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133B1 -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6133B1 KR101306133B1 KR1020120039824A KR20120039824A KR101306133B1 KR 101306133 B1 KR101306133 B1 KR 101306133B1 KR 1020120039824 A KR1020120039824 A KR 1020120039824A KR 20120039824 A KR20120039824 A KR 20120039824A KR 101306133 B1 KR101306133 B1 KR 1013061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system
- terminal
- emergency
- braking alarm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08—Two different sites for one circuit, e.g. for safe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등 점멸 스위치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접점단자를 추가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하고, 차량의 급제동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량 주행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by a simple structure of adding a contact terminal for implementing a sudden braking alarm system to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the emergency light manually by the user in general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which is configured to implement the blinking and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by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automatical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hen the vehicle is braking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최근 운전자의 편의 및 사고 방지를 통한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 차량의 급제동 경보시스템(ESS:Emergency Stop and alarm System)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인한 급제동 상황 발생시, 차량 후미에 설치된 비상등을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게 위험을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전달 경보해줌으로써 추돌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시스템이다.Recently, various devices are installed in a vehicle to ensure driver safety through driver convenience and accident prevention. Among them, emergency stop and alarm system (ESS: Emergency Stop and alarm System) flashes the emergency light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case of sudden braking due to the driver's brake operation. It is a system that prevents in advance.
최근 차량에 탑재되고 있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경우, 일정 속도 이상으로 차량 주행 시 급제동하는 경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Recently,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mounted on a vehicle performs a basic function of blinking an emergency light when suddenly braking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a certain speed or mor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경우,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작동이 허여되도록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한편,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키는 경우라고 판단하여 브레이크 조작 전 수동으로 비상등 점멸 스위치를 직접 조작한 경우와의 구별이 모호하다. 이 때에는,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긴급 상황이라고 인식한 후 비상등 점멸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기 때문에 뒤늦게 비상등을 감지한 후방 차량의 추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parate switch should be provided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brakes the vehicle manually, so that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can be manually set before the brake operation. The distinction from the operation is ambiguous. At this time, since the driver recognizes the emergency situation directly and then manually operates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rear vehicle which detects the emergency light lately collides.
한편,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따른 비상등의 점멸 신호와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비상등의 점멸 신호간 선후가 불분명하고, 별도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의하여 점멸되는 비상등의 점멸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의 조작이 필요하여 하나의 비상등 점멸 조작에 있어서 여러 차례의 조작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unclear between the flashing signal of the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nd the flashing signal of the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driver's manual operation.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requires several operations in one emergency light blinking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등 점멸 스위치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접점단자를 추가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하고, 차량의 급제동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량 주행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by a simple structure to add a contact terminal for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to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implements emergency flashing by the user's manual in normal tim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which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mplement an emergency light blinking by a sudden braking alarm system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during a sudden braking.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단자 및 상기 이동단자의 이동에 의해 접점 또는 이격 접점되는 커넥트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단자부는 주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전원 공급단자, 급제동 경보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단자, 비상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단자 및 배터리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전원 공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자는 스위칭 오프(OFF) 시에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 및 상기 제2접점단자를 접점시켜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상기 제2접점단자를 통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스위칭 온(ON) 시에, 상기 이동단자는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1접점단자를 이격 접점시켜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2접점단자를 접점시킬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 terminal portion contacted or spaced apart by a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nnect terminal portion includes a main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a first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nd an emergency light And a second power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and a battery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source,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when switched off. Conta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so that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nd when switched o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is disconnected, the battery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may be contact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기존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에 접점단자를 간단하게 추가하는 구성에 의하여 급제동 경보 시스템 및 운전자의 수동 조작을 엄격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그 설계가 용이한 효과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By simply adding the contact terminal to the existing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it is possible to strictly distinguish between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nd the driver's manual operation, and thus the design is easy and the malfunction o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평상시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하고, 차량의 급제동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의한 비상등 점멸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량 주행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s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by the user's manual in normal times,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utomatical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hen braking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lashing of the emergency light b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of driving the vehicle.
또한, 실시예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급제동 경보 시스템과 비상등에 전기공급을 조절하여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작동여부와 별개로 비상등 점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칭 오프(OFF)시킨 때에는 급제동 시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칭 온(ON)시킨 경우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여서, 중복적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는 것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nd the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on-off state o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emergency light blinks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That is, when the user switches of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is activated during sudden braking, and when the user switches on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is activat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emergency flashing lights and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도 1은 실시예의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연결된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는 이동단자와 커넥트 단자부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작동 시 단자 연결 상태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view in which an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and a sudden braking alarm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 terminal unit.
6 is a terminal connection state table during the switch operation o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flow 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and / or step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 I never do tha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entirely reflect actual size or area.
또한,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자동차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ngle and direction mention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n the embodiment is based on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utomobile in the specification, i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angle is not clearly mentioned, refer to the related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실시예의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연결된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view in which an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and a sudden braking alarm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먼저, 도 1을 참고하여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설명한다.First, the emergency light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후술하겠지만, 이런 전기적 연결은 실시예의 작동에 의해 차단되거나 소통될 수 있다. 즉, 주전원(IGN) 또는 배터리(B+) 전원이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The emergency light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은 특히 특정 속도이상에서 일정감속도 이상으로 감속하는 경우에 급제동 경보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급제동 경보는 예를 들면, 차량의 비상등의 점멸일 수 있다. The sudden
그리고,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제동장치, 급제동 상황을 결정하기 위한 바디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BCM), 제동장치로부터 급제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바디제어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제동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온/오프/점멸 상태로 동작하는 제동등 및 바디제어모듈에 의해 점멸되는 비상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apid
여기서, 제동장치는 잠김방지 브레이크(anti-lock brake system, ABS) 및 차량자세제어장치(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배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중 제동장치와 바디제어모듈은 다른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마찬가지로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통신으로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다. 캔통신은 열악한 환경이나 고온, 충격이나 진동 노이즈가 많은 차량의 운행 환경으로 인해 적용되는 것으로, 다중 채널식 통신법이기 때문에 배선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Here, the braking device includes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d an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Each of the components is connected by wiring. Among them, the braking device and the body control module are connected to the gateway through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ke other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CAN communication is applied due to a harsh environment,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 lot of high temperature, shock, or vibration nois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wires because it is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method.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기본 기능은 먼저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제동장치를 작동시킨 후, 차량의 속도를 급격히 감속하기 위해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킨 경우에 제동등과 비상들을 점멸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The basic function of the emergency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는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 시키는 기능과,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mergency ligh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ottom view o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는 크게 하우징을 형성하고, 커넥트 단자부(150)가 설치되는 바디(110), 이동단자(180)가 설치되고, 바디(11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직선 운동되는 홀더(120) 및 홀더(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노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여기서, 바디(110)는 몸체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다른 부품과의 호환 및 자동차에 장착 시에 편의성을 위해서 사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110)는 홀더(120)가 왕복운동되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내부에 중공을 가지게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홀더(120)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바디(110)는 예를 들면, 개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바디(110)는 경량의 단단하고 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합성수지 계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0)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그리고, 바디(110)는 자동차에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를 결합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디(110)에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구비되어서 자동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후크, 나사, 본딩 등이 존재한다.The
바디(110)에는 커넥트 단자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넥트 단자부(150)는 바디(110)의 내부에 내삽된다. 바디(110)는 커넥트 단자부(150)이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일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The
커넥트 단자부(150)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외부전원 및 기기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넥트 단자부(150)의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홀더(120)는 바디(110)에 내삽되고, 바디(1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왕복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홀더(120)는 상기 바디(110)의 개구부에 인입되어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왕복운동한다. 홀더(120)의 폭은 바디(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홀더(120)의 왕복운동 시에 원활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The
그리고, 홀더(120)의 형상은 내부가 빈 관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서 사각기둥형태일 수 있다. 즉, 바디(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형 등 다른 형상으로 변경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홀더(120)의 내부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 등의 보강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홀더(120)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일측에 결합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21)은 이동단자(18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즉, 홀더(120)의 직선이동에 대응하여 홀더(120)에 설치된 이동단자(180)가 커넥트 단자부(150) 상에서 이동되는 구조이다. 커넥트 단자부(150)와 이동단자(180)의 접점을 위해서 홀더(120)의 일측면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120)의 외측면에서 노브(130)와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후크(123)일 수 있다.A fasten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바디(110)와 홀더(120) 사이에는 바디(110)와 홀더(120) 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탄성력 제공수단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141) 또는/및 탄성레버(142)일 수 있다. 탄성력 제공수단은 바디(110)와 홀더(12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이동된 홀더(1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An elastic forc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또한, 바디(110)와 홀더(120) 사이에는 바디(110)와 홀더(120) 사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조절 수단은 락핀(143)일 수 있다.In addition, a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position between the
노브(130)는 홀더(120)의 상측에 결합된다. 노브(13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정보표시를 위한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차량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위해서 각종 디자인이 첨가될 수 있다. 노브(130)의 형상은 갓 형태 또는 덮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노브(130)의 형상은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에서 아랫부분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고,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머리부와 하측의 몸통부의 외경은 상이할 수도 있다. 다만, 노브(130)는 도 1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노브(13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디(110)의 재질과 같은 재질을 가진다. 또한, 노브(130)는 사출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노브(130)는 홀더(120)와 결합되는데, 그 결합방법에는 제한이 없지만, 억지끼움방법, 본딩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123)와 노브(130)에 형성된 홀(131)의 체결에 의해 노브(130)와 홀더(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외관을 고려하여서, 홀더(120)가 노브(130)의 내측으로 내삽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브(130)와 홀더(120)는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으로 내삽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노브(130)의 상면에는 조명부(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부는 조명부에서 발생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transmitting part (not shown) through which light generated from an illumination part (not shown) is transmitt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도 5a는 스위칭 온 시에 이동단자와 커넥트 단자부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b는 스위칭 오프 시에 이동단자와 커넥트 단자부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작동 시의 단자 연결 상태표이다.5A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 terminal unit when switching on, FIG. 5B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 terminal unit at the switching off state, and FIG. 6 is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Emergency light flashes on the terminal This table shows the terminal connection status when the switch is operated.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는 이동단자(180) 및 이동단자(180)의 이동에 의해 접점 또는 이격 접점되는 커넥트 단자부(150)를 포함하고, 커넥트 단자부(150)는 주전원(IGN)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전원 공급단자(153),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단자(151), 비상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단자(152) 및 배터리전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를 포함하고, 이동단자(180)는 스위칭 오프(OFF) 시에, 주전원 공급단자(153), 제1접점단자(151) 및 제2접점단자(152)를 접점시켜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전원을 공급하여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이 제2접점단자(152)를 통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하고, 스위칭 온(ON) 시에 이동단자(180)는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상기 제1접점단자(151)를 이격 접점시켜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와 제2접점단자(152)를 접점시킨다.Referring to FIG. 5,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여기서, 이동단자(180)단자는 홀더(120)에 설치되어 왕복운동되고, 왕복이동에 의해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제1접점단자(151)를 접점 또는 이격시키는 제1이동단자(181) 및 왕복이동에 의해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제2접점단자(152)를 연결하거나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와 제2접점단자(152)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단자(18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제1이동단자(181) 및 제2이동단자(182)은 전도성 재질로써, 예를 들면,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단자(181) 및 제2이동단자(182)의 형상은 제한이 없지만, 전기적 연결과 홀더(120)와의 결합성을 고려하면,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moving
커넥트 단자부(150)는 커넥터 하우징(151)과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접점단자(151), 제2접점단자(152), 주전원 공급단자(153),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151)는 절연재질로써, 상기의 단자들 사이에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단자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제1접점단자(151), 제2접점단자(152), 주전원 공급단자(153) 및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은 전도성 재질이고,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 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아래로 돌출되어서 다른 기기와 전기적 소통을 시킬 수 있다.The
여기서, 제1접점단자(151)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접점단자(152)는 차량에 설치된 비상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전원 공급단자(153)는 주전원(IGN)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는 차량의 배터리전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Here, the
도 5a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위칭 오프(OFF) 시에 이동단자(180)는 주전원 공급단자(153), 제1접점단자(151) 및 제2접점단자(152)를 접점시켜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이 제2접점단자(152)를 통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스위칭 오프(OFF)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를 오프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5A and 6, first, when the switch is OFF, the
스위칭 온(ON) 시에, 이동단자(180)는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상기 제1접점단자(151)를 이격 접점시켜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와 제2접점단자(152)를 접점시킨다. 배터리전원 공급단자(154)와 제2접점단자(152)가 접점되면 차량의 비상등은 점멸된다. 여기서, 스위칭 온(ON)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를 온시킨 상태를 의미한다.At the time of switching ON, the
동작을 다시 설명하면,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오프(OFF) 시에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비상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온(ON) 시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경우이므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의해 비상등이 점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킨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gain, the emergency
종래 기술에 따른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차실 내부에서 설치된 비상등 점멸 스위치와는 구별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급제동 경보 시스템은, 에어백 모듈과 연계되어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킬 정도의 긴급한 상황이 아닐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되므로 실제 차량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급제동을 경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이 때에는, 상기 비상등 점멸 스위치를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 시킬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tinguished from an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installed inside a cabin. That is, the emergency braking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trolled so as not to operate when it is not urgent enough to deploy the airbag cushion in conjunction with the airbag module. Therefore, when a real vehicle driver needs to warn the rear vehicle of sudden braking, Inadequate In this case, the driver had to operate the emergency light flashing switch manually. In addition, even when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is operated, the user cannot manually turn on / off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비상등에 전기공급을 조절하여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작동여부와 별개로 비상등 점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오프(OFF)시킨 때에는 급제동 시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이 작동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온(ON)시킨 경우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전원을 차단하여서, 중복적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는 것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은 제1접점단자(151), 주전원 공급단자(153) 및 제2접점단자(152)가 연결되어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소통시키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S1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S100) 후, 차량의 급제동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S2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S200)에 의하여 상기 비상등이 점멸되는 도중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비상등을 오프시키거나,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제1접점단자(151)가 이격 접점되면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오프시키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 (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of the vehicle, the
여기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S100)는 제1접점단자(151), 주전원 공급단자(153) 및 제2접점단자(152)가 연결되어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소통시킨다. 즉,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비상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서 급제동시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서 비상등으로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S100)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 또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communication step (S100) is the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S100)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작동을 허여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에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communication step (S100) may be a step of apply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sudden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S200)는 차량의 급제동을 감지하는 단계 (S210)와 차량의 급제동을 감지하는 단계 (S210)에서 차량의 급제동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S200)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 또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Implementing a sudden braking alarm system (S200)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a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S210) and the step of detecting a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S210), the step of flashing the emergency light (S220) Can be. Implementing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S200) may be made by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upled to the emergency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S300)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S200)에 의하여 상기 비상등이 점멸되는 도중 소정 시간이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S310)와 소정 시간이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S310)에서 소정의(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비상등을 오프시키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 (S300)는 주전원 공급단자(153)와 제1접점단자(151)가 이격 접점(S330)되면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오프시키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을 오프시키는 단계(S340)는 주전원이 차단되는 상태일 수 있다.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 (S300)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 또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terminating step (S300) is predetermined in the step (S310)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the emergency light is flashing by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implementing step (S200) and determining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310). If the (preset) time has elapsed may include the step of turning off the emergency light (S320). Alternatively,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terminating step (S300) may include turning off the sudden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 (S300)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작동을 허여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동시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S300)는 동시에 사용자의 스위칭 온(ON) 동작에 의하여 상기 비상등 점멸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terminating step (S300) may be a step of blocking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sudden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과 비상등에 전기공급을 조절하여서,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작동여부와 별개로 비상등 점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오프(OFF)시킨 때에는 급제동 시에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이 작동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100)의 스위칭 온(ON)시킨 경우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200)의 전원을 차단하여서, 중복적으로 비상등이 점멸되는 것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bu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상기 이동단자의 이동에 의해 접점 또는 이격 접점되는 커넥트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트 단자부는,
주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전원 공급단자;
급제동 경보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단자;
비상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단자;
배터리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전원 공급단자;
상기 커넥트 단자부가 설치되는 바디 및
상기 이동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직선 운동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자는,
스위칭 오프(OFF) 시에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 및 상기 제2접점단자를 접점시켜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이 상기 제2접점단자를 통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하고,
상기 이동단자는,
스위칭 온(ON) 시에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1접점단자를 이격 접점시켜서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2접점단자를 접점시키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Mobile terminal and
It includes a connect terminal portion which is a contact or spaced contact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nect terminal portion,
A main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A first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A second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light;
A battery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source;
A body in which the connect terminal unit is installed;
The mobile terminal is install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includes a holder which is linearly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The mobile terminal,
When switching off (OFF),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contacts and supplies power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so that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int it out,
The mobile terminal,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of the vehicle which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by separating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at the time of switching ON and contacting the battery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Device.
상기 이동단자는,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1접점단자를 접점 또는 이격시키는 제1이동단자 및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2접점단자를 연결하거나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2접점단자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 first moving terminal contacting or spaced apart from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by reciprocating movement;
And a second moving terminal connecting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by a reciprocating movement or connecting the battery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상기 홀더의 상측에는 노브가 더 포함되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device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es a knob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상기 이동단자는 상기 홀더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lder.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 후, 차량의 급제동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 및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 구현 단계에 의하여 상기 비상등이 점멸되는 도중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비상등을 오프시키거나, 상기 주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제1접점단자가 이격 접점되면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을 오프시키는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 소통 단계는,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허여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에 인가하는 단계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A first braking alarm system communication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terminal,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to communicate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of the vehicle and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After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communication step, if the emergency braking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for flashing the emergency light;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for turning off the emergency ligh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ile the emergency light flashes by the implementing o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or turning off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when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cluding a shutdown step,
The emergency braking alarm system communication step,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to permit operation of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는,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허여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stopping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And preventing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for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from being applied to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상기 급제동 경보 시스템 종료 단계는,
동시에 사용자의 스위칭 온(ON) 동작에 의하여 상기 비상등 점멸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인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stopping the sudden braking alarm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switch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being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light blinking is possible by a user's switching on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9824A KR101306133B1 (en) | 2012-04-17 | 2012-04-17 |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39824A KR101306133B1 (en) | 2012-04-17 | 2012-04-17 |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06133B1 true KR101306133B1 (en) | 2013-09-09 |
Family
ID=4945554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398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6133B1 (en) | 2012-04-17 | 2012-04-17 |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06133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4653B1 (en) | 2020-04-02 | 2020-08-28 | 류도현 | Switch ope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of car |
| KR20200120198A (en) | 2019-04-1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200120518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200120517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
| KR20200120519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14174132A (en) * | 2019-07-22 | 2022-03-11 | 法伊韦利传送器意大利有限公司 | Electropneumatic emergency and service brake control system for at least one rail vehicl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30003233B1 (en) * | 1991-04-04 | 1993-04-23 | 정영균 | Winker switch |
-
2012
- 2012-04-17 KR KR1020120039824A patent/KR1013061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30003233B1 (en) * | 1991-04-04 | 1993-04-23 | 정영균 | Winker switch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20198A (en) | 2019-04-1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14174132A (en) * | 2019-07-22 | 2022-03-11 | 法伊韦利传送器意大利有限公司 | Electropneumatic emergency and service brake control system for at least one rail vehicle |
| CN114174132B (en) * | 2019-07-22 | 2023-06-30 | 法伊韦利传送器意大利有限公司 | Electro-pneumatic emergency and service brake control system for at least one rail vehicle |
| KR102144653B1 (en) | 2020-04-02 | 2020-08-28 | 류도현 | Switch ope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of car |
| KR20200120518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200120517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
| KR20200120519A (en) | 2020-04-02 | 2020-10-21 | 신승동 | Switch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06133B1 (en) | On/off switch apparatus of alarming lamp i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 JP7478154B2 (en) | Improv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 |
| KR102836112B1 (en) |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 |
| EP3177484B1 (en)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
| CN110035925B (en)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amps | |
| US2018031210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afety lighting | |
| KR20210151115A (en) |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s | |
| US11299090B2 (en) | Remote lighting system operable to correspond with vehicle lighting | |
| CN109398224B (en) | Enhanced vehicle safety system | |
| WO2018188204A1 (en) | Scenario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 |
| KR20200072078A (en) | Vehicle emergency lamp switch device being independent of vehicle alarm system and cONtrol method thtereof | |
| US20060187011A1 (en) | Vehicle alarm device | |
| JP2024504130A (en) | Control of highly visible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 |
| AU2019226226B2 (en) |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 |
| KR20040101114A (en) | Flash Type Rear Center Brake Light Device Guided By Inertia | |
| CN219564925U (en) | Luminous safety buckle of automobile pressure sensor | |
| KR100369039B1 (en) | The emergency lamp operating system using an automotive inertia | |
| CN105235787A (en) | Bicycle electronic lock integrated acousto-opt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WO2009116032A3 (en) | Smart brake-lights warning system | |
| KR20070063492A (en) | Flashing method and device for emergency indication with built-in inertia module | |
| JP3150253U (en) |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for cars | |
| TW202311082A (en) | Alert system for safety seat and safety seat | |
| KR20150096925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 KR19980022508A (en) | Vehicle stop signal output control device | |
| KR20020083682A (en) | Device for on and off immergency light for vehic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