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5694B1 - 트랩트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트랩트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94B1
KR101295694B1 KR1020130015402A KR20130015402A KR101295694B1 KR 101295694 B1 KR101295694 B1 KR 101295694B1 KR 1020130015402 A KR1020130015402 A KR 1020130015402A KR 20130015402 A KR20130015402 A KR 20130015402A KR 101295694 B1 KR101295694 B1 KR 10129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tact
terminal
point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승
Original Assignee
황현승
주식회사 세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203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56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승, 주식회사 세펙트 filed Critical 황현승
Priority to KR102013001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접점의 연결 및 강제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키의 회전을 제한하여 스위치의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트랩트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는 대응 되는 키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며 일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키부; 및 둘 이상의 단자가 그룹 또는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접점단자, 상기 접점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단속샤프트를 가지는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랩트 키 스위치{Trapped Key Switch}
본 발명은 트랩트 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접점의 연결 및 강제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키의 회전을 제한하여 스위치의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트랩트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록 스위치는 특정 시설물 또는 장치의 잠금에 이용된다. 트랩트 키 스위치는 이러한 인터록 스위치의 한 종류로, 특정 동작이 수행되거나 키에 의해 열림 또는 잠김이 발생하는 경우 장치의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 또는 장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인터록 스위치는 기계적인 열쇠의 동작에 맞물리는 접점의 개폐에 따라 전기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전기 신호에 의해 장치의 잠금과 같은 특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터록 스위치는 작업자가 열쇠 즉, 키의 분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경우 제 3자에 의한 키 제거가 이루어져 작업자가 실내 또는 장치 주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기동이 이루어지거나 도어가 폐쇄되어 작업자의 상해, 장치의 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접점의 연결 및 강제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키의 회전을 제한하여 스위치의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트랩트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는 대응되는 키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며 일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키부; 및 둘 이상의 단자가 그룹 또는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접점단자, 상기 접점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링크프레임을 가지는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부는 외부의 스위치와 도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잠금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제어부는 상기 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스트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조작부는 삽입구에 상기 키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지점과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키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제1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인 제2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전기적 연결관계가 상이해진다.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회전은 상기 잠금제어부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상기 키조작부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상기 키조작부가 회전하는 제3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3지점은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상기 키가 미분리되는 지점이다.
상기 제3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연결관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연결관계와 동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는 키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접점의 연결 및 강제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키의 회전을 제한하여 스위치의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키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키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접점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접점부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접속단자와 단속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로서, 접점의 연결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이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랩트 키 스위치는 키부(100), 접점부(200) 및 잠금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부(100)는 키(1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키(101)의 삽입 및 동작에 의해 접점부(200)에 구성되는 접점의 연결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키부(100)는 사용자 또는 제3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구성되는 키잠금부(미도시) 및 이와 연결되는 외부 잠금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키부(100)는 키(101)가 키조작부(110)에 삽입되더라도 잠금제어부(300)에 의해 키(101)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경우 키의 회전을 방지하여 키(101)의 오조작에 의한 임의 해제, 임의 잠금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키잠금부는 잠금장치와 스트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잠금장치는 도선(301)을 통해 외부의 잠금제어부(300)와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키 조작부(100)는 키부(100) 내부에 구성되는 샤프트와 연결되고 샤프트(미도시)는 키조작부(110)에 삽입된 키(101)의 회전에 따라 전진/후퇴하여 접점부(200)의 접점링크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접점부(200)의 접점이 단속되게 된다.
접점부(2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접점단자(210)와 내부에서 샤프트의 동작에 따라 접점단자(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링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점링크부는 샤프트와 연결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접속단자를 이동시키며, 접속단자가 거치되는 링크프레임과, 링크프레임에 의해 이동하여 접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을 끊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접점부(200)의 접점단자(210)는 외부의 다른 장치 또는 스위치와 연결되고, 접점단자의 단속에 따라 다른 장치 또는 스위치로 이어지는 회로를 형성하여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점부(200)와 접점 링크부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제어부(300)는 키잠금부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도선(301)을 통해 키잠금부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잠금제어부(300)는 키잠금부의 잠금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트로크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하여 키조작부(110)의 상태를 키 회전 가능상태 또는 키 잠금 상태로 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잠금제어부(300)는 잠금장치에 동작을 위한 전원 또는 전원신호의 생성을 위한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또는 신호 공급을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키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서, 도 2는 키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키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랩트 키 스위치는 키(101)의 삽입 조작에 의해 접점을 닫거나 열고 이를 통해 회로를 구성 또는 단절하여 전기 신호의 전달을 조작하게 된다. 일례로 키(101)를 키 조작부(110)에 삽입한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부속된 접점부(200)의 접점이 닫히도록 하여, 접점에 연결된 회로가 연결되고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트랩트 키 스위치는 접점부(200)와 연결되어 접점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키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키부(100)는 이와 대응되는 키(101)가 구비된다.
키 조작부(110)에는 키(101)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111)가 마련된다. 도 2에는 원통형 키로 원통의 말단에 패턴(103)이 형성되고, 삽입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돌부(102)가 형성된 형태의 키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101)는 키 조작부(110)의 삽입구(111)에 삽입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키(101)를 조작하여 접점의 연결을 제어하게 된다. 도 2에는 B점에 삽입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키(101)를 회전시켜 조작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B점에서는 접점이 해제되고 A점에서는 접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이와 반대로 동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B점에서 접점이 해제되고 A점에서 접점이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를 A점 위치로 회전시키면 접점이 연결되고 접점에 연결된 일측 회로로부터 제어대상으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이를 통해 키(101)가 A 점에 위치하는 동안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장비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 점에서는 키가 빠지지 않도록 키의 돌부(102)가 빠지는 삽입홀을 키(101)의 삽입점인 B점에만 형성하게 된다. 또한, B점에 키(101)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키가 빠지지 않도록 X점과 같이 예비 위치를 두어 제어상태가 아닌 상태라도 키(101)가 키조작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X점은 접점의 상태가 B점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A점에서와 같이 키(101)를 키조작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위치이다. 이 X점은 키(101)가 삽입구(111)로부터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점과 B지점간의 키(101)의 회전을 위해서는 잠금제어부(300)에 의한 풀림 동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키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140), 스트로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잠금부, 키잠금부와 도선(301)에 의해 연결되는 제어스위치(310)를 포함하여 잠금제어부(3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 잠금제어부(300)는 키부(100)의 내부에 잠금장치(140)와 스트로크(130)가 구성되고, 잠금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310)가 도선(301)에 의해 잠금장치(140)와 연결된다.
이 잠금장치(140)와 스트로크(130)는 제어스위치(3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키 조작부(110)의 동작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키 조작부(110)에 키(101)가 삽입되더라도 잠금제어부(300)에 의해 키 조작부(11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키(101)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스트로크(130)가 키 조작부(110) 또는 키 조작부(110)와 연결된 샤프트(120)에 형성되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 또는 홀에 삽입되거나 안착되어 키조작부(1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101)를 이용하여 키 조작부(11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스위치(310)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여야 한다. 즉, 제어스위치(310)를 통해 잠금해제 신호가 전달되면 잠금장치(140)가 동작하여 스트로크(130)를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걸림턱, 걸림홈 또는 홀과 같은 잠금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키 조작부(110)의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키 조작부(110)의 회전은 샤프트(120)를 통해 접점부(200)로 전달되어 접점의 연결 및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키 조작부(110)는 키(10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은 샤프트(120)에 전달된다. 이 샤프트(120)는 키 조작부(110)의 회전에 따라 전후(여기서 전후는 샤프트(12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키조작부와 접점부(200)를 잇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로 이동하고, 이러한 전후 이동력은 접점부(200)의 링크프레임에 전달된다. 그리고 링크프레임이 접속단자를 이동시켜 접점이 연결되거나 단절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접점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서, 도 4는 접점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접점부의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접속단자와 단속샤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로서, 접점의 연결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접점부(200)의 외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단자(210 : 210a 내지 210d)가 노출되어 구성된다. 이 접점단자(210)는 각각 복수의 단자가 하나의 접점단자를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내지 도 6에는 두 개의 단자(211a, 211b)가 하나의 단자쌍(211 : 211a, 211b)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구성되는 접속단자에 의해 단자쌍(211) 단위로 연결 및 단절이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것과 같이 접점단자(210)가 4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쌍을 신호 배선의 연결 및 단속에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점단자(210)는 키조작부(110)의 동작에 따라 모든 접점단자(210)가 동시에 연결(또는 단절) 되도록 하거나, 일부는 연결되고 일부는 단절되어 연결된 장치의 제어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 및 도 6에는 2개의 접점단자(210a, 210b) 와 하나의 접점단자(210c)가 반대되는 연결상태 즉, 2개의 접점단자(210a, 210b)가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접점단자(210c)는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도록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는 4쌍의 접점단자(210)가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단자쌍(211) 역시 셋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점단자(210)는 접점부(200) 내부에서 링크프레임(230)에 의해 기동하는 접속단자(2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접점부(200)의 내부에는 일단에 링크부(240)를 가지는 링크프레임(230), 접속단자(220), 탄성부재(250)로 구성되는 접점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크프레임(230)은 샤프트(120)의 종단에 마련되는 샤프트연결부(121)와 링크부(240)에 의해 연결되며, 샤프트(12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접속단자(220)를 이동시켜 접점단자(210)의 연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링크프레임(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점단자(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고정구(241)가 형성된다. 이 프레임고정구(241)에는 접속단자(220)와 탄성부재(250)가 결합된다. 이러한 링크프레임(230)은 링크부(240)에 연결된 샤프트(120)의 이동에 의해 접속단자(220)를 전후로 이동시켜 접속단자(220)와 접점단자(210)를 접촉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켜 접점이 연결되도록 하거나 단절되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점단자(210)는 일부가 접점부(200)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단자(220)는 각 단자쌍(211)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링크프레임(230)의 움직임에 의해 단자쌍(211)과 접촉하여 단자쌍(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거나,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단자쌍(211)은 각각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고, 접점단자(210) 각각이 접점부(20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접점단자(210)의 돌출부(219 : 219a, 219b)는 접속단자(2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쌍(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속단자(220)가 돌출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러한 접속단자(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도체로 형성되고, 접점부(200)의 돌출부위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접촉부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접속단자(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프레임(23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되면 링크프레임(230)과 같이 전후로 이동하며, 이동에 의해 접점단자(210)의 돌출부(219)와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접점단자(21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접속단자(220)에는 탄성부재(250)가 결합되어 단자쌍(211)과의 접촉시 접촉력을 높이고, 접속단자(220)가 프레임고정구(241)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지만, 판상 스프링,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체로 형서되는 구형 탄성체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링크프레임(230)과 접속단자(220)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링크프레임(230)은 샤프트(120)와 링크부(240)에 의해 연결된다. 샤프트(120)는 키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력은 링크부(240)를 통해 연결된 링크프레임(230)에도 전달되어 샤프트(1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링크프레임(230)도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프레임고정구(241)에 삽입 결합된 접속단자(220)도 링크프레임(230)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동방향에 접점단자(210)가 배치된 경우 접속단자와 접점단자(210)의 접촉에 의한 접점연결이 이루어지고(단자 210a, 210b),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에 접점단자(210c)가 배치되는 경우 접속단자(220)와 접점단자(21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탄성부재(250)는 접속단자(220)와 접점단자(210)의 접촉시 접속단자(220)를 접점단자(210)와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링크프레임(23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두 개의 접점단자(210a, 210b)는 접속단자(2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접점단자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링크프레임(23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두개의 접점단자(210a, 210b)는 접속단자(220)의 분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하나의 접점단다(210c)가 접속단자(220)와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링크프레임(230)에 접속단자(220)를 구성하고, 접속단자(220)의 접속여부가 링크프레임(230)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50)는 접속단자(220)와 접점단자(210)의 접촉시 밀착력을 높이는 역할과 접속단자(220)가 링크프레임(230)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때문에 접속단자(220)는 링크프레임(230)의 움직임 즉, 키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링크프레임(230)의 전후 이동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접속단자(220)의 접점연결은 키의 회전 및 이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링크프레임(230)의 움직임에만 의존하고, 이를 통해 강제접속 및 강제분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키부 101 : 키
102 : 돌부 103 : 패턴
110 : 키조작부 111 : 삽입구
112 : 삽입홀 120 : 샤프트
121 : 샤프트연결부 130 : 스트로크
140 : 잠금장치 200 : 접점부
210 : 접점단자 211 : 단자쌍
220 : 접속단자 230 : 링크프레임
240 : 링크부 250 : 탄성부재
300 : 잠금제어부 301 : 도선
310 : 스위치

Claims (6)

  1. 대응되는 키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는 샤프트와, 외부의 스위치와 도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잠금제어부를 포함하는 키부; 및
    둘 이상의 단자가 그룹 또는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접점단자, 상기 접점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링크프레임을 가지는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조작부는 삽입구에 상기 키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지점과,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키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 제1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인 제2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전기적 연결관계가 상이해지며,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상기 키조작부가 회전하는 제3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3지점은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상기 키가 미분리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트 키 스위치.는 트랩트 키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어부는
    상기 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키조작부의 회전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스트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트 키 스위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회전은 상기 잠금제어부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트 키 스위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연결관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접점단자의 연결관계와 동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트 키 스위치.
KR1020130015402A 2013-02-13 2013-02-13 트랩트 키 스위치 Active KR10129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02A KR101295694B1 (ko) 2013-02-13 2013-02-13 트랩트 키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02A KR101295694B1 (ko) 2013-02-13 2013-02-13 트랩트 키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94B1 true KR101295694B1 (ko) 2013-08-20

Family

ID=4922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02A Active KR101295694B1 (ko) 2013-02-13 2013-02-13 트랩트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950B1 (ko) 2023-06-23 2024-07-01 주식회사 세펙트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694785B1 (ko) 2023-06-23 2024-08-13 주식회사 세펙트 탈착식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694788B1 (ko) 2023-06-23 2024-08-13 주식회사 세펙트 키 감지 기능을 갖는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715220B1 (ko) 2023-06-23 2024-10-11 주식회사 세펙트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트랩형 키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68A (ja) * 2001-10-31 2003-05-14 Yuhshin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50263378A1 (en) 2004-05-25 2005-12-01 Davidsz Mark E Electric key switch with key sensing and ejection
JP2010031562A (ja) 2008-07-29 2010-02-12 Tokai Rika Co Ltd キ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68A (ja) * 2001-10-31 2003-05-14 Yuhshin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50263378A1 (en) 2004-05-25 2005-12-01 Davidsz Mark E Electric key switch with key sensing and ejection
JP2010031562A (ja) 2008-07-29 2010-02-12 Tokai Rika Co Ltd キー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950B1 (ko) 2023-06-23 2024-07-01 주식회사 세펙트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694785B1 (ko) 2023-06-23 2024-08-13 주식회사 세펙트 탈착식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694788B1 (ko) 2023-06-23 2024-08-13 주식회사 세펙트 키 감지 기능을 갖는 트랩형 키 스위치
KR102715220B1 (ko) 2023-06-23 2024-10-11 주식회사 세펙트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트랩형 키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7370B (zh) 电源电路切断装置
KR101295694B1 (ko) 트랩트 키 스위치
CN112042064B (zh) 用于无负载断开插接连接的设备及方法
CN108448309B (zh) 充电枪头及充电系统
TWI390803B (zh) 連接器
WO2001063700A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reventing unauthorized use
CN214797293U (zh) 一种漏电断路器
CN104218411B (zh) 控制电连接器组件中指定电气回路通断的方法
CN109509651B (zh) 开关装置和相关联的开关
KR20120103092A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2343998B1 (ko)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WO2016002109A1 (ja) 配線器具
JP2007329046A (ja) 直流コンセント
KR101476703B1 (ko) 안전 콘센트
KR101508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EP2889964B1 (en) Spring connection terminal with actuation lever
CN101194436A (zh) 电气设备,插接件和通断插座的方法
JP2014051239A (ja) 回路導通遮断装置
KR101681825B1 (ko) 전력 전달 및 차단 장치
CN211670350U (zh) 一种电路安全连接装置
CN105333404B (zh) 照明装置的端盖和照明装置
TW201740638A (zh) 用於電性插式連接的插座元件及插頭元件、電性插式連接及建立電性插式連接的方法
WO2016002107A1 (ja) 配線器具
WO2022174489A1 (zh) 插座
KR10159354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PJ1201 Withdrawal of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3-apl-PJ120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PJ1201 Withdrawal of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3-apl-PJ120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44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813

Effective date: 202302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21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21

Effective date: 20230213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230213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Ground Text : 1295694

Appeal request date: 20210813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21100002442

Decision date: 20230213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1295694

Appeal request date: 20210721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211000022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67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214

Effective date: 20230329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230329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1295694

Appeal request date: 20211214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21100003677

PJ2001 Appe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2-crt-PJ2001

PJ2001 Appe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2-crt-PJ2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109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403

Effective date: 20231109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2

Decision date: 20231109

Decision identifier: 2023200011104

Decision authority category: National patent court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Ground Text : 20212442 (1295694 )

Appeal request date: 20230403

Appellate body name: Patent Court

Decision text: .(1. 1295694 2 .)

Decision date: 20231109

Decision identifier: 2023200011098

Decision authority category: National patent court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20212218 (1295694)

Appeal request date: 20230403

Appellate body name: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176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523

Effective date: 20240613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2

Decision date: 20240613

Decision identifier: 2023200011760

Decision authority category: National patent court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20213677 (1295694)

Appeal request date: 20230523

Appellate body name: Patent Cour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