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525B1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525B1 KR101320525B1 KR1020120127589A KR20120127589A KR101320525B1 KR 101320525 B1 KR101320525 B1 KR 101320525B1 KR 1020120127589 A KR1020120127589 A KR 1020120127589A KR 20120127589 A KR20120127589 A KR 20120127589A KR 101320525 B1 KR101320525 B1 KR 1013205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transparent electrode
- touch panel
- electrode portion
- transpa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면 입력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터치패널의 제조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화를 위한 두께 절감효과와 더불어 경제성을 위한 원가 절감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내구성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수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technology of a touch panel used for a screen input display device, etc., and more particularly, to realize a cost reduction effect for economic efficiency as well as a thickness reduction effect for slimming, and to manufacture a durabl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화면 입력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정보로 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X축 및 Y축의 접촉(터치) 좌표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을 갖는 터치패널을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한다.A screen input typ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sens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screen control by detecting a user's contact point on a display screen and using information on the detected contact point as input information. (Touch) A touch panel having an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is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in order to detect a user's contact position through coordinate recognition.
상기 터치패널은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Add-on 방식과 커버 글라스 일체형 방식 및,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may be classified into an add-on method, a cover glass integrated method, and a display integrated method according to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이때, 상기 Add-on 방식은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뒤 이를 강화유리인 커버 글라스에 부착하는 방식으로서, 커버 글라스 1장과 증착 ITO 필름 2장을 가지고 하는 필름 타입 및, 커버 글라스 1장과 증착 글라스 1장을 가지고 하는 글라스 타입이 있다.In this case, the Add-on method is a method of independently manufacturing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attaching it to the cover glass which is tempered glass. The film type has one cover glass and two deposited ITO films. And a glass type having one cover glass and one deposition glass.
상기 커버 글라스 일체형 방식은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을 강화유리인 커버 글라스에 증착하는 방식으로서, 글라스 2장을 가지고 하되 2장의 글라스 사이에 전극간 절연성을 위해 절연물질에 의한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G2 타입이 있는데, 최근 당해분야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The cover glass integrated method is a method of depositing an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cover glass, which is tempered glass, and has two glasses, but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two glasses for insulation between electrodes. There is a G2 type to be formed,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the art industry in recent years.
상기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은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 증착하여 형성시키는 방식이다.The display integrated method is a method of depositing and forming an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하지만, 상기 Add-on 방식과 커버 글라스 일체형 방식은 수율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은 수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며 고가로 보편화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다.However, the Add-on method and the integrated cover glass method have a problem in that the yield is not good, and the display integrated method has a low yield, a process is additionally made,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making it expensive.
한편, 터치패널에 관한 종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19711호에서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한쪽의 면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한쪽의 면이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한쪽의 상기 투명기판과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투명기판과 이간하여 배치되는 배선기판과, 상기 배선기판과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기판이 배치되는 영역의 상기 한 쌍의 투명기판의 간극(間隙)에 설치된 절연층을 구비하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배선기판이 배치되는 영역의 2장의 투명기판 간의 간극이 소망한 간극이 되도록 하여 2장의 투명기판 간의 간극이 면 내에서 균일한 터치패널을 안정하여 얻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touch pane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9711 "A transparent plastic film or glass and the like can be manufactured using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one surface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wiring board having a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connecting terminal is provided, and the area where the wiring board is arranged while the wiring board and the connecting terminal are connected. A touch panel having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in a gap of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proposed a technique that makes it possible to stably obtain a touch panel in which the gap between two transparent substrates is uniform in the plan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lates becomes a desired gap.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0513호에서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 일부의 접근에 의해서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패턴부; 및 상기 투명 전극보다 낮은 저항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저저항 전극을 포함하는 저저항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저항 패턴부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곡선, 또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절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터치패널센서"를 통해 비교적 저항계수가 큰 투명 전극을 사용하여도 미약한 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신호 감지도가 뛰어나고 면적의 제한이 적으며 투명도 및 선명도가 뛰어난 터치패널센서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10513 discloses "a transparent substrate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plastic film or glas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capacitance changes due to the approach of the body part.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portion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low resistance electrode formed on a material having a lower resistance coefficient tha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pattern part is touch panel sensor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regular or irregular curve or regular or irregular bend. " It propose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touch panel sensor with a small area limitation and excellent transparency and clarity.
그런데, 상술한 선행기술들을 포함하는 종래 터치패널의 제조기술에 있어서는 터치좌표의 인식을 위한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의 형성을 위해 대부분이 2장의 필름 또는 글라스를 사용하고 있고 2장을 겹쳐서 사용하므로 화면 입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하는데 애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most of them use two films or glasses to form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for the recognition of touch coordinates. Due to the overlapping use, it was difficult to realize the slimming of the screen input display device.
또한,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의 형성을 위한 각각의 공정이 수행되어야 함은 물론 X축 투명전극과 Y축 투명전극 사이에는 전극간 절연성을 위해 절연물질에 의한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 요구되는 등 제조공정이 전반적으로 길어지고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터치패널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ach process for forming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must be performed, as well as a process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for insulation between the electrod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this is required, the yield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also difficul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uch pane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림화를 위한 두께 절감효과와 더불어 경제성을 위한 원가 절감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like, and to provide a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realize a cost-saving effect for economics as well as a thickness reduction effect for slimming. have.
본 발명은 전극패턴과 이 전극패턴을 단자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전극 간의 연결 신뢰성 및 결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increasing durability by increasing connection reliability and bonding between an electrode pattern and a connecting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pattern to a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improve the yield of the produ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기판을 갖되 상기 기판 상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출되는 화면영역과 상기 화면영역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베젤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I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ouch panel having a substrate, a display area on the substrate including a screen area o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expressed and a bezel area located outside the screen area,
터치패널의 전극패턴을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를 갖는 기판 상에 X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에 의한 X축 투명전극부와 Y축 투명전극부의 패턴을 상기 단자부 측에 연결하기 위한 Y축 연결전극부가 형성되며,Y-axis connecting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pattern by the pattern expressed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substrate having the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touch panel to the terminal side Wealth is formed,
상기 X축 투명전극부 및 Y축 연결전극부의 상부에 감광성필름에 의해 Y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이 형성되고 X축 투명전극부와는 층간 절연되어지는 Y축 투명전극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Y축 연결전극부와 도전잉크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a pattern expressed in the Y-axis direction by a photosensitive film is formed, and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which is insulated from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ductive ink.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은, a) 기판의 상부에 패터닝을 통해 터치전극용으로 사용할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투명전극부의 패턴에 대해 단자부로 연결하는 배선을 베젤영역의 대응하는 위치로 형성하고, 터치전극용으로 사용할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를 상기 단자부로 연결하기 위한 Y축 연결전극부를 상기 X축 투명전극부의 형성시 함께 형성시키는 단계;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orming an X-axis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X-axis pattern to be used for the touch electrode through the patterning on the substrate; Y-axis for connecting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Y-axis patterns to be used for the touch electrode, and forming a wiring connecting the termin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ttern of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to the terminal portion Forming a connection electrode together with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b) 상기 a)단계를 거친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층이 적층된 감광성필름을 부착한 후, 식각 처리를 통해 감광성필름 상에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b) attaching the photosensitive film hav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aminated on the resultant of step a), and forming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Y-axis patterns on the photosensitive film through etching;
c) 상기 b)단계의 Y축 투명전극부의 패턴 단부와 상기 a)단계의 Y축 연결전극부를 도전잉크를 도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ttern end of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art of step b)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part of step a) by applying a conductive ink;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보편화되어 사용되던 2장의 투명 전도성필름 또는 글라스를 1장으로 처리하여 터치패널을 구현 및 제조할 수 있어 두께 절감효과에 의한 슬림화를 추구할 수 있으면서 공정 절감 및 사용자재 절감으로 원가 절감효과에 의한 경제성까지 추구할 수 있으며, 제조기술의 개선으로 제품의 수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wo sheets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r glass,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in general, in one sheet, the touch panel can be implemented and manufactured, and the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user materials can be reduced while the slimness can be pursued by the thickness reduction effect. Economics can be pursued by cost reduction effect, and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can achieve usefulness that can improve the yield of products.
또한, 본 발명은 패터닝되는 전극부와 이를 단자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전극부 간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결합성 및 연결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리라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wid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 to be patterned and the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for connecting it to the terminal por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bondability and connection reliability, but also achieve the usefulness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요부 단면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공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공정 순서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rocess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rocess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10)을 갖되 상기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출되는 화면영역(A)과 상기 화면영역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베젤(bezel)영역(B)이 구분되어 배치된다 할 것이다.1 and 2, the
상기 기판(110) 상의 베젤영역(B)에는 단자부(150)가 구비되는데, 이는 X축 투명전극부(120)와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터닝되는 전극패턴을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bezel area B on the
또한, 상기 기판(110) 상에는 X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에 의한 X축 투명전극부(120)와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을 상기 단자부(150) 측에 연결하기 위한 Y축 연결전극부(140)가 형성되며, X축 투명전극부(120) 및 Y축 연결전극부(140)의 상부에 감광성필름(16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이 형성되고 X축 투명전극부(120)와는 층간 절연되어지는 Y축 투명전극부(1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Y축 연결전극부(140)와 도전잉크(170)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Y-axis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pattern of the X-axis
이때, 상기 X축 투명전극부(120)와 Y축 투명전극부(130)는 화면영역(A) 내에 형성되고, 상기 Y축 연결전극부(140)는 베젤영역(B) 상에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X-axis
상기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X축 투명전극부(120)와 Y축 연결전극부(140) 및 단자부(150)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글라스의 베이스재료(111) 위에 투명도전막이 형성되거나 투명 전도성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식각 처리를 통해 형성시킬 수 있으며, 때로는 상기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의 재료인 ITO(indium tin oxide), IZN(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등의 투명 전도성물질 또는 실버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를 베이스재료 위에 인쇄함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X-axis
상기 Y축 투명전극부(130)는 감광성필름(160) 위에 부착한 투명 전도성필름 또는 인쇄한 투명 전도성물질이나 실버나노와이어에 의한 투명도전막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감광성필름(160)의 감광반응을 이용한 식각 처리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The Y-axis
이는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식각 처리에 의한 것인데, 이때 사용되는 감광성 필름(160)은 절연필름으로서,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 형성에 관여함과 더불어 X축 투명전극부(120)와는 층간 절연역할을 하는 절연층으로 자연 기능하게 함으로써 종래 별도로 구비되던 절연층을 제거하는 효과 및 두께 절감효과를 이끌어내도록 한 것이다.This is due to an etching process by a known photolithography process including exposure and development, wherein the
상기 도전잉크(170)는 Y축 투명전극부(130)와 Y축 연결전극부(140) 간의 접촉면적을 늘려 연결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Y축 투명전극부(130) 및 감광성필름(160)에는 도전잉크(170)에 의해 Y축 투명전극부(130)와 Y축 연결전극부(140)가 연결되는 부분의 일측에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H1)을 형성함으로써 도포되는 도전잉크(170)가 비어홀(H1)을 채움에 의해 고리 역할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보강 및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으며,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Y-axi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터치패널(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 기판(110)의 상부에 패터닝을 통해 터치전극용으로 사용할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120)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투명전극부(120)의 패턴에 대해 단자부(150)로 연결하는 배선을 베젤영역의 대응하는 위치로 형성하고, 터치전극용으로 사용할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130)를 상기 단자부(150)로 연결하기 위한 Y축 연결전극부(140)를 상기 X축 투명전극부(120)의 형성시 함께 형성시키는 단계와,a) forming an X-axis
b) 상기 a)단계를 거친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을 라미네이팅 등을 통해 부착한 후,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식각 처리를 통해 감광성필름(160) 상에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130)를 형성하는 단계와,b) a
c) 상기 b)단계의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 단부와 상기 a)단계의 Y축 연결전극부(140)를 도전잉크(170)를 도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 applying the electrically
이때, 상기 b)단계에서는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 상에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H1)을 형성한 다음에 a)단계를 거친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을 라미네이팅 등을 통해 부착토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step b), after forming the via hole H1 for filling the conductive ink on the
이는 상기 c)단계의 도전잉크(170)를 도포시 도전잉크(170)가 비어홀(H1) 내에 채워짐으로써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에 의해 형성되는 Y축 투명전극부(130)와 상기 a)단계(S1)에서 형성된 Y축 연결전극부(140)간 전기적 연결을 보강 및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When the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상기 a)단계에서의 기판(110)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등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 어느 1종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강화유리 등의 글라스가 사용되는 베이스재료(111)와, 상기 베이스재료(111) 위에 투명도전막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을 라미네이팅 등에 의해 부착시킨 투명도전층(112)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이때, 상기 투명도전층(112)은 ITO(indium tin oxide), IZN(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등의 투명 전도성물질 또는 실버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투명도전층(112)에 대해 식각 처리함으로써 기판(110)의 화면영역 및 베젤영역 상에 상기 a)단계에서 기술되는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120)와 배선, Y축 연결전극부(140), 단자부(150)를 동일 단계상에 동시 형성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the transparent
이때, 식각 처리는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레이저 식각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known photolithography process including exposure and development, or a laser etching method may be applied.
상기 단자부(150)는 기판(110) 상에 부착하거나 또는 인쇄하는 방식으로 개별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The
도 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110) 상에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120), Y축 연결전극부(140), 단자부(150)를 동시 형성시킨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을 라미네이팅 등을 통해 부착한다.As shown in FIG. 3C, the X-axis
이때,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 상에는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H1)을 형성한 것을 부착 처리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상기 비어홀(H1)은 NC나 CNC 등의 수치제어 또는 레이저를 활용한 드릴링(drilling)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on the
이어, 도 3의 (d)에서와 같이,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식각 처리를 통해 투명도전층(101)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감광성필름(160) 상에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130)를 형성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d) of FIG. 3, an unnecessary portion of the transparent
이때, 감광성필름(160)은 감광작용을 갖는 절연필름으로, 감광반응에 의해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 형성에 관여함과 더불어 X축 투명전극부(120)와는 층간 절연역할을 하는 절연층으로 자연 기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 별도로 구비되던 절연층 형성을 제거하는 효과 및 두께 절감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3의 (e)에서와 같이,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 단부와 Y축 연결전극부(140)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도전잉크(170)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연결부를 형성시킨다.As shown in (e) of FIG. 3,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is formed by applying a
상기 도전잉크(170)에 의한 도전연결부는 실버(silver)나 카퍼(copper) 등의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나 몰리브덴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을 이용하되 전해도금, 물리적 기상증착, 화학적 기상증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the
이때, 상기 감광성필름(160) 상에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비어홀(H1)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포되는 도전잉크(170)가 비어홀(H1)을 채움에 의해 고리 역할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보강 및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으며, 더욱 증대된 내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ia hole H1 is formed on the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의 (a)에서와 같이, 상기 a)단계에서의 기판(110)은 제 1실시예에 기술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료(111)가 단독으로 사용된다.As shown in (a) of FIG. 4, the
도 4의 (b)에서와 같이, ITO(indium tin oxide), IZN(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등의 투명 전도성물질 또는 실버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를 베이스재료가 단독 사용된 기판(110) 상에 인쇄함으로써 기판(110)의 화면영역 및 베젤영역 상에 상기 a)단계에서 기술되는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120)와 배선, Y축 연결전극부(140), 단자부(150)를 동일 단계상에 동시 형성시킬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4,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N), or zinc oxide (ZnO) or silver nano wire is used alone as the base material. By printing on the
이때, 상기 단자부(150)는 기판(110) 상에 부착하거나 또는 인쇄하는 방식으로 개별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도 4의 (c)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110) 상에 다수의 X축 패턴을 갖는 X축 투명전극부(120), Y축 연결전극부(140), 단자부(150)를 동시 형성시킨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해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을 라미네이팅 등을 통해 부착한다.As shown in FIG. 4C, the X-axis
이때, 투명도전막 또는 투명 전도성필름에 의한 투명도전층(101)이 적층된 감광성필름(160) 상에는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H1)을 형성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on the
이어, 도 4의 (d)에서와 같이,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하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식각 처리를 통해 투명도전층(101)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감광성필름(160) 상에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130)를 형성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d) of FIG. 4, an unnecessary portion of the transparent
도 4의 (e)에서와 같이, Y축 투명전극부(130)의 패턴 단부와 Y축 연결전극부(140)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도전잉크(170)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연결부를 형성시킨다.As shown in (e) of FIG. 4,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is formed by applying a
상기 도전잉크(170)에 의한 도전연결부는 실버(silver)나 카퍼(copper) 등의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나 몰리브덴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을 이용하되 전해도금, 물리적 기상증착, 화학적 기상증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the
이때, 상기 감광성필름(160) 상에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비어홀(H1)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포되는 도전잉크(170)가 비어홀(H1)을 채움에 의해 고리 역할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보강 및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으며, 더욱 증대된 내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ia hole H1 is formed o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두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수율을 높일 수 있고, 도전 부분의 연결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갖는 터치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and the cost can be reduced, the yield can be increased,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ductive part can be increased, and th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할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고, 때에 따라 X축이나 Y축에 대해 변형이나 치환 또는 수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substitut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the X-axis or the Y-axis. It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치패널
101: 투명도전층 110: 기판
120: X축 투명전극부 130: Y축 투명전극부
140: Y축 연결전극부 150: 단자부
160: 감광성필름 170: 도전잉크
H1: 비어홀100: touch panel
101: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10: substrate
120: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130: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140: Y-axis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150: terminal portion
160: photosensitive film 170: conductive ink
H1: Beer Hall
Claims (5)
터치패널의 전극패턴을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를 갖는 기판 상에 X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에 의한 X축 투명전극부와 Y축 투명전극부의 패턴을 상기 단자부 측에 연결하기 위한 Y축 연결전극부가 형성되며,
상기 X축 투명전극부 및 Y축 연결전극부의 상부에 감광성필름에 의해 Y축 방향으로 표출된 패턴이 형성되고 X축 투명전극부와는 층간 절연되어지는 Y축 투명전극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Y축 연결전극부와 도전잉크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A touch panel having a substrate, wherein the touch panel includes a screen area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displayed and a bezel area positioned outside the screen area.
Y-axis connecting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pattern by the pattern expressed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substrate having the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touch panel to the terminal side Wealth is formed,
On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a pattern expressed in the Y-axis direction by a photosensitive film is formed, and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which is insulated from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is formed.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ductive ink.
상기 Y축 투명전극부 및 감광성필름에는 도전잉크에 의해 Y축 투명전극부와 Y축 연결전극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일측에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이 형성되어서 전기적 연결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The method of claim 1,
In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photosensitive film, a conductive hole filling via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are connected by a conductive ink so as to reinforce the electrical connection. Touch panel.
b) 상기 a)단계를 거친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층이 적층된 감광성필름을 부착한 후, 식각 처리를 통해 감광성필름 상에 다수의 Y축 패턴을 갖는 Y축 투명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Y축 투명전극부의 패턴 단부와 상기 a)단계의 Y축 연결전극부를 도전잉크를 도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제조방법.a) forming an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X-axis patterns to be used for touch electrodes through patterning on top of the substrate, and connecting the wirings connecting the terminal portions to the pattern of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s to correspond to the bezel region; Forming a Y-axis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for forming the position and connecting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Y-axis patterns to be used for the touch electrode to the terminal portion when forming the X-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b) attaching the photosensitive film hav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aminated on the resultant of step a), and forming a Y-axis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Y-axis patterns on the photosensitive film through etching;
c)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ttern end of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art of step b)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part of step a) by applying a conductive ink;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comprising a.
상기 b)단계에서는 투명도전층이 적층된 감광성필름 상에 도전잉크 필링용 비어홀을 형성한 다음, a)단계를 거친 결과물의 상부에 투명도전층이 적층된 감광성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c)단계의 도전잉크를 도포시 도전잉크가 비어홀 내에 채워짐으로써 투명도전층에 의해 형성되는 Y축 투명전극부와 상기 a)단계에서 형성된 Y축 연결전극부간 전기적 연결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step b), a via hole for conductive ink filling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film on which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stacked, and then the conductive ink of step c) is attached by attaching the photosensitive film on which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laminated on the resultant.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ink is filled in the via hole when the coating is applied to reinforc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Y-axis transparent electrode portion formed by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the Y-axis connecting electrode portion formed in step a). .
상기 투명도전층은 투명 전도성물질 또는 실버나노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silver nanowir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7589A KR101320525B1 (en) | 2012-11-12 | 2012-11-12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7589A KR101320525B1 (en) | 2012-11-12 | 2012-11-12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0525B1 true KR101320525B1 (en) | 2013-10-23 |
Family
ID=496389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75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0525B1 (en) | 2012-11-12 | 2012-11-12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0525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2525B1 (en) * | 2013-12-03 | 2014-03-11 | 에스맥 (주)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using photosensitive metal nanowires |
| US10126886B2 (en) | 2014-12-11 | 2018-11-13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de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sensor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018226A (en) * | 2005-07-07 | 2007-01-25 |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 Touch panel sensor |
| KR101048930B1 (en) * | 2009-01-16 | 2011-07-12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Touch screen panel |
| JP2011191639A (en) * | 2010-03-16 | 2011-09-29 | Hitachi Displays Ltd | Display device |
| KR20120111986A (en) * | 2011-03-29 | 2012-10-11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2
- 2012-11-12 KR KR1020120127589A patent/KR1013205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018226A (en) * | 2005-07-07 | 2007-01-25 |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 Touch panel sensor |
| KR101048930B1 (en) * | 2009-01-16 | 2011-07-12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Touch screen panel |
| JP2011191639A (en) * | 2010-03-16 | 2011-09-29 | Hitachi Displays Ltd | Display device |
| KR20120111986A (en) * | 2011-03-29 | 2012-10-11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2525B1 (en) * | 2013-12-03 | 2014-03-11 | 에스맥 (주)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using photosensitive metal nanowires |
| US10126886B2 (en) | 2014-12-11 | 2018-11-13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de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sensor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804108B (en) | Capacitive in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8698001B2 (en) | Electrode structure of the touch panel, method thereof and touch panel | |
| US8896569B2 (en) |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 |
| KR102316212B1 (en) |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CN104956297A (en) |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with a silver-inclusive transparent conducting layer(s) | |
| US20130153391A1 (en) | Capacitive touch panel | |
| US10222915B2 (en) | 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 |
| WO2014015618A1 (en) | Touch contro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touch control device | |
| TW201512958A (en) |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 |
| KR101103536B1 (en) |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wo layers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one surface of temper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WO2014045562A1 (en) | Capacitance sensor | |
| KR101320525B1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1025805B1 (en) | Capacitive Touch Panel | |
| TW201530410A (en) | Touch sensor | |
| KR101496254B1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 KR20150019571A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 TWI526910B (en) | Sensor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20150032150A (en) |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 |
| KR102727346B1 (en) | Touch Sensor | |
| TWI480999B (en) | Compound induction electrod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 |
| KR101376342B1 (en) | Touch sensor integrated glass for touch screen | |
| KR20150014375A (en) | Touch window and method of the same | |
| KR101537332B1 (en) | Touch Panel for Implementing Touch Sensor Using Conductivity Polym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 KR101510810B1 (en) | Touch Panel for Implementing Touch Sensor Using Conductivity Polym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 KR102085876B1 (en) | Electrode member and touch panel with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0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