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33B1 -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433B1 KR101320433B1 KR1020120057417A KR20120057417A KR101320433B1 KR 101320433 B1 KR101320433 B1 KR 101320433B1 KR 1020120057417 A KR1020120057417 A KR 1020120057417A KR 20120057417 A KR20120057417 A KR 20120057417A KR 101320433 B1 KR101320433 B1 KR 101320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artial discharge
- discharge signal
- insulation
-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감지 수단을 하나로 통합하여 노이즈에 대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로서, 전원선의 (+)극 또는 (-)극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되어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하고, 상기 구분된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상기 전원선의 절연 및 부분 방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감지 수단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나의 장치에서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검출을 수행하여 스위칭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별함으로써,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부분 방전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in which insulation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ans are integrated into one to improve the processing capability against nois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ulated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 pole or a (-) pole of a power line to distinguish and detect a noise signal and a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detect the divided noise signal. And a detector 100 which avoids and detects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information of the power lin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integrating the insulation detection and th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ans into one, and by distinguishing the switching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performing insulation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one device, noise signal By avoiding this,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can be accurately measu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감지 수단을 하나로 통합하여 노이즈에 대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in which insulation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ans are integrated into one to improve processing capacity for noise.
부분 방전은 전기 시스템의 절연 부분에 한정된 전기 방전이고 따라서 시스템의 즉각적인 고장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시스템의 점진적인 열화(degradation)를 야기한다. Partial discharge is an electrical discharge that is confined to an insulated portion of the electrical system and thus does not cause an immediate failure of the system but causes a gradual degradation of the system.
이러한 부분 방전은 두 도체 사이의 절연 물질이 부식 또는 손실되어 추가 생성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으로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절연물질 손상을 인식할 수 있는 조기 신호이기도 하다.This partial discharge is a capacitance component that is additionally generated due to corrosion or lo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two conductors, and is also an early signal to recognize the damage of the insulating material due to the instantaneous flow of current.
특히 전기 자동차에서는 절연체의 손상이 더욱 위험하여 조기 발견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In particular, in electric vehicles, damage to the insulator is more dangerous, requiring early dete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detecting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0)과 전원선(+, -) 및 접지선을 통해 연결된 측정 도체(20)에 캐패시터(31)로 이루어진 커플링 회로와, 상기 커플링 회로에서 검출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32)와, 상기 ADC(32)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연산 모듈(33)로 구성된 부분 방전 검출부(30)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선의 (+)극 및 (-)극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극과 접지(Earth) 사이에 콘덴서와 저항이 직렬 연결된 회로의 저항 양단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절연체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절연 감지부(4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 coupling circuit comprising a
이러한 종래의 절연체 손상 감지와 부분 방전 검출 방법은 캐패시터(31)에서 AC 커플링을 수행하고, AC 전압에서 부분 방전으로 인한 전압 변동을 연산 모듈(33)에서 부분 방전 검출용 소프트웨어로 모니터링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부분 방전을 검출한다.In the conventional insulator damage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thod, the AC coupling is performed in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분 방전 검출 방법은 소프트웨어가 파형에서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 임계값을 결정할 때 노이즈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노이즈 발생이 많은 환경에서는 부분 방전의 검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software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noise when determining the threshold value for detecting the partial discharge in the waveform, so that the partial discharge cannot be detect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a lot of noise.
또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부분 방전의 검출은 전원선의 스위칭 노이즈로 인하여 자동차 섀시의 절연체 등에서 방전으로 인한 전압 변화 등 간접적인 측정만 가능할 뿐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of the partial discharge using the software is only possible indirect measurement such as the voltage change due to the discharge in the insulator of the vehicle chassis due to the switching noise of the power lin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irectly measured.
또한, 절연체의 손상 감지 방법은 전원을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나 선로의 부유 용량을 통해 흐르는 누설 전류에 의해 절연 감지부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영향을 받아 절연 손상의 검출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amage detection method of the insula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sulation detection circuit is affected by th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or th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tray capacitance of the line, thereby generating a detection error of the insulation damage.
또한, 노이즈 특성에 대한 검출이 어려워 측정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surement is not accurate because the detection of the noise characteristics is difficult.
또한, 종래의 절연체의 손상 감지와 부분 방전 검출 방법은 분리된 별개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현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amage detection method and th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insulator are implemented using separate devices,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감지 수단을 하나로 통합하여 노이즈에 대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in which the insulation detection and th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ans are integrated into one to improve the processing ability against noi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로서, 전원선의 (+)극 또는 (-)극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되어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하고, 상기 구분된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상기 전원선의 절연 및 부분 방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용 쉴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 pole or the (-) pole of a power line to separately detect a noise signal and a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부는 전원선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일정 주기 패턴에 따라 분석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cting the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ncluded in the power lin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eriod pattern.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부는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지되어 측정 대상과 분리된 별도의 접지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rounded with the shield case to form a separate ground circuit separate from the measurement obj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부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검출한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발생 주기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발생 주기를 분석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하고, 상기 부분 방전 신호가 검출되면 ADC로 샘플링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분석부; 상기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 상기 분석부에서 샘플링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ADC 및 상기 분석부에서 검출한 부분 방전 신호의 검출 횟수와 전압 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for detec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 comparator for convert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lter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pulse signal and outputting the pulse signal; A counter for counting a generation period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An analysis unit which analyzes the generation cycle counted by the counter to detect noise signals and partial discharge signals that are periodically generated, and outputs a sampling control signal to an ADC when the partial discharge signals are detected; A voltage converter which detec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and converts the voltage into a voltage; When the sampling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analyzer, the ADC outputs the signal detected by the voltage converter as a digital signal and the insulation / part detects and stores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ed by the analyz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detec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pass filter.
본 발명은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감지 수단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integrating insulation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ans into on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검출을 수행하여 스위칭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별함으로써, 노이즈에 대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ocessing capacity for noise by distinguishing the switching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performing insulation detec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on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절연 감지 장치의 노이즈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insulation sensing device by measuring the voltage avoiding the noise signal.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의 검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검출부에서 검출한 부분 방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detecting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tector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FIG.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a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의 검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tector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는 전원(10)과 측정 대상(20) 사이에 설치된 전원선에 직접 연결되어 전원선의 절연 이상으로 발생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100)는 필터(110)와, 비교기(120)와, 카운터(130)와, 분석부(140)와, 전압 변환부(150)와, ADC(160)와,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검출부(100)는 전원선의 (+)극 또는 (-)극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되어 전원(10)과 측정 대상(20)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의 절연체가 부식되거나 또는 손실되어 발생한 경우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와 절연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검출부(100)는 검출되는 신호들 중에서 임의의 주기 패턴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전원선에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가 구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검출부(100)는 검출부의 하우징 내측에 외부의 전자파를 차폐하여 상기 검출부(100)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자파 차폐용 쉴드 케이스(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쉴드 케이스는 검출부(100)와 접지되어 전원선과 분리된 별도의 접지회로가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필터(110)는 예를 들면, 전원선의 (+) 단자에 연결되어 임의의 특정 주파수를 갖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밴드 패스 필터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필터(110)는 부분 방전 신호와 함께 전원선을 통해 주기적으로 회로의 스위칭 동작의 과도 상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도 함께 검출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비교기(120)는 기준 전압 설정을 위해 쉴드 케이스와 접지되고, 필터(110)에서 검출한 신호들 중에서 설정된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스위칭 노이즈와 부분 방전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상기 카운터(130)는 비교기(12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노이즈와 부분 방전 신호의 펄스 신호들에 대하여 발생 주기를 카운트하여 각 펄스들의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The
상기 분석부(140)는 비교기(120)에서 출력되는 각 펄스 신호와, 카운터(130)에서 상기 펄스 신호에 대해 카운트된 발생 주기에 따른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 신호인지 또는 부분 방전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즉 상기 분석부(140)는 임의의 펄스 신호가 이전 펄스 신호들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면 스위칭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임의의 펄스 신호가 비주기적인 시간에 발생하면 부분 방전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로 판단하며, 상기 신호의 검출을 수행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분석부(140)는 부분 방전 신호가 검출되면 절연체에 손상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부분 방전 신호의 발생시 전원선에 흐르는 누설 전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ADC(160)로 샘플링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s detected, the
즉 전원선에서 검출된 신호들 중에서 스위칭 노이즈 신호와 같은 절연 상태와 무관한 노이즈 신호는 회피하고, 부분 방전 신호만 샘플링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at is, among signals detected at the power line, a noise signal irrelevant to an insulation state such as a switching noise signal is avoided and only a partial discharge signal is controlled to be sampled.
상기 전압 변환부(150)는 전원선에 흐르는 누설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The
상기 ADC(160)는 전압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샘플링할 수 있도록 분석부(140)로부터 샘플링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여 부분 방전 신호에 대한 전압 값만 디지털 신호로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70)는 분석부(140)에서 검출한 부분 방전 신호의 검출 횟수와 ADC(16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검출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도록 한다.The insulation /
또한, 상기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70)는 부분 방전 신호의 검출 횟수 또는 검출된 전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또는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sulation /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및 부분 방전 검출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검출부에서 검출한 부분 방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a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of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전원(10)과 측정 대상(20) 사이에 연결된 전원선의 (+)측에 검출부(100)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면, 전원선의 노이즈 신호와 부부 방전 신호는 필터(110)와 전압 변환부(160)에 함께 입력된다.When the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부(100)의 필터(110)를 통해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임의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S1, S2, S3, S4)들이 검출된다.When signals are input, signals S1, S2, S3, and S4 having any particular frequency band are detected through the
상기 필터(110)를 통해 검출된 신호(S1, S2, S3, S4)는 비교기(120)에서 도 4(b)와 같이 펄스 신호(P1, P2, P3, P4)로 출력된다.The signals S1, S2, S3, and S4 detected through the
또한, 상기 출력되는 각 펄스 신호(P1, P2, P3, P4)는 카운터(130)에 의해 발생 시간을 측정하게 되고, 분석부(140)는 각 펄스 신호(P1, P2, P3, P4)와 상기 펄스 신호(P1, P2, P3, P4)의 발생 시간 및 시간 간격을 통해 주기 패턴을 분석한다.In addition, the output pulse signal (P1, P2, P3, P4) to measure the generation time by the
도 4(b)와 같이, 카운터(130)에 의해 펄스 신호 P1이 검출된 시점부터 임의의 시간 간격 t1 이후 펄스 신호 P2가 발생되고, t2 이후 P3가 발생되며, t3 이후 P4가 순차적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분석부(140)는 측정된 각 펄스 신호(P1, P2, P3, P4)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 신호인지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부분 방전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4B, a pulse signal P2 is gen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1, a P3 is generated after t2, and a P4 after t3 is sequentially detected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ulse signal P1 is detected by the
즉 상기 분석부(140)는 임의의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되는 경우 예를 들면, P1 펄스 신호 검출 후 t1 시간이 경과하여 P2 펄스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P2 펄스 신호 검출 후 t4 시간이 경과하여 P4 펄스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되면 상기 P1, P2, P4 펄스 신호는 주기적인 스위칭 노이즈 신호로 판단한다.That is, when an arbitrary signal is detec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t1 time elapses after the detection of the P1 pulse signal and a P2 pulse signal is detected, and t4 time elapses after the detection of the P2 pulse signal. When the P4 pulse signal is det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P1, P2, and P4 pulse signals are determined as periodic switching noise signals.
또한, 상기 분석부(140)는 P1 펄스 신호 검출 후 t1 시간이 경과하여 P2 펄스 신호가 검출되며, 상기 P2 펄스 신호 검출 후 t2 시간이 경과하여 P3 펄스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P3 펄스 신호 검출 후 t3 시간이 경과하여 P4 펄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P1, P2 및 P4 펄스 신호 사이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이 형성되지만, P3 펄스 신호는 상기 P1, P2 및 P4 펄스 신호와는 다른 주기 패턴 즉 전원선의 절연체 파손으로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로 판단하여 도 4 (c)와 같이, 비주기적인 펄스 신호 P3을 부분 방전 판단 대상 신호로 검출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P3 펄스 신호가 부분 방전 신호로 검출되면 연산부(140)는 전압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누설 전류의 전압 값을 샘플링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ADC(16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3 pulse signal is detected as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즉 노이즈 신호와 관련된 전압 값은 ADC(160)에서 샘플링되지 못하도록 회피하고, 부분 방전 신호와 관련된 전압 값만 ADC(160)에서 샘플링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에 대한 처리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That is, the voltage value related to the noise signal is avoided from being sampled by the
상기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70)는 분석부(140)에서 부분 방전 신호가 검출되면, 이를 카운트하고 ADC(16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검출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When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s detected by the
따라서 하나의 장치에 절연 감지와 부분 방전 검출을 동시에 수행하여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별하고, 그에 따른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절연 감지 장치의 노이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noise detection and th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n one device to distinguish the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the noise signal can be avoided to measure the voltage, thereby improving the noise characteristic of the insulation detection devi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course of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 검출부 110 : 필터
120 : 비교기 130 : 카운터
140 : 분석부 150 : 전압 변환부
160 : ADC 170 :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00: detector 110: filter
120: comparator 130: counter
140: analysis unit 150: voltage conversion unit
160: ADC 170: insulation / partial discharge detector
Claims (6)
전원선의 (+)극 또는 (-)극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되어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하고, 상기 구분된 노이즈 신호를 회피하여 상기 전원선의 절연 및 부분 방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100)는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용 쉴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A detection unit 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 or (-) pole of the power line to discriminate and detect the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to detect the insulation and partial discharge information of the power line by avoiding the divided noise signal. Including 100,
The detection unit (100) is a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ield shield case for protection from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검출부(100)는 전원선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임의의 주기 패턴에 따라 분석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or 100 detects and analyzes the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ncluded in the power line according to an arbitrary cycle pattern.
상기 검출부(100)는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지되어 측정 대상과 분리된 별도의 접지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or 100 is grounded with the shield case to form a separate ground circuit separated from the measurement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상기 검출부(100)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에서 검출한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교기(120);
상기 비교기(12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발생 주기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30);
상기 카운터(130)에서 카운트된 발생 주기를 분석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 방전 신호를 구분하여 검출하고, 상기 부분 방전 신호가 검출되면 ADC(160)로 샘플링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분석부(140);
상기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변환부(150);
상기 분석부에서 샘플링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압 변환부(150)에서 검출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ADC(160) 및
상기 분석부(140)에서 검출한 부분 방전 신호의 검출 횟수와 전압 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절연/부분 방전 감지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he detector 100 includes a filter 110 for detec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 comparator 120 for convert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lter 110 into a pulse signal when the signal is exceeded by comparing with a preset reference voltage;
A counter 130 for counting a generation period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120;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generation cycle counted by the counter 130 to detect the noise signal and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generated periodically, and output a sampling control signal to the ADC 160 when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is detected ( 140);
A voltage converter 150 which detec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and converts the voltage into a voltage;
When the sampling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analyzer, the ADC 160 for outputt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voltage converter 150 as a digital signal and
And a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ng unit (170) for detect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ng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analysis unit (140).
상기 필터(110)는 밴드 패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Partial discharge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110) is a band pass filt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57417A KR101320433B1 (en) | 2012-05-30 | 2012-05-30 |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57417A KR101320433B1 (en) | 2012-05-30 | 2012-05-30 |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0433B1 true KR101320433B1 (en) | 2013-10-23 |
Family
ID=496389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57417A Active KR101320433B1 (en) | 2012-05-30 | 2012-05-30 |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0433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901031A (en) * | 2019-02-27 | 2019-06-18 | 西安电子科技大学 | Signal-to-noise separation method for partial discharge signal,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erminal |
| KR102328827B1 (en) * | 2021-05-12 | 2021-11-22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i-ion Batteries |
| JPWO2022172541A1 (en) * | 2021-02-15 | 2022-08-18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27923A (en) * | 2007-09-13 | 2009-03-1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Phase-independent GIS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technique |
-
2012
- 2012-05-30 KR KR1020120057417A patent/KR1013204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27923A (en) * | 2007-09-13 | 2009-03-1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Phase-independent GIS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technique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901031A (en) * | 2019-02-27 | 2019-06-18 | 西安电子科技大学 | Signal-to-noise separation method for partial discharge signal,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erminal |
| CN109901031B (en) * | 2019-02-27 | 2021-06-11 | 西安电子科技大学 | Signal-to-noise separation method for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erminal |
| JPWO2022172541A1 (en) * | 2021-02-15 | 2022-08-18 | ||
| WO2022172541A1 (en) * | 2021-02-15 | 2022-08-18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Cable monitoring device, management device, cable monitoring system, and cable monitoring method |
| JP7708127B2 (en) | 2021-02-15 | 2025-07-15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Cable monitoring device, management device, cable monitoring system, and cable monitoring method |
| KR102328827B1 (en) * | 2021-05-12 | 2021-11-22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ditio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i-ion Batteri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89900B1 (en) |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apparatus,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 |
| US2015034626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ulsed ground fault detection and localization | |
| JP2013539336A5 (en) | Detection system and self-test method | |
| DK3014229T3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wire breakage | |
| CN202720309U (en) | Detection and positioning system for partial discharging | |
| KR101643701B1 (en) |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equipment | |
| KR102368180B1 (en) | Arc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variation of magnitude by frequency | |
| KR101358020B1 (en) | Portable device for detecting arc fault signal and electric leakage signal | |
| KR20070096498A (en) |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of Power Cable | |
| KR101320433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partial discharge signal | |
| CN103424604A (en) | Non-contact electrical inspection device | |
| US1095806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electric arc in a photovoltaic installation | |
| US20130187662A1 (en) | 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an electrical disturbance | |
| JP5599982B2 (en) | Insulation degradation diagnosis device for high-voltage power receiving equipment | |
| KR20130028302A (en) | On-line power cable insul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 |
| JP6118627B2 (en) | Vacuum leak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valve | |
| EP2209014B1 (en) | Partial corona discharge detection | |
| CN111108400B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s in an electrical operating mechanism | |
| KR101484637B1 (en) | High voltage distributing board, low voltage distributing board, distribuging board, motor contorl board monitoring arc by sensing ultravio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5153693B2 (en) | Data collection system | |
| KR101320432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signal | |
| JP4353840B2 (en) | Method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of electric circuit | |
| CN201413370Y (en) | Detection device for surge protective device | |
| US8228103B2 (en) | Circuit breaker | |
| JP2018151323A (en) | Insulation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insul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