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210B1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8210B1 KR101298210B1 KR1020070032954A KR20070032954A KR101298210B1 KR 101298210 B1 KR101298210 B1 KR 101298210B1 KR 1020070032954 A KR1020070032954 A KR 1020070032954A KR 20070032954 A KR20070032954 A KR 20070032954A KR 101298210 B1 KR101298210 B1 KR 101298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 data
- face
- mode
- face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촬영 모드에서 얻어진 전체 영상 데이터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검색되면, 재생 모드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인덱스 영상이 전체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hotographing mode and a reproduction mode are performed. Here, when at least one face region is found in the entire image data obtained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index image of the face reg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entire image in the reproduction mod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op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FIG. 2 is a rear view showing a rear outer shap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FIG.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main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of FIG.
도 5는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에서 인물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도 4의 촬영 모드 수행 단계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gorithm of the photographing mode performing step of FIG. 4 when the person photographing mode is set in the performing of the setting mode of FIG. 4.
도 6은 도 5의 알고리듬이 수행됨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에 형성되는 영상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mage file formed on a memory card by performing the algorithm of FIG. 5.
도 7은 재생 모드에서 도 6의 영상 파일이 선택된 경우의 재생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layback algorithm when the video file of FIG. 6 is selected in the playback mode.
도 8은 도 5의 영상 포착 단계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tir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capturing step of FIG. 5.
도 9는 도 7의 단계 S701의 수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by performing step S701 of FIG. 7.
도 10 및 11은 도 7의 단계들 S705, S707, 및 S709의 수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and 11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by performing steps S705, S707, and S709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1 ... digital camera, 11 ... self-timer lamp,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12 ... flash, 13 ... shutter release button,
15...기능 버튼들, 16...ASR 모드 버튼,15 ... function buttons, 16 ... ASR mode button,
17...전원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2...카메라-상태 램프,17 ... power button, 19 ... flash-light sensor, 20 ... lens, 22 ... camera-status lamp,
23...특수-효과 버튼, 24...카메라 끈걸이,23 ... special-effect button, 24 ... camera strap hook,
25...이어폰 연결부, MIC...마이크로폰, 25 ... earphone connection, MIC ... microphone,
SP...스피커, 35...디스플레이 패널, SP ... speaker, 35 ... display panel,
36...+/- 버튼, 39...줌/9분할/볼륨 버튼,36 ... + / - button, 39 ... Zoom / 9 split / volume button,
42...재생/프린터 버튼, 43...모드 버튼,42 ... play / printer button, 43 ... mode button,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OPS ... Optical system, OEC ...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M Z ... Zoom motor, M F ... Focus motor,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M A ... aperture motor, 501 ... analog-to-digital converter,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502 ... timing circuit, 503 ... real time clock,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62...플래시 메모리, 91...스크린 영상,504 ... DRAM, 505 ... EEPROM, 506 ... memory card interface, 507 ... digital camera processor, 508 ... RS232C interface, 509 ... video filter, 21a ... USB connection, 21b ... RS232C connection, 21c ... video output, 510 ... lens driver, 511 ... flash controller, 512 ... microcontroller, INP ... user input, LAMP ... light emitter, 513 ... audio processor, 514 ... LCD driver, 62 ... flash memory, 91 ... screen image,
921, 922...얼굴 영상, 102, 112...인덱스 영상,921, 922 face image, 102, 112 index image,
101, 111...전체 영상 데이터에 의한 확대된 얼굴 영상.101, 111 ... Enlarged face image by full image data.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hotographing mode and a reproduction mode are performed.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97,431호(발명의 명칭 : Method and system for reviewing and navigating among images on an image capture unit)의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다.As a typic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of U.S. Patent No. 6,097,431 (entitled "Method and system for reviewing and navigating among images on an image capture unit") is exemplified.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가 수행된다. 촬영 모드에서 인물들이 촬영되는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상태를 자세히 보기 위하여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을 확대하여 볼 필요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e reproduction mode are performed. When people ar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user needs to enlarge the face area of any one person in the reproduction mode in order to see in detail the face state of at least one person.
하지만,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을 확대하여 보려면, 사용자는 상당한 시간 동안에 방향 버튼들 및 줌(zoom) 버튼들을 계속 조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체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을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빠르게 확대할 수 없다.However, in order to enlarge the face area of a person in the entir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continuously operate the direction buttons and the zoom buttons for a considerable time. That is, the face area of any person in the entire image may not be quickly enlarged by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을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빠르게 확대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quickly enlarge a face area of a person in a whol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by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촬영 모드에서 얻어진 전체 영상 데이터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검색되면, 상기 재생 모드에서 상기 얼굴 영역의 인덱스 영상이 전체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e reproduction mode are performed. Here, when at least one face region is found in the entire image data obtained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index image of the face reg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entire image in the reproduction mode.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얼굴 영역의 인덱스 영상을 단순히 선택함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의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이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빠르게 확대되어 디스플레 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face region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s the user simply selects the index image of the face region. That is, the face region of any one of the entire images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may be quickly enlarged and displayed by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 및 위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 버튼(13), ASR(Advanced Shake Reduction)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렌즈부(20),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또한,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광을 발생시킨다.The self-
ASR 모드 버튼(16)은 손떨림을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ASR 모드 버튼(16)은 잠금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ASR 모드 버튼(16)이 1초 미만으로 눌려진 경우에 손떨림 보상 기능이 수행되고, ASR 모드 버튼(16)이 1초 이상으로 눌려진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의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The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2 신호가 온(On)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SH2 신호가 온(On) 신호가 눌려진 후에 영상이 포착된다. 연 속-촬영 모드에서는 SH1 신호가 온(On)되고 있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영상이 포착된다.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기능 버튼들(15), 카메라-상태 램프(22), 특수-효과 버튼(23), 카메라 끈걸이(24), 이어폰 연결부(25), 디스플레이 패널(35),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이 있다.2, a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되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대상의 파일 및 기록 매체를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The
카메라-상태 램프(22)는 카메라의 각종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23)은 촬영될 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 버튼(36)은 야경 촬영 등을 위하여 셔터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The camera-
줌/9분할/볼륨 버튼(39)은, 촬영 또는 재생 모드에서 주밍(zooming) 동작을 수행하는 데, 또는 재생 모드에서 9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또는 오디오의 볼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The zoom / 9split /
재생/프린터 버튼(42)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The reproduction /
모드 버튼(43)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프리뷰(Pr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줌/9분할/볼륨 버튼(39)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por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zoom / 9 division /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Meanwhile, in the automatic focusing mode, the main controller built in the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및 카메라-상태 램프(22) 등이 포함된다.The light-emitting section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from the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기능 버튼들(15), ASR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특수-효과 버튼(23),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 등이 포함된다.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es a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MCI, 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플래시 메모리(FM)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들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이 착탈된다.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인터페이스부(2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 controller 5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shows a main algorithm of the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When operation power is applied to the
다음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 Next, when the SH1 signal as the first stage signal from the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Next, whe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mode are input from the input signals from the user input unit INP (step S5), a setting mode for set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s from the user input unit INP is performed (Step S6).
한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단계 S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On the other hand, if no termination signal is generated (step S7), the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 예를 들어, 재생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모드를 수행(단계 S9)한 후에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If no conversion signal to another mode is generated in step S8, the
도 5는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에서 인물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도 4의 촬영 모드 수행 단계의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3 및 5를 참조하여, 도 5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5 shows an algorithm of performing a shooting mode of FIG. 4 when the person photographing mode is set in the performing of the setting mode of FIG. 4. 3 and 5, the algorithm of FIG. 5 will be described.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사용자-얼굴 검출부(48)의 프리뷰(Preview) 영상 데이터로부터 현재 윤곽 정보를 구한다(단계 S601). 즉, 보조 CDS-ADC 소자(47)로부터의 프리뷰(Preview) 영상 데이터로부터 현재 윤곽 정보를 구한다.Firs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01).Next, the
상기 단계 S501에서 SH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 세서(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03).If the SH2 signal is not On in step S501, the
상기 단계 S503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의 촬영 의도가 있으므로, 상기 단계 S501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단계 S503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사용자의 촬영 의도가 없어졌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본 알고리듬의 실행을 종료한다.If the SH1 signal, which is the first-stage signal from the
상기 단계 S501에서 SH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완전히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If the SH2 signal is On in step S501, since the user presses the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메모리 카드에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505).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영상을 포착한다(단계 S507).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DRAM(504)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DRAM(5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전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의 윤곽 정보를 구한다(단계 S509). 여기에서, 잘 알려져 있는 윤곽 인식 알고리듬이 사용된다. 요약하면, 인접 화소들 사이의 계조 차이에 따라 윤곽 여부를 결정한다. 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얼굴의 윤곽 정보에 따라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구한다(단계 S511).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얼굴 영역에 대한 인덱스 영상의 데이터로서의 얼굴 영상 데이터, 전체 영상에 대한 인덱스 영상의 데이터로서의 인덱스 영상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칼라 LCD 패널(35)의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전체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낮추어진 스크린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단계 S513). Next, the
물론, 얼굴 영역에 대한 인덱스 영상의 데이터로서의 얼굴 영상 데이터는 상기 단계 S511에서 얻어진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얼굴 영역의 전체 데이터로부터 구해진다.Of course, the face image data as data of the index image for the face region is obtained from the total data of the face region by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ace region obtained in step S511.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전체 영상 데이터를 압축한다(단계 S515). Nex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517). 여기에서, 상기 얼굴 영상 데이터, 인덱스 영상 데이터, 스크린 영상 데이터, 및 압축된 전체 영상 데이터가 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물론, 단계 S511에서 구해진 상기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도 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Next, the
도 6은 도 5의 알고리듬이 수행됨에 의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형성되는 영상 파일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6의 영상 파일의 구조는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제12,234-1호의 디지털 카메 라의 권고 영상 포맷을 따른 EXIF(EXchangeable Image File)의 포맷을 이용한 것이다. FIG. 6 shows the structure of an image file formed on a memory card as a recording medium by the algorithm of FIG. 5 being performed. The structure of the image file of FIG. 6 uses the format of an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ed image format of the digital camera of No. 12,234-1 of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도 2의 메모리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영상 파일들 각각에서, 영상 파일의 시작을 알리는 데이터의 영역(M1), 제1 응용 영역(M2), 제2 응용 영역(APP2), 압축 테이블 영역(M11 내지 M15), 전체 영상 데이터(JPEG 압축 데이터) 영역(M16), 스크린 영상 데이터 영역(M17), 인덱스 영상 데이터 영역(M18), 제1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19), 제2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20), 및 영상 파일의 끝을 알리는 데이터의 영역(M21)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전체 영상에서 2 개의 얼굴 영역들이 존재한다는 전제이므로, 제1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19)과 제2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20)이 존재한다.5 and 6, in each of the conventional image files formed in the memory card of FIG. 2, the data area M1, the first application area M2, and the second application area indicating the start of the video file. (APP2), compression table regions M11 to M15, all image data (JPEG compressed data) region M16, screen image data region M17, index image data region M18, first face image data region M19 ), A second face image data area M20, and an area M21 of data indicating the end of the image file are formed in this order. Here, since there are two face regions in the entire image, the first face image data region M19 and the second face image data region M20 exist.
제1 응용 영역(M2)에는 영상 파일의 기본적 정보라 할 수 있는 태그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태그 정보 데이터에는 단계 S511에서 구해진 얼굴 영역들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Tag information data, which is referred to as basic information of an image file, is stored in the first application area M2. This tag information data includ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ace regions obtained in step S511.
제2 응용 영역(APP2)에는 컨텐츠 목록 데이터(M3) 및 스트림 데이터(M4 내지 M10)가 저장된다. The content list data M3 and the stream data M4 to M10 are stored in the second application area APP2.
압축 과정의 정보가 저장된 JPEG 테이블 영역(M11 내지 M15)은 DQT(Define-Quantization-Tables) 영역(M11), DHT(Define-Huffman-Tables) 영역(M12), DRI(Define-Restart-Interval) 영역(M13), SOF(Discrete Cosine Transform Frame) 영역(M14), 및 SOS(Start-Of-Scan) 영역(M15)을 포함한다.The JPEG table areas M11 to M15 i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compression process are stored are defined as a fine-quantization-tables (DQT) area (M11), a fine-Huffman-Tables (DHT) area (M12), and a fine-restart-interval (DRI) area. (M13), a discrete cosine transform frame (SOF) region M14, and a start-of-scan region M15.
압축 데이터 영역(M16)에는 상기 압축 과정의 정보에 따라 전체 영상 데이터 가 압축된 결과의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compressed data area M16 stores data of a result of compressing the entir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mpression process.
스크린 영상 데이터 영역(M17)에는 상기 단계 S513에서 구해진 스크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칼라 LCD 패널(35)의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전체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낮추어진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The screen image data obtained in the step S513 is stored in the screen image data area M17.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image data refers to image data in which the resolution of the entire image data is lower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인덱스 영상 데이터 영역(M18)에는 상기 단계 S513에서 구해진 인덱스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덱스 영상 데이터는 전체 영상에 대한 인덱스 영상의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index image data area M18 stores the index image data obtained in step S513. As described above, the index image data refers to the data of the index image for the entire image.
제1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19)과 제2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20)에는 상기 단계 S513에서 구해진 얼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 영상 데이터는 얼굴 영역에 대한 인덱스 영상의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face image data obtained in step S513 is stored in the first face image data region M19 and the second face image data region M20. As described above, the face image data means data of an index image of a face region.
도 7은 재생 모드에서 도 6의 영상 파일이 선택된 경우의 재생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5의 영상 포착 단계(S507)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7의 단계 S701의 수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10 및 11은 도 7의 단계들 S705, S707, 및 S709의 수행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준다.FIG. 7 shows a playback algorithm when the video file of FIG. 6 is selected in the playback mode. 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entir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capturing step S507 of FIG. 5. FIG. 9 shows a screen displayed by performing step S701 of FIG. 7. 10 and 11 show screens displayed by performing steps S705, S707, and S709 of FIG. 7.
도 9 내지 11에서 참조 부호 91은 스크린 영상을, 921 및 922는 얼굴 영상들을, 102 및 112는 인덱스 영상들을, 그리고 101 및 111은 전체 영상 데이터에 의한 확대된 얼굴 영상들을 가리킨다.In FIGS. 9 to 11,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재생 모드에서 도 6의 영상 파일이 선택된 경우의 재생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to 11, a playback algorithm when the video file of FIG. 6 is selected in the playback mode will be described.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스크린 영상(도 9의 91)과 얼굴 영상들(921, 922)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1).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스크린 영상 데이터 영역(M17)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린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영상(도 9의 91)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19)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얼굴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1 얼굴 영상(921)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2 얼굴 영상 데이터 영역(M19)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얼굴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2 얼굴 영상(922)을 디스플레이한다. First,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얼굴 영상(921) 또는 제2 얼굴 영상(922)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03). 이 단계 S703및 그 이후의 단계들(S705 내지 S709)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711). 단계 S703에서 어느 한 얼굴 영상이 선택되었으면 단계들 S705 내지 S709가 수행된다.Next, the
단계 S705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얼굴 영상에 해당되는 얼굴 영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전체 영상 데이터(M16)로부터 얼굴 영역의 원래의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In operation S705, the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구해진 얼굴 영역의 원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얼굴 영역의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7, 도 10 및 11의 101 및 111 참조).Next, the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인덱스 영상(도 10 또는 11의 102 또는 112)을 디스플레이하고, 확대 디스플레이된 얼굴 영역을 인덱스 영상(102 또는 112)에 마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확대되어 있는 영상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얼굴 영역의 인덱스 영상을 단순히 선택함에 따라 얼굴 영역의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전체 영상 중에서 어느 한 인물의 얼굴 영역이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빠르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f the face region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s the user simply selects an index image of the face region. That is, the face region of any person among the entire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may be rapidly enlarged and displayed by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2954A KR101298210B1 (en) | 2007-04-03 | 2007-04-03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32954A KR101298210B1 (en) | 2007-04-03 | 2007-04-03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90023A KR20080090023A (en) | 2008-10-08 |
| KR101298210B1 true KR101298210B1 (en) | 2013-08-22 |
Family
ID=401514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329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8210B1 (en) | 2007-04-03 | 2007-04-03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9821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11272B1 (en) * | 2009-07-15 | 2011-01-26 |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 Multi-User Access Restriction Method of Access Control Syste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65786A (en) * | 2003-01-16 | 2004-07-2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50037725A (en) * | 2003-10-20 | 2005-04-25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KR20060082187A (en) * | 2005-01-11 | 2006-07-1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ve index reproduc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thod |
-
2007
- 2007-04-03 KR KR1020070032954A patent/KR1012982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65786A (en) * | 2003-01-16 | 2004-07-2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50037725A (en) * | 2003-10-20 | 2005-04-25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KR20060082187A (en) * | 2005-01-11 | 2006-07-1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ve index reproduc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90023A (en) | 2008-10-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5552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earch-going function | |
| US10334336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 KR101345290B1 (en) |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 KR101396341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moving-picture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 KR101335626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user's face is monitored | |
| US7760240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 KR101298210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searched | |
| KR10130446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 |
| KR100515959B1 (en) |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for user having defective sight | |
| KR101373014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managing fa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 KR101345292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efficiently searche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 KR101345291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still image is efficiently searched from moving image | |
| KR101351579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nient setting of white balance | |
| KR10129864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efficiently searched | |
| KR10133372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still images are efficiently captured from moving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 KR101320614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composite photographing is performed | |
| KR10136453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moving-picture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 KR101372855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user's face is monitored | |
| US20060023083A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 KR101329747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moving-picture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 |
| KR101359713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8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