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52B1 -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 Google Patents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9052B1 KR101329052B1 KR1020120062788A KR20120062788A KR101329052B1 KR 101329052 B1 KR101329052 B1 KR 101329052B1 KR 1020120062788 A KR1020120062788 A KR 1020120062788A KR 20120062788 A KR20120062788 A KR 20120062788A KR 101329052 B1 KR101329052 B1 KR 101329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mming
- opening
- blades
- contou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957 hemm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6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78 hae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1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working inward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는, 윈도우용 개구부를 헤밍 성형하기 위한 두 벌의 헤밍장치(즉,선형부 헤밍장치와 코너부 헤밍장치)를 갖출 필요가 없이,
하나의 하부다이에 도어를 재치한 상태에서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와 선형부를 모두 헤밍가공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헤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201)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D1)(D2)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을 헤밍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개구부 헤밍유닛을 가진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가 전진동작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이 두 블레이드를 서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하여,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같은 높이에 있는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먼저 헤밍한 후에, 상기 프레임(5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two sets of hemming devices (i.e., a linear hemming device and a corner hemming device) for hemming a window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m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capable of hemming both the corner portion and the linea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placed on one lower die.
The lower die (D1) (D2) provided on the base 201, the outer hemming unit 200 for hemming the outer flange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and the contour of the opening (W) for the window of the door A hemming device for a window opening having an opening hemm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contour for hemming,
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with respect to two blades which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bla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orwarding operation by the driving means, the two blad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Among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a blade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s operated to hem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first, and then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and After moving the blades at different heights to the machining position, the blades are operated to hem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윈도우를 위한 개구부를 헤밍하기 위한 헤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ming device for hemming an opening for a window of a vehicle door,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용 개구부를 헤밍 성형하기 위한 두 벌의 헤밍장치(즉, 윈도우 개구부의 선형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와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를 갖출 필요가 없이, More specif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have two sets of hemming devices for hemming the openings for windows (that is, a hemming device for hemming a linea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a hemming device for hemming a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하나의 하부다이에 도어를 재치한 상태에서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와 선형부를 모두 헤밍가공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헤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m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capable of hemming both the corner portion and the linea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placed on one lower die.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는,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베이스(201)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D1)(D2)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을 헤밍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개구부 헤밍유닛을 가진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The lower die (D1) (D2) provided on the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가 전진동작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이 두 블레이드를 서로 수직방향으로의 위치를 다르게 배치하여,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with respect to the two blades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bla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orward movement by the drive means, by placing the two bla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으로 같은 높이에 있는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먼저 헤밍한 후에, 상기 프레임(5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mong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the blades are operated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em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first, and then the
차체 공장에서 차체(BIW)를 만드는 방법 중에 있어 두 패널의 접합에는 패널을 벤딩 결합시키는 헤밍(hemming)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차체 외관이나 형상의 특성 때문에 용접이 곤란한 부위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the method of making a body (BIW) in the body shop, hemming technology for bending and joining panels is widely used for joining two panels, and it is mainly used for areas where welding is difficult due to the appearance or shape of the body. .
최근 들어 차체의 기능성 향상이나 품질 향상을 위하여 헤밍(hemming) 기술의 적용 부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hemming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and quality of the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윈도우 개구부를 가진 차량용 도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아웃터패널과 인너패널에 대한 헤밍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헤밍가공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터 패널과 인너 패널을 가공 정위치에 세팅한 후 헤밍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아웃터 패널의 플랜지 부분을 인너 패널 위로 꺾어 접어줌으로써 접합하게 된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for a vehicle having a window opening in which a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emming method for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As shown in Fig. 2, the hemming is performed by setting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t the machining positions and then folding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panel over the inner panel with a constant pressure using a hemming device.
종래에는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개구부 윤곽선에 대해 용접을 통한 접합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Conventionally, the joining method through welding is mainly used for the opening contour to which the window glass is fitted.
그런데, 차량 도어의 제작공정의 단순화를 확보하고, 차량 충돌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풍절음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많기 때문에, 최근 출시되는 신형 모델의 자동차는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개구부 윤곽선에 대해서도 용접 접합이 아닌, 헤밍가공을 실시하는 추세이다.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advantages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hicle door, securing safety during vehicle collision, and reducing wind noise, the latest model cars are welded to the opening contour where the window glass is fitted. This is not the trend of hemming.
도 3은 윈도우용 개구부를 가진 차량용 도어(100)의 외형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 그림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0)의 외측 윤곽선(110)(120)(130)에 대한 헤밍작업과 함께,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142,143,144,145,148,149)에 대해서도 헤밍작을 실시하고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일부 구간(도면부호 145로 기재된 구간)의 도어를 절단한 A-A부분의 단면도로서, 도어의 외부 윤곽선과, 개구부 내측 윤곽선을 헤밍하는 상태를 그림으로 설명한 것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section of a part of the section shown in FIG. 3 (designated by reference numeral 145),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and the inner contour of the opening are hemmed.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헤밍작업은 도어의 아웃터 패널(OP)의 플랜지를 인너 패널(IP)의 가장자리 위에 겹쳐지도록 꺾어서 접어줌으로써 도어 패널의 헤밍작업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hemming operation of the door is performed by folding the flange of the outer panel OP of the door so that the flange overlaps the edge of the inner panel IP to fold the door pane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용 개구부 윤곽선은 글래스가 끼워질 수 있는 홈(G)이 형성되는데, 이 홈의 단면 형상은 측면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로봇 롤러에 의한 롤러헤밍이 적용될 수 없으며, 블레이드의 전진과 하강동작에 의해 플랜지의 절곡작업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헤밍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opening contour for the window is formed with a groove G into which the glass can be fitt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has a “c” shape in which only the side is open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closed. . Therefore, the roller hemming by the robot roller cannot be applied, and is made by the blade hemming method in which the bending work of the flange is performed by the forward and descending operation of the blade.
도 5는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의 형상에 대응되는 여러 개의 헤밍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헤밍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sic concept for performing a hemming operation having a plurality of heming blad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은 크게 네 곳의 선형부(142,143,144,145)와 2 곳의 코너부(148,149)로 나뉘는데, 네 곳의 선형부를 헤밍하기 위한 각각의 블레이드(242,343,344,345)가 필요하며, 두 곳의 코너부를 헤밍하기 위한 각각의 블레이드(448,449)가 필요하다. 도 5의 (a)는 모든 블레이드들이, 글래스가 끼워지는 홈(G) 속으로 전진한 상태(즉, 아웃터패널의 플랜지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이 상태에서는 모든 블레이드들이 간섭(Interference)없이 정상적으로 작업이 가능할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이 모든 블레이드들을 설치할 수가 없다.As shown in Fig. 5A,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is divided into four
그 이유를 도 5의 (b)에서 도시하였다. 헤밍작업을 위한 모든 블레이드들은 전진과 하강동작에 의해 플랜지의 절곡작업을 수행한 후에 후퇴동작(원위치로의 복귀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만약 도 5의 (a)와 같이 블레이드들을 배치한다면, 모든 블레이드들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너부를 헤밍하기 위한 블레이드(448)는 이에 인접한 두 블레이드(342)(345)와 간섭(Interference)이 발생되므로 복귀동작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또 다른 코너부를 헤밍하는 블레이드(449)도 이에 인접한 두 블레이드(344)(345)와 간섭(Interference)이 발생되므로 복귀동작을 할 수가 없게 된다.The reason for this is illustrated in FIG. All blades for hemming must be retracted (return to home) after bending of the flange by forward and downward motion. Therefore, if the blades are placed as shown in Fig. 5 (a), when all the blade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s shown in Fig. 5 (b), the
결론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타입의 헤밍장치는 제작할 수 없거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In conclusion, the hemming device of the type shown in (a) of FIG. 5 cannot be manufactured or cannot be operated normally.
이런 이유로, 현재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개구부 윤곽선을 헤밍하는 방법은,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외측 윤곽선과 윈도우용 개구부의 선형부를 1단계로 헤밍작업을 수행한 후에, 다음 단계로서 윈우용 개구부의 코너부를 헤밍하기 위한 코너 블레이드를 구비한 새로운 헤밍장치로써 헤밍작업을 완료한다.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method for hemming the opening contour into which the current window glass is fitted, the linear contour of the outer contour of the vehicle door and the opening for the window is performed in one step. After the furnace hemm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next step is to complete the hemming operation with a new hemming device having a corner blade for hemm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opening for the winch.
즉, 현재의 공지기술에서, 차량 윈도우용 개구부의 홈(G)을 헤밍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여러 개의 헤밍 블레이드 중에서, 상호 간섭되지 않는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헤밍장치를 이용해서 1단계로 헤밍작업을 실시한 후, 나머지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다른 헤밍장치를 이용해서 2단계로 헤밍작업을 수행해야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known art, in order to hemm the groove G of the opening part for a vehicle window, a hemming device having blad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mong several hemming blade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is provided. After the hemm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one step, the hemm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in two steps using another hemming device having the remaining blades.
도 6은 이러한 현재 알려진 헤밍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으로서, 도 6의 (a)는 1차 헤밍작업을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6의 (b)는 2차 헤밍작업을 설명하는 그림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is currently known hemming technique.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hemming operation, and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hemming operation.
도 6의 (a)에서, 도면부호 210, 220, 230은 차량 도어의 외측 윤곽선 중에서 선형부를 헤밍하는 블레이드를 각각 나타내며, 도면부호 215와 도면부호 225는 차량 도어의 외측 윤곽선 중에서 코너부를 헤밍하는 블레이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a)에서,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 중에서 네 곳의 선형부(142,143,144,145)를 헤밍하기 위한 각각의 블레이드(342,343,344,345)를 나타낸 것이다. In FIG. 6A,
그리고, 도 6의 (b)에서 도면부호 448 및 도면부호 449는, 1단계의 헤밍작업 이후에 2단계로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 중에서 두 곳의 코너부(148,149)를 헤밍하기 위한 각각의 블레이드(448,449)를 나타낸 것이다.
In FIG. 6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헤밍기술은, 블레이드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 개구부의 선형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와,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2대의 헤밍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하므로 생산설비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hemming technique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blades, a hemming apparatus for hemming a linea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a hemming apparatus for hemming a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is not only a factor tha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equipment is large because it must be provided with both hemming devices.
더 나아가, 1단계 헤밍작업을 완료한 후에 2단계 헤밍작업을 위해 가공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작업과 정위치 세팅을 위한 준비작업 등이 동반되므로, 헤밍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생산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Furthermore, after completing the first stage hemming operatio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workpiece for the second stage hemming operation and the preparation work for setting the correct position are accompanied. The problem is being rai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의 형상에 대응되는 여러 개의 헤밍 블레이드를 구비한 하나의 헤밍장치로써,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에 대한 헤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one hemm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emming blad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hemming operation on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특히, 하나의 하부다이에 가공대상물인 도어를 배치(안착)한 상태에서,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와 선형부를 모두 헤밍가공할 수 있는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hemming device for a window opening which can be hemmed in both a corner portion and a linear portion of a window opening in a state in which a door, which is an object to be processed, is disposed on one lower di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mming device for a window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201) 상에 설치되는 하부다이(D1)(D2)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을 헤밍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개구부 헤밍유닛을 가진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The lower die (D1) (D2) provided on the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에 구비된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하나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Instea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the opening hemming unit on one coplanar surface,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가 전진동작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이 두 블레이드를 서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하고,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with respect to two blades which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bla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orwarding operation by the driving means, the two blades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탑재한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5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201)에 대해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되,The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의 모든 블레이드들의 선단부는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While the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으로 같은 높이에 있는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한 후에,After hemm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by operating the blade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all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상기 프레임(5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fter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자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Fur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는,In the he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여러 개의 헤밍 블레이드들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several heming blade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에 구비된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하나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Instea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the opening hemming unit on one coplanar surface,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가 전진동작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이 두 블레이드를 서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의 위치(설치높이)가 다르게 하여 프레임 상에 배치하여,Among the plurality of blades, the position (installation height) of the two bla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 blades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bla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blade moves forward by the driving means By placing it differently on the frame,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으로 같은 높이에 있는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한 후에,After hemm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by operating the blade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all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상기 프레임(5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다른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기 때문에,Since the
하나의 헤밍장치로서 윈도우용 개구부의 전체 윤곽선을 하나의 공정으로 헤밍가공할 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the whole contour of the opening for a window can be hemmed in one process as one hemming apparatus.
이러한 특징을 가진 헤밍장치는, 종래 상호 간섭되지 않는 블레이드들만으로 구성된 헤밍장치를 이용해서 1단계로 헤밍작업을 실시한 후, 나머지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다른 헤밍장치를 이용해서 2단계로 헤밍작업을 수행해야 했던 공지기술에 비해, Cycle Time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The hemming device having such a feature had to be hemmed in one step by using a hemming device composed of only non-interfering blades, and then hemming in two steps using another hemming device having the remaining blades. Compared to the known technology, not only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ycle time,
차량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를 헤밍 성형하기 위한 두 벌의 헤밍장치 즉, 윈도우 개구부의 선형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와, 윈도우용 개구부의 코너부를 헤밍가공하는 헤밍장치를 모두 갖출 필요가 없어, 생산설비의 구입비용 절감과 생산설비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is not necessary to have two sets of hemming devices for hemming the window openings of the vehicle door, that is, a hemming device for hemming the linea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a hemming device for hemm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opening. It can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and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produ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윈도우 개구부를 가진 차량용 도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아웃터패널과 인너패널에 대한 헤밍가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윈도우용 개구부를 가진 차량용 도어(100)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일부 구간을 절단한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윈도우 개구부의 내측 윤곽선의 형상에 대응되는 여러 개의 헤밍 블레이드로써 헤밍작업을 수행하는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6은 이러한 현재 알려진 헤밍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상부고정부재(600)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방측과 좌측에 배치된 외곽부 헤밍유닛(200)을 생략한 그림이며,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상부고정부재(600)와, 도어의 외곽부 헤밍유닛(200)을 모두 생략한 그림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개구부 헤밍유닛'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해, 하부다이 중의 일부를 생략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개구부 헤밍유닛'과, 이를 탑재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프레임(55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두 블레이드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한 특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a 및 도 13b은 블레이드가 작동되는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도 12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의 작동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 순차적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에서 설치높이가 상이한 두 블레이드가 프레임(550)의 승하강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door having a window opening in which a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emming process for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3 shows the appearance of a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cut away in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performing a hemming operation with a plurality of heming blad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is currently known hemming techniqu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ixing
FIG. 9 is a view of omitting the upper fixing
FIG. 10 is a diagram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die is omitted in order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hemming unit' of the he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in more detail.
1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hemming unit' of the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G.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11, and is a view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two blades having different heights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Figures 13a and 13b is a view omitting some components in Figure 12 to show the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is operated.
14 is a sequential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blade of the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15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blades having different installation heights in the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raising and lowering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용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emming device for an opening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기준으로, 윈도우가 위치하는 부분을 개구부(W)라고 지칭하고, 상기 개구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방향으로, 그 반대방향을 외측방향으로 지칭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or convenience, the portion where the window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the opening portion W,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opening portion is referred to as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Refer to the outward direction.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헤밍장치를 기준으로 상부쪽을 상부방향으로, 그 반대방향을 하부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hemming apparatus shown in FIG. 7, the upper 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upper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lower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는,He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베이스(201)와, 가공될 도어가 재치되는 하부다이(D)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을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을 헤밍하는 개구부 헤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mming the
상기 하부다이(D)는 상기 베이스(201) 위에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다이(D)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가공될 도어의 외곽 윤곽선에 대응되는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lower die D is installed on the
상기 외곽부 헤밍유닛(200)은, The
차량 도어의 외측 윤곽선을 따라 적적한 개수로 분할된 다수의 블레이드들과, 이들 각 블레이드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링크부재(250)와, 상기 링크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260)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blades divided into appropriate numbers along the outer contour of the vehicle door, a plurality of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외곽 윤곽선 중에서 선형부를 헤밍하는 네 개의 블레이드들(210, 220, 230)과, 도어의 외측 윤곽선 중에서 코너부를 헤밍하는 네 개의 블레이드(215, 225)로 분할하여 도어의 외측 윤곽선을 헤밍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7 divided into four blades (210, 220, 230) hemming the linear portion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and four blades (215, 225) hemm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Hemming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is shown by way of example.
그리고,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상부고정부재(600)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방측과 좌측에 배치된 외곽부 헤밍유닛(200)을 생략한 그림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ixing
상기 상부고정부재(600)은 가공될 도어의 인너패널을 정확한 위치에 셋팅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브라켓에 의해 베이스(201)에 고정 설치되며, 구동수단(620)에 의해 힌지축(610)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어 오픈되거나 하부로 회동되어 도어의 인너패널을 지지하게 된다.The
도 8에서 도면부호 550은 후술하게 될 개구부 헤밍유닛이 탑재된 프레임(5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동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In FIG. 8,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상부고정부재(600)와 외곽부 헤밍유닛(200)을 모두 생략한 상태의 헤밍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mm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upper fixing
상부고정부재(600)와 외곽부 헤밍유닛(200)이 모두 생략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하부다이(D)는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부분이 재치되는 제1 하부다이(D1)와, 도어의 몸체부분이 재치되는 제2 하부다이(D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in which both the upper fixing
상기 제1 및 제2 하부다이(D1)(D2)는 베이스(201)에 고정되며, 상기 외곽부 헤밍유닛(200)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다이(D1)(D2)의 주위에 배치되어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lower dies D1 and D2 are fixed to the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용 개구부 헤밍유닛이, 상기 제1 하부다이(D1)의 내부이면서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내부에 설치된다. In FIG. 9, an opening hemming unit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indow opening W of the door while being inside the first lower die D1.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 헤밍유닛은,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다수의 블레이드들(도 9에는 도면부호 342,343,345만 표기하였다)을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The opening hemming unit for the window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only
상기 블레이드 구동수단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딩 캠(350)과, 상기 슬라이딩 캠(35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실린더(도 10에서의 도면부호 330)로 이루어진다.The blade driving means includes a sliding
도 9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580은 프레임(500) 상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캠(350)이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캠의 바깥쪽에 위치한 캠 롤러(도 13a의 도면부호 35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캠(350)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 및 상기 제1 하부다이(D1)의 바깥쪽에는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동수단(550)이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550)은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이 탑재된 프레임(500)을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최소 3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승하강 구동수단(550)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다.
In addition, an elevating driving means 550 for elevating and opera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is provided outside the window opening W and the first lower die D1. The elevating driving means 550 is configured to at least three or more in order to stably raise and lower the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개구부 헤밍유닛'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해, 하부다이 중의 일부를 생략한 그림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의 '개구부 헤밍유닛'과, 이를 탑재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프레임(55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그림이다.
FIG. 10 is a view in which the part of the lower die is omitted in order to more specifically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hemming unit' of the he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and FIG. Fig. 3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hemming unit 'and th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은,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0 and 11,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448,449)이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두 개의 코너부 블레이드(448)(449) 중에서 하나의 코너부 블레이드(449)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위치에 두 개의 코너부 블레이드(448)(449)가 각각 배치된다.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은, 상기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rive means for advancing the blades from their original posi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and returning them back to their original position.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448,449) 중에서, 전진동작에 의한 헤밍작업 이후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서로 수직방향으로의 위치(높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구성한다. Among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너부 블레이드(448)(449)의 형성높이를 나머지 블레이드(342,343,344,345)이 위치한 높이보다 더 낮게 배치한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ation heights of the two
이와 같이 수직방향으로의 위치(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블레이드는 원위치로 복귀하더라도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Thus, blades arranged differ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height)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even if the blade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본 발명은 서로 간섭되는 두 블레이드를 1층과 2층으로 나눠 배치하고,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blades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re divided into one layer and two layers,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2층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들을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를 헤밍한 후에,After hemming a part of the opening contour by operating the blades located two stories high among all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이 탑재된 프레임(500)을 승하강 구동수단(550)에 의해 1층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상승시킨 후에 1층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게 되는 것이다.The
도 11에서 도면부호 510은 개구부 헤밍유닛이 탑재된 프레임(500)을 승하강 구동수단(550)에 연결하는 연결암으로서, 상기 각 연결암(510)의 단부에는 볼스크류 하우징(5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 하우징(513)은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515)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51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볼스크류 하우징(513)이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연결암(510)에 의해 볼스크류 하우징(513)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
In FIG. 11,
이 때, 상기 프레임(500)에 탑재된 개구부 헤밍유닛이 윈도우용 개구부 내에서 승하강하는 동안에는, 모든 블레이드들은 초기 위치(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므로,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의 모든 블레이드들의 선단부가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 패널과 간섭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while all the blades maintain the initial position (retracted position) while the opening hemming unit mounted on the
도 1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330은 개구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블레이드 구동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353은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353)은 프레임(500) 상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355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힌지를 도시한 것이다.In FIG. 11,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구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는 브라켓(353)에 힌지(355)로 결합되어, 구동수단(330)과 슬라이딩 캠(350)의 동작에 의해 헤밍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전진한 블레이드의 후퇴 동작은 상기 슬라이딩 캠이 하강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11 and 1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of the opening hemming unit is coupled to the
상기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수단의 실시예로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A driving means 330 is provided for advancing the blades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ocessing position and returning them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driving means, a cylinder may be applied.
도 12는 상기 도 11에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두 블레이드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한 특징을 나타낸 그림이다.FIG.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11, and is a view illustrating characteristics of two blades having different heights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도 12에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전진동작에 의한 헤밍작업 이후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코너부 블레이드 448과 선형부 블레이드 345, 그리고, 코너부 블레이드 448과 선형부 블레이드 342) 상호간에, 서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2 shows two blades (
도 12에서도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은,As clearly shown in Figure 12, the opening hemming unit,
서로 간섭되지 않는 블레이드들을 동일한 높이로 배치하여 구성하고,Configured by placing the blades at the same height that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인접한 블레이드와 간접을 일으키는 나머지 블레이드들을 낮은 높이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aining blades causing indirect adjacent blades and the indirect blad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예를 들어,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도면부호 344는 도 12에 도시되지 아니함)과, 상기 개구부(W) 윤곽선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448,449)(도면부호 449는 도시되지 아니함)를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한 것이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상기 선형부 블레이드들(342,343,344,345)과, 이 선형부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330)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를 헤밍하는 헤밍유닛을 제1 헤밍유닛(300)으로 지칭하고,First hemming a hemming unit for hemming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including the
상기 코너부 블레이드들(448,449)과, 이 코너부 블레이드들(448,449)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430)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를 헤밍하는 헤밍유닛을 제2 헤밍유닛(4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A hemming unit having a corne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having
상기 제1 헤밍유닛(300)의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헤밍유닛(400)의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며,The blade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blade of the second hemming unit 400 ar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제1 헤밍유닛(300) 및 제2 헤밍유닛(400)을 프레임(500)의 상부면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second hemm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프레임(500)은 승하강 구동수단(550)을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The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제1 헤밍유닛(3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와, 제2 헤밍유닛(4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는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While the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제1 헤밍유닛(300) 또는 제2 헤밍유닛(400) 중의 어느 한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가 헤밍완료된 후에, After a part of the contour of the opening is hemmed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or the second hemming unit 400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나머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나머지 부분을 헤밍 완료하고,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After the
본 발명에 따른 헤밍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동수단(330)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크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실린더(332)(334)를 서로 직렬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blade driving means 330 for driving the hemming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two
도 13a 및 도 13b는 블레이드가 작동되는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도 12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그림이다.Figures 13a and 13b is a view omitting some components in Figure 12 to show the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is operated.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면부호 351은 슬라이드 캠(350)에 밀착되는 롤러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352는 상기 슬라이드 캠(350)이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352)는 지지블록(580)에 고정 설치된다.In FIGS. 13A and 13B,
상기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는 구동수단(330)은, 예비헤밍을 수행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조금만 전진시키는 제1 실린더(332)와, 많이 상승시키는 제2 실린더(334)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driving means 330 for advancing the blades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is particularly composed of a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캠(350)의 캠 면을 2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롤러(351)가 낮은 캠면에 밀착된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조금만 전진하고, 상기 슬라이딩 캠(350)이 더욱 높이 상승하여 상기 롤러(351)가 높은 캠면에 밀착되면 상기 블레이드가 더 많이 전진하도록 구성한다.To this end, the cam surface of the sliding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캠(350)에 의해 전진된 블레이드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은, 상기 슬라이딩 캠이 하강한 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복귀될 수 있다.
And. In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blade advanced by the sliding
본 발명은 제1 헤밍유닛(300)의 블레이드 구동수단과, 제2 헤밍유닛(400)의 블레이드 구동수단을 하나의 통합된 구동수단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the blade driving means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blade driving means of the second hemming unit 400 as one integrated driving means.
즉, 본 발명의 개구부 헤밍유닛은,That is, the opening hemm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를 헤밍하는 제1 헤밍유닛(300)과,A first hemming unit 3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448,449)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를 헤밍하는 제2 헤밍유닛(400)과,A second hemming unit 4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상기 블레이드들(342,343,344,345,448,449)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430)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이러한 변형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1 헤밍유닛의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Even in this modified embodiment, the blade of the first hemming unit and the blade of the second hem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일부의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가 헤밍완료된 후에,After operating some of the blade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ll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after the part of the opening contour is hemmed complete,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장치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If th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의 작동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 순차적 설명도이며,14 is a sequential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blade of the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에서 설치높이가 상이한 두 블레이드가 프레임(550)의 승하강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FIG. 15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blades having different installation heights in the opening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raising and lowering the
먼저, 도 14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용 개구부(W) 헤밍유닛의 블레이드 동작과 헤밍작업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 14, the blade operation and the hemming operation of the window opening (W) hemm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블레이드가 원위치 상태에서 슬라이딩 캠(350)이 상승하여 낮은 캠면이 롤러(351)를 가압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예비헤밍 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500)에 설치된 개구부 헤밍유닛이 하강하면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예비헤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비헤밍이 완료되면 개구부 헤밍유닛이 상승하면,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상승한다. When the sliding
계속해서 상기 슬라이딩 캠(350)이 더 상승하여 높은 캠면이 롤러(351)를 가압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더욱 홈(G) 속으로 전진하여 메인헤밍 위치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500)에 설치된 개구부 헤밍유닛이 하강하면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메인헤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메인헤밍이 완료되면 개구부 헤밍유닛이 상승하고,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상승한다.Subsequently, when the sliding
마지막으로 구동수단(330)에 의해 상승되었던 슬라이딩 캠(350)이 원위치로 하강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스프링의 복원력(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후퇴함으로써, 하나의 블레이드에 의한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 헤밍작업이 완료된다.
Finally, when the sliding
이러한 원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의 헤밍작업은,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헤밍장치는,The hemming operation of the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W is applied as it is to the he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he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헤밍하기 위한 인접한 두 블레이드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서로 수직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two adjacent blades for hemming the opening ar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진 윈도우용 개구부의 윤곽선 헤밍작업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our hemming operation of the opening for a window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5의 (a)는 헤밍작업을 시작하기 전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초기상태에서 선형부 블레이드(345)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330)이 작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캠(350)이 상승하여 낮은 캠면이 롤러(351)를 가압하면, 상기 선형부 블레이드(345)는 예비헤밍 위치로 전진(도 15의 (b) 참조)하게 된다.Figure 15 (a) shows the initial state before starting the hemming operation, the drive means 330 for operating the
이 상태에서 프레임(500)이 하강하면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예비헤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15의 (c) 참조). 이 때, 코너부 블레이드(448)도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형부 블레이드(345)와 함께 하강하지만, 여유공간을 확보하면 가공대상물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예비헤밍이 완료되면 개구부 헤밍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두 블레이드를 함께 상승시킨다. In this state, when the
계속해서 상기 슬라이딩 캠(350)이 더 상승하여 높은 캠면이 롤러(351)를 가압하여, 선형부 블레이드(345)를 메인헤밍 위치로 전진한다.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500)에 설치된 개구부 헤밍유닛이 다시 또 하강하면 상기 두 블레이드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메인헤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메인헤밍이 완료되면 개구부 헤밍유닛이 상승하고, 상기 블레이드도 함께 상승한다.
Subsequently, the sliding
다음으로, 코너부 헤밍을 하기 위해, 프레임(500)을 상승시켜 코너부 블레이드(448)을 가공 위치로 상승(도 15의 (d) 참조)시킨다.Next, in order to heme a corner, the
이 상태에서 코너부 블레이드(448)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430)이 작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캠이 상승하여 낮은 캠면이 롤러를 가압하면, 상기 선형부 블레이드(448)는 예비헤밍 위치로 전진(도 15의 (e) 참조)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means 430 for operating the
이 상태에서 프레임(500)이 하강하면 상기 두 블레이드도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예비헤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15의 (f) 참조). 코너부 블레이드(448)의 메인헤밍 공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선형부 블레이드의 예비헤밍 공정과 동일하므로, 이후의 공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메인헤밍이 완료되면 코너부 블레이드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프레임(500)이 이 하강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개구부 헤밍유닛도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When the main hemming is completed, the corner blad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를 위한 헤밍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hemming device for the opening of the window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p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베이스
200: 도어 외곽부 헤밍유닛
W: 윈도우용 개구부
342,343,344,345: 선형부 블레이드, 448,449: 코너부 블레이드
500: 프레임, 600: 상부고정부재201: Base
200: hemming unit outside the door
W: opening for window
342,343,344,345: linear blade, 448,449: corner blade
500: frame, 600: upper fixing member
Claims (3)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가공될 도어의 외곽 윤곽선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다이(D)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에 대해 헤밍작업을 수행하는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비한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은,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448,449)과,
상기 블레이드들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들 중에서, 전진동작에 의한 헤밍작업 이후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두 블레이드에 대해, 서로 수직방향으로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프레임(500)의 상부면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500)은 승하강 구동수단(550)을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201)에 대해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550)에 의해 승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의 모든 블레이드들의 선단부는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블레이드들 중에서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일부의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가 헤밍완료된 후에,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또 다른 높이에 위치한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이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해당 부분을 헤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장치.
The base 201,
A lower die (D) installed on the bas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to be processed;
An outer hemming unit 200 for hemming the outer flange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In the hemming device for the window opening provided with an opening hemming unit for hemming the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W) of the door,
The opening hemming unit,
A plurality of blades 342, 343, 344, 345, 448, 44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Drive means for advancing the blade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processing position an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lades, the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wo blades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hemming operation by the forward operation,
The opening hem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00,
The frame 5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550,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are installed to enable the lifting and lowering relative to the base 201,
While the frame 500 is being lowered by the elevating drive means 550, the tips of all the blades of the opening hemming unit maintain the retracted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W. Is configured to
After operating some of the blade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ll the blades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after the part of the opening contour is hemmed complete,
He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moving the blade located at another height to the machining position and then operating the blade to hem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가공될 도어의 외곽 윤곽선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다이(D)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에 대해 헤밍작업을 수행하는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비한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은,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과, 상기 블레이드들(342,343,344,345)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330)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를 헤밍하는 제1 헤밍유닛(300)과,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448,449)와, 상기 블레이드들(448,449)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430)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를 헤밍하는 제2 헤밍유닛(40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 헤밍유닛의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프레임(500)의 상부면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500)은 승하강 구동수단(550)을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제1 헤밍유닛(3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와, 제2 헤밍유닛(4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는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제1 헤밍유닛(300) 또는 제2 헤밍유닛(400) 중의 어느 한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가 헤밍완료된 후에,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나머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나머지 부분을 헤밍 완료하고,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장치.
The base 201,
A lower die (D) installed on the bas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to be processed;
An outer hemming unit 200 for hemming the outer flange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In the hemming device for the window opening provided with an opening hemming unit for hemming the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W) of the door,
The opening hemming unit,
And a plurality of blades 342, 343, 344 and 34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and driving means 330 for advancing the blades 342, 343, 344 and 345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an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 first hemming unit 300 for hemming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A plurality of blades 448 and 44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corner portions of the opening contour, and drive means 430 for advancing the blades 448 and 449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and returning them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Consists of a second hemming unit 400 hemm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tour,
The blade of the first hemming unit and the blade of the second hem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hem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00,
The frame 5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550, is installed to enable the lifting and lowering with respect to the bas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While the frame 50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driving means, the tips of the blades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tips of the blades of the second hemming unit 400 are contours of the opening W for the window. Configured to maintain the retracted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fter a part of the contour of the opening is hemmed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or the second hemming unit 400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After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to move the blades of the remaining hemming unit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to a machining position, by operation of the hemming unit, hemming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is completed, He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가공될 도어의 외곽 윤곽선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다이(D)와,
상기 도어의 바깥쪽 윤곽선의 아웃터 플랜지를 헤밍하는 외곽부 헤밍유닛(200)과,
상기 도어의 윈도우용 개구부(W) 윤곽선에 대해 헤밍작업을 수행하는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비한 윈도우 개구부용 헤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은,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들(342,343,344,345)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선형부를 헤밍하는 제1 헤밍유닛(300)과,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448,449)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코너부를 헤밍하는 제2 헤밍유닛(400)과,
상기 블레이드들(342,343,344,345,448,449)을 원위치에서 가공위치로 전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수단(43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헤밍유닛의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 헤밍유닛(300) 및 제2 헤밍유닛(400)을 프레임(500)의 상부면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500)은 승하강 구동수단(550)을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00)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제1 헤밍유닛(3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와, 제2 헤밍유닛(400) 블레이드들의 선단부는 상기 윈도우용 개구부(W)의 윤곽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제1 헤밍유닛(300) 또는 제2 헤밍유닛(400) 중의 어느 한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일부가 헤밍완료된 후에,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개구부 헤밍유닛을 구성하는 나머지 헤밍유닛의 블레이드를 가공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 헤밍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 윤곽선의 나머지 부분을 헤밍 완료하고, 상기 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장치.The base 201,
A lower die (D) installed on the bas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to be processed;
An outer hemming unit 200 for hemming the outer flange of the outer contour of the door;
In the hemming device for the window opening provided with an opening hemming unit for hemming the contour of the window opening (W) of the door,
The opening hemming unit,
A first hemming unit 3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342, 343, 344, 34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and hemming the linea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A second hemming unit 4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448 and 44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and hemm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The blades 342, 343, 344, 345, 448, 449 is made of a drive means 430 for advancing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an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blade of the first hemming unit and the blade of the second hemming un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second hemm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00,
The frame 5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550, is installed to enable the lifting and lowering with respect to the bas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While the frame 50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driving means, the tips of the blades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and the tips of the blades of the second hemming unit 400 are contours of the opening W for the window. Configured to maintain the retracted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fter a part of the contour of the opening is hemmed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hemming unit 300 or the second hemming unit 400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After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to move the blades of the remaining hemming unit constituting the opening hemming unit to a machining position, by operation of the hemming unit, hemming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pening contour is completed, He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62788A KR101329052B1 (en) | 2012-06-12 | 2012-06-12 |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62788A KR101329052B1 (en) | 2012-06-12 | 2012-06-12 |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9052B1 true KR101329052B1 (en) | 2013-11-14 |
Family
ID=4985766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62788A Active KR101329052B1 (en) | 2012-06-12 | 2012-06-12 |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905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142342A (en) * | 2018-02-12 | 2019-08-20 |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bound edge of vehicle door cover device |
| EP4112202A4 (en) * | 2020-07-08 | 2024-05-15 | Jee Technology Co., Ltd. | High flexibility table-style hemming machine based on principle of segmented control and hemming method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263159A (en) | 1999-03-12 | 2000-09-26 | Taiho Seiki Co Ltd | Hemming device |
| JP2002113538A (en) | 2000-10-11 | 2002-04-16 | Kyoei Kogyo Kk | Window frame hemming pr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frame of car door |
| KR20060062467A (en) * | 2004-12-03 | 2006-06-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emming device for panels with slope |
| KR101075806B1 (en) | 2009-09-11 | 2011-10-25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Jig device for roller hemming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2788A patent/KR1013290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263159A (en) | 1999-03-12 | 2000-09-26 | Taiho Seiki Co Ltd | Hemming device |
| JP2002113538A (en) | 2000-10-11 | 2002-04-16 | Kyoei Kogyo Kk | Window frame hemming pr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frame of car door |
| KR20060062467A (en) * | 2004-12-03 | 2006-06-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emming device for panels with slope |
| KR101075806B1 (en) | 2009-09-11 | 2011-10-25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Jig device for roller hemming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142342A (en) * | 2018-02-12 | 2019-08-20 |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bound edge of vehicle door cover device |
| EP4112202A4 (en) * | 2020-07-08 | 2024-05-15 | Jee Technology Co., Ltd. | High flexibility table-style hemming machine based on principle of segmented control and hemm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3192273B (en) | A kind of automobile front door production line | |
| US6446478B1 (en) | Two-stage hemming machine with movable dies | |
| CN107685209B (en) | Environment-friendly walking three-station robot welding workstation | |
| KR20200082996A (en) | Hemming device for jig | |
| KR101329052B1 (en) | Hemming apparatus for groove of window | |
| JPWO2011135620A1 (en) | Processing equipment | |
| KR101414587B1 (en) | Hybrid Hemming Device with Robot Roller and Blade of table top | |
| US20090139294A1 (en) | Hemming apparatus | |
| JP3651376B2 (en) | Hemming apparatus and method | |
| JPWO2012070108A1 (en) | Roller hemming device | |
| JP2014188562A (en) | Press work method and jig used in the same | |
| JP4471533B2 (en) | Hemming equipment | |
| JP3800963B2 (en) | Hemming apparatus and hemming method | |
| JP4634094B2 (en) | Hemming method | |
| JP2000263159A (en) | Hemming device | |
| US20020157441A1 (en) | Die hemming assembly and method | |
| US6418771B1 (en) | Interior hemming machine | |
| JP4725058B2 (en) | Hemming apparatus and method | |
| KR102063044B1 (en) | Hemming system | |
| US20020116976A1 (en) | Die hemming assembly and method | |
| CN111014477B (en) | Integrated horizontal bending pressing mechanism | |
| US2008030216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emming Components | |
| KR200344041Y1 (en) | Heming apparatus | |
| KR101230895B1 (en) | Apparatus for hemming wheel arch in main buck | |
| JP4822485B2 (en) | Hemming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