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26B1 -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726B1 KR101323726B1 KR1020120142123A KR20120142123A KR101323726B1 KR 101323726 B1 KR101323726 B1 KR 101323726B1 KR 1020120142123 A KR1020120142123 A KR 1020120142123A KR 20120142123 A KR20120142123 A KR 20120142123A KR 101323726 B1 KR101323726 B1 KR 1013237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outlet
- snubber
- main tub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구조를 이용한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을 우회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메인관의 출구를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ub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ubber for measuring instrument protection using a valve structure.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dy;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 main tub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t least one sub pipe configured to bypass the main pipe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pipe to close the out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구조를 이용한,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용 계측기와 같은,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ub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ubber for instrument protection, such as a meter for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 valve structure.
일반적으로, 스너버는,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은 곳의, 유압 시스템에 사용되는 피스톤 펌프나 대형 복합 펌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맥동 압력파와 유체 흐름에 의한 소음과 그리고 방향 전환 솔레노이드 밸브 내 스풀의 급작스런 위치 변동 등으로 인해 압력 충격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스너버는 소정의 프로세스측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상기 프로세스측과 계측기 사이에 장착되어 계측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프로세스측에서 발생되는 급작스럽고 큰 맥동 압력이 계측기에 직접 인가되는 경우 계측기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장착되는 스너버가 맥동 압력을 감쇠시켜 계측기를 보호하게 된다.In general, snubbers can be used, for example, by pulsating pressure waves and fluid flow inevitably occurring in piston pumps or large combined pumps used in hydraulic systems, for example in nuclear power plants, and in spools in directional solenoid valves. It acts to dampen pressure shocks due to sudden position changes. In addition, when the snubber is to measure the predetermined process side pressure, it is mounted between the process side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also serves to protect the measuring instrument. In other words, when a sudden and large pulsating pressure generated on the process side is directly applied to the measuring instrument, the measuring instrument may be broken, and a snubber mounted therebetween dampens the pulsating pressure to protect the measuring instru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10)는 통상 육각 원통형 형태인 몸체(12)와, 몸체(12)의 종방향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IN) 및 유출구(OUT)와, 유입구(IN)와 유출구(OUT)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통로(14)와, 몸체(12)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통로(14)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플러그(16)와, 몸체(12)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플러그(1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루(18)를 포함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nu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the
유입구(IN)로는 계측의 대상이 되는 유체가 유입되며, 유출구(OUT)에는 계측기(도시 안됨)가 연결될 수 있다.The fluid to be measure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IN, and a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U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10)는, 유출구(OUT)에 비하여 유입구(IN)의 단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스크루(18)로 플러그(16)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유입구(IN)와 유출구(OUT) 사이의 통로(14)의 단면적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 통로(14)의 단면적을 유입구(IN)의 단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유입구(IN)를 통하여 유입되는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너버(10)는 유입구(IN) 및 유출구(OUT)를 프로세스측 및 계측기측에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맥동 압력이 직접 계측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계측기를 맥동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10)의 경우, 유입구(IN)를 통하여 들어오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스너버(10)의 좁은 단면적의 통로(14)에 막혀서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는 스너버(10)의 오작동은 물론 스너버(10)의 통로(14)가 완전히 막히는 경우 스너버(10)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물질의 제거도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스너버 내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스너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너버(20)는 통상 육각 원통형 형태인 몸체(22)와, 몸체(22)의 종방향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IN) 및 유출구(OUT)와, 유입구(IN)와 유출구(OUT)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고는 통로(24)와, 유입구(IN)와 통로(24) 사이에, 또는 통로(14) 내에 설치된 필터(26)를 포함한다.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snubber. Figure 2 shows another form of snu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cross section. The
도 2에 도시된 스너버(20)는, 유출구(OUT)에 비하여 유입구(IN)와 통로(24)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동시에 유입구(IN) 내부에 필터(22)가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맥동 압력이 필터(26)와 감소된 단면적의 통로를 지나면서 감쇠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20)의 경우, 이물질이 필터(22)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되기는 하지만,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면 이 또한 막힘 현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필터(22)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맥동 유압을 감쇠시켜 압력 측정계, 차압계, 유량계 등과 같은 유압 계측기를 맥동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attenuate the pulsating hydraulic pressure introduced to provide an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that can protect hydraulic instruments such as pressure gauges, differential pressure gauges, flowmeters from pulsating pressure There is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스너버의 막힘에 의한 오작동 및 기능 상실을 억제할 수 있는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ubber for protecting the instrument which can suppress malfunction and loss of function due to clogging of the snubber due to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flowing flui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밸브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헌팅에 효과적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effective for hunting by using a simple valve structure.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을 우회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이상일 때 상기 메인관의 출구를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 main tub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t least one sub pipe configured to bypass the main pipe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pipe to close the out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과 유입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과 유출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이상일 때 상기 메인관의 출구를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includes a body;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 main tub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t least one first sub pipe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main pipe with an inlet side; At least one second sub pipe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main pipe with an outlet side; And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pipe to close the out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상기 태양들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미만일 때 상기 메인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above aspects,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movable body closing the inlet of the main tub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the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또는 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The movable body may be seated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to close the inlet or outlet.
상기 이동체와 상기 메인관의 출구 또는 입구 사이에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spring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outlet or inlet of the main tube.
상기 이동체는 구 형상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spherical b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에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이상일 때 상기 메인관의 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includes: a body;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 main tub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pipe to partially close the out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상기 태양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미만일 때 상기 메인관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aspect,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movable body that partially closes the in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the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상기 이동체와 상기 메인관의 출구 사이에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출구에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A spring may further be includ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outlet of the main tube, and the movable body may be located close to the outlet of the main tube in the maximum compression state of the spring to partially close the outlet.
상기 이동체와 상기 메인관의 입구 사이에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입구에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입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A spring may further be includ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inlet of the main tube, and the movable body may be positioned near the inlet of the main tube in the maximum compression state of the spring to partially close the inlet.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안착되어 상기 입구 또는 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The movable body may be seated at an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to partially close the inlet or outlet.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안착될 때,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입구 또는 출구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movable body is seated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inlet or outlet.
이때, 상기 틈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의 주연부에 형성된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p may include a cutout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main tube.
상기 틈은 상기 이동체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가 안착되는 부분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The gap may be generated by differentiating the shape of the portion where the movable body and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main tube are seated.
상기 이동체는 구 형상의 볼이고,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는 원형이 아닐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는 타원형일 수 있다.The movable body is a spherical ball,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may not be circular. At this time,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may be elliptical.
상기 메인관을 우회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ub-tubes formed to bypass the main tube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메인관과 유입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과 유출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서브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first sub-tube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tube and the inlet side, and one or more second sub-tube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tube and the outlet sid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이동체는 구 형상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spherical ball.
전술된 태양들 및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관은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입구 및 출구는 상기 메인관의 종방향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관은 횡단면의 직경이 중심부에서 가장 크고, 상기 메인관의 입구 및 출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aspects and embodiments, the main tube is cylindrical in shape, and the inlet and outlet may be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main tube. At this time, the main tube has a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is the largest in the center, the diameter of the main tube toward the inlet and outlet may b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에 의해서, 고압 발생 시에 관의 감소된 단면적으로 인해 압력을 감쇠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압력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압력 측정계, 차압계, 유량계 등의 계측기를 맥동압으로부터 보호하여 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By the snubber for protecting th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can be attenuated due to the reduc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be at the time of high pressure, thereby enabling stable pressure measurement. That i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a pressure gauge, 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and a flowmeter, can be protected from a pulsating pressure, and the damage can be prevented.
더욱이,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압력에 따라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가 어느 정도 격리될 수 있어서 헌팅에도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Moreover, by using a valve of a simple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sur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separa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can be somewhat isolated, which can bring a good effect to hun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그에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스너버의 막힘에 따른 스너버의 오작동 및 기능 상실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trument protection snu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malfunction and loss of function of the snubber due to clogging of the snubber due to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therei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스너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너버에 유체가 유입될 때 스너버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너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스너버의 유출구측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스너버에 유체가 유입될 때 스너버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nu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form of snub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nubber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snubber shown in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nubber shown in FIG. 3.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etailed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outlet port side of the snubber shown in FIG. 8, respectively.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nubber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snubber shown in FIG. 8.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nub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투영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너버에 유체가 유입될 때 스너버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nubber when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snubber shown in FIG. 3. to b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0)는 육각 원통형 형태인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종방향 일 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20)와, 상기 몸체(110)의 종방향 타 단부에 형성된 유출구(130)와, 상기 유입구(120)와 유출구(130)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몸체(110)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양 단부에 입구(142) 및 출구(144)를 각각 갖는 메인관(140)과, 상기 메인관(140)을 우회하여 상기 유입구(120)의 유입 공간(122)과 유출구(130)의 유출 공간(132)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관(150)과, 상기 메인관(140) 내에 마련된 볼(1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본 발명의 스너버(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원통형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유입구(120)로는 계측의 대상이 되는 유체가 유입되고, 유출구(130)에는 계측기(도시 안됨)가 연결될 수 있다.A fluid to be measured is introduced into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의 무게와 유압을 이용하여 메인관(140)을 개폐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20)가 아래를 향하고 유출구(130)가 위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120)는 유압 프로세스측에 연결되어 이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유출구(130)는 계측기측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서 압력 맥동이 감쇠된 상태의 유체가 유출된다. 상기 유입구(120)에는 유압 프로세스측, 예를 들어 증발 용기, 반응 용기 등과 같은 유압 프로세스와 연결된 배관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출구(130)에는 계측기측, 예를 들어 압력 측정계, 차압계, 유량계 등과 같은 유압 계측기와 연결된 배관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프로세스측 및 계측기측에 연결된 배관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유입구(120) 및 유출구(130)의 내주연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나사 결합을 이룰 수 있다.Since the
상기 유입구(120)와 메인관(140)의 입구(142) 사이에 연통되도록 유입 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30)와 메인관(140)의 출구(144) 사이에 연통되도록 유출 공간(132)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관(150)은, 그 입구 및 출구가 각각 상기 유입 공간(122) 및 유출 공간(132)과 연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관(140)을 우회하여 유입 공간(122)과 유출 공간(132)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An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브관(150)은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일 수 있고 또는 2개를 초과하여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서브관(150)의 개수는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나의 서브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서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다른 서브관으로도 충분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비적인 서브관을 형성하고 니들 밸브 등으로 폐쇄 시켜 놓을 수 있으며, 다른 서브관이 모두 사용될 수 없는 경우 등에 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서브관(150)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그에 비례하여 각각의 서브관(150)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전체 서브관의 단면적이 일정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또한, 서브관(150)은 꺽임부가 도 4에는 90도로 되어 있으나, 이는 제조상의 용이성을 위해서 유선형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of the sub-tube 150 is 90 degrees in Figure 4, but it may be manufactured in a streamlined form for ease of manufactur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120), 유출구(130), 메인관(140), 서브관(150), 유입 공간(122) 및 유출 공간(132)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각 구성 요소의 특정 기능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이들 구성 요소의 횡단면은 모두 원형인 것으로 상정한다. 다만, 메인관(140)의 입구 및 출구는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메인관(140) 내에 마련된 볼(160)은 메인관(14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로서,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메인관(140)의 출구(144)에 안착되는 크기를 갖는 구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160)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볼(160)은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되어 입구(142)를 폐쇄(또는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고, 메인관(140)의 출구(144)에 안착되어 출구(144)를 폐쇄(또는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관계없다. The
볼(160)에 의해 메인관(140)의 입구(142) 또는 출구(144)가 폐쇄된 경우,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 공간(122)을 거쳐서 들어오는 유체는 서브관(150)을 통하여 유출 공간(132) 및 유출구(130)를 거쳐서 배출된다. 이와 달리, 볼(160)이 메인관(140)의 입구(142)와 메인관(140)의 출구(14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유입구(120) 및 유입 공간(122)을 거쳐서 들어오는 유체는 메인관(140)과 서브관(150) 둘 모두를 통하여 유출 공간(132) 및 유출구(130)를 거쳐서 배출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0)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The operation of the
먼저, 도 4는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제1 압력 이하의 압력(또는 단위 시간당 제1 압력 변동량)으로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은 계측기에서 통상적으로 계측되는 정도 이하의 압력으로, 이러한 크기의 압력 하에서 볼(160)은 그의 자중으로 인해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되어 입구(142)를 폐쇄한다. 이 경우, 유체는 서브관(150)만을 통하여 유입구(120) 및 유입 공간(122)에서 유입된 유체를 유출 공간(132) 및 유출구(130)로 보내게 된다.First, FIG.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luid flows into the
제1 압력은 볼(160)의 무게 및 크기와, 메인관(140)의 입구(142)의 단면적과, 유입 공간(122) 및 메인관(140) 내에 존재하는 유체의 밀도 등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볼(160)의 무게를 증가시키면 제1 압력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메인관(140)의 입구(142)는 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된다. 이와 달리, 메인관(140)의 입구(142)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제1 압력은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메인관(140)의 입구(142)는 보다 낮은 압력에서 개방된다.The first pressure is set by the weight and size of the
도 4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스너버(100)의 유입구(120)에 제1 압력 이상의 강한 압력(또는 단위 시간당 제1 압력 변동량 이상의 압력 변동량)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 이상의 압력에 의해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된 볼(160)이 상승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60)이 상승하여 메인관(140)의 입구(142)와 출구(14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입구(142) 및 출구(144)는 둘 모두 개방되어,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유체는 메인관(140)과 서브관(150) 둘 모두를 통하여 유출 공간(132) 및 유출구(130)를 거쳐 배출된다. 이때, 메인관(140)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구체적으로 메인관(140)의 내벽과 볼(16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이다. 이때, 서브관(150)들의 전체 단면적과 메인관(140)의 내벽과 볼(160) 사이의 단면적의 합은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의 단면적보다 적게 형성된다.In the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4, when a strong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amoun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ssure change amount per unit time) is applied to the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이 더 증가하여 스너버(100)에 제2 압력 이상의 압력(또는 단위 시간당 제2 압력 변동량)이 인가되면, 메인관(140) 내의 볼(160)은 메인관(140)의 출구(144)까지 상승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출구(144)에 안착되어 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스너버(100)로 유입되는 유체는 다시 서브관(150)만을 통하여 유동함으로써, 제2 유압 이상의 강한 유압이 계측기에 급작스럽게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계측기에 급작스럽게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측기가 보호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pressure (or the second pressure variation amount per unit time) is applied to the
이어서,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압력이 감소하여 볼(160)에 작용하는 메인관(140) 내의 맥동 압력이 작아지게 되면, 볼(160)이 하강하게 되면서 메인관(140)의 출구(144)가 개방된다. 즉, 스너버(100)는 다시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 유체는 메인관(140)과 서브관(150) 둘 모두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상태에서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압력(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동량)이 다시 증가하게 되면 볼(160)은 다시 상승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출구(144)를 폐쇄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pressure flowing in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너버(100)는 유입되는 유체 압력의 증감에 따라서, 메인관(140)의 출구(144)를 개폐함으로써, 계측기측으로 급격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헌팅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단면적이 감소된 하나의 관을 통하여 유압이 계측기측으로 전달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는 헌팅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스너버(100)는 프로세스측과 계측기측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출구(144)를 개폐함으로써 스너버(100)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어느 정도 격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너버(100)는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서로 동압을 유지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헌팅에 효과적이다. 즉 강한 압력이 유입구(120)를 통하여 들어오게 되면, 볼(16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출구(144)를 폐쇄한 뒤 유입구(120)와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동일해졌을 때 상기 출구(144)가 열림으로써, 헌팅에 효과적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압력이 더 낮아지면, 볼(160)은 메인관(140)의 입구(142)까지 하강하여 입구(142)를 폐쇄하게 된다. 이는 다시 도 4의 상태로,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다시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으로 스너버(100)에 유입되는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When the pressure flowing into the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너버(100)에서는, 프로세스측과 계측기측을 단 하나의 관으로 연결하여 이를 통해서 유체가 유동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메인관(140)과 하나의 이상의 서브관(150)을 통하여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둘 이상의 관을 통하여 유체가 유동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서브관(150)을 둘 이상 형성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관(150)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나머지 하나에 의해 스너버(100)는 정상적으로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도 7에는 전술된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너버(101)에는, 볼(160)과 메인관(140)의 입구(142) 사이에 스프링(170)이 설치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 볼(160)은 스프링(17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데, 볼(160)은 스프링(170)의 상단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170)의 하단부는 메인관(140)의 입구(142)측 바닥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7 shows a varia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이러한 구성의 스너버(101)에서는, 스프링(170)의 길이, 피치 및 탄성 계수를 조정함에 따라서 메인관(140)의 입구(142)가, 정상 상태에서, 폐쇄될 수도 있고 개방(도 7의 경우)될 수도 있다. 즉, 볼(160)의 무게에 의해 스프링(170)이 압축된 상태에서, 볼(160)이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되게 하거나 또는 이격되게 함으로써 폐쇄 또는 개방 상태로 설정될 수 있게 된다.In the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60)의 무게에 의해 스프링(170)이 압축된 상태에서, 볼(160)이 메인관(140)의 입구(142)와 이격된 상태에서 메인관(140)의 입구(142)는 (계측기측 압력이 프로세스측보다 커지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시 개방 상태 또는 부분 폐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으로 스너버(100)에 유입되어도, 유체는 메인관(140) 및 서브관(150)을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7,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명세서 내에서, 입구 또는 출구가 폐쇄된다 함은 이를 통하여 유체가 유동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한편, 입구 또는 출구가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함은 이를 통하여 유체가 통과하게 되는 단면적이 개방된 상태보다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Within this specification, the inlet or outlet being closed indicates that the fluid cannot flow therethrough, while the inlet or outlet being partially closed means that the cross section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through is smaller than the open state. Means that.
도 7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1)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압력의 증감에 따라서, 볼(160)이 상승하여 도 5, 도 6 및 도 7의 상태로 변하면서 프로세스측에서 유입되는 급격한 압력 변화를 감쇠시켜 계측기측으로 배출시켜서 계측기를 보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볼(160)의 무게에 의해 스프링(170)이 압축된 상태에서, 볼(160)이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되는 경우는 전술된 실시예에서 볼(160)의 무게를 가볍게 한 것과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도시된 실시예의 서브관(150)은 관의 중간 부분이 90도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90도로 절곡된 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된다면 유체의 유동이 원활해지고, 서브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0, 101)는 볼(160)의 무게를 이용하여 메인관(140)의 출구(144)를 개폐하기 때문에, 유입구(120) 및 유출구(130)가 각각 아래 및 위에 위치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제1 및 제2 압력과, 볼(160)의 무게 및 크기와,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의 단면적과, 유입 공간(122) 및 메인관(140) 내에 존재하는 유체의 밀도 등을 고려하여,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0, 101)는, 수평이 아니라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스너버의 유출구측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스너버에 유체가 유입될 때 스너버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nub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detail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outlet port side of the snubber shown in FIG. 8, respectively.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nubber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snubber shown in FIG. 8.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200)는 몸체(210), 유입구(220), 유출구(230), 메인관(240), 서브관(250), 볼(260) 및 스프링(27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중에서, 메인관(240) 및 스프링(270)을 제외한, 몸체(210), 유입구(220), 유출구(230), 서브관(250) 및 볼(260)과 이들에 부속되는 구성들(예를 들어, 유입 공간(122)및 유출 공간(132))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너버(100)의 몸체(110) 유입구(120), 유출구(130), 서브관(150) 및 볼(160)과 이들에 부속되는 구성들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관(240)도 역시 도 3에 도시된 메인관(140)과 전체적인 기능 및 구성은 유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200)의 메인관(240) 내에는 볼(260)과 메인관(240)의 출구(244) 사이에 스프링(270)이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볼(260)과 스프링(270)에 의해 메인관(240)의 입구(242)는 폐쇄되고 메인관(240)의 출구(244)는 개방되어 있다.In the
이때, 볼(260)은 스프링(270)의 일 단부에 안착되는 데, 볼(260)은 스프링(270)의 일 단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270)의 타 단부는 메인관(240)의 출구(244)측 바닥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도 8에 도시된 스너버(200)의 볼(260)에 의한 메인관(240)의 출구(244)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관(240)의 출구(244)측 단부에는 스프링 안착부(248)가 단차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안착부(248)의 지름 및 깊이와, 스프링(270)의 전체 직경, 길이, 피치, 및 스프링 코일의 직경 등은, 볼(260)과 메인관(240)의 출구(244)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70)이 압축되었을 때, 볼(260)이 메인관(240)의 출구(244)를 폐쇄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스프링(270)의 전체 길이를 다소 길게 하여, 메인관(240)의 출구(244)가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와 같이 볼과 메인관의 입구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경우도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 대한 구성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of the
다음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200)의 작동을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도 8은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으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은 계측기에서 통상적으로 계측되는 정도 이하의 압력으로, 이러한 크기의 압력 하에서 볼(260)은 스프링(270)의 탄성력으로 인해 메인관(240)의 입구(242)에 안착되어 입구(242)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유체는 서브관(250)만을 통하여 유입구(220) 및 유입 공간(222)에서 유입된 유체를 유출 공간(232) 및 유출구(230)로 보내게 된다.FIG. 8 shows the case where the fluid flows into the
이때, 제1 압력은 스프링(270)의 탄성 계수와, 메인관(240)의 입구(242)의 단면적 등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70)의 탄성 계수를 증가시키면 제1 압력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메인관(240)의 입구(242)는 보다 높은 압력에서 개방된다. 이와 달리, 메인관(240)의 입구(242)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제1 압력은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메인관(240)의 입구(242)는 보다 낮은 압력에서 개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is set by the elastic modulus of the
도 8과 같은 정상 상태에서, 스너버(200)의 유입구(220)에 제1 압력 이상의 강한 압력이 인가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 이상의 압력에 의해 메인관(240)의 입구(242)에 안착된 볼(260)이 스프링(270)을 가압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6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메인관(240)의 입구(242)와 출구(24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입구(242) 및 출구(244)는 둘 모두가 개방된다. 따라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유체는 메인관(240)과 서브관(250) 둘 모두를 통하여 유출 공간(232) 및 유출구(230)를 거쳐 배출된다. 이때, 유체는 메인관(240), 구체적으로 말해서 메인관(240)의 내벽과 볼(26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In the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8, when a strong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is applied to the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유압이 증가하여 스너버(200)에 제2 유압 이상의 유압이 인가되면, 메인관(240) 내의 볼(260)은 메인관(240)의 출구(244)까지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240)의 출구(244)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스너버(2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서브관(250)만을 통하여 감쇠된 약한 압력만이 유동하게 됨으로써, 제2 유압 이상의 강한 유압이 계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측기에 급작스럽게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측기를 보호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again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이어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볼(260)에 작용하는 메인관(240) 내의 압력이 스프링(270)의 탄성력 및 볼(260)에 작용하는 유출 공간(232) 내의 압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볼(26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메인관(240)의 출구(244)가 개방된다. 즉, 스너버(200)는 다시 도 11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 유체는 다시 메인관(240)과 서브관(250) 둘 모두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pressure in the
만일 이러한 상태에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압력이 다시 증가하게 되면 볼(260)은 다시 상승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240)의 출구(244)를 폐쇄하게 된다.If the pressure flowing in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너버(200)는 유입되는 유체 압력의 증감(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에 따라서, 메인관(240)의 출구(244)를 개폐함으로써, 계측기측으로 급작스럽게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스너버(200)는 출구의 개폐로 인하여 유입구와 유출구가 어느 정도 격리되어 있어서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서로 동압을 유지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헌팅에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압력이 더 낮아지면, 볼(260)은 메인관(240)의 입구(242)까지 이동하여 입구(242)를 폐쇄하게 된다. 이는 다시 도 8의 상태로,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다시 제1 압력 이하의 압력으로 스너버(200)에 유입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pressure flowing into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60)과 메인관(240)의 입구(242) 사이에도 스프링(27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본 변형 실시예의 작동, 기능 및 특성은 도 7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modified embodiment shown in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a spring 272 is installed between the
다른 한편으로, 볼(260)과 메인관(240)의 입구(242) 사이의 위치 관계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스너버(200)에서는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를 폐쇄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프링(270)의 길이 및 피치 등을 조절하여, 구체적으로 스프링(270)의 길이를 짧게 하여,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와 스프링(270) 사이에서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볼(260)을 스프링(270)의 일단에 고정시키고 메인관(240)의 입구(242)에서 이격시켜 메인관(240)의 입구(242)를 개방하거나 부분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를 폐쇄하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스너버(100)에 대응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를 개방 또는 부분 폐쇄하는 구성 또는 도 13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스너버(101)에 대응된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와 스프링(270) 사이에서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볼(260)이 메인관(240)의 입구(242)를 개방 또는 부분 폐쇄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작동은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스너버(100, 101)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To allow the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여러 변형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14 to 18,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4 및 도 15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메인관을 우회하는 별도의 서브관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스너버(102)에는 도 3에 도시된 스너버(100)의 서브관(15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의 주연부에는 절취부(182) 및 절취부(184)가 각각 형성되어 서브관의 역할을 한다.First, FIG. 14 and FIG. 15 show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3 to 6, in which there is no separate sub pipe bypassing the main pipe. In the
이하에서는 메인관(140)의 출구(144)의 주연부에 형성된 절취부(18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가 형성되면, 메인관(140)의 출구(144)에 볼(160)이 안착되더라도 상기 출구(144)를 완전히 폐쇄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절취부(184)를 통하여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절취부(184)는 서브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취부(18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2개,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도 14에 도시된 스너버(102)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먼저, 유압 프로세스측으로부터 유체가 제1 압력 이하의 압력(또는, 단위 시간당 제1 압력 변동량)으로 스너버(100)에 유입되면, 스너버(102)의 볼(160)은 도 1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입구(142)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메인관(140)의 입구(142)의 주연부에 형성된 절취부(182)로 인하여 입구(142)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유체는 절취부(182)를 통하여 메인관(140)과 유출 공간(132)과 유출구(230)를 거쳐 계측기측으로 유출된다.First, when fluid flows into the
이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스너버(100)의 유입구(120)에 제1 압력 이상의 강한 압력이 인가되면, 볼(160)이 상승하여 메인관(140)의 입구(142)와 출구(14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유체는 메인관(140)의 내벽과 볼(16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In such a normal state, when a strong pressu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ssure is applied to the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유압이 증가하여 스너버(100)에 제2 유압 이상의 유압이 인가되면, 메인관(140) 내의 볼(160)은 메인관(140)의 출구(144)까지 상승하게 되어, 도 1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40)의 출구(144)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관(140)의 출구(144)의 주연부에 형성된 절취부(184)로 인하여, 출구(144)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메인관(140) 내의 유체는 절취부(184)를 통하여 유출 공간(132)과 유출구(230)를 거쳐 계측기측으로 유출된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again in this st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이에 따라서, 스너버(102)로 유입되는 유체는 메인관(140)의 출구(144)의 주연부에 형성된 작은 단면적의 절취부(184)만을 통하여 감쇠된 약한 압력만이 유동함으로써, 제2 유압 이상의 강한 유압이 계측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측기에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측기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uid flowing into the
본 변형 실시예의 경우, 전술된 실시예들과 달리 단면적이 작은 서브관이 없으므로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절취부(182, 184)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게 되더라도, 볼(16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modified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 is no sub tube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thereby preventing clogging due to foreign substances. That is, even if the
상기 절취부(182, 184)는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의 주연부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의 형상을 원형이 아닌 타원,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에 볼(160)이 안착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절취부(182, 184)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볼(160)의 형상을 구가 아닌 타원체, 또는 심지어 원기둥, 각기둥, 정다각형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에 안착되는 부위의 볼(160)의 형상과 입구(142) 및 출구(144)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에 대응하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The
한편, 전술된 절취부(182, 184)에 대응하는 구성은 메인관(140)의 입구(142) 및 출구(144)의 주연부에서 외향 이격된 위치에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인 스너버(103)에는, 메인관(140)과 유입구(120)측 및/또는 유출구(130)측, 구체적으로는 메인관(140)과 유입 공간(122) 및/또는 메인관(140)과 유출 공간(132)을 연통하도록 몸체(110)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서브관(192, 19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관(192, 194)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취부(182, 184)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스너버(103)에 대한 작동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스너버(102)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스너버(20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17에 도시된 스너버(202)는, 볼(260)과 메인관(240)의 출구(24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78)의 길이를 다소 길게 형성하여, 스프링(278)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볼(260)이 메인관(240)의 출구(244)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도록, 즉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너버(202)는 별도의 서브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스프링(278)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볼(260)과 메인관(240)의 출구(244)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이러한 틈이 서브관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틈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스너버(102)의 절취부(182, 184)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스너버(202)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스너버(200)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스너버(102)의 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스너버(100)의 또 다른 변형으로서 도 18에 도시된 스너버(104)는 메인관(14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은 스너버(100)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스너버(104)는 볼(160)이 메인관(141)의 입구(142) 및 출구(144)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메인관(141)의 횡단면의 반경이 중심부에서 가장 크고 입구(142) 및 출구(144)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감소하여 입구(142) 및 출구(144)측에서 각각 최소인 항아리 형상일 수 있다. 메인관(14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반경이 중심부의 일정 구간에서는 동일하고 입구(142) 및 출구(144) 부근에서 서서히 감소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볼(160)은 메인관(141)의 입구(142) 및 출구(144)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더욱이, 볼이 메인관(141)의 입구(142)에서 출구(144)로 이동할 때, 메인관(141)의 내벽과 볼(141)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진 후 다시 서서히 좁아지게 되어 메인관(141)을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서는 볼을 사용하여 메인관의 입구 및 출구를 직접 개방 또는 폐쇄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인관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다른 유형의 개폐 수단이 형성되고, 볼과 같이 메인관 내에서 유체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개폐 수단이 개방 또는 폐쇄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described so far, the ball is used to directly open, close or partially close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main tub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different types of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form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main tub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opened or closed or partially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movable by the fluid in the main tube such as a ball. It may b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은 특징부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 14의 절취부(182, 184)가 부가되거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메인관(240)이 도 18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의 메인관(141)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동 및 효과 역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odified embodiments, feature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계측의 대상이 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0, 220)와 계측기가 연결될 수 있는 유출구(130, 23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너버(100, 101, 102, 103, 104, 200, 201, 20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너버와 마찬가지로 유체의 이동 통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급격하게 증가된 압력을 감쇠시킴으로써 계측기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볼(160)에 의한 메인관(140)의 출구(144)를 개폐함으로써,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어느 정도 격리시킬 수 있어서 헌팅에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보호용 스너버는 그에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스너버의 막힘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하여, 그에 따른 스너버의 오작동 및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1, 102, 103, 104, 200, 201, 202: 스너버
110, 210: 몸체 120, 220: 유입구
130, 230: 유출구 140, 141, 240: 메인관
150, 260: 서브관 160, 260: 볼
170, 270, 272, 278: 스프링100, 101, 102, 103, 104, 200, 201, 202: Snubber
110, 210:
130, 230:
150, 260:
170, 270, 272, 278: spring
Claims (17)
상기 스프링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출구 또는 입구에 가까이 위치되어 상기 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안착될 때, 상기 이동체와 상기 입구 또는 출구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스너버.
A body;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 main tube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main pipe to partially close the out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It includes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outlet or inlet of the main tube,
The movable body and the inlet or when the movable body is located close to the outlet or inlet of the main tube in the maximum compression state of the spring and partially closes the outlet, and the movable body is seated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lets
Snubber.
상기 이동체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량 미만일 때 상기 메인관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movable body partially closes the inlet of the main pipe whe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the pressure change per unit time.
Snubber.
상기 틈은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의 주연부에 형성된 절취부를 포함하는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gap includes a cutout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Snubber.
상기 이동체는 구 형상의 볼이고,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의 단면은 원형을 제외한 다른 형상인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moving body is a ball of a spherical shape, the cross section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is a shape other than the circular
Snubber.
상기 메인관의 입구 또는 출구는 타원형인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let or outlet of the main tube is oval
Snubber.
상기 메인관을 우회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관을 더 포함하는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sub-tubes formed to bypass the main tube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nubber.
상기 메인관과 유입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서브관과,
상기 메인관과 유출구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서브관을 더 포함하는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first sub pip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pipe and the inlet side;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second sub-tubes formed to communicate the main tube and the outlet side
Snubber.
상기 이동체는 구 형상의 볼을 포함하는
스너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movable body includes a spherical ball
Snubber.
상기 메인관은 원통형 형상이거나 또는 횡단면의 직경이 중심부에서 가장 크고 상기 메인관의 입구 및 출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인
스너버.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tube has a cylindrical shape or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is the largest in the center and the shape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main tube
Snub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42123A KR101323726B1 (en) | 2012-12-07 | 2012-12-07 |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42123A KR101323726B1 (en) | 2012-12-07 | 2012-12-07 |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3726B1 true KR101323726B1 (en) | 2013-10-30 |
Family
ID=496396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421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726B1 (en) | 2012-12-07 | 2012-12-07 |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372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60080A (en) * | 2018-11-22 | 2020-05-29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for preventing oil leakage of brake system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52263U (en)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Clutch Booster Device of Vehicle |
| US20040000341A1 (en) * | 2002-06-28 | 2004-01-01 | Kim Han-Soo | Two-way orifice check valve device for hydraulic circuit |
| JP2006242384A (en) * | 2005-03-02 | 2006-09-14 | Eaton Corp | Solenoid ball valve having bypass orifice |
| EP2006587B1 (en) * | 2007-06-22 | 2010-03-17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Watertight valve system |
-
2012
- 2012-12-07 KR KR1020120142123A patent/KR1013237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52263U (en)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Clutch Booster Device of Vehicle |
| US20040000341A1 (en) * | 2002-06-28 | 2004-01-01 | Kim Han-Soo | Two-way orifice check valve device for hydraulic circuit |
| JP2006242384A (en) * | 2005-03-02 | 2006-09-14 | Eaton Corp | Solenoid ball valve having bypass orifice |
| EP2006587B1 (en) * | 2007-06-22 | 2010-03-17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Watertight valve system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60080A (en) * | 2018-11-22 | 2020-05-29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for preventing oil leakage of brake system |
| KR102635285B1 (en) | 2018-11-22 | 2024-02-08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eventing oil leakage of brake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79514B2 (en) | Air release valve | |
| CN206368986U (en) | A kind of differential type safety valve | |
| CN101103181A (en) | silencer | |
| HU184417B (en) | Device for bleeding duct networks | |
| KR101096870B1 (en) | A control valve with a check valve having a damping function | |
| RU2708483C2 (en) | Critical flow valve with squeezed seat ring | |
| CN109630728A (en) | A pilot-operated safety valve | |
| KR101323726B1 (en) | Snubber for protecting nuclear power plant measuring instrument | |
| CN106151143B (en) | Luffing jib maintaining valve | |
| CN102563154A (en) | High-flow pressure loading type decompression valve | |
| BR102015009701B1 (en) | Flow restrictors and valve assembly | |
| US2804093A (en) | Device for absorbing transient pressure fluctuations | |
| CN206095510U (en) | Take pressure transmitter of attenuator | |
| CA1130698A (en) | Pressure pulse dampener device | |
| EP2626681A1 (en) | Measuring device with a pressure sensor | |
| US2191990A (en) | Shock absorber for fluid pressure lines | |
| CN103939650B (en) | A kind of large flow constant flow valve that has overpressure protection function | |
| CN203431260U (en) | Angle type differential pressure valve | |
| CN205207809U (en) | Guide controls pipeline stationary flow adjusting device of branch | |
| CN210950073U (en) | Differential pressure bypass balance valve | |
| KR102641642B1 (en) | check valve | |
| CN112443298B (en) | Self-adaptive oil well fluid control device and adjusting mechanism | |
| CN203488780U (en) | Low-noise cage-type adjusting valve | |
| CN208900784U (en) | A kind of compact-sized safety valve and lubricating oil pump | |
| CN206600329U (en) | The suppression servo valve self-oscillation device of adjustable orifice are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0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