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0561B1 -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 Google Patents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61B1
KR101300561B1 KR1020110129398A KR20110129398A KR101300561B1 KR 101300561 B1 KR101300561 B1 KR 101300561B1 KR 1020110129398 A KR1020110129398 A KR 1020110129398A KR 20110129398 A KR20110129398 A KR 20110129398A KR 101300561 B1 KR101300561 B1 KR 10130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variable
pattern
inpu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3082A (en
Inventor
김상기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감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감마누
Priority to KR102011012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61B1/en
Publication of KR2013006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6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31Parallel-plate fed arrays; Lens-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1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shape of the antenna or antenna system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입력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고정기판; 및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의 일면과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고,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과 동적으로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되는 트롬본 형태(trombone type)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과 함께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가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상에서 병렬 급전 방식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comprising: an integrated fixed substrate having a portion of a phase variable pattern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one surface of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layer contacting each other with a boundary, and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linear movement, and dynamically capacitive with a pattern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a trombone type pattern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e variable substrate including a variable substrate for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gether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fed in parallel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method.

Description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본 발명은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편파의 틸트각을 동시에 가변시킬 수 있고, 병렬급전 방식에 의해 정교한 위상가변이 가능하며, 신호의 크기조절과 위상가변기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vary the tilt angle of multiple polarized waves, and to perform precise phase shifting by a parallel feeding method, and to control signal size and freedom of phase changer design. It relates to a phase changer that can be increased.

위상가변기란, 전기적인 빔 틸트 방식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렬로 배열된 각 안테나 방사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가변시켜서 전기적인 빔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A phase changer is a device used for an electric beam tilting method, and is a device that enables electric beam tilting by varying the phase difference of signals fed to each antenna radiating element arranged in a line.

이러한 위상 가변기는 입력신호를 적절히 지연시킴으로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간의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하는데, 대표적으로 전송선로의 물리적인 길이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위상 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Such a phase shifter causes a phase difference between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by appropriately delaying an input signal. Typically, the phase shifter may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y changing a physical length of a transmission lin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기술분야에 대한 종래기술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prior art for the technical fiel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는 셀 브리딩(cell breathing)을 위하여 틸트(tilt)각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틸트 기능과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를 위한 다중 편파 성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Mobile base station antennas, which are widely used around the world today, are based on a variable tilt function that can vary the tilt angle for cell breathing and multiple polarization performance for polarization diversity. have.

이러한 다중 편파 가변안테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위하여 각 편파의 틸트각을 동일하게 가변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를 편파별로 따로 구비하고 구동을 동기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각 편파의 틸트각을 동일하게 가변시켰다.Such a multipolar polarization variable antenna must vary the tilt angle of each polarization equally for the polarization diversity technique. Conventionally, the tilt angle of each polarization is adjusted us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driving with a plurality of phase shifters separately for each polarization. Equally variable.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낱개 형식의 위상가변기를 나열하여 다중편파 안테나의 위상가변기를 구현하였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조립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며,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의 위상조절을 동시에 정확하게 하기(동기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a single phase type phase shifter is arranged to implement a phase shifter of a multiple polarized antenna, and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is inferior in assembly and productivity, and simultaneously performs phase adjustment of a plurality of phase shifters accurately (synchroniz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편파 별로 독립된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를 구성하지 않아도, 다중 편파 안테나의 빔 틸트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enables beam tilt of a multi-polarized antenna without configur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hase changers for each polarization as in the prior art.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중에서 트롬본 타입의 위상가변기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위상가변기는 하나의 입력패턴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위상 가변 신호들을 출력하였다. 즉, 기판상에 급전되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분배하여 복수 개의 위상 가변 신호들을 출력시켰는데, 이를 위해 하나의 입력패턴에 복수 개의 출력패턴이 모두 연결된 형태로 위상 가변 선로가 구성되었다. Next, referring to FIG. 2, a trombone type phase shifter may be described. The conventional phase shifter outputs a plurality of phase change signals using a signal input through one input pattern. That is,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signals are output by distributing one input signal fed on a substrate. To this end, a phase variable line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are connected to one input pattern.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구성은, 하나의 입력신호에서 각각의 출력신호로 이어지는 선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위상 가변 신호들이 서로 간에 영향을 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출력 신호들이 목표로 하는 위상 변위량을 정교하게 맞추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is type of configuration, since the lines leading from each input signal to each output sig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hase variable signals can influence each other, thereby precisely adjusting the amount of phase shift targeted by the output signals. Was difficult.

따라서, 위상가변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들의 위상 변위량을 더욱 정교하게 맞출 수 있는 위상가변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hase shifter that can more accurately match the phase shift amount of signals output by the phase shifter.

한편, 도 2를 다시 한번 참조하면, 종래의 트롬본 타입의 위상가변기는 입출력 패턴들이 기판상에서 산발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접지면의 면적이 넓거나 길이가 길었는데, 이에 따라 접지가 불안하여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이 악화될 수 있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again, the conventional trombone type phase changer has a wide or long area of the ground plane because the input / output patterns are sporadically disposed on the substrate. 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could deteriorate.

따라서, 위상가변기의 PIMD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위상가변기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hase changer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PIMD characteristics of the phase changer.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적인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발명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개발할 수 없는 기술들을 더 부가하여 위해 발명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meet the technical need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solving the above problems, it was invented to further add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develop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편파(polarization) 별로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위상가변기에 의해 다중 편파 안테나의 빔 틸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beam tilt of the multiple polarization antenna by one phase shifter, even if a plurality of phase shifters are not provided for each polar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복수 개의 입력신호를 병렬적으로 급전 받아서, 각각의 입력신호에 대해 하나의 위상가변신호만을 출력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blem to receive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in parallel, and output only one phase variable signal for each input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에 형성되는 입출력패턴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blem to form the input and output patterns formed on the fixed substrate of the phase changer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입력신호의 크기(magnitude)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고,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 가변 선로에서는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controls the magnitud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and in the phase variable line formed by the fixed substrate and the variable substrate to change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Shall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 설계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을 증가시키고 임의의 파워 분배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degree of freedom) of the phase shifter design and to enable any power distribution as a challen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신호의 크기(magnitude)조정을 위해 위상가변 선로 전체를 교체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had to replace the entire phase-variable line to adjust the magnitude (magnitude) of the signal.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복수 개의 입력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고정기판; 및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의 일면과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고,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과 동적으로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되는 트롬본 형태(trombone type)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과 함께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가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상에서 병렬 급전 방식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fixed substrate is formed a portion of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one surface of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layer contacting each other with a boundary, and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linear movement, and dynamically capacitive with a pattern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a trombone type pattern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e variable substrate including a variable substrate for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gether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fed in parallel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위상가변패턴이 다중 편파(polarizaiton)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variable pattern can vary both phases of a signal fed to multiple polarizaiton radiato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위상가변패턴이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는 + 편파(polarization)를 위한 방사소자에 전달되고, 상기 제2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는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variable pattern includes a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a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is + polarization (polarization) Is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polar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정하는 신호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gnal divider for adjusting the magnitude (magnitude) of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위상가변패턴은 신호의 크기는 조절하지 않고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variabl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is changed without adjusting the size of th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신호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병렬급전 방식으로 입력되며, 상기 위상가변패턴에 의해 위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input in a parallel feeding method in a state in which the signal size is adjus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is changed by the phase variable patter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이 복수 개의 입력패턴 및 복수 개의 출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패턴 및 복수 개의 출력패턴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턴들로 그룹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and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and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t can be grouped into patter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그룹을 형성하는 패턴들이 일직선을 이루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s forming the group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forming a straight li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가변기판이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은 상기 가변기판의 이동방향 또는 상기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substrate includes two or more trombone pattern, the two or more trombone pattern is a mov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li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가변기판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이 서로 간에 양 또는 음으로 비례하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s of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vary in proportion to each o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가변기판이 편파의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substrate is formed by the number of polariza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상기 가변기판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substrate is formed in one integral,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편파(polarization) 별로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위상가변기에 의해 다중 편파 안테나의 빔 틸트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편파별 틸트각의 동기화가 용이하며, 위상가변기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안테나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eam tilt of a multi-polarized antenna by one phase shifter even if a plurality of phase shifters are not provided for each polarization. Therefore, it is easy to synchronize the tilt angle for each polariz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hase shifter can be simplifi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antenn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복수 개의 입력신호를 병렬적으로 급전 받아서, 각각의 입력신호에 대해 하나의 위상가변신호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위상 가변 출력신호마다 독립적인 선로가 구성되므로 출력신호 상호 간의 영향이 없고, 출력신호들의 위상 변위량을 더욱 정교하게 맞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in parallel, and output only one phase shift signal for each input signal. Therefore, since an independent line is configured for each phase variable output signal, there is no influ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s, and the amount of phase shift of the output signals can be more precise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에 형성되는 입출력패턴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지를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input and output patterns formed on the fixed substrate of the phase changer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the ground can be configured reliabl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입력신호의 크기(magnitude)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을 부가하여,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가변패턴에서는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이 위상가변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위상가변의 정교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configuration to independently adjust the magnitud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in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med by the fixed substrate and the variable substrate variable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You can let Therefore, since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med by the fixed substrate and the variable substrate can concentrate only on the phase variable, the fineness of the phase variable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 설계(신호의 크기, 위상)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을 증가시키고 임의의 파워 분배가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hase shifter design (signal magnitude, phase) and enables arbitrary power distribu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신호의 크기(magnitude)조정을 위해 위상가변 선로 전체를 교체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phase-variable line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위상가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가변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커플링을 이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가변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커플링을 이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커플링을 이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동작에 따라, 위상가변패턴이 동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에 신호분배기가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분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hase changer.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xed substrate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 substrate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ed substrate and a variable substrate of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 substrate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ed substrate and a variable substrate of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ed substrate and a variable substrate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ase variable pattern dynamically 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distributor configured in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ignal spl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를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tters re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 actually embodied in the schematic drawing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들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복수 개의 입력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고정기판(100),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의 일면과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고,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과 동적으로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되는 트롬본 형태(trombone type)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과 함께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가변기판(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grated fixed substrate having a portion of a phase variable pattern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100), the one surface of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film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is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linear motion, the dynamic coupling with the pattern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The capacitive coupling may include a trombone type pattern, and may includ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for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gether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복수 개의 입력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의 일부가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변기판(210, 220)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과 동적인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을 이루어서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has a part of a phase variable pattern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on one surface thereof, and has a trombone shape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by forming a capacitive coupling dynamic with the pattern.

이러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패턴, 위상가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패턴, 상기 가변기판에 형성된 패턴들과의 동적인 커패시티브 커플링를 이루어서 상기 입력패턴과 출력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 상기 위상가변패턴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패턴을 통해 위상을 가변시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출력패턴을 통해 위상이 가변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변기판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과 커플링되는 상기 연결패턴을 통해 상기 입력패턴과 출력패턴을 연결시키고 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게 된다.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has an input pattern for inputting a signal, an output pattern for outputting a phase-variable signal, and dynamic capacitive coupling with the patterns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tter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ttern, by such a configuration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phase variable pattern. In detail, a signal for changing a phase is input through the input pattern, a signal having a phase variabl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pattern, and the input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coupled to a trombone pattern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 The pattern and output pattern are connected and the phase of the signal is changed.

또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복수 개의 입력신호를 위한 복수 개의 입력패턴과 복수 개의 출력신호를 위한 복수 개의 출력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가변 출력신호들은 서로 다른 입력신호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일체형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같은 수의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과 출력패턴(121 내지 126, 141 내지 146)을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일체형 고정기판(100)에 입력되는 하나의 신호는 하나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만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위상가변 출력 신호 상호 간의 독립성이 보장되어 보다 정교한 위상가변 출력신호의 형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for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for a plurality of output signals. Accordingly, different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may have different input signals. It is formed by. Referring to FIG. 3, the integrated unitary fixed substrate 100 includes the same number of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and output patterns 121 to 126 and 141 to 146. Accordingly, one signal input to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forms only one phase variable output signal. Therefore, independence between phase-variable output signals can be ensured, and thus a more precise phase-variable output signal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상기 복수 개의 입력패턴과 복수 개의 출력패턴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패턴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그룹을 형성하면서 기판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복수 개의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패턴(121 내지 126, 141 내지 146)은 기판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일직선을 이루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기판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패턴 그룹들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그룹화에 의해 상기 패턴들을 접지시키는 접지면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접지가 가능하며,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arrange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groups of patter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placed. Referring to FIG. 3,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and the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121 to 126 and 141 to 146 are straight along a length direction or a width direction of a substrate. I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forming a plurality, so that a plurality of pattern group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formed. Therefore, the area of the ground plane for grounding the patterns can be reduced by such grouping,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grounding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한편,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다중 편파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키기 위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편파 별위상가변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일체형 위상가변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다중 편파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가변을 위한 패턴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러한 패턴들과 상기 가변기판상에 형성된 패턴들을 커플링 시켜서, 다중 편파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키는 일체형 위상가변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include a pattern for varying the phase of the signal fed to the multi-polarization radiation element, an integrated phase changer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polarized phase phase variable through this configuration. Can be implemented. Specifically, by integrally forming the patterns for the phase change of the signal fed to the multi-polarization radiation element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by coupling the patterns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 and the pattern, It is possible to form an integral phase variable pattern for varying the phase of the signal fed to the polarized radiation atoms.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제1패턴(110) 및 제2패턴(1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패턴(110)과 가변기판상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이 커플링 되어 제1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130)과 가변기판상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이 커플링 되어 제2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은,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 안테나의 편파별 방사소자에게 위상가변 신호들을 전달하는 패턴들인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가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위상가변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가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위상가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상기 가변기판(210, 220)과의 동적인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해 동적으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이 동기화가 된 상태에서 동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에 의해 형성되므로, 보다 정교하게 동기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pattern 110 and a second pattern 130. The first pattern 110 and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formed on the fixed substrate 100.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is formed by coupling the pattern of the trombone formed in the second pattern 130,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is formed by coupling the pattern of the trombone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 with the second pattern 130. Her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patterns for transmitting phase variable signals to the polarized radiation elements of the dual polarization antenna, for example,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The phase variabl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 polarizati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may transmit the phase variable signal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polarization. Meanwhil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dynamically formed by dynamic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may be configured to be dynamically formed in a synchronized stat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formed by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ore precise synchronization can be achieved.

끝으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은,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기 위한 형태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패턴의 폭 변화 등 전력조절을 위한 요소들을 배제한 채 위상가변만을 고려한 형태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위상가변의 관점에서는 더욱 정교한 출력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Finally, the unitary fixed substrate 100 may form a pattern in a form for changing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specifically, the pattern in a form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phase change without excluding elements for power control such as the width change of the pattern. Can be configured. Therefore, this configuration can generate more sophisticated output signals in terms of phase change.

상기 가변기판(210, 220)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의 일면과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고,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과 동적으로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되는 트롬본 형태(trombone type)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함께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installed b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with an insulating film at a boundary, and may be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linear movement.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A trombone type pattern is formed which is dynamically capacitively coupled with the pattern formed in the structure, thereby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gether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eans.

이러한 상기 가변기판(210, 220)은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211, 22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211, 221)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된 패턴들과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을 이루어서, 신호들의 위상가변을 위한 위상가변패턴을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들은, 입력패턴들과 출력패턴들이 단절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로 완성된 위상가변패턴을 형성할 수 없는데, 상기 트롬본 패턴(211, 221)들과의 커플링을 통해 완전한 위상가변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include two or more trombone patterns 211 and 221. The two or more trombone patterns 211 and 221 may be formed on the unitary fixed substrate 100. Capacitive coupling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phase change pattern for phase change of signals. That is, since the patterns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re formed in the form in which the input patterns and the output patterns are disconnected, they cannot form a completed phase variable pattern by themselves. Coupling with the 221 forms a complete phase variable pattern.

또한, 상기 가변기판(210, 220)은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기판(210, 220)이 일직선상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변기판(210, 220)의 일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위상가변패턴이 동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동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상기 가변기판(210, 220)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커플링을 이룬 상태에서 도면상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위상가변패턴의 각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에서 각 출력패턴(121 내지 126, 141 내지 146)으로 이어지는 선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결국 동적인 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적인 위상가변패턴을 통해, 복수 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서로간에 양 또는 음으로 비례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Preferably,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Further, more preferably,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The phase variable pattern may be dynamically formed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Will b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phase variable pattern dynamically formed,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where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are coupled to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the length of the line leading from each of the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of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 each of the output patterns 121 to 126 and 141 to 146 changes relatively. As a result, a dynamic phase shift pattern is formed. Accordingly, the phases of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may be proportionally changed positively or negatively from each other through the dynamic phase variable pattern.

다음으로, 상기 가변기판(210, 220)에 형성된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211, 221)들은 상기 가변기판(210, 220)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가변기판(210, 220)의 이동방향 또는 상기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트롬본 패턴(211, 221) 중 마주보는 두 선에 대응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가변기판의 직선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상기 가변기판(210, 220)의 운동시에 각각의 입출력패턴들을 연결시키는 선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2 이상의 트롬본 패턴(211, 221)들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서로 같은 방향 또는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복수 개의 입력신호들이 통과하는 각 선로의 길이가, 가변기판(210, 220)의 운동에 따라 양 또는 음으로 비례하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Next, two or more trombone patterns 211 and 221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n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formed in a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In additi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wo opposing lines of the trombone patterns 211 and 221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 as shown in FIGS. 2 and 3. This is because the lengths of the lines connecting the respective input / output patterns can be variably chang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The two or more trombone patterns 211 and 221 may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s as shown in FIGS. 4 and 5.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track may be proportionally adjusted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한편, 상기 가변기판은 복수 개의 가변기판(210, 220)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가변기판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배치되고 동기화되어, 복수 개의 편파별 위상가변을 일체로 수행하는 일체형 위상가변기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variable substrates (210, 220), the plurality of variable substrates are arranged and synchroniz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 plurality of phase-specific variable by phase polarization integrally It is possible to form an integral phase changer to perform.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가변기판은 이중 편파의 각 편파들을 위한 제1가변기판(210) 및 제2가변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변기판(210)상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의 제1패턴(110)과 커플링되어 제1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위상기판상에 형성된 트롬본 형태의 패턴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의 제2패턴(130)과 커플링되어 제2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은, 이중 편파(dual polarization) 안테나의 편파별 방사소자에게 위상가변 신호들을 전달하는 패턴들인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가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위상가변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가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위상가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은,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0)의 직선운동에 따라 동적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0)의 직선운동은 서로 동기화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2 가변기판(210, 220)이 연결기구 등에 의해 동기화된 상태에서 동일한 힘을 받으며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도 동기화가 된 상태에서 동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이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에 의해 형성되고, 가변기판들도 서로 인접한 거리에서 동기화되므로, 보다 정교하게 동기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3 to 5, the variable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variable substrate 210 and a second variable substrate 220 for respective polarizations of dual polarization. A trombone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10 is coupled to the first pattern 110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to form a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a trombone shape formed on the second phase plate. A pattern is coupled with the second pattern 130 on the unitary fixed substrate 100 to form a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Her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patterns for transmitting phase variable signals to the polarized radiation elements of the dual polarization antenna, for example,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The phase variabl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 polarizati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may transmit the phase variable signal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polarization. Meanwhil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dynamically formed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linear motion of)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perform linear movement under the same force while being synchronized by a connection mechanism, and thus,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It is also formed dynamically in the synchronized stat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are formed by the unitary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s are also synchronized at close distances to each other, more precise synchronization can be achieved.

끝으로, 상기 가변기판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절연막은, 상기 가변기판 또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과 다양한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PSR(Photo Solder Resist)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Finally, the insulating film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variable substrate and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n the variable substrate or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aterials and various materials. Can be. 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y formed by a PSR (Photo Solder Resist) process.

참고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상기 가변기판이 포함하는 패턴들은, 신호의 전송을 위해 기판들 상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들은 다양한 형태와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microstrip lin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patterns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s a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s for signal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patterns may be formed by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but may be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microstrip lines.

그리고,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된 입출력패턴들은 신호의 입출력을 위상 구성들로서 바람직하게는 입출력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출력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patterns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cable, preferably an input / output cable as phase configurations, and receive or transmit a signal through such input / output.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일체형 가변기판(230)을 포함하여, 다중 편파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키는 일체형 위상가변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6 to 7,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variable substrate 230 and includes an integrated phase for varying a phase of a signal fed to multiple polarized radiation elements. Variable patterns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도 4처럼 다중 편파의 편파 별로 가변기판(210, 220)을 구비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일체형의 가변기판(230)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가변기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가변기판끼리의 완벽한 동기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instead of having the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for each polarization of multiple polarizations as shown in FIG. 4, an integrated variable substrate 23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Thus,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variable substrate. You can achieve perfect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다중 편파 방사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이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일체형 가변기판(230)에 의해 가변되므로, 각 편파 신호별 위상 변위량이 서로 동기화되어 조절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다중 편파 안테나의 편파별 틸트각 변화가 정교하게 동기화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phase of the signal fed to the multi-polarization radiating element is changed by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integrated variable substrate 230, the amount of phase shift for each polarized signal can be adjusted to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change in tilt angle for each polarization of the antenna can be precisely synchronized.

한편, 이 경우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된 입출력패턴과 신호전달을 위한 입출력케이블 간의 연결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가변기판의 밀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입출력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의 일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출력패턴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입출력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입출력케이블의 연결은 기판상에 형성된 쓰루홀 또는 비아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pattern for the signal transmission and the input and output pattern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the input and output pattern is formed in order to ensure close contact betwee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It may be made on one surface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that is not. Specifically, the input / output cable may b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input / output pattern is formed. In this case, the input / output cable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or a via hole formed on a substrate.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가변기판상에 형성된 패턴의 수가 증가 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되는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 및 가변기판상에 형성되는 패턴들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patterns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i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The patterns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구체적으로, 위상가변 출력신호의 개수, 위상 변위량 정도 등에 따라, 기판상에 형성되는 패턴의 수, 폭, 길이 등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umber, width, length, etc. of patterns formed on the substrat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the degree of phase shift amount, and the like.

이하,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위상가변 동작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5 and 9, the phase variabl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9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상가변기의 동작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상기 가변기판의 상대적인 운동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위상가변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hase shi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S. 5 and 9,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lative motion of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To operate the phase shifter.

도 5를 참조하면, 이중 편파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키는 일체형 위상가변기의 구현을 위해,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제1, 2가변기판(210, 220)상의 패턴들이 커플링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체형 위상가변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implement an integrated phase shifter for varying a phase of a signal fed to dual polarized radiation elements, patterns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may be formed. Coupling is achieved, thereby forming an integrated phase variable pattern.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0)의 커플링에 의해, 복수 개의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에서 복수 개의 출력패턴(121 내지 126, 141 내지 146)으로 이어지는 선로들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선로들에 의해 각 입력패턴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각 출력패턴으로 전달되게 된다. Specifically, by coupling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the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121 to 136 in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Lines 126, 141 to 146 are formed, and the signals input from each input pattern are transmitted to each output pattern by these lines.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에서 복수 개의 출력패턴(121 내지 126, 141 내지 146)으로 이어지는 선로들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하나의 입력패턴과 하나의 출력패턴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선로만이 형성되며, 각 선로들은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lines leading from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to the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121 to 126 and 141 to 146 are formed independently, specifically, one input pattern and one output pattern. Only a plurality of lines connecting the wires are formed, and each of the lines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위상가변 동작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동기화되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제1, 2가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0)의 직선운동에 따라 각 입력패턴과 각 출력패턴을 연결하는 선로의 길이가 양(+, 선로의 길이 증가) 또는 음(-, 선로의 길이 감소)으로 비례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로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각 입력패턴으로 입력된 신호가 통과하게 되는 물리적인 길이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위상가변이 이루어지게 된다. 5 and 9, the phase variabl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ynchronized to perform a linear motion. And a second variable substrate, wherein the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each input pattern and each output pattern is positive (+, length of the line) or negative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 Decrease the length of the track) will change proportional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line, the physical length of the signal input to each input pattern is changed, and the phase change is made by this process.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0)이 위쪽 방향으로 동기화되어 운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가변기판(210)의 운동에 따라, 제1-1입력패턴(111)과 제1-1출력패턴(121)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A)하고, 제1-4입력패턴(114)과 제1-4출력패턴(124)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A)한다. 또한, 제1-2입력패턴(112)과 제1-2출력패턴(122)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2A)하고, 제1-5입력패턴(115)과 제1-5출력패턴(125)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2A)한다. 그리고, 제1-3입력패턴(113)과 제1-3출력패턴(123)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3A)하고, 제1-6입력패턴(116)과 제1-6출력패턴(126)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3A)한다. Referring to FIG. 5 and FIG. 9,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an upward direction. Firs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variable substrate 210, first-first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input pattern 111 and the first-first output pattern 121 is reduced (-A), and the first-4 input patterns 114 and the first-4 output patterns 124 are reduced.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connecting lines increases (+ A). In addition,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1-2 input pattern 112 and the 1-2 output pattern 122 is reduced (-2A), and the first-5 input patterns 115 and 1-5 are reduced.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output pattern 125 is increased (+ 2A). In addition,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1-3 input pattern 113 and the 1-3 output pattern 123 is reduced (-3A), and the 1-6 input patterns 116 and 1-6 are reduced.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output pattern 126 increases (+ 3A).

따라서, 상기 제1-1출력패턴(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X), 상기 1-4출력패턴(12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X). 또한, 상기 제1-2출력패턴(12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2X), 상기 1-5출력패턴(125)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2X). 그리고, 상기 제1-3출력패턴(12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3X), 상기 1-6출력패턴(12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3X). Accordingly,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first output pattern 121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X), and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1-4 output pattern 124.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X).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two output pattern 122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2X),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1-5 output pattern 125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2X).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1-3 output pattern 123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3X), and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1-6 output pattern 126.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3X).

다음으로 상기 제2가변기판(220)의 운동에 따라, 제2-1입력패턴(131)과 제2-1출력패턴(141)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A)하고, 제2-4입력패턴(134)과 제2-4출력패턴(144)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A)한다. 또한, 제2-2입력패턴(132)과 제2-2출력패턴(142)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2A)하고, 제2-5입력패턴(135)과 제2-5출력패턴(145)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2A)한다. 그리고, 제2-3입력패턴(133)과 제2-3출력패턴(143)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감소(-3A)하고, 제2-6입력패턴(136)과 제2-6출력패턴(146)을 연결하는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3A)한다. Nex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variable substrate 220,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2-1 input pattern 131 and the 2-1 output pattern 141 is reduced (-A),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2-4 input pattern 134 and the 2-4 output pattern 144 increases (+ A). In addition,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second-2 input pattern 132 and the second-2 output pattern 142 is reduced (-2A), and the second-5 input pattern 135 and the second-5 are reduced.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output pattern 145 increases (+ 2A). Then,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2-3 input pattern 133 and the 2-3 output pattern 143 is reduced (-3A), and the 2-6 input pattern 136 and the 2-6 are reduced.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output pattern 146 increases (+ 3A).

따라서, 상기 제2-1출력패턴(14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X), 상기 2-4출력패턴(14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X). 또한, 상기 제2-2출력패턴(14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2X), 상기 2-5출력패턴(145)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2X). 그리고, 상기 제2-3출력패턴(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 거리의 감소로 위상이 앞서게 되고(-3X), 상기 2-6출력패턴(14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은 선로의 물리적인 거리의 증가로 위상이 지연되게 된다(+3X). Therefore,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2-1st output pattern 141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X), and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2-4 output pattern 144.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X). In addition,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2 output pattern 142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2X),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2-5 output pattern 145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2X).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3 output pattern 143 is preceded by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line (-3X), and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2-6 output pattern 146. The phase is delayed by increasing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track (+ 3X).

한편, 상기 제1, 2가변기판(210, 22)은 동기화가 되어서 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1 내지 1-6출력패턴(121 내지 126)과 상기 제2-1 내지 2-6출력패턴(141 내지 146)은, 각각 동일한 위상 변위량을 가지는 위상가변 출력신호들을 출력하게 된다. Meanwhile, since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substrates 210 and 22 are synchronized and move, the first to second output patterns 121 to 126 and the second to second output patterns 2-1 to 2-6. 141 to 146 output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each having the same amount of phase displacement.

또한, 상기 제1-1 내지 1-6 출력패턴(121 내지 126)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은 일실시예 상에서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들에 전달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 편파의 빔틸트를 유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to first to sixth output patterns 121 to 126 may be transmitted to radiation elements for + polarization in one embodiment, thereby inducing beam tilt of + polarization. do.

그리고, 상기 2-1 내지 2-6 출력패턴(141 내지 146)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은, 일실시예 상에서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들에 전달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 편파의 빔 틸트를 유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2-1 to 2-6 output patterns 141 to 146 may be transmitted to radiation elements for polarization in one embodiment, thereby inducing beam tilt of the polarization. do.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신호분배기(300)를 구비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having a signal splitte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입력신호를 분배하여 복수 개의 병렬적인 신호들을 생성시키는 신호분배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n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distributor 300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arallel signals by distributing an input signal.

이러한 상기 신호분배기(300)는, 편파별 입력신호를 복수 개의 신호들로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절하게 되는데, 결국 편파별 입력신호로부터 파워(power)가 개별적으로 조절된 병렬적인 출력신호들을 생성하게 된다. The signal splitter 300 divides the polarized input signal into a plurality of signals and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divided signal. As a result, power is individually adjusted from the polarized input signal. Generate parallel output signals .

또한, 상기 신호분배기(300)에 의해 분배된 복수 개의 병렬적인 신호들은, 파워(power)가 개별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에 형성된 입력패턴들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가변패턴에서는 파워 조절 없이 위상가변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교한 위상가변을 가능하게 하며, 위상가변과 파워 조절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설계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allel signals distributed by the signal splitter 300 are input to input patterns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individually adjusted. In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med by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and the variable substrate, only the phase variable may be concentrated without power contro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by enabling precise phase shifting and independently configuring phase shifting and power adjustment.

그리고, 상기 일체형 가변기판(230)은,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병렬급전 방식으로 복수 개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야 하는데, 상기 신호분배기(300)가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신호들을 병렬적으로 생성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variable substrate 230, as mentioned above, should receive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in a parallel feeding manner, and the signal distributor 300 may serve to generate and supply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in parallel. Can be.

한편, 상기 신호분배기(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과 일체형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의 바닥면에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신호분배기(300)는 기판상에 형성되는 패턴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분배기(300)가 분배하는 신호의 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신호의 수뿐만 아니라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패턴의 모양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configured in an integrated form or in a separate form from the integrated fixing substrate 1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grated fixing substrate 100. have. Referring to FIG. 11,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mplemented by patterns formed on a subst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number of signals distributed by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variously formed.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signals, shapes of patterns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signal may be variously formed.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분배기(30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분배기(300)는 편파별 신호입력을 위한 제1, 2신호입력부 (341, 342), 편파별 입력신호로부터 분배되고 파워가 조절된 신호들을 병렬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부(311 내지 317, 331 내지 337)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in detail look at the signal splitt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plitt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econd signal input for polarized signal input 341 and 342, and signal output units 311 to 317 and 331 to 337 for outputting signals in which power is adjusted and polarized from polarized input signals .

이러한 상기 신호분배기(300)는, 상기 제1, 2신호입력부 (341, 342)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신호를 분배하고 파워를 조절하여 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데,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들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병렬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The signal splitter 300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gnal input units 341 and 342 , distributes the input signal and adjusts power to output the signal through a signal output unit. The signal splitter 300 The signals output through the signal output unit of) are input in parallel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신호분배기(300)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제1-1 내지 1-6 신호출력부(311 내지 316) 및 제2-1 내지 2-6 신호출력부(331 내지 336)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들은,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100)상에 형성된 입력패턴(111 내지 116, 131 내지 136)들에게 개별적으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1- 7신호출 력(317) 및 제2- 7신호출력부 (337)는, 입력되는 편파별 신호들과 동위상을 가지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위상가변기를 거치지 않고 방사소자에 바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0,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0, the signal splitter 300 may include first to first to sixth signal output parts 311 to 316 and second to second to sixth signal output parts. 331 to 336, and the signals output through the signal output unit separately transmit signals to the input patterns 111 to 116 and 131 to 136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100. (For reference, the first-7 new call history 317, and the 1-7 signal output unit 337 is configured to output a specific polarization signals and signals having an in-phase input of said signal divider (300) As a result, the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hase shifter .)

한가지 예를 살펴보면,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1-1신호출력부(311)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1입력패턴(111)에 입력될 수 있고, 제1-2신호출력부(312)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2입력패턴(112)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1-3신호출력부(313)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3입력패턴(113)에 입력될 수 있고, 제1-4신호출력부(314)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4입력패턴(114)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1-5신호출력부(315)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5입력패턴(115)에 입력될 수 있고, 제1-6신호출력부(316)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1-6입력패턴(116)에 입력될 수 있다. Looking at one example,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1-1 signal output unit 311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1-1 input pattern 111, the 1-2 signal output unit The signal output through 312 may be input to the 1-2 input pattern 112.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1-3 signal output unit 313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1-3 input pattern 113, the first-4 signal output unit 314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to fourth input pattern 114 may be input.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1-5 signal output unit 315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1-5 input pattern 115, and the 1-6 signal output unit 316 may be used.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to sixth input pattern 116 may be input.

다음으로,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2-1신호출력부(331)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1입력패턴(131)에 입력될 수 있고, 제2-2신호출력부(332)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2입력패턴(132)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2-3신호출력부(333)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3입력패턴(133)에 입력될 수 있고, 제2-4신호출력부(334)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4입력패턴(134)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분배기(300)의 제2-5신호출력부(335)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5입력패턴(135)에 입력될 수 있고, 제2-6신호출력부(336)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2-6입력패턴(136)에 입력될 수 있다.
Next,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2-1 signal output unit 331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2-1 input pattern 131, the 2-2 signal output unit 332 The signal output through) may be input to the second-2 input pattern 132.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2-3 signal output unit 333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2-3 input pattern 133, the second-4 signal output unit 334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second input pattern 134 may be input.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2-5th signal output unit 335 of the signal splitter 300 may be input to the 2-5th input pattern 135, and the 2-6th signal output unit 336.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second to sixth input pattern 136 may be input.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편파(polarization) 별로 복수 개의 위상가변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위상가변기에 의해 다중 편파 안테나의 빔 틸트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편파별 틸트각의 동기화가 용이하며, 위상가변기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안테나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eam tilt of a multi-polarized antenna by one phase shifter, even without a plurality of phase shifters for each polarization. Therefore, it is easy to synchronize the tilt angle for each polariz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hase shifter can be simplifi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antenn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복수 개의 입력신호를 병렬적으로 급전 받아서, 각각의 입력신호에 대해 하나의 위상가변신호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위상 가변 출력신호마다 독립적인 선로가 구성되므로 출력신호 상호 간의 영향이 없고, 출력신호들의 위상 변위량을 더욱 정교하게 맞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in parallel, and output only one phase shift signal for each input signal. Therefore, since an independent line is configured for each phase variable output signal, there is no influ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s, and the amount of phase shift of the output signals can be more precise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의 고정기판에 형성되는 입출력패턴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지를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input and output patterns formed on the fixed substrate of the phase changer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the ground can be configured reliabl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입력신호의 크기(magnitude)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을 부가하여,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가변패턴에서는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기판과 가변기판이 형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이 위상가변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위상가변의 정교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configuration to independently adjust the magnitud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in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med by the fixed substrate and the variable substrate variable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You can let Therefore, since the phase variable pattern formed by the fixed substrate and the variable substrate can concentrate only on the phase variable, the fineness of the phase variable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위상가변기 설계(신호의 크기, 위상)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을 증가시키고 임의의 파워 분배가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shif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hase shifter design (signal magnitude, phase) and enables arbitrary power distribu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는, 신호의 크기(magnitude)조정을 위해 위상가변 선로 전체를 교체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trombone phas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phase-variable line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is patent.

100 : 일체형 고정기판
110 : 제1패턴
111 내지 116 : 제1-1입력패턴 내지 제1-6입력패턴
121 내지 126 : 제1-1출력패턴 내지 제1-6출력패턴
130 : 제2패턴
131 내지 136 : 제2-1입력패턴 내지 제2-6입력패턴
141 내지 146 : 제2-1출력패턴 내지 제2-6출력패턴
150 : 연결패턴
210 : 제1가변기판
220 : 제2가변기판
230 : 일체형 가변기판
211, 221, 231 : 트롬본 패턴
300 : 신호분배기
311 내지 317 : 제1-1신호출력부 내지 제1-7신호출력부
331 내지 337 : 제2-1신호출력부 내지 제2-7신호출력부
341 : 제1신호입력부
342 : 제2신호입력부
100: integrated fixed substrate
110: first pattern
111 to 116: 1-1st input pattern to 1-6th input pattern
121 to 126: 1-1st to 1-6th output patterns
130: second pattern
131 to 136: 2-1st input pattern to 2-6th input pattern
141 to 146: 2-1st to 2-6th output patterns
150: connection pattern
210: first variable substrate
220: second variable substrate
230: integrated variable substrate
211, 221, 231: Trombone Pattern
300: signal splitter
311 to 317: 1-1st signal output unit to 1-7th signal output unit
331 to 337: 2-1st signal output section to 2-7th signal output section
341: first signal input unit
342: second signal input unit

Claims (12)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입력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가변패턴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고정기판; 및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의 일면과 절연막을 경계로 맞닿아 설치되고, 직선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과 동적으로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되는 트롬본 형태(trombone type)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과 함께 상기 위상가변패턴을 동적으로 형성하는 가변기판;
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복수 개의 입력패턴 및 상기 복수 개의 위상가변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패턴을 포함하고,
각 출력패턴은 서로 다른 입력 패턴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위상가변 출력신호는 서로 다른 입력패턴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가변기.
In a phase shifter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An integrated fixed substrate having a portion of a phase variable pattern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nd
One surface of the fixed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film as a boundary, is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linear motion, the capacitive coupling (dynamic capacitive coupling) with the pattern formed on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tion A trombone type pattern formed therein, the variable substrate dynamically forming the phase variable pattern together with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to which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input and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to which the plurality of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are output;
Each output pattern is connected to a different input pattern,
Different phase variable output signals are generated based on input signals inputted through different input patter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가변패턴은, 다중 편파(polarizaiton) 방사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모두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hase variabl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of the signal fed to the multiple polarizer (polarizaiton) radiation element can be varied,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가변패턴은 제1위상가변패턴 및 제2위상가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는 + 편파(polarization)를 위한 방사소자에 전달되고, 상기 제2위상가변패턴의 출력신호는 - 편파를 위한 방사소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hase variable pattern includes a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and a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ase variable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positive polarizati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ase variable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radiating element for polarization. toi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의 크기(magnitude)를 조정하는 신호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ignal divider for adjusting magnitudes of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가변패턴은 신호의 크기는 조절하지 않고 신호의 위상만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hase variabl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phase of the signal is variable without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는, 신호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병렬급전 방식으로 입력되며, 상기 위상가변패턴에 의해 위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input in a parallel feeding manner in a state in which the signal size is adjus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is changed by the phase variable pattern,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기판은 복수 개의 입력패턴 및 복수 개의 출력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패턴 및 복수 개의 출력패턴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턴들로 그룹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fixed substr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and a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output patterns may be grouped into patter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제 7 항에 있어서,
그룹을 형성하는 패턴들은, 일직선을 이루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atterns forming the group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판은,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트롬본 패턴은 상기 가변기판의 이동방향 또는 상기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substrate,
And at least two trombone patterns, wherein the at least two trombone patterns are formed in a lin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 or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판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이 서로 간에 양 또는 음으로 비례하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hases of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vary in proportion to each other in a positive or negative manner according to a linear motion of the variable substr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판은 편파의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riable substrate is formed by the number of polarization,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판은 일체형 가변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riable substrate is formed of an integral variable substrate, integral trombone phase changer.
KR1020110129398A 2011-12-06 2011-12-06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Active KR101300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98A KR101300561B1 (en) 2011-12-06 2011-12-06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98A KR101300561B1 (en) 2011-12-06 2011-12-06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082A KR20130063082A (en) 2013-06-14
KR101300561B1 true KR101300561B1 (en) 2013-09-03

Family

ID=4886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398A Active KR101300561B1 (en) 2011-12-06 2011-12-06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5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4389B (en) * 2020-08-19 2024-08-27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Integral phase adjusting device and antenna
JP2025506847A (en) * 2022-03-10 2025-03-13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ully analog phase shif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84A (en) * 1998-07-23 2000-02-15 구관영 Frequency phase control system
US6831602B2 (en) * 2001-05-23 2004-12-14 Etenna Corporation Low cost trombone line beamformer
JP2005510104A (en) 2001-11-09 2005-04-14 イーエムエス テクノロジイ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ntenna array for mobile vehicles
KR20100066265A (en)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roadband antenna system for broadband polarization re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84A (en) * 1998-07-23 2000-02-15 구관영 Frequency phase control system
US6831602B2 (en) * 2001-05-23 2004-12-14 Etenna Corporation Low cost trombone line beamformer
JP2005510104A (en) 2001-11-09 2005-04-14 イーエムエス テクノロジイ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ntenna array for mobile vehicles
KR20100066265A (en)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roadband antenna system for broadband polarization re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082A (en)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806B1 (en) Dual polarized antenna array
CN110574236B (en) A liquid crystal reconfigurable multi-beam phased array
US10424839B2 (en) Phase shifter assembly
JP5499161B2 (en) Multi-line phase shifter for vertical beam tilt control antenna
US20180131102A1 (en) Beam squint remediation apparatus in a broadband phased-array antenna system
CN115280594A (en) Massive MIMO (MMIMO) antenna with phase shifters and radio signal phase synchronization
KR101591920B1 (en) Directional antenna using electro polarization
KR101831432B1 (en) Base-station Antenna
CN109755693B (en) Phase shift structure, feed network and dual-polarized antenna
JP6536688B2 (en) Feeding circuit and antenna device
JP6602165B2 (en) Dual-frequency circularly polarized flat antenna and its axial ratio adjustment method
KR101300561B1 (en) All-in-one trombone type phase-shifter
CN101091289A (en) Triple Polarized Slot Antenna
KR101223747B1 (en) Phase shifter for antenna
US20120229359A1 (en) N port feeding system using a slow wave structure feeding device included in the same
CN105680178A (en) Two-dimensional electronic scanning antenna
CN209329114U (en) Phase shifters and antennas
US9065184B2 (en) N-port feeding syste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patterns are divided with in parallel and feeding element included in the same
JP6577655B2 (en) Hybrid circuit, power supply circuit, antenna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JP6565838B2 (en) Waveguide type variable phase shifter and waveguide slot array antenna apparatus
KR20130055183A (en) Circular trombone line phase-shifter for beam tilt
CN111244622B (en) PCB integrated electric scanning antenna of new system
CN204375964U (en) Two-dimensional electron scanning antenna
KR101083027B1 (en) Phase Shifter for Beam Tilt
GB2439761A (en) Phase shifting unit using mutually movable sections to vary path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