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363B1 -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 Google Patents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4363B1 KR101304363B1 KR1020120034045A KR20120034045A KR101304363B1 KR 101304363 B1 KR101304363 B1 KR 101304363B1 KR 1020120034045 A KR1020120034045 A KR 1020120034045A KR 20120034045 A KR20120034045 A KR 20120034045A KR 101304363 B1 KR101304363 B1 KR 101304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ist
- support
- pillow
- cushion material
- suppor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형 허리베개는 취침자의 누운 자세에 따른 등 및 허리와 바닥의 높이 차와, 등과 허리의 굴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허리베개의 등부분과 좌·우 부분을 받치는 쿠션부의 높이 및 굴곡을 달리한 가변형 허리베개에 관한 것으로, 벨트부(10)와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20)와 좌측 허리를 받치는 좌측허리받침부(30)와 우측 허리를 받치는 우측허리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위별 높이조절패드를 제공하여, 각 개인의 신체 크기에 맞게 높이와 굴곡을 조절할 수 있으며, 등뿐만이 아닌 양측 허리에 대해서도 척추를 지지해주어, 반듯이 누웠을 때는 척추가 지면에 대해 S곡선의 형태가 되도록 유지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척추가 지면에 대해 일자의 형태가 되도록 유지하여, 어떤 자세로 누워도 척추가 서있을 때와 같은 바른 상태를 유지하여 척추를 보호하며, 쿠션재의 재질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척추를 지지하면서도 등 및 허리의 주변부의 착용감이 좋으며, 벨트로 허리에 고정이 되어 자세를 바꾸더라도 착용상태가 유지되어 수면중에 쾌적하고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heights and bends of the cushioning part supporting the back part and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waist pillow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back, the waist and the floo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ck and the waist flexion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of the sleeping person. One variable waist pillow, including a belt portion 10 and the backrest 20 for supporting the back and the left waist support 30 for supporting the left waist and the right waist support 40 for supporting the right waist By providing a height-adjusting pad for each par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flexion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individual body, and to support the spine not only on the back but also on both sides of the waist. Keep it in shape, and when it is on its side, keep your spin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it stays in the same state as when your spine is standing in any position. It protects the spine and makes various materials of cushioning material to support the spine while supporting the spine, and it is good to wear around the back and waist.It is fixed to the waist with a belt, so even if the posture is changed, the wearing condition is kept comfortable and comfortable during sleep. It is effective to maintain the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허리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침자의 누운 자세에 따른 등 및 허리와 바닥의 높이 차와, 등과 허리의 굴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체압분산 및 체형지지를 위해 허리베개의 탄성조합을 부위별로 달리 적용하고, 등부분과 좌·우 부분을 받치는 쿠션부의 높이 및 굴곡을 달리하고, 허리베개의 쿠션부 하단에 설치하는 높이 조절용패드에 의해 허리베개의 높이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aist pillow, more specifically, the elasticity of the waist pillow for body pressure dispersion and body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back, waist and floor, and the back and waist flexion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of the sleeping person The combination is applied differently for each part, and the height and curvature of the cushion part supporting the back part and the left and right parts are different, and the height of the waist pillow can be partially or totally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pad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ushion part of the waist pillow. It relates to a user-customizable variable waist pillow.
하루 24시간 중 잠자는 시간이 여덟 시간이라면 일생동안 1/3은 잠으로 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잠은 하루 종일 지친 심신을 쉬게 해줄 뿐만 아니라 재충전의 시간이며, 잠을 자지 않으면 배터리가 나간 것과 같이 모든 활동에 지장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큰 고통을 느끼게 된다. 건강을 위해서는 충분히 잠을 자야 하며 잘 때만은 적어도 가능한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f you spend eight hours of sleep in 24 hours a day, you will spend 1/3 of your life sleeping. Sleep not only rests your tired body and body all day, it's time to recharge, and if you don't sleep, you're not only disturbed by all your activities like the batteries are running out, but you also feel great pain. You need to sleep well enough to stay healthy, and at least sleep when possible.
잠자는 습관은 반듯이 자거나, 엎드려서, 또는 옆으로 자는 등 다양하며 어떤 자세로 자는 것이 숙면을 취하고 일어났을 때 상쾌한 기분을 주는가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올바른 수면자세는 사람이 서 있을 때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누웠을 때에도 유지하는 것으로, 누웠을 때에도 경추(목뼈)는 C자형 곡선을 유지하고 척추는 S자형 곡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서있을 때와는 달리 누웠을 때는 중력에 의해 복부 및 척추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S형을 유지하더라도 척추 및 허리부위의 근육에 피로감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Sleeping habits vary by sleeping, lying on your side, or sleeping sideways, and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how sleeping in a good mood gives you a good night's sleep when you wake up and get a good night's sleep. The natural posture should be maintained when lying down, and when lying down, the cervical spine (neckbone) should maintain a C curve and the spine should maintain an S curve. However, unlike when standing, because the abdomen and spine is pulled downward by grav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tigue of the muscles of the spine and waist area is accumulated even if the S-type.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허리용 베개 및 쿠션을 사용하여 허리를 받쳐주면 되고, 종래의 발명으로는 허리벨트쿠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71호)과 허리베개(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725호)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waist by using a waist pillow and cushion, and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 waist belt cushio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8171) and the waist pillow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09725).
상기 종래의 허리벨트쿠션(이하 비교발명 1이라 함)은 취침할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므로 그러한 움직임에도 허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단에 벨크로테잎이 부착된 탄성부재 벨트의 중심위에 쿠션을 삽입 봉재하여 일체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The conventional waist belt cush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ative Invention 1) moves the body to sleep around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waist even in such a movement, as shown in Figure 1 of the elastic member belt attached to the Velcro tape at both ends It is characterized by integrally formed by inserting the cushion rod on the center.
상기 종래의 허리베개(이하 비교발명 2라 함)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개의 충진부를 형성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다수군데 맞봉제된 충진부에 충진물이 충진된 지지내피와, 중앙에 상기 지지내피가 수용되는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 양측에는 길이조절을 위해 신축밴드가 마련되며, 단부에 벨크로가 마련된 부착부가 상기 신축밴드에서 연장 형성된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조절패드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충진부에 다양한 충전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e conventional waist pil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ative Invention 2), as shown in Figure 2, in the center and the support endothelial filled with fillings in the filling portion stitched in multiple transverse directions to form a plurality of fillings, A pocket portion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upporting endothelial, and both sides of the pocket portion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for length adjustment, and an attachment portion provided with a velcro at an end includes a waist belt extending from the elastic band, and a height adjustment pa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using,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use a variety of filling in the filling part.
비교발명 1과 비교발명 2는 보편적으로는 척추 건강에 가장 좋은 자세인 반듯하게 누워서 자는 경우를 고려한 형태로,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경우에는 허리를 충분히 지지해 줄 수 없다. 비교발명 1와 비교발명 2를 원래대로 실시할 경우 단순한 쿠션을 허리에 받친 것으로 옆으로 누웠을 때는 전혀 허리를 지지해 주지 못하며, 설령 쿠션의 좌우 길이를 늘려서 허리의 양 측면까지 모두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등과 허리의 굴곡과 높이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런 미세한 차를 고려하지 않으면 쿠션이 바닥부분에 닿지 않을 때에는 쓰지 않는 것과 차이가 없거나, 쿠션과 바닥의 차이가 등 또는 허리의 차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오히려 척추가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척추가 휘어져서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반듯이 누워서 자는 것이 가장 바른 자세라고는 하지만, 임산부나 배가 나온 사람같은 경우는 옆으로 자는 것이 오히려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실제로 수면 시에 반듯하게 누운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가 바닥에 오랜 시간 접촉하여 눌려서 피가 통하지 않고, 땀에 의해 짓무르는 경우도 있으며, 고정된 상태로 근육이 경직되어 수면 후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기 때문에, 척추, 피부, 근육의 전체적인 건강을 위해서는 오히려 수면 중에 자세를 바꾸어주는 것이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It is also the best position to sleep while lying down, but if you are pregnant or have a stomach, sleeping on your side will not hurt your spine. It may be pressed for a long time by contact with the blood and it may not be bleeding, or it may be crushed by sweat, and the muscles become rigid in a fixed state, causing pain after sleep. Changing your posture can help you get a good night's sleep.
이렇게 옆으로 누워서 잘 때는 경추와 척추가 지면을 기준으로 같은 높이로 일자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자세인데, 반듯하게 누웠을 때와 마찬가지로 중력에 의해 척추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척추가 아래쪽으로 쳐져서 휘어지거나, 경추와 척추가 일자를 유지하더라도 척추 및 허리부위의 근육에 피로감이 쌓이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까지 보완해주는 허리베개를 사용한다면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the correct posture when lying on the side and keeping the cervical spine and spine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spine is bent downward by bending because gravity is pulled downward, just as when lying down. Even if you lose or maintain the cervical spine and spine, the muscles of the spine and back will accumulate, so if you use a back pillow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you will be able to get a good night's sleep regardless of your posture.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허리베개는 취침자의 누운 자세에 따른 등 및 허리와 바닥의 높이 차와, 등과 허리의 굴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허리베개의 등부분과 좌·우 부분을 받치는 쿠션재의 높이 및 굴곡을 달리하였으며, 허리베개의 쿠션재 하단에 설치하는 높이 조절용패드에 의해 허리베개의 높이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인 조절이 가능하며, 쿠션재의 재질을 부위별로 달리 적용하여 지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벨트부를 이용하여 수면시 자세를 바꾸더라도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가변형 허리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back, the waist and the floo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ck and the waist flexion according to the sleeping position of the sleeper, and the height and the flex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supporting the back and left and right parts of the waist pillow. The height adjustment pad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ist pillow cushion material can adjust the waist pillow's height partially or totally.The material of the cushion pillow is applied differently for each part to provide excellent support and comfortable f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waist pillow in which the wearing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osture is changed by using the belt pa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허리베개는, 벨트부(10)와;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20)와; 좌측 허리를 받치는 좌측허리받침부(30)와; 우측 허리를 받치는 우측허리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부(10)는,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가 고정지지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양 끝단에서 연장되는 허리밴드(12)와; 상기 허리밴드(1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11) 및 허리밴드(12)를 허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ariable wais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허리베개는, 상기 벨트부(10)로 허리를 감싸 착용하였을 때,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가 내부에 허리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되고, 배 쪽이 개방되어있는 둥근 기둥의 형태가 되며, 상기 등받침부(20)는, 등에 대응되는 형태로 등을 받쳐주는 등쿠션재(21);와 상기 등쿠션재(21);의 형상에 대응되는 등외피(22);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허리받침부(30)는, 좌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좌측 허리를 받쳐주는 좌측허리쿠션재(31);와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의 형상에 대응되는 좌측외피(32);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는, 우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우측 허리를 받쳐주는 우측허리쿠션재(41);와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의 형상에 대응되는 우측외피(42);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외피(42)와 등외피(22), 상기 등외피(22)와 좌측외피(32)는 서로 재봉 및 고주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orn around the waist with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허리베개는, 상기 등외피(22)와 상기 등쿠션재(2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등높이조절용패드(23)와; 상기 좌측외피(32)와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좌측높이조절용패드(33)와; 상기 우측외피(42)와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우측높이조절용패드(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허리베개에 있어서, 상기 등쿠션재(21), 좌측허리쿠션재(31), 우측허리쿠션재(41)의 하부는 체형 유지를 위해 체압을 지지할 수 있는 중탄성체의 재질이며 상부는 체압 분산을 위한 저탄성체의 재질이며, 상기 등높이조절용패드(23), 좌측높이조절용패드(33), 우측높이조절용패드(43)는 높이조절용으로 고탄성체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허리베개는 등 및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이며, 부위별 높이조절패드를 제공하여, 각 개인의 신체 크기에 맞게 높이와 굴곡을 조절할 수 있으며, 등뿐만이 아닌 양측 허리에 대해서도 척추를 지지해주어, 반듯이 누웠을 때는 척추가 지면에 대해 S곡선의 형태가 되도록 유지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척추가 지면에 대해 일자의 형태가 되도록 유지하여, 어떤 자세로 누워도 척추가 서있을 때와 같은 바른 상태를 유지하여 척추를 보호하며, 쿠션재의 재질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척추를 지지하면서도 등 및 허리의 주변부의 착용감이 좋으며, 벨트로 허리에 고정이 되어 자세를 바꾸더라도 착용상태가 유지되어 수면중에 쾌적하고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ck and waist, by providing a height-adjusting pad for each par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flexion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each individual, spine not only on the back but also on both sides waist When lying down, keep the spine in the form of an S-curv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when lying on its side, keep the spin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gainst the ground, as if the spine is standing in any position. It protects the spine by maintaining the state, and by making various materials of cushioning material for each part, it supports the spine, and it is good to wear around the back and waist, and it is fixed to the waist with a belt and the wearing state is maintained even if the posture is changed. The effect is to maintain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te.
도 1은 종래의 허리벨트쿠션(비교발명1)의 사시도.
도 2은 종래의 허리베개(비교발명2)의 분리 사시도.
도 3(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허리베개의 사시도.
도 4(a),(b)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벨트부의 사시도.
도 5(a),(b)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등받침부, 좌측허리받침부, 우측허리받침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의 평면도.
도 7(a)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등받침부의 수평 단면도.
도 7(b)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좌측허리받침부의 수평 단면도.
도 7(c)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우측허리받침부의 수평 단면도.
도 8(a)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우측허리받침부의 수직 단면도.
도 8(b)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에 적용되는 등받침부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의 정면도.
도 10(a),(b)는 사용자가 도 3의 가변형 허리베개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aist belt cushion (comparative invention 1).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aist pillow (comparative invention 2).
Figure 3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wais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lt portion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Figure 5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upport, left waist support, right waist suppor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ure 3;
6 is a plan view of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Figure 7 (a)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 suppor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Figure 7 (b)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waist suppor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ure 3.
Figure 7 (c)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waist suppor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ure 3.
Figure 8 (a)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waist suppor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8 (b)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applied to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variable waist pillow of FIG.
Figure 10 (a), (b)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a variable waist pillow of Figure 3;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허리베개(이하 허리베개라 함)의 사시도로, 3(a)는 상기 허리베개를 일자로 펼친 모습이며, 3(b)는 상기 허리베개를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의 형태와 같은 모습이며, 상기 허리베개는 벨트부(10),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로 구성된다.
Figure 3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waist pil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is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is a state in which the waist pillow unfolded, 3 ( b) is the same as the shape when the user wears the waist pillow, the
상기 벨트부(10)는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가 고정지지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양 끝단에서 연장되는 허리밴드(12)와, 상기 허리밴드(1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11) 및 허리밴드(12)를 허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으로 구성된다. 도4(a)는 상기 벨트부(10)를 일자로 펼친 모습이며, 착용시에는 도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수단(13)으로 상기 허리밴드(12)의 양 끝단을 결합하여 허리베개로 허리를 둥글게 감싸서 고정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는 일자로 펼쳤을 때는 도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허리받침부(40),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순으로 나란히 연결된 형태이며, 사용시에는 도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허리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되고, 배 쪽이 개방되어있는 둥근 기둥(타원 기둥, 또는 모서리에 곡면이 있는 사각 기둥)의 형태이며, 이때 둥근 기둥의 둘레 크기는 사용자의 몸통 중 가장 굵은 부분의 둘레와 일치하거나 그 이하여야 한다.
When the
도 6은 상기 허리베개의 평면도로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의 등 및 허리에 맞닿는 반대쪽 면은 상기 벨트부(10)의 지지대(11)에 부착되며, 도 7은 상기 허리베개를 수평 방향(착용시 몸통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등받침부(20)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에 대응되는 형태로 등을 받쳐주는 등쿠션재(21)와, 상기 등쿠션재(21)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등쿠션재(21)를 감싸는 등외피(22)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허리받침부(30)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좌측 허리를 받쳐주는 좌측허리쿠션재(31)와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를 감싸는 좌측외피(32)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우측 허리를 받쳐주는 우측허리쿠션재(41)와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를 감싸는 우측외피(42)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외피(42)와 등외피(22), 상기 등외피(22)와 좌측외피(32)는 일자로 펼쳤을 때 맞닿는 모서리가 서로 결합되며, 이때 재봉 및 고주파 접착방식을 사용하며, 접착방식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
6 is a plan view of the waist pillow, the right waist support
상기 쿠션재(21, 31, 41)는 탄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경도와 탄성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The
바람직하게는 허리 및 등을 잘 받쳐주면서도 압박을 받지 않고 편안함을 느끼도록 상기 쿠션재(21, 31, 41)의 하부는 체형 유지를 위해 체압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경도의 중탄성체의 재질을 적용하되 상부는 체압 분산을 위해 다소 낮은 경도의 저탄성체(메모리폼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의 재질을 적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쿠션재(21, 31, 41)의 부위별로 경도를 달리하여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21, 31, 41) is applied to the elastic material of a sufficient hardness to support the body pressure to maintain the body shape to feel comfort without being pressed while supporting the waist and back well The upper part applies a material of low elasticity (which may use a memory foam, etc.) of a somewhat low hardness for dispersing body press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cases, the hardness of each of the
도 8은 상기 허리베개를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를 수직방향(착용시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8(b)는 상기 등받침부(20)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illow is vertically cut, FIG. 8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는 허리 및 등에 맞닿는 부분이 수평 방향의 단면은 허리 및 등을 둥글게 감싸는 오목한 형태이며, 수직 방향으로는 허리 및 등의 굴곡에 맞도록 볼록한 형태로 인체에 가장 적합한 형태이다. 또한 높이 조절용패드(23, 33, 43)를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쿠션재(21, 31, 41)의 외측에 부착하는 경우, 허리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쿠션재(21, 31, 41)의 내측에 부착하는 경우 허리베개의 굴곡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높이 조절용패드(23, 33, 43)는 각 쿠션재(21, 31, 41)에 각각 따로 부착할 수 있고, 부착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 비율에 따라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경도와 탄성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용패드(23, 33, 43)는 높이조절용으로 다소 높은 경도의 고탄성체의 재질을 적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조절용패드(23, 33, 43)의 부위별로 경도를 달리하여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7 to 8, the right
상기 쿠션재(21, 31, 41) 및 조절용패드(23, 33, 43)의 고탄성, 중탄성, 저탄성은 경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는데, 고탄성체는 제품의 경도가 30~60(Asker F), 볼리바운드 탄성율 30~60% 범위의 폴리우레탄 폼이고, 중탄성체는 제품의 경도가 20~40(Asker F), 볼리바운드 탄성율 10~30% 범위의 폴리우레탄 폼이고, 저탄성체는 제품의 경도가 10~25(Asker F), 볼리바운드 탄성율 2~15% 범위의 폴리우레탄 폼을 말한다.
The high elasticity, the medium elasticity, and the low elasticity of the cushioning material (21, 31, 41) and the control pads (23, 33, 43) ar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hardness, the high-elasticity of the
도 9는 상기 허리베개의 정면도이며, 도 10(a),(b)는 상기 허리베개를 사용자가 착용한 실시예이다. 도 10(a)는 옆으로 누웠을 때 착용자의 허리 아래쪽에서 좌측허리받침부(30)가 허리를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좌측허리받침부(30)는 착용자의 허리를 지지함으로써 척추가 좌우로 휘어지지 않도록 바른자세를 유지하여 주고, 도 10(b)는 반듯이 누웠을 때 착용자의 등 아래쪽에서 등받침부(20)가 등을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착용자의 허리의 높이 및 굴곡진 정도에 맞도록 지지함으로써 척추를 S로 유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9 is a front view of the waist pillow, Figure 10 (a), (b)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wears the waist pillow. 10 (a) shows that the
비교발명1 및 비교발명2와 비교하여 보면, 상기 비교발명은 원래대로 실시할 경우 단순한 쿠션을 허리에 받친 것으로 옆으로 누웠을 때는 전혀 허리를 지지해 주지 못하며, 쿠션의 좌우 길이를 늘려서 허리의 양 측면까지 모두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형태가 단순히 모든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이기 때문에 허리를 둥글게 감싸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높이조절패드가 등 및 허리의 각 부위별로 구분이 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허리 및 등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허리베개는 이러한 종래 허리베개 및 쿠션의 단점을 보완하여, 쿠션의 형태를 인체의 형태에 맞는 모양으로 제작하고, 등 및 허리의 3면에 따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허리베개이다.
Compared with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벨트부 11 : 지지대
12 : 허리밴드 13 : 고정수단
20 : 등받침부 21 : 등쿠션재
22 : 등외피 23 : 등높이조절용패드
30 : 좌측허리받침부 31 : 좌측허리쿠션재
32 : 좌측외피 33 : 좌측높이조절용패드
40 : 우측허리받침부 41 : 우측허리쿠션재
42 : 우측외피 43 : 우측높이조절용패드10
12: waist band 13: fixing means
20: backrest 21: back cushion material
22: outer shell 23: back height adjustment pad
30: left waist support part 31: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2: left outer jacket 33: left height adjustment pad
40: right waist support portion 41: right waist cushion material
42: right outer cover 43: right height adjustment pad
Claims (4)
벨트부(10)와;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20)와;
좌측 허리를 받치는 좌측허리받침부(30)와;
우측 허리를 받치는 우측허리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부(10)는,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가 고정지지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양 끝단에서 연장되는 허리밴드(12)와;
상기 허리밴드(1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11) 및 허리밴드(12)를 허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허리베개.
In the back pillow to support the waist when sleeping,
A belt portion 10;
A backrest 20 for supporting the back;
A left lumbar support 30 which supports the left waist;
Right waist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right waist; ≪ / RTI >
The belt unit 10,
A support (11) on which the backrest (20), the left waist support (30), and the right waist support (40) are fixed and supported;
A waist band 12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11;
A fixing means 13 positioned at an end of the waist band 12 to fix the support 11 and the waist band 12 to the waist;
Adjustable wais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허리베개는,
상기 벨트부(10)로 허리를 감싸 착용하였을 때,
상기 등받침부(20), 좌측허리받침부(30), 우측허리받침부(40)가
내부에 허리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되고, 배 쪽이 개방되어있는 둥근 기둥의 형태가 되며,
상기 등받침부(20)는,
등에 대응되는 형태로 등을 받쳐주는 등쿠션재(21);와
상기 등쿠션재(21);의 형상에 대응되는 등외피(22);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허리받침부(30)는,
좌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좌측 허리를 받쳐주는 좌측허리쿠션재(31);와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의 형상에 대응되는 좌측외피(32);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허리받침부(40)는,
우측 허리에 대응되는 형태로 우측 허리를 받쳐주는 우측허리쿠션재(41);와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의 형상에 대응되는 우측외피(42);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외피(42)와 등외피(22), 상기 등외피(22)와 좌측외피(32)는 서로 재봉 및 고주파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허리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waist pillow,
When worn around the waist with the belt part 10,
The backrest 20, left waist support 30, the right waist support 40 is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waist, and the belly is open in the form of a round column,
The backrest 20,
Back cushion material 21 for supporting the back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back; And
And a back shell 2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ushion material 21.
The left lumbar support 30,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1 for supporting the left waist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left waist; and
It includes; the left outer shell 3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1;
The right waist support part 40,
Right waist cushion material 41 for supporting the right waist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right waist; And
Including the right outer shell 4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ght waist cushion member 41;
The right sheath 42 and the back sheath 22, the back sheath 22 and the left sheath 32 is a variable wais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and high-frequency adhesion to each other.
상기 등외피(22)와 상기 등쿠션재(2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등높이조절용패드(23)와;
상기 좌측외피(32)와 상기 좌측허리쿠션재(3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좌측높이조절용패드(33)와;
상기 우측외피(42)와 상기 우측허리쿠션재(41)의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우측높이조절용패드(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허리베개.
The method of claim 2,
Is inserted between the back shell 22 and the back cushion member 21
One or more back height adjusting pads 23;
Is inserted between the left shell 32 and the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1
At least one left height adjusting pad 33;
Is inserted between the right sheath 42 and the right waist cushion material 41
One or more right height adjusting pads 43;
Adjustable wais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등쿠션재(21), 좌측허리쿠션재(31), 우측허리쿠션재(41)의 하부는 체형 유지를 위해 체압을 지지할 수 있는 중탄성체의 재질이며,
상기 등쿠션재(21), 좌측허리쿠션재(31), 우측허리쿠션재(41)의 상부는 체압 분산을 위한 저탄성체의 재질이며,
상기 등높이조절용패드(23), 좌측높이조절용패드(33), 우측높이조절용패드(43)는 높이조절용으로 고탄성체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허리베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cushion material 21, the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1, the right waist cushion material 41 is a material of a heavy elastic body that can support the body pressure for maintaining the body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cushion material 21, the left waist cushion material 31, the right waist cushion material 41 is made of a low elastic material for body pressure dispersion,
The back height adjustment pad 23, the left height adjustment pad 33, the right height adjustment pad 43 is a variable wais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high elasticity for height adjustm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4045A KR101304363B1 (en) | 2012-04-02 | 2012-04-02 |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4045A KR101304363B1 (en) | 2012-04-02 | 2012-04-02 |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04363B1 true KR101304363B1 (en) | 2013-09-11 |
Family
ID=494551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340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4363B1 (en) | 2012-04-02 | 2012-04-02 |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04363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8751Y1 (en) * | 2015-07-15 | 2015-11-12 | 오수현 | Lumbar support |
| KR20160096252A (en) * | 2015-02-04 | 2016-08-16 | 주식회사 메드릭스 | Gymball type waist cushion |
| KR20170025905A (en) | 2015-08-31 | 2017-03-08 | 노근호 | Cushion for pregnant women |
| KR20240001730U (en) * | 2023-04-12 | 2024-10-21 | 류창윤 | Waist Pillow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512047A (en) * | 1983-09-07 | 1985-04-23 | Johnson Violet M | Support cushion |
| JPH0613644U (en) * | 1992-07-31 | 1994-02-22 | 久栄 佐々木 | Waist pillow |
| US5581833A (en) * | 1994-11-04 | 1996-12-10 | Zenoff; Andrew R. |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
| KR20110129054A (en) * | 2010-05-25 | 2011-12-01 | 구태창 | Versatile cushion |
-
2012
- 2012-04-02 KR KR1020120034045A patent/KR1013043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512047A (en) * | 1983-09-07 | 1985-04-23 | Johnson Violet M | Support cushion |
| JPH0613644U (en) * | 1992-07-31 | 1994-02-22 | 久栄 佐々木 | Waist pillow |
| US5581833A (en) * | 1994-11-04 | 1996-12-10 | Zenoff; Andrew R. |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
| KR20110129054A (en) * | 2010-05-25 | 2011-12-01 | 구태창 | Versatile cushio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96252A (en) * | 2015-02-04 | 2016-08-16 | 주식회사 메드릭스 | Gymball type waist cushion |
| KR101674488B1 (en) * | 2015-02-04 | 2016-11-10 | 주식회사 메드릭스 | Gymball type waist cushion |
| KR200478751Y1 (en) * | 2015-07-15 | 2015-11-12 | 오수현 | Lumbar support |
| KR20170025905A (en) | 2015-08-31 | 2017-03-08 | 노근호 | Cushion for pregnant women |
| KR20240001730U (en) * | 2023-04-12 | 2024-10-21 | 류창윤 | Waist Pillow |
| KR200498536Y1 (en) * | 2023-04-12 | 2024-11-18 | 류창윤 | Waist Pillow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782015B2 (en) | Support apparatus | |
| US8893334B1 (en) | Orthopedic pillows | |
| US20130318722A1 (en) | Functional Pillow | |
| US20180146719A1 (en) | Support apparatus | |
| US10448764B2 (en) |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
| KR101590068B1 (en) | Functional pillow | |
| KR100982080B1 (en) | Functional pillows for head support and cervical spine protection | |
| KR101577903B1 (en) |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 |
| US9603458B2 (en) | Knee pillow | |
| KR101304363B1 (en) |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 |
| KR102109986B1 (en) | Faculty pillow | |
| KR20180000455A (en) | Multi-functional waist pillow | |
| KR101922599B1 (en) | Memory foam pillow | |
| KR101380629B1 (en) | A Pillow for Preventing the Snoring and Protecting the Cervical Vertebrae and Scapula | |
| KR20110008513U (en) | Waist pillow | |
| KR101353497B1 (en) | A pillow | |
| US20060143830A1 (en) | Contour lumbar support sleep pillow | |
| US20210085084A1 (en) | Chair seat board and chair including same | |
| KR200468176Y1 (en) | Sleeping vest having mattress for back and waist | |
| KR20230146958A (en) | 180 degree back cover cushion | |
| KR100444950B1 (en) | The pillow | |
| CA2324818A1 (en) | Adjustable orthopedic neck support pillow | |
| KR101381157B1 (en) | Mattress of weight module systems | |
| KR102088842B1 (en) | Multi-functional waist pillow | |
| KR100760469B1 (en) | Back Knee Pillow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8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