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856B1 -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 Google Patents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856B1 KR101320856B1 KR1020130032833A KR20130032833A KR101320856B1 KR 101320856 B1 KR101320856 B1 KR 101320856B1 KR 1020130032833 A KR1020130032833 A KR 1020130032833A KR 20130032833 A KR20130032833 A KR 20130032833A KR 101320856 B1 KR101320856 B1 KR 101320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ing
- sheet
- head
- support sheet
- inf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용 받침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아에게 모유나 분유를 수유하는 과정에서 영아가 흘리는 땀의 분비를 감소 및 용이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느낌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트 본체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편안한 자세로 수유가 가능하며, 수유가 끝난 후 바닥면에 내려놓았을 때에도 좌우 흔들림이 없어 영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ing sheet, and more specifically, to reduce and easily discharge the sweat of infants during the process of feeding breast milk or infant formula to provide a pleasant feeling and the seat body slips down. It is possible to feed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any work, and even when placed on the floor after feeding, there is no left and right shake for feeding support seats so that infants can feel st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유용 받침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아에게 모유나 분유를 수유하는 과정에서 영아가 흘리는 땀의 분비를 감소 및 용이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느낌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트 본체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편안한 자세로 수유가 가능하며, 수유가 끝난 후 바닥면에 내려놓았을 때에도 좌우 흔들림이 없어 영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ing sheet, and more specifically, to reduce and easily discharge the sweat of infants during the process of feeding breast milk or infant formula to provide a pleasant feeling and the seat body slips down. It is possible to feed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any work, and even when placed on the floor after feeding, there is no left and right shake for feeding support seats so that infants can feel stable.
일반적으로, 영아에게 모유나 분유를 수유 시에는 영아를 직접 팔로 안거나 바닥에 옆으로 눕힌 상태로 수유를 하는데, 영아를 수십 분 이상 안은 채로 수유를 하면 산모나 보호자 등 수유자의 팔에 압박감이 느껴지는데다가 영아의 머리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힘을 주어야 하므로 많은 피로감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수유자세가 흐트러지면서 영아에게도 불편함을 줄 뿐 아니라 특히 목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갓난아이의 경우에는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가 쉽지 않음에 따라 수유에 어려움이 있었다.In general, when breastfeeding infants with infant formula or breastfeeding, the infants are held in their arms or lying sideways on the floor. In addition, the infant's head must be strengthened so that it does not go down, which causes a lot of fatigue. As a result, the feeding posture is disturbed, and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infants, but especially in the case of a newborn baby who does not cover the neck properly, it was difficult to feed the head stably.
또한 영아를 눕힌 상태로 수유를 하는 경우에는 소화를 잘 시키기가 어렵고 수유를 하는 동안에도 영아가 몸을 잘 뒤척이기 때문에 수유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feeding infants lying down, it is difficult to digest well,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feeding because infants invert the body well during feeding.
이에 수유를 하는 동안 영아에게 안정감을 주고 수유자의 편의를 위하여 최근 들어서는 수유용 받침시트(받침쿠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In order to give stability to infants during lactation, nursing support sheets (back cushions)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수유용 받침시트는 ㄷ자형이나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소정 형태로 이루어지고, 직물로 된 커버 내부에 솜이나 또는 폴리우레탄폼, 폴리에틸렌폼과 같은 스펀지로 된 발포재가 삽입되어 적정한 두께를 가지며, 영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떠받치도록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로 구성되어 있다.Feeding support sheet has a certain shape such as U-shaped, oval or rectangular, and has a proper thickness by inserting a sponge or foam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foam or polyethylene foam into the cover of fabric. It consists of the head, back and hips to support the body as a whole.
이러한 수유용 받침시트 위에 영아를 올려놓고 받침시트의 형태에 따라 수유자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수유를 할 수도 있고, 또는 수유자가 받침시트를 감싸 안거나 간혹 무릎에 안착시킨 후에 수유를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영아의 머리를 따로 받칠 필요가 없고 머리가 아래쪽으로 내려갈 염려도 없이 안정적인 자세로 수유를 할 수 있게 되었다.The infant may be placed on the feeding sheet and fed with the shape of the supporting sheet worn on the waist of the nursing person, or the breast feeding may be performed after the support sheet is wrapped or sometimes placed on the knee.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eed the baby in a stable posture without having to support the infant's head separately and worrying that the head will go downward.
그런데 통상 영아는 성인에 비하여 체온이 높은데다가 수유를 받는 동안 오래 누운 상태에서 힘을 쓰면 체온이 더욱 상승하면서 등이나 엉덩이 부위에서 특히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종래의 수유용 받침시트는 영아의 몸이 밀착되어 통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열을 발산하지 못함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고, 피부가 연약한 영아에게 자극이 되어 심한 경우에는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었다.However, infants usually have a higher body temperature than adults, and if they spend long hours lying down while nursing, their body temperature rises and they sweat a lot in the back or hip area. Because it is not tightly ventilated, it may not be able to dissipate heat effectively, so you may feel unpleasant, and if your skin is irritated to a weak infant, it may lead to skin disease.
또한 수유용 받침시트를 감싸 안고 수유를 하는 경우, 종래의 수유용 받침시트의 커버가 대부분 매끈한 직물재로 되어 있는데다가 영아의 체중에 의하여 받침시트가 수유자의 팔로부터 점점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이를 재차 위로 끌어올려 안거나 받침시트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팔에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야만 하므로 체력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breastfeeding support sheet is wrapped and fed, the cover of the conventional nursing support sheet is made of a smooth fabric, and the support sheet slides down from the breast of the breast due to the weight of the infant. The problem of remaining physical strength still remained because the arm had to be constantly pushed up so that it could not be lifted up again or the support seat would not go dow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유를 하는 과정에서 통기가 가능하고 열 발산율을 높여 영아에게 쾌적함을 부여하도록 함과 아울러 아래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수유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수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ventilate during the process of feeding and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rate to give comfort to the infant and to prevent slipping down to give the nursing child a lot of power It is to provide a nursing support seat to enable feeding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witho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유가 끝난 후에는 간이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use as an extra bed after fee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는, 커버 내부에 내장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시트 본체로 구성된 수유용 받침시트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 및 상기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의 전면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음각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ursing suppor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ursing support sheet consisting of a shee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the back and the buttocks as well as the interior material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recesses engra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side the front of the head, the back, and the hip.
이때 상기 시트 본체는 수유자가 감싸앉았을 때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후면 부위에 톱니 모양과 같이 지그재그로 된 요철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등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at body is formed in a jagged zigzag like jagged shape at regular intervals so as not to slide down when the nursing patient is wrapped, the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the back.
또한, 상기 시트 본체는 바닥면에 내려놓았을 때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후면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에 평평하게 이루어진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랫부는 머리부 및 엉덩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랫부는 좌우 양단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흔들림이 더욱 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 body is a flat portion formed on the convex protruding portion of the rear so that there is no left and right shake when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fla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head and hips. At this time, the fla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ar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urther prevent shaking.
아울러, 상기 시트 본체는 영아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등부 및 엉덩이부의 양단에 체결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a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ck and hips so that the infant does not slide down.
덧붙여, 상기 시트 본체는 야간에도 위치 식별이 용이하도록 그 전면이나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엘이디 및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LED attached to the front or side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at night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유용 받침시트에 따르면, 모유나 분유를 수유 시 영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한 자세로 수유가 가능하다는 수유용 받침시트 고유의 기능 외에도, 시트 본체에 전체적으로 통공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시트 본체 내에 공기가 통하는 경로를 확보하여 수유 시 영아의 체온 조절 및 땀의 분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영아의 신체 부위가 접하는 머리부 등에 다수의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열의 발산율을 높여 영아에게 쾌적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ursing support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nique function of the nursing support sheet that can stably support the infant's body when feeding breast milk or milk powder, it is possible to feed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overall through the sheet body. By forming a large number of air passages in the seat body to reduce the body temperature and sweat secretion of infants during lactation, and to form a number of grooves in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s body parts to increase the rate of heat dissip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giving a pleasant feeling.
또한, 시트 본체의 등부에 일정 면적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이 없이 영아를 보다 안정되게 받쳐주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수유가 가능할 뿐 아니라 시트 본체의 후면 돌출 부위에 평평한 플랫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유가 끝난 후 바닥에 그대로 내려놓아도 좌우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이 가능하므로 간이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시트 본체의 등부 및 엉덩이부의 전면 또는 측면에 다수의 엘이디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n uneven portion having a certain area on the back of the seat body to support the infant more stably without slipping, it is possible to feed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also to form a flat flat portion on the rear projecting part of the seat body to bottom It can be used as an extra bed because it can be reliably seated without shaking left and right, and can be identified even at night by attaching a plurality of LEDs to the front or side of the back and hip of the seat bod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내측면도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
도5는 도1의 배면도
도6은 도1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ing sheet for fee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inner side view of Figure 1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3
Figure 5 is a rear view of Figure 1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며, 도3은 도1의 내측면도이고,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이며, 도5는 도1의 배면도이고, 도6은 도1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inner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Figure 1 Is a rear view of FIG. 6 and FIG. 6 is a side view of FIG.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유용 받침시트(S)는, 커버(11) 내부에 내장재(12)가 수용됨과 아울러 머리부(10a)와 등부(10b) 및 엉덩이부(10c)가 일체로 형성된 시트 본체(10)로 구성된 수유용 받침시트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12)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12a); 및 상기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의 전면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음각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110);가 포함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feeding sheet (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본체(10)는 영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도록 적절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사방 모서리 부위가 만곡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물이나 캐릭터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시트 본체(10)는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머리부(10a)와 등부(10b) 및 엉덩이부(10c)로 이루어지되 영아의 신체 구조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머리부(10a)와 엉덩이부(10c)는 후방 측으로 완만하게 만곡선을 그리며 돌출 형성되고 등부(10b)는 영아의 허리부분을 자연스럽게 받쳐줄 수 있도록 완만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시트 본체(10)는 전방 가장자리 부위가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운데에 자연스럽게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영아를 눕혔을 때 영아의 머리 등 각 신체부위를 안정되게 감싸도록 지지하게 되어 영아가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또는 머리부(10a)의 주변 가장자리 부위만을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영아의 머리와 목 부위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only the peripheral edge of the
상기 시트 본체의 등부(10b) 및 엉덩이부(10c)의 양단에는 영아의 몸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파스너가 구비된 ―자형 또는 ×자형 벨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Fastening members (not shown) such as -shaped or x-shaped belts provided with fasteners may b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상기 시트 본체(10)는 커버(11)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내장재(12)로 구성되는데, 커버(11)는 영아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것으로 면과 같은 천연섬유가 사용됨이 바람직하고, 내장재(12)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영아를 눕혔을 때 쿠션감이 있고 가벼우면서도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폼, 폴리에틸렌폼 등과 같은 경질의 스펀지나 메모리폼 등 다양한 발포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커버(11)와 내장재(12)는 열접착에 의해 결합되어진다. 즉, 내장재(12)의 양면에 커버(11)가 열에 의해 접착된 후 금형에 의해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직사각형이나 동물 모양 등 일정한 형태로 사출성형되고 가장자리 끝 부위는 봉제 등의 방법에 의해 마무리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12)는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통공(12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시트 본체(10)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확보하여 시트 본체(10)의 후방 측으로도 공기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수유 과정에서 영아의 체온 상승 및 이로 인한 땀의 분비를 감소시켜 영아의 체온 조절 및 머리부 등 영아의 신체가 접하는 부위에 땀이 배는 것을 방지하여 영아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유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또한, 시트 본체(10)는 머리부(10a)에서부터 엉덩이부(10c)에 이르기까지 영아의 신체가 접하는 전면 내측 부위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요홈부(110)가 음각 형성되어 시트 본체와 신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횡방향으로 통기가 가능함과 아울러 시트 본체(10)의 단위면적을 넓게 하여 보다 빠르게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아에게 더욱 쾌적한 수유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heet
이때, 요홈부(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11)와 내장재(12)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어진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시트 본체(1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부위에 톱니 모양과 같이 지그재그로 절개 형성된 요철부(120)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모유나 분유를 수유하기 위하여 수유자가 시트 본체(10)를 감싸 안거나 무릎 위에 올려놓았을 때 상기 요철부에 의해 수유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지지가 가능함에 따라 수유자가 힘을 많이 들일 필요 없이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수유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요철부가 시트 본체의 일부에 절개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이 향상되므로 수유자의 팔 부위에 땀이 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요철부(120)는 등부(10b)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요철부(120)는 시트 본체(10)의 금형에 의해 사출성형을 하는 과정에서 시트 본체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요철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시트 본체(10)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요철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시트 본체의 후면은 보다 깔끔한 외관을 갖게 된다.The
이러한 시트 본체(10)는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에 평평하게 이루어진 플랫부(130)가 형성되어 실내 바닥면에 내려놓았을 때 상기 플랫부에 의해 바닥면과 시트 본체가 접하는 면적을 확장하여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Rolling)이 방지되어 별도의 보조기구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다.3 and 6, the
즉, 플랫부(130)에 의해 시트 본체(10)를 실내 바닥면에 내려놓아도 흔들림이 없이 제 자리에 고정되므로 수유가 끝난 후에 영아가 잠이 들었을 경우 이불이나 침대 위로 옮길 필요 없이 그대로 내려놓을 수 있으므로 간이침대의 기능도 갖게 된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상기 플랫부(130)는 머리부(10a)와 엉덩이부(10c)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 본체(10)를 형성 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플랫부(130)는 좌우 양단을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하거나 또는 좌우 양단에 직물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된 띠 형상의 롤링방지부재(미도시)를 결합하여 시트 본체의 흔들림이 더욱 더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플랫부의 좌우 양단을 돌출 형성 시에는 시트 본체의 사출 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시트 본체(10)는 전면이나 후면에 다양한 모양의 패턴이나 동물 또는 캐릭터 등을 표현하여 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으며 영아들에게 친근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The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는 않았으나, 상기 시트 본체(30)는 야간에도 위치 식별이 용이하도록 그 전면이나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엘이디(LED) 램프 및 상기 엘이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장치는 엘이디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 또는 케이블과 여기에 연결된 플러그일 수 있으며, 건전지로부터 엘이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t body 30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LED (LED) lamp and the LED lamp attached to the front or side at regular intervals to facilitate location identification even at night. It may further comprise a device. The power supply may be a battery o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lamp to supply power and a plug connec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lamp from the battery.
즉, 수유자가 야간이나 새벽에 잠을 자던 중에 급히 영아에게 수유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실내 전원을 켜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받침시트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에 따라 신속하게 수유를 할 수 있으며, 수유를 하던 도중에 영아가 잠이 들 경우에도 그대로 바닥에 내려놓고 잠을 재울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if the nursing needs to feed the infants in a hurry while sleeping at night or dawn, the feeding can be quickly carried out a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out turning on the indoor power. Even if an infant falls asleep while breastfeeding, he or she can put it on the floor to sleep.
이러한 엘이디는 영아의 취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등부(10b)나 또는 엉덩이부(10c)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Such LEDs are preferably attached to the
10 : 시트 본체 10a : 머리부
10b : 등부 10c : 엉덩이부
11 : 커버 12 : 내장재
12a : 통공 110 : 요홈부
120 : 요철부 130 : 플랫부10:
10b:
11
12a: through hole 110: groove
120: uneven portion 130: flat portion
Claims (8)
상기 내장재에 일정 간격마다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
상기 머리부와 등부 및 엉덩이부의 전면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음각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 및
상기 등부에 일정 간격마다 톱니 모양과 같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요철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In the nursing support sheet consisting of a sheet body formed inside the cover and the head, the back and the buttocks integral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terior material;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intaglio at regular intervals in front of the head, the back, and the hip; And
Feeding support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rregularities formed in a zigzag like jagged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ck.
상기 시트 본체는 바닥면에 내려놓았을 때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머리부 및 엉덩이부의 후면에 평평하게 이루어진 플랫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main body seating support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head and hips so as not to shake left and right when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플랫부는 좌우 양단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흔들림이 더욱 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받침시트.5. The method of claim 4,
Feeding support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at portion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urther shak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32833A KR101320856B1 (en) | 2013-03-27 | 2013-03-27 |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32833A KR101320856B1 (en) | 2013-03-27 | 2013-03-27 |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0856B1 true KR101320856B1 (en) | 2013-10-21 |
Family
ID=496390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32833A Active KR101320856B1 (en) | 2013-03-27 | 2013-03-27 |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085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46393A (en) | 2014-10-20 | 2016-04-29 | 박용직 | Feeding and care seat |
| KR20240010827A (en) * | 2022-07-18 | 2024-01-25 | 주식회사 폴레드 | Nursing seat and crad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551109A (en) * | 1995-02-17 | 1996-09-03 | Tingley; Wayne F. | Pillow for holding and feeding an infant |
| KR100906369B1 (en) * | 2009-01-14 | 2009-07-06 | 김세영 | Lactation cushion |
| KR101123376B1 (en) * | 2011-08-24 | 2012-03-23 | 김진열 | Sheet for supporting and nursing infants |
| KR20120101103A (en) * | 2009-12-07 | 2012-09-12 | 마크 신닉 | Method and device preserving of infant sleep and avoidance of infant adaptation |
-
2013
- 2013-03-27 KR KR1020130032833A patent/KR1013208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551109A (en) * | 1995-02-17 | 1996-09-03 | Tingley; Wayne F. | Pillow for holding and feeding an infant |
| KR100906369B1 (en) * | 2009-01-14 | 2009-07-06 | 김세영 | Lactation cushion |
| KR20120101103A (en) * | 2009-12-07 | 2012-09-12 | 마크 신닉 | Method and device preserving of infant sleep and avoidance of infant adaptation |
| KR101123376B1 (en) * | 2011-08-24 | 2012-03-23 | 김진열 | Sheet for supporting and nursing infants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46393A (en) | 2014-10-20 | 2016-04-29 | 박용직 | Feeding and care seat |
| KR20240010827A (en) * | 2022-07-18 | 2024-01-25 | 주식회사 폴레드 | Nursing seat and crad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102833954B1 (en) | 2022-07-18 | 2025-07-14 | 주식회사 폴레드 | Nursing sea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19232249B2 (en) | A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 |
| US5423099A (en) | Infant safety pillow | |
| JP5490822B2 (en) | Nursing cushion | |
| US7178186B2 (en) |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 |
| US20050000022A1 (en) | Infant support system | |
| EP0615417A1 (en) | Body support for a baby. | |
| KR101147606B1 (en) | A functionality pillow | |
| JP2016511040A (en) | Infant seat bed | |
| KR102514792B1 (en) | The 3D air cushioning pillow for baby | |
| JP2012011191A (en) | Bed for infants | |
| KR101320856B1 (en) | Support sheet for breast feeding | |
| RU2670055C1 (en) | Functional mat for promoting deep sleep of children | |
| KR20110006436U (en) | Feeding Cushion & Multi-Purpose Pillow Set | |
| KR101123376B1 (en) | Sheet for supporting and nursing infants | |
| KR200377121Y1 (en) | Pillow of infant | |
| KR102337719B1 (en) | Folding mat system for infant | |
| KR102351440B1 (en) |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comfort | |
| KR101447831B1 (en) | Multipurpose Infants Podaegi | |
| US20130025061A1 (en) | Ventilation pad for a toddler carrier | |
| RU180067U1 (en) | Baby crib for babies in their first months of life | |
| KR102278113B1 (en) | Infant cushion | |
| CN203073888U (en) | Breast-feeding pad | |
| KR20100003188U (en) | Feeding Cradle | |
| KR20110008959U (en) | Feeding Cushion | |
| KR102248553B1 (en) |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portabilit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