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311B1 - Multiple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ple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311B1 KR101309311B1 KR1020120063541A KR20120063541A KR101309311B1 KR 101309311 B1 KR101309311 B1 KR 101309311B1 KR 1020120063541 A KR1020120063541 A KR 1020120063541A KR 20120063541 A KR20120063541 A KR 20120063541A KR 101309311 B1 KR101309311 B1 KR 101309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water supply
- steam generator
- water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빵과 찜요리가 가능하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복합조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는 본체부, 제1증기발생부, 제2증기발생부, 열풍분사부, 급수부 그리고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는 복합조리기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1증기발생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한다. 제2증기발생부는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한다. 열풍분사부는 제1증기발생부 및 제2증기발생에서 발생된 증기를 조리실로 분사한다. 급수부는 제1증기발생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배관과, 제2증기발생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배관과, 제1급수배관 및 제2급수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절환밸브를 가진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증기발생부 및 제2증기발생부로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1절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aking and steaming, and provides a composite cook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a first steam generator, a second steam generator, a hot air sprayer, a water supply and a controller. Here, the body portion forms the body of the composite cooker. The first steam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es steam using the supplied water. The second steam generator generates steam using the supplied water. The hot air spray unit sprays steam generated from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into the cooking chamber. The water supply unit has a firs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steam generator,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cond steam generator, and a first switch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Ha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valv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과, 제빵과 찜요리가 가능하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복합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fectionery, a baking and steamed dishes, and a composite cook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제과 또는 제빵을 위해서는 제과나 제빵용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이 사용되고, 찜요리를 위해서는 찜요리용 조리기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onfectionery or bakery convection oven (convection oven) is used for confectionery or baking, and a steaming cooker is used for steaming.
이러한, 제과나 제빵용 컨벡션 오븐과 찜요리용 조리기는 유사한 구성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반면에, 증기의 발생 및 공급 등과 관련하여서는 차이점이 있다.While the confectioner or baking convection oven and the steaming cooker include many similar configurations,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generation and supply of steam.
즉, 제과나 제빵용 컨벡션 오븐은 필요로 하는 제한된 양의 습증기를 정교하게 발생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에, 찜요리용 조리기는 필요에 따라 습증기에서부터 과열증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증기를 충분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In other words, confectionery or baking convection ovens must be able to elaborate the limited amount of wet steam required, while steamed cookers must be able to supply a sufficient amount of various types of steam, from wet steam to superheated steam as needed. do.
따라서, 제과나 제빵시에는 제한된 양의 증기를 정교하게 생산하고, 찜요리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증기를 충분히 생산하여 필요에 따라 제과, 제빵과 찜요리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when confectionery or baking, a limited amount of steam is exquisitely produced, and when cooking, various types of steam are sufficiently produced, and a cooker capable of using confectionery, baking and steaming as needed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과, 제빵과 찜요리가 가능하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복합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ectionery, baking and steamed dishes, a composite cooke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를 형성하고,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부; 서로 다른 유로를 형성하는 제1급수배관 및 제2급수배관과, 상기 제1급수배관 및 상기 제2급수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절환밸브를 가지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급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로 증기를 발생하는 제1증기발생부; 상기 제2급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로 증기를 발생하는 제2증기발생부; 상기 제1증기발생부 및 상기 제2증기발생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로 분사하는 열풍분사부; 그리고 상기 제1증기발생부 및 상기 제2증기발생부로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절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조리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dy, the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first water supply pipe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ming a different flow path, and a first switch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 first steam gener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steam wit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 second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into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 hot air spraying unit for injecting steam generated from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into the cooking chamber; And it provides a composite cook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valve so that wate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여기서, 상기 제2증기발생부는, 상기 제2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 이동을 안내하는 증기배관과, 상기 증기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증기를 상기 열풍분사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team generating unit, a water supply tank in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is store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and a discharge movement of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am pipe for guiding, and an injection nozz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am pipe to inject steam into the hot air spray unit.
그리고, 상기 증기배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상기 증기배관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절환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am pip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witching valve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eam pipe and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 제2증기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eam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r outside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증기발생부, 상기 제2증기발생부, 상기 열풍분사부 및 상기 급수부의 작동정보를 인터넷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team generator, the second steam generator, the hot air sprayer, and the water supply unit to at least one of the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팬모터 조립체 및 팬모터 조립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팬으로 구성되는 흡기용 댐퍼와,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용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intake damper consisting of a fan for opera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an motor assembly and the fan motor assembly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ooking chamber, and the air of the cooking chamb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exhaust damp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증기발생부와 제2증기발생부로 선택적으로 급수하여 조리에 필요한 증기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과, 제빵 및 찜요리의 선택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steam required for cooking by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steam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steam generating unit, thereby allowing selective cooking of confectionery, baking and steamed dish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1증기발생부, 제2증기발생부, 열풍분사부 및 상기 급수부의 작동정보를 인터넷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도 복합조리기의 운전 상태뿐만 아니라 이상 유무 등을 알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상이나 고장 발생시 신속하게 고장진단 및 애프터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통해서 제어부가 원격제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복합조리기의 운전상태를 변경 및 조작할 수 있고, 복합조리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team generator, the second steam generator, the hot air sprayer, and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the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oker can know and manage the presence of abnormalities, and can be made quickly and after-sales diagnosis and failure services in the event of an error or failure.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may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termin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multicooker can be changed and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software used for the multicooker can be easily upgrad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t air spray unit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t air spray unit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air jet unit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multi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복합조리기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그리고, 본체부(10)는 조리될 대상물이 수용되는 조리실(11)을 가지며, 본체부(10)의 전방 일측에는 조리실(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조리실(11)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 선반(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선반에는 조리될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ng shelf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본체부(10)의 상부에는 회전 선반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조립체(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구동조립체(13)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4)와, 구동모터(14)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밸트(15)와, 동력전달밸트(15)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회전 선반에 동력을 공급하는 풀리(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본체부(10)의 전방 타측에는 제어부(2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제어부(20)는 조리해야할 제과, 제빵 또는 찜요리의 종류에 따라 가열량 및 증기의 양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21)와,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표시부(21) 및 입력부(22)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표지장치(LCD)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체부(10)의 상부에는 팬(미도시)과 팬모터 조립체(17)로 구성되는 흡기용 댐퍼와, 배기용 댐퍼(18)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팬은 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팬은 팬모터 조립체(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조리실(11)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조리실(11)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The fan may be provided inside the
또한, 배기용 댐퍼(18)는 조리실(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조리 중에, 도어(12)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11) 내에 신선한 공기를 필요한 양만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켜 조리실(11)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is, during cook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여기서, 흡기용 댐퍼와 배기용 댐퍼(18)는 제어부(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물론,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Here, the intake damper 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조리기는 본체부(10), 급수부(30), 제1증기발생부(40), 제2증기발생부(50), 열풍분사부(70) 그리고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는 급수부(30)를 제어하여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증기발생부(40)에서는 제과, 제빵시에 요구되는 증기를 발생하게 되며, 제2증기발생부(50)에서는 찜요리시에 요구되는 증기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된 증기는 열풍분사부(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대의 복합조리기로 제과, 제빵 및 찜요리가 모두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복합조리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mplex cooker includes the
상세히, 급수부(30)는 제1급수배관(31), 제2급수배관(32) 및 제1절환밸브(33)를 가질 수 있다.In detail, the
그리고, 제1급수배관(31) 및 제2급수배관(32)을 통해서는 조리시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for generating steam necessary for cooking may be supplied through the first
여기서, 제1급수배관(31) 및 제2급수배관(32)으로 공급되는 물은 메인급수배관(34)을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메인급수배관(34), 제1급수배관(31) 및 제2급수배관(32)은 제1절환밸브(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또한, 제1절환밸브(33)는 전자식 3방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제어부(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제어부(20)가 제1절환밸브(33)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제어함으로써 메인급수배관(3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제1급수배관(31) 및 제2급수배관(32)으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고, 급수량도 조절될 수 있다.As such, the
한편, 제1증기발생부(40)는 본체부(10)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제1급수배관(31)은 제1증기발생부(40)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제1증기발생부(40)는 플레이트(41), 스틸볼(42), 제1살수배관(43) 그리고 커버(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여기서, 플레이트(41)는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의 일부분은 상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플레이트(41)에는 다수의 스틸볼(42)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그리고, 스틸볼(42)은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스틸볼(42)은 플레이트(4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스틸볼(42)이 수용된 플레이트(41)는 다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일 위층에 구비되는 플레이트(41)의 상측에는 제1살수배관(4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살수배관(43)은 제1급수배관(31)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제1살수배관(43)에는 다수개의 제1노즐공(4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nozzle holes 45 may be formed in the first
이를 통해, 제1급수배관(31)을 통해 공급된 물은 제1살수배관(43)으로 유입된 후, 제1노즐공(4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그리고, 제1살수배관(43)의 상측에는 커버(4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커버(44)는 전체적으로는 제1살수배관(43)를 감싸되,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를 통해, 제1노즐공(45)을 통해 배출된 물은 커버(44)의 내측면에 부딪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이때, 커버(44)의 하부는 플레이트(4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44)의 내측면에 부딪힌 물이 손실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스틸볼(42)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그리고, 이와 같이 떨어진 물은 가열된 스틸볼(42)에 떨어지게 되고, 스틸볼(42)의 열에 의해 기화되면서 증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water dropped in this way is dropped to the
이때, 구형의 스틸볼(42)이 넓은 표면적을 가짐에 따라 물과의 열교환 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어 증기가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그리고, 플레이트(4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출공(46)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6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를 통해, 기화되지 않은 물은 배출공(46)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아래로 떨어진 물은 다시 스틸볼(42)의 열에 의해 기화되면서 증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unvaporized water is dropped down through the
여기서, 제1증기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1kg/㎠ 미만의 증기일 수 있다.Here, the steam generated in the
그리고, 제1증기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제과, 제빵용 조리시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ed in the
즉, 제어부(20)는 제과, 제빵용 조리시에 제1절환밸브(33)를 제어하여 제2급수배관(32)은 닫고, 제1급수배관(31)을 열어 제1급수배관(31)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증기발생부(40)에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제1절환밸브(33)의 개폐량이 제어됨으로써, 급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증기의 양도 정교하게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그리고, 제일 아래층에 구비되는 플레이트(41)의 하측에는 베드(47)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베드(47)에는 기화되지 않고 떨어진 물이 담기게 되며, 이를 통해, 조리실(11)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다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급수배관(32)은 제2증기발생부(50)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again, the second
이때, 제2증기발생부(50)는 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본체부(1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즉, 제2증기발생부(50)의 설치 위치는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그리고, 제2증기발생부(50)는 급수탱크(51), 가열장치(52), 증기배관(53) 및 분사노즐(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먼저, 제2급수배관(32)은 급수탱크(51)에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second
그리고, 급수탱크(51)와 제2급수배관(32)에는 수위조절유닛(55)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수위조절유닛(55)은 급수탱크(51)에 구비되는 제1조절밸브(56)와 제2급수배관(32)에 구비되는 제2조절밸브(57)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조절밸브(56)와 제2조절밸브(57) 간의 피드백(feedback)에 의해 급수탱크(51)의 물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그리고, 급수탱크(51)는 연결배관(58)에 의해 가열장치(52)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가열장치(52)는 가열선(59)을 가질 수 있으며, 가열선(59)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장치(52)의 물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1kg/㎠ 이상의 증기일 수 있다.Here, the steam generated in the
그리고,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찜요리시에 사용될 수 있다.And, the steam generated in the second
즉, 제어부(20)는 제1절환밸브(33)를 제어하여 찜요리시에는 제1급수배관(31)은 닫고, 제2급수배관(32)을 열어 제2급수배관(32)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증기발생부(50)에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제1절환밸브(33)를 제어하여 제과, 제빵시에는 제1증기발생부(40)에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고, 찜요리시에는 제2증기발생부(50)에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제과, 제빵과 찜요리의 선택적 조리가 가능하다.As such, the
또한, 제어부(20)는 제1절환밸브(33)의 개폐를 제어하여 물의 공급방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제1절환밸브(33)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물의 공급양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제과, 제빵 및 찜요리시에 필요한 증기양의 조절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steam required for confectionery, baking and steaming.
그리고, 가열장치(52)에는 압력유지유닛(6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유지유닛(60)은 압력게이지(61)와 제3조절밸브(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압력유지유닛(60)은 가열장치(52)의 내측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그리고, 가열장치(52)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증기배관(53)을 통해 이동이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ed by the
또한, 증기배관(53)의 일단부에는 분사노즐(5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증기배관(53)을 통해 이동되는 증기는 분사노즐(54)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여기서, 증기배관(53)에는 제2절환밸브(64)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제2절환밸브(64)는 제어부(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제어부(20)는 제2절환밸브(64)의 개폐를 제어하여 증기배관(53)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기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조절됨으로써 분사노즐(54)에서 분사되는 증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찜요리시에는 제2절환밸브(64)의 제어를 더하게 되면서, 여러 단계로 증기의 양이 더욱 정교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steaming cooking is added to the control of the
나아가, 가열선(59)의 온도 조절을 더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습증기에서부터 과열증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증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by adding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한편, 제2증기발생부(50)가 본체부(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경우, 급수탱크(51) 및 가열장치(52)는 별도의 하우징(66)에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그리고,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된 증기는 열풍분사부(70)를 통해 조리실(11)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ed b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열풍분사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t air spray unit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ot air spray unit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air jet unit of a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열풍분사부(70)는 베이스 프레임(71), 유입유닛(72) 그리고 배출유닛(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o FIG. 7, the hot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71)은 조리실(11)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71)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11)의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71)의 양단부에는 제1체결공(74)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74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그리고, 조리실(11)의 일측면에도 제1체결공(74)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공(74)과 제2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71)은 조리실(11)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fasten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또한, 베이스 프레임(71)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착슬릿(75)이 하나 이상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mounting slits 75 may be formed in the
그리고, 장착슬릿(75)에는 제3체결공(76)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베이스 프레임(71)의 일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슬릿(75)의 일측면에는 유입유닛(72)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장착슬릿(75)의 일측면은 조리실(11)의 외측에 대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입유닛(72)은 조리실(11)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Here, one side of the mounting slit 75 may face the outside of the
그리고, 유입유닛(72)을 통해서는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Then, the steam generated in the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유닛(7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가 유로(미도시)를 통해 유입유닛(72)과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그리고, 유입유닛(72)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나란히 구비되어 내측으로 유로(81)를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77)와, 측면플레이트(77)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플립(78)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측면플레이트(77)에는 각각 플랜지(79)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79)에는 제3체결공(76)에 대응되는 제4체결공(8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체결공(76)과 제4체결공(80)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됨에 따라 유입유닛(72)은 베이스 프레임(71)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제1플립(78)은 측면플레이트(77)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81)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제1플립(78)은 측면플레이트(77)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81)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욱 구체적으로, 제1플립(78)은 증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플립(78)은 측면플레이트(77)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81)를 구획하여, 제1증기발생부(40) 및 제2증기발생부(50)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뿐만 아니라, 증기가 이동하는 동안에 제1플립(78)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이 조리실(11)의 외측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실(11)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이때, 측면플레이트(77)와 제1플립(78)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측면플레이트(77)와 제1플립(78)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예를 들면, 제1플립(78)은 측면플레이트(77)를 연결하는 부분 중에 부분적으로 절개된 부분이 측면플레이트(77)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81)의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때, 제1플립(78)의 절곡이 용이하도록, 제1플립(78)이 절곡되는 부분에는 슬릿(82)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장착슬릿(75)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피스(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71)의 타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슬릿(75)의 타측면에는 배출유닛(73)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장착슬릿(75)의 타측면은 조리실(11)의 내측에 대향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출유닛(73)은 조리실(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slit 75 may be opposed to the inside of the
또한, 배출유닛(73)을 통해서는 유입유닛(72)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eam introduced through the
그리고, 배출유닛(73)은 배출플레이트(84)를 가질 수 있다.And, the
또한, 배출플레이트(8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배출공(85)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85 may be formed through the
그리고, 제1배출공(85)의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제2플립(8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배출공(85)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제2플립(86)에 의해 하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즉, 배출유닛(73)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순간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유도됨으로써, 증기가 조리실(11)에 전체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그리고, 제2플립(86)은 배출플레이트(8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제2플립(86)은 배출플레이트(84)에 제1배출공(85)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부분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배출플레이트(84)에는 제3체결공(76)에 대응되는 제5체결공(87)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fth fastening hole 87 corresponding to the
또한, 제3체결공(76)과 제5체결공(87)을 관통하여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됨에 따라 배출플레이트(84)는 베이스 프레임(71)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is fastened through the
이때, 배출플레이트(84)의 전면 양측에는 배출플레이트(84)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88)가 각각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대(88)에는 제5체결공(87)에 대응되도록 제6체결공(89)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여기서, 제3,제4,제5,제6체결공(76,80,87,89)은 하나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fastening holes 76, 80, 87, and 89 may be fastened by on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더하여, 배출플레이트(84)의 후면에는 제1배출공(85)에 대응되는 제2배출공(91)이 형성된 보조플레이트(90)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플레이트(84)에서 고정대(88)에 의해 지지받지 못하는 부분이 보조플레이트(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plate 90 having a
한편, 제어부(20)는 제1증기발생부(40), 제2증기발생부(50), 열풍분사부(70) 및 급수부(30)의 작동정보를 인터넷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25)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단말기(25)는 특정 장소에 구비된 단말기일 수 있으며, 특정 장소는 복합조리기의 제조업체, 판매업체 및 수리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terminal 25 may be a terminal provided at a specific place, and the specific place may be at least one of a manufacturer, a distributor, and a repair company of the multicooker.
따라서, 외부에서도 복합조리기의 운전 상태뿐만 아니라 이상 유무 등을 알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상이나 고장 발생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애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and manage not only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lex cooker, but also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from the outside, and after-sales service can be made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or a failure.
뿐만 아니라, 단말기(25)를 통해서 제어부(20)가 원격제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외부에서 복합조리기의 운전상태를 변경 및 조작할 수 있고, 복합조리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manipul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osite cooker from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upgrade the software used in the composite cook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제1증기발생부는 제2살수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multi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am generator of the composit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rinkling pipe, and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증기발생부(140)는 제2살수배관(143)을 더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또한, 제2살수배관(143)은 제1급수배관(131)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제2살수배관(143)은 다층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14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살수배관(143)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2살수배관(143)에는 제2노즐공(1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노즐공(145)은 물이 플레이트(141)의 측면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를 통해, 제2살수배관(143)에서는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될 수 있고, 스틸볼(142)과의 열교환율도 높아질 수 있어 짧은 시간에 많은 증기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부 11: 조리실
20: 제어부 25: 단말기
30: 급수부 31,131: 제1급수배관
32: 제2급수배관 33: 제1절환밸브
34: 메인급수배관 40,140: 제1증기발생부
41,141: 플레이트 42,142: 스틸볼
43: 제1살수배관 44: 커버
50: 제2증기발생부 51: 급수탱크
52: 가열장치 53: 증기배관
54: 분사노즐 55: 수위조절유닛
58: 연결배관 59: 가열선
60: 압력유지유닛 64: 제2절환밸브
70: 열풍분사부 71: 베이스 프레임
72: 유입유닛 73: 배출유닛
78: 제1플립 85: 제1배출공
86: 제2플립 143: 제2살수배관10: main body 11: cooking chamber
20: control unit 25: terminal
30: water supply 31,131: first water supply pipe
32: 2nd water supply pipe 33: 1st switching valve
34: main water supply pipe 40,140: first steam generator
41,141: plate 42,142: steel ball
43: first water pipe 44: cover
50: second steam generator 51: water supply tank
52: heating device 53: steam piping
54: injection nozzle 55: level control unit
58: connection piping 59: heating wire
60: pressure holding unit 64: second switching valve
70: hot air jet unit 71: base frame
72: inlet unit 73: outlet unit
78: first flip 85: first discharge hole
86: second flip 143: second water pipe
Claims (6)
서로 다른 유로를 형성하는 제1급수배관 및 제2급수배관과, 상기 제1급수배관 및 상기 제2급수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절환밸브를 가지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급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로 증기를 발생하는 제1증기발생부;
상기 제2급수배관으로 공급되는 물로 증기를 발생하는 제2증기발생부;
상기 제1증기발생부 및 상기 제2증기발생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로 분사하는 열풍분사부; 그리고
상기 제1증기발생부 및 상기 제2증기발생부로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절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조리기.A main body forming a body and having a cooking chamber;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first water supply pipe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ming a different flow path, and a first switch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 first steam gener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steam wit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 second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into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 hot air spraying unit for injecting steam generated from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into the cooking chamber;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valv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to the first steam generator and the second steam generator.
상기 제2증기발생부는,
상기 제2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 이동을 안내하는 증기배관과,
상기 증기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증기를 상기 열풍분사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am generator,
A water supply tank in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is store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A steam pipe for guiding a discharge movement of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device;
And a spray nozz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am pipe to inject steam into the hot air spray unit.
상기 증기배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상기 증기배관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절환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The method of claim 2,
The steam pipe is a composite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switch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eam pipe and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제2증기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am generating unit is a composite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증기발생부, 상기 제2증기발생부, 상기 열풍분사부 및 상기 급수부의 작동정보를 인터넷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team generator, the second steam generator, the hot wind sprayer,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the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팬모터 조립체 및 팬모터 조립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팬으로 구성되는 흡기용 댐퍼와,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용 댐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 intake damper comprising a fan motor assembly and a fan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fan motor assembly and operates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cooking chamber;
Combination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damper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of the cooking chamber to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63541A KR101309311B1 (en) | 2012-06-14 | 2012-06-14 | Multiple coo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63541A KR101309311B1 (en) | 2012-06-14 | 2012-06-14 | Multiple cook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09311B1 true KR101309311B1 (en) | 2013-09-17 |
Family
ID=494563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63541A Active KR101309311B1 (en) | 2012-06-14 | 2012-06-14 | Multiple cook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0931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10513A1 (en) * | 2018-07-10 | 2020-01-16 | Jung Gmbh Apparatebau | Apparatus for baking bakery products including steam generato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26597A (en) * | 2003-09-09 | 2005-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eam cooking apparatus |
| KR20050087088A (en) * | 2004-02-24 | 2005-08-31 | 김영식 | Dough conditioner having multi-function and control method it |
| KR20100009855A (en) * | 2008-07-21 | 2010-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eam oven |
| JP2011021839A (en) | 2009-07-16 | 2011-02-03 | Tomoda Selling Kk |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method using superheated steam |
-
2012
- 2012-06-14 KR KR1020120063541A patent/KR1013093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26597A (en) * | 2003-09-09 | 2005-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eam cooking apparatus |
| KR20050087088A (en) * | 2004-02-24 | 2005-08-31 | 김영식 | Dough conditioner having multi-function and control method it |
| KR20100009855A (en) * | 2008-07-21 | 2010-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eam oven |
| JP2011021839A (en) | 2009-07-16 | 2011-02-03 | Tomoda Selling Kk |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method using superheated steam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10513A1 (en) * | 2018-07-10 | 2020-01-16 | Jung Gmbh Apparatebau | Apparatus for baking bakery products including steam generato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115515B (en) | Steam control system for multi-zone oven | |
| EP2240727B1 (en) | Convection oven | |
| KR100953234B1 (en) | Trays for heated cookers and cookers | |
| EP2703740B1 (en) |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 |
| US7487714B2 (en) | Steam cooker | |
| CN110115514B (en) | Cleaning system for multi-zone oven | |
| CN102188154A (en) | Heating cooker | |
| US20220404025A1 (en) | Combination Oven with Independent Steam Generation Element | |
| US20090218332A1 (en) | Boilerless combination convection steamer oven | |
| US9599347B2 (en) | Self-cleaning food cooking oven | |
| WO2005066544A1 (en) | Steam cooking apparatus | |
| KR20050053945A (en) | Heating cooker | |
| KR101309311B1 (en) | Multiple cooking apparatus | |
| US6900414B2 (en) | Deck oven | |
| KR101178565B1 (en) | Apparatus for injecting smoke screen for agicultural use | |
| KR20160097069A (en) | Steam generator and oven having the same | |
| KR101439319B1 (en) | Water direct injection type steam oven | |
| JP2017072303A (en) | Cooker | |
| JP2019143836A (en) | Heating cooker | |
| KR101735105B1 (en) | Gas oven range | |
| KR101211028B1 (en) | Manufacturing device of rice cake and boiled rice | |
| JP2019177043A (en) | Cooking apparatus | |
| AU2014206213B2 (en) | Convection oven | |
| WO2020088845A1 (en) | A cooking device for homogeneous cooking | |
| JP2007032962A (en) | Cook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