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7089B1 - 휴대기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089B1
KR101317089B1 KR1020110138737A KR20110138737A KR101317089B1 KR 101317089 B1 KR101317089 B1 KR 101317089B1 KR 1020110138737 A KR1020110138737 A KR 1020110138737A KR 20110138737 A KR20110138737 A KR 20110138737A KR 101317089 B1 KR101317089 B1 KR 10131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upling
strap
projection
eng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312A (ko
Inventor
박희주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이희정
박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정, 박희주 filed Critical 이희정
Priority to KR102011013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08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107 priority patent/WO2013094984A1/ko
Publication of KR2013007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머리부, 타측에 돌출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갖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스트랩{strap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에 장착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쉽게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악세사리 개념으로 사용되는 걸이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별도의 다른 악세사리를 단말기에 동시에 취부할 경우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strap)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무선 통화라는 본래의 목적에 더하여, MP3, 카메라, DMB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휴대기기)에는 대부분 단말기보다 작은 악세사리를 취부할 수 있는 걸이부가 구비되는데, 이는 액세서리의 걸이끈은 단말기에 권취시켜 취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작은 악세사리를 매달아 쓰려는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이를 위한 스트랩이 필요하다. 종래의 스트랩은 보통의 끈 부재를 이용하거나,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트랩은 불편하거나, 체결수단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특허공개 제2009-01164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에 장착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쉽게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머리부, 타측에 돌출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갖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머리부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머리부의 반원 보다 작은 직경으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턱부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직경 차이로 인한 단차에 의해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부 개구 및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부 개구영역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기 상부 개구영역과 상기 제1본체의 단턱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본체 상에서 상기 단턱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돌출부의 말단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전,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삽입부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것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결합돌기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크로로프렌 고무, EPDM,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부타디엔 고무, ESM, 및 아크릴 고무 중에서 선택된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제1머리부, 타측에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갖는 제1본체와; 일측에 제2머리부, 타측에 삽입부를 갖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머리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갖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본체의 제2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돌출부를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제2돌출부 말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부 및 하부개구를 갖는 관형상으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의 제1머리부와 상기 제2본체의 제1머리부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스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일측단부면은 상기 제2단턱부에 접촉되고, 타측단부면은 상기 탄성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돌출부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출부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삽입부를 갖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는, 일측에 머리부, 타측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제1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출부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삽입부를 갖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제1본체는 일측에 제1머리부, 타측에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일측에 제2머리부, 타측에 삽입부를 갖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머리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는, 상부 및 하부개구를 갖는 관형상으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제2머리부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결합 시, 상기 결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한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마칠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결합 시, 상기 결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한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마칠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외관 일부를 커버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출부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삽입부를 갖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삽입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에 장착하는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쉽게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의 스트랩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트랩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2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에서의 종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1의 결합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결합, 분해 상태의 사시도들,
도 10은,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휴대기기용 스트랩의 사용상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0의 휴대기기용 스트랩의 분해, 결합사시도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스트랩은,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와; 지지결합부와;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제1본체(10)는, 일측에 머리부(11), 타측에 돌출부(12), 및 머리부(11)와 돌출부(12)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13)를 포함한다.
머리부(11)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12)는 머리부(11)의 반원 보다 작은 직경으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11)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머리부(11)로부터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단턱부(13)는 머리부(11)와 돌출부(12)의 직경 차이로 인한 단차로, 머리부(11)와 돌출부(12)의 그 경계영역에 해당하게 된다.
제2본체(20)는, 제1본체(10)의 돌출부(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를 포함하며, 삽입부(21)는, 제1본체(10)의 돌출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본체(20)에 형성된 상부 개구 및 제2본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 내부에는, 후술할 결합돌기를 수용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가 삽입부(21)로 삽입되는 것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결합돌기가이드부(2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스트랩이, 제1본체(10)와; 제2본체(20a)와; 지지결합부와; 탄성부재(40)와; 장식부재(5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본체(20a)는, 일측에 제2머리부(23a), 타측에 삽입부(21a)를 갖는 제2돌출부(24a), 및 제2머리부(23a)와 제2돌출부(24a)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2단턱부(25a)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식부재(50)는, 양 머리부(11,23a)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결합부는, 제1본체(10)의 돌출부(12)에 형성된 결합돌기(31) 및 제2본체(20)에 형성되어 결합돌기(31)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와 반대로 결합돌기(31)가 제2본체(20)에 구비되고 돌기결합부가 제1본체(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결합부는 돌출부(12)를 제2본체(20)의 삽입부(21) 내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돌기(31)는 제1본체(10) 상에서 단턱부(13)로부터 간격을 두고 돌출부(12)의 말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돌기결합부는, 돌출부(12)의 결합돌기(31)를 수용하여 돌출부(12)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32) 및 회동가이드홀(32)에 형성되어 돌출부(12)의 회동 시 돌출부(12)의 결합돌기(31)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가이드홀(32)은, 돌출부(12)의 회동방향을 따라 제2본체(20)의 삽입부(21)와 연통하도록 제2본체(20)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결합걸림턱(33)은, 돌출부(12)의 결합돌기(31)에 대응하여 회동가이드홀(3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돌출부(12)가 제2본체(20)의 삽입부(21)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이에 제1본체(10)의 돌출부(12)의 회동에 따라 결합돌기(31)가 회동가이드홀(32)을 따라 이동하다가 결합걸림턱(33)에 걸려 결합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을 강제로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가이드홀(32)을 따라 이동하다가 결합걸림턱(33)의 걸림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40)는, 결합돌기(31)와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제1본체(10)와 마주보게 되는 제2본체(20)의 상단면으로서 상부개구영역과 제1본체(10)의 단턱부(13)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40)는, 결합돌기(31)와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결합돌기(31)와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합돌기(31)와 돌기결합부의 결합 전, 탄성부재(40)는 단턱부(13)와 돌출부(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돌출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크로로프렌 고무, EPDM,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부타디엔 고무, ESM, 및 아크릴 고무 중에서 선택된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분리형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위치에 고무를 부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돌출부(12)의 일부영역에만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고 둘레방향을 따라 전체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10)의 돌출부(12)를 제2본체(20)의 삽입부(21)로 밀어 넣어 제1본체(10)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돌기(31)가 회동가이드홀(32) 내에서 슬라이딩하다가 결합걸림턱(33)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즉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는 록킹상태가 되고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마찰 지지력이 발생하여 임의로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결합걸림턱(33)으로부터 결합돌기(31)가 걸림해제되어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본체(10)와 제2본체(20a)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체결공(19, 29)이 구비되어 있다. 제1본체(10)의 체결공(19)에는 끈부재(62)가 결합되어 있고, 제2본체(20a)의 체결공(29)에는 끈부재(64)가 결합되어 있다.
10: 제1본체 11,23a: 머리부
12,24a: 돌출부 13,25a: 단턱부
20, 20a: 제2본체 21: 삽입부
22: 결합돌기가이드부 31: 결합돌기
32: 회동가이드홀 33: 결합걸림턱
40: 탄성부재 50: 장식부재

Claims (42)

  1. 일측에 머리부, 타측에 돌출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갖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머리부의 반원 보다 작은 직경으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직경 차이로 인한 단차에 의해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부 개구 및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부 개구영역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된 상기 상부 개구영역과 상기 제1본체의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본체 상에서 상기 단턱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돌출부의 말단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전,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것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결합돌기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각 체결공에는 끈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6. 일측에 제1머리부, 타측에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갖는 제1본체와;
    일측에 제2머리부, 타측에 삽입부를 갖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머리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갖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본체의 제2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돌출부를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제2돌출부 말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부 및 하부개구를 갖는 관형상으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의 제1머리부와 상기 제2본체의 제1머리부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스트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일측단부면은 상기 제2단턱부에 접촉되고, 타측단부면은 상기 탄성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스트랩.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고,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제1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돌출부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돌출부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제1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0. 삭제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각 체결공에는 끈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4. 제1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출부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삽입부를 갖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가이드홀은, 상기 돌출부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본체 판면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걸림턱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가이드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6. 삭제
  27. 삭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일측에 머리부, 타측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29. 제1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출부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삽입부를 갖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돌기를 안내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돌기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부 내에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탄성적인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일측에 제1머리부, 타측에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1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일측에 제2머리부, 타측에 삽입부를 갖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머리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차로 형성되는 제2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부 및 하부개구를 갖는 관형상으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머리부와 상기 제2본체의 상기 제2머리부 사이에 개재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스트랩.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되는 상기 제2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제1본체의 상기 제1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가이드홀 및 상기 회동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회동 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결합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4. 삭제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6. 삭제
  37.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결합 시, 상기 결합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한 결합이 임의 해제되지 않도록 마칠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외관 일부를 커버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스트랩.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10138737A 2011-12-20 2011-12-20 휴대기기용 스트랩 Expired - Fee Related KR10131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737A KR101317089B1 (ko) 2011-12-20 2011-12-20 휴대기기용 스트랩
PCT/KR2012/011107 WO2013094984A1 (ko) 2011-12-20 2012-12-18 휴대기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737A KR101317089B1 (ko) 2011-12-20 2011-12-20 휴대기기용 스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312A KR20130071312A (ko) 2013-06-28
KR101317089B1 true KR101317089B1 (ko) 2013-10-18

Family

ID=4866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7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7089B1 (ko) 2011-12-20 2011-12-20 휴대기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7089B1 (ko)
WO (1) WO2013094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44B1 (ko) * 2015-06-03 2016-12-1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결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8B1 (ko) 2010-06-24 2010-11-15 임건호 핸드스트랩 연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2401A (en) * 1995-09-09 1998-05-19 Macdonald; Sumner Double hook key ring assembly
JP3897335B2 (ja) * 2002-02-01 2007-03-22 雅弘 星野 連結具およびその連結具に用いる部品の製造方法
JP2007275203A (ja) * 2006-04-04 2007-10-25 Shinya Naganuma 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保持具
KR200439380Y1 (ko) * 2007-03-22 2008-04-08 임건호 핸드폰용 핸드스트랩의 액세서리 탈부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8B1 (ko) 2010-06-24 2010-11-15 임건호 핸드스트랩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984A1 (ko) 2013-06-27
KR20130071312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64619U (zh) 手机扣合结构和手机固定装置
US8055005B2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062570B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TWI630340B (zh) 固持裝置
JP2014503160A (ja) 携帯端末用のフィンガーリ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ケース
KR101614388B1 (ko) 단말기 거치대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TWM455309U (zh) 電話機
KR101317089B1 (ko) 휴대기기용 스트랩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30026848A (ko)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JP2013081148A (ja) 携帯端末用防水ケース
KR101456601B1 (ko) 휴대용 가방걸이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20150001071U (ko) 고리를 장착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JP3167774U (ja) 携帯機器用ケース
KR20100009162U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20160003982U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5798U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CN215891900U (zh) 连接结构、围脖支架及拍摄装置
KR200369786Y1 (ko) 목걸이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0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