으로 평가한다. 즉, 고정탄소의 함량이 높고 회분의 함량이 낮은 정탄을 고품질의 정탄으로 평가한다. 고정탄소의 함량과 회분의 함량을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고정탄소의 함량이 높으면 회분의 함량이 낮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낮으면 회분의 함량이 높다.The quality of the coal is evaluated by the amount of fixed carbon and ash contained in the coal. In other words, the high quality of fixed coal and low ash content is evaluated as high quality coal. The content of fixed carbon and ash is inversely related to each other. That is, if the content of fixed carbon is high, the content of ash is low, and if the content of fixed carbon is low, the content of ash is high.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경사면(110)을 전후방향으로 3.5도의 경사각도와 좌우방향으로 5.5도의 경사각으로 두고, 입도(Size) 1 x 5mm, 회분(Ash) 61.72%, 열량 2540 Cal/g인 제1원탄 시료와 입도 5 x 25mm, 회분 58.04&, 열량 2849 Cal/g인 제2원탄 시료를 선별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In the
제1원탄 시료의 선별결과, 51%의 정탄, 30%의 정탄과 맥석 혼합물, 19%의 맥석로 분리 선별되었다. 특히, 정탄의 회분함량은 제1원탄의 회분함량인 61.72%에서 32.82%로 감소되어 약 60.8%의 회분제거율이 달성되었다. 또한, 정탄의 열량도 제1원탄의 열량인 2850cal/g에서 4690cal/g로 증가되었다.As a result of the screening of the primary raw coal sample, 51% of coal, 30% of coal and gangue mixture, and 19% of gangue were separated and screened. In particular, the ash content of coal was reduced from 61.72%, which is the ash content of the first raw coal, to 32.82%, thereby achieving an ash removal rate of about 60.8%. In addition, the calorie of coal was also increased from 2850 cal / g, which is calorie of the first raw coal, to 4690 cal / g.
즉,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단순히 비중 선별에 의하여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맥석의 제거가 가능하며 건조 및 탈수의 후처리 시설이 필요없었다.
That is, th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경사면(110)을 전후방향으로 3.5도의 경사각도와 좌우방향으로 5.5도의 경사각으로 두고,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를 일정하게 두고,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를 일정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을 각각 변경하면서 원탄 분쇄물을 선별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In the
원탄 분쇄물 선별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였다.As a result of the raw coal pulverization screening, the
<수학식 1>&Quot; (1) "
CR = 0.2173FR2 - 7.6525FR + 96.385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FR은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 FR = 2 ~ 6 ) CR = 0.2173FR 2 - 7.6525FR + 96.385 ( stage, CR raw coal is pulverized combusti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water recovery ratio, FR is per pulverized raw coal feed rate of the raw coal supply unit (300), FR = 2 ~ 6)
이 때, 상기 표 2의 수치들과 상기 수학식 1에 대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ffecient)를 계산한 결과, 상기 상관계수의 값(R2)이 0.9013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lation coffecient) was calculated for the numerical values of Table 2 an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경사면(110)을 전후방향으로 3.5도의 경사각도와 좌우방향으로 5.5도의 경사각으로 두고,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를 일정하게 두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을 일정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를 각각 변경하면서 원탄 분쇄물을 선별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In the
원탄 분쇄물 선별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였다.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raw pulverized coal, the
<수학식 2>&Quot; (2) "
CR = 0.0221ABF2-1.4684ABF + 91.983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ABF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 ABF = 30 ~ 60)CR = 0.0221ABF 2 -1.4684ABF + 91.983 (However, CR is the recovery rate of flammabl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al pulverization, ABF i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이 때, 상기 표 3의 수치들과 상기 수학식 2에 대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ffecient)를 계산한 결과, 상기 상관계수의 값(R2)이 0.9178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lation coffecient) was calculated for the numerical values of Table 3 and Equation 2,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2 ) had a high correlation of 0.9178.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경사면(110)을 전후방향으로 3.5도의 경사각도와 좌우방향으로 5.5도의 경사각으로 두고,,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를 일정하게 두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을 일정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진동주파수를 각각 변경하면서 원탄 분쇄물을 선별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In the
원탄 분쇄물 선별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1000)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였다.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the raw pulverized coal, the
<수학식 3>&Quot; (3) "
CR = -0.0447TF2 + 4.2145TF - 21.674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TF는 상기 제1데크(210)의 진동주파수)CR = -0.0447 TF 2 + 4.2 145 TF-21.674 (where CR is the recovery rate of the flamma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raw coal pulverization and TF is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first deck 210)
이 때, 상기 표 4의 수치들과 상기 수학식 3에 대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ffecient)를 계산한 결과, 상기 상관계수의 값(R2)이 0.5491로 다소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lation coffecient) was calculated for the numerical values of Table 4 and Equation 3,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2 ) was 0.5491, which was somewhat low.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 본 발명에 따른 석탄선별장치
100 : 본체
110 : 경사면
210 : 제1데크
211 : 제1타공 212 : 제1코너
213 : 제2코너 214 : 제3코너
215 : 제4코너 216 : 제1배출공간
217 : 제2배출공간 218 : 단차면
220 : 가이드
230 : 제2데크
231 : 제2타공
240 : 틀
250 : 제1리플
260 : 제2리플
270 : 차단벽
280 : 제1구획벽 290 : 제2구획벽
300 : 원탄공급부
400 : 공기송풍팬
500 : 진동부
610 : 제1안내부재 620 : 제2안내부재
700 : 흡입부1000: coa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110:
210: first deck
211: first puncher 212: first corner
213: Second corner 214: Third corner
215: 4th corner 216: 1st discharge space
217: second discharge space 218: step surface
220: guide
230: second deck
231: Second punch
240: frame
250: first ripple
260: second ripple
270: blocking wall
280: first partition wall 290: second partition wall
300: coal supply unit
400: air blowing fan
500: vibrator
610: first guide member 620: second guide member
700: suction part
Claims (9)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안착되며 다수의 제1타공(211)이 형성되는 제1데크(210);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220);
상기 제1데크(210)의 상면으로 원탄 분쇄물을 공급하는 원탄공급부(3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타공(211)에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팬(400); 및
상기 제1데크(210)에 수평방향의 진동을 가하여 원탄 분쇄물 중 정탄 입자와 폐석 입자가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되게 하는 진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A main body 100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110 inclined to one side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one side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having the inclined surface 110 open;
A first deck 210 seated inside the inclined surface 110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erforations 211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guides 220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deck 210;
Raw coal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the raw coal pulverized produ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eck (210);
An air blowing fan 40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blow air into the first perforations 211; And
And a vibrating unit (500) for applying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rst deck (210) to discharge the coal particles and the waste-rock particles in the different paths of the coal briquettes in different paths. .
상기 제1데크(210)와 공기송풍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송풍팬(400)에서 송풍된 공기를 균일한 크기로 분할하는 다수의 제2타공(231)이 형성되는 제2데크(230); 및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기 제1데크(210) 및 제2데크(230)가 끼워져서 상기 경사면(110)의 내측에 상기 경사면(110)의 경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는 틀(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A seco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eck 210 and the air blowing fan 400, a plurality of second perforations 231 for dividing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ing fan 400 into a uniform size is formed Deck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decks 210 and 230 are fit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so that the frame 240 is inclin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0 to the inn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10. Coal selection device 1000,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타공(231)이 상기 제1타공(211)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deck 230 is
The coal sorting device 1000,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erforation (231) is formed wider than the first perforation (211).
상기 제1데크(210)의 코너들을 각각 높게 위치하는 순으로 제1코너(212), 제2코너(213), 제3코너(214), 제4코너(215)라고 할 때,
상기 제2코너(213)의 상단과 제4코너(215)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제1리플(250);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에 배열되는 제2리플(260); 및
상기 제1코너(212)의 상단과 제2코너(213)의 상단 사이를 둘러싸는 차단벽(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When the first corner 212, the second corner 213, the third corner 214, the fourth corner 215, the corners of the first deck 210 in the order of high position, respectively,
A first ripple 250 arrang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rner 213 and an upper end of the fourth corner 215;
A second ripple 260 arrang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first corner 212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corner 214; And
A coal sorting device (1000) further comprising a; barrier wall (270)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rner (212)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rner (213).
상기 제1데크(210)의 코너들을 각각 높게 위치하는 순으로 제1코너(212), 제2코너(213), 제3코너(214), 제4코너(215)라고 할 때,
상기 제4코너(215)의 상단과 제3코너(214)의 상단 사이가 제1구획벽(280)과 제2구획벽(290)에 의해 상기 제4코너(215)에 인접하는 제1배출공간(216)과 상기 제3코너(214)에 인접하는 제2배출공간(217)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데크(210)에 공급된 원탄 분쇄물 중 미량의 맥석 입자가 혼합된 정탄 입자가 상기 제1배출공간(216)으로 배출되고 미량의 정탄 입자가 혼합된 맥석 입자가 상기 제2배출공간(217)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When the first corner 212, the second corner 213, the third corner 214, the fourth corner 215, the corners of the first deck 210 in the order of high position, respectively,
A first discharg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ourth corner 215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corner 214 is adjacent to the fourth corner 215 by the first partition wall 28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290. A second discharge space 217 adjacent to the space 216 and the third corner 214,
Of the raw coal crushed powder supplied to the first deck 210, the fine coal particles mixed with trace amounts of gangue particles are discharged into the first discharge space 216, and the gangue particles mixed with trace amounts of fine coal particles are the second discharge space. Coal selection apparatus 1000,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217).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And a suction unit (700)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100) to suck in dust.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수학식 1>
CR = 0.2173FR2 - 7.6525FR + 96.385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FR은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 FR = 2 ~ 6 )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frequency of the air blowing fan 400 is constant and the vibration frequency applied to the first deck 210 is satisfied in the following equation (1).
&Quot; (1) "
CR = 0.2173FR 2 - 7.6525FR + 96.385 ( stage, CR raw coal is pulverized combustible material contained in the water recovery ratio, FR is per pulverized raw coal feed rate of the raw coal supply unit (300), FR = 2 ~ 6)
상기 제1데크(210)에 가해진 진동주파수가 일정하고 상기 원탄공급부(300)의 시간당 원탄 분쇄물 공급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
<수학식 2>
CR = 0.0221ABF2-1.4684ABF + 91.983 (단, CR은 원탄 분쇄물에 함유된 가연성 물질 회수율, ABF는 상기 공기송풍팬(400)의 구동주파수, ABF = 30 ~ 6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The coal sorting apparatus 1000,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applied to the first deck 210 is constant and the raw coal pulverized feed per hour supply of the raw coal supply unit 300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Quot; (2) "
CR = 0.0221ABF 2 -1.4684ABF + 91.983 (However, CR is the recovery rate of flammabl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al pulverization, ABF i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air blowing fan 400, ABF = 30 ~ 60)
상면이 단차면(218)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선별장치(10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first deck 210 is
Coal sorting apparatus 1000,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tepped surface (218).
Priority Applications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37326A KR101295167B1 (en) | 2013-04-05 | 2013-04-05 | Coal separation apparatus |
| US14/410,791 US9566614B2 (en) | 2013-04-05 | 2013-09-11 |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
| PCT/KR2013/008217 WO2014163258A1 (en) | 2013-04-05 | 2013-09-11 |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
| AU2013385726A AU2013385726B2 (en) | 2013-04-05 | 2013-09-11 |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
| CN201310455808.4A CN103551310B (en) | 2013-04-05 | 2013-09-24 | Coal separation apparatus |
| US15/383,363 US9950343B2 (en) | 2013-04-05 | 2016-12-19 |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37326A KR101295167B1 (en) | 2013-04-05 | 2013-04-05 | Coal separ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95167B1 true KR101295167B1 (en) | 2013-08-09 |
Family
ID=492202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37326A Active KR101295167B1 (en) | 2013-04-05 | 2013-04-05 | Coal separ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95167B1 (en) |
| CN (1) | CN103551310B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3424B1 (en) * | 2016-08-18 | 2018-02-2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ry Type Separation Apparatus |
| KR102004870B1 (en) | 2018-02-14 | 2019-07-29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Improved dry type separation device |
| KR102029166B1 (en) | 2019-03-07 | 2019-10-0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ry type separation device easy to control airflow range |
| CN111632822A (en) * | 2020-06-09 | 2020-09-08 | 邵春牛 | Coal screening device with multi-stage screening mechanism for coal dressing |
| KR20210023554A (en) * | 2019-08-23 | 2021-03-0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Air current forming net and separat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
| WO2021075898A1 (en) * | 2019-10-16 | 2021-04-22 |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 Specific gravity separator |
| CN112893130A (en) * | 2021-01-20 | 2021-06-04 | 南京风火信息科技有限公司 | Full-grain-grade efficient dry coal dressing equipment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KR102324089B1 (en) * | 2021-01-04 | 2021-11-09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the improved absorption type foreign substance sort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38844B (en) * | 2014-06-27 | 2015-11-18 | 东南大学 | A kind of micro-fluidic medicaments sifting chip |
| CN104438090A (en) * | 2014-10-19 | 2015-03-25 | 耒阳市诚松有色金属再生有限公司 | Slag screening device of mineral separation boiler |
| CN112934694B (en) * | 2021-01-28 | 2023-03-10 |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 Gangue screening installation |
| CN115025997B (en) * | 2022-05-24 | 2023-05-26 | 安徽理工大学 | Gangue sorting device and using method |
| CN116197120B (en) * | 2023-01-30 | 2024-11-26 | 中天上材增材制造有限公司 | An efficient powder concentrating devi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99687B1 (en) * | 2002-12-06 | 2005-07-04 | 신철수 | Gravity paddy separator |
| KR100856800B1 (en) * | 2007-07-11 | 2008-09-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Plate Type Electrostatic Separator |
| JP2009125706A (en) * | 2007-11-27 | 2009-06-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Crushed material sor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101532U (en) * | 1991-08-16 | 1992-04-15 | 煤炭科学研究总院唐山分院 | Composite type dry separator |
| CN2314850Y (en) * | 1998-02-09 | 1999-04-21 | 唐山市选煤成套设备厂 | Composite dry sorting machine |
| JP3403083B2 (en) * | 1998-08-24 | 2003-05-06 | 善之助 田中 | Dry coa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6467631B2 (en) * | 2001-02-01 | 2002-10-22 | Allmineral Llc | Air sifting apparatus |
| CN2628165Y (en) * | 2003-05-18 | 2004-07-28 | 唐山市神州机械有限公司 | Compound dry coal dressing apparatus |
| CN2714172Y (en) * | 2004-08-13 | 2005-08-03 | 任尚锦 | Composite wind power dry separator |
-
2013
- 2013-04-05 KR KR1020130037326A patent/KR101295167B1/en active Active
- 2013-09-24 CN CN201310455808.4A patent/CN103551310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99687B1 (en) * | 2002-12-06 | 2005-07-04 | 신철수 | Gravity paddy separator |
| KR100856800B1 (en) * | 2007-07-11 | 2008-09-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Plate Type Electrostatic Separator |
| JP2009125706A (en) * | 2007-11-27 | 2009-06-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Crushed material sorting device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3424B1 (en) * | 2016-08-18 | 2018-02-2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ry Type Separation Apparatus |
| KR102004870B1 (en) | 2018-02-14 | 2019-07-29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Improved dry type separation device |
| WO2019160178A1 (en) * | 2018-02-14 | 2019-08-2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Improved dry separation device |
| KR102029166B1 (en) | 2019-03-07 | 2019-10-0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ry type separation device easy to control airflow range |
| KR20210023554A (en) * | 2019-08-23 | 2021-03-0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Air current forming net and separat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
| KR102301930B1 (en) * | 2019-08-23 | 2021-09-1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Air current forming net and separat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
| WO2021075898A1 (en) * | 2019-10-16 | 2021-04-22 |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 Specific gravity separator |
| KR20210045238A (en) * | 2019-10-16 | 2021-04-26 |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 Separating apparatus |
| KR102301901B1 (en) * | 2019-10-16 | 2021-09-14 |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 Separating apparatus |
| CN111632822A (en) * | 2020-06-09 | 2020-09-08 | 邵春牛 | Coal screening device with multi-stage screening mechanism for coal dressing |
| KR102324089B1 (en) * | 2021-01-04 | 2021-11-09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the improved absorption type foreign substance sorting apparatus |
| CN112893130A (en) * | 2021-01-20 | 2021-06-04 | 南京风火信息科技有限公司 | Full-grain-grade efficient dry coal dressing equipment and work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3551310B (en) | 2015-06-24 |
| CN103551310A (en) | 2014-02-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95167B1 (en) | Coal separation apparatus | |
| KR101295154B1 (en) | Coal separation apparatus | |
| KR101295140B1 (en) | Coal separation apparatus | |
| KR101295133B1 (en) | Coal separation method | |
| US9566614B2 (en) |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 |
| JP5255799B2 (en) | Sand making apparatus, sand making method and sand making | |
| Akbari et al. | Performance optimization of a new air table and flip-flow screen for fine particle dry separation | |
| CN101758025B (en) | Air flow vibration sorting machine | |
| CN207770313U (en) | A kind of vibrating screen that can improve screening precision | |
| CN207042622U (en) | A kind of ore crushing equipment of convenient sorting | |
| CN211436331U (en) | Reducing mechanism is used in ore dressing | |
| KR102029166B1 (en) | Dry type separation device easy to control airflow range | |
| KR101833424B1 (en) | Dry Type Separation Apparatus | |
| CN101530849A (en) | Pneumatic screening machine | |
| Baic et al. | Dry coal cleaning technology | |
| KR102301930B1 (en) | Air current forming net and separat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 |
| CN101940967B (en) | Coal-recrement separator of underground breaking screen | |
| JP2016000379A (en) |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of fluidized bed incinerator | |
| KR102301901B1 (en) | Separating apparatus | |
| CN205762908U (en) | A kind of waste and old circuit board reclaims with pulverizing magnetic separator | |
| CN207533571U (en) | Seed-cleaning apparatus | |
| CN204448527U (en) | A kind of active carbon classified screening device | |
| CN205341005U (en) | Garrulous all -in -one of dustless sieve | |
| RU2047399C1 (en) | Plant for obtaining conditioned wood raw material | |
| JP6440146B2 (en) | Non-combustible material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