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3829B1 -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829B1
KR101323829B1 KR1020110036220A KR20110036220A KR101323829B1 KR 101323829 B1 KR101323829 B1 KR 101323829B1 KR 1020110036220 A KR1020110036220 A KR 1020110036220A KR 20110036220 A KR20110036220 A KR 20110036220A KR 101323829 B1 KR101323829 B1 KR 10132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lant
growth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691A (ko
Inventor
유원종
정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to KR102011003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8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82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생장발광부; 및 상기 생장발광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며, 상기 생장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 이상의 조사 범위를 구비하는 방제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Illuminatio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 and plant mediu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성장 및 생장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재배의 필수요소로는 빛, 토양 및 물 등이 있다. 그 중 빛은 식물의 광합성과 함께 형태형성, 휴면현상 등에 관여하고 식물종과 품종 각각의 생태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식물이 빛에 민감한 이유는 여러 가지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광합성, 발육, 휴면 등의 현상이 여러 광수용체와 관계되어 있으며, 이 광수용체들은 특정 작용 파장대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에 조사되는 빛을 적절히 조절하면 식물의 성ㆍ생장을 제어할 수가 있으며, 또한 특정 파장대역을 갖는 빛이 식물의 성ㆍ생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식물 재배를 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로 인해 종자 발아, 꽃눈 분화 또는 개화 등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 재배에 있어 종래와 같은 방법은 식물의 광수용체가 작용하는 파장대역을 조절하여 식물 자체에 영향을 주는 방법일 뿐 식물의 외적인 요인, 즉 해충 등의 접근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 자체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해충 등의 접근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식물 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재배시 식물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등의 간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생장발광부; 및 상기 생장발광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며, 상기 생장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 이상의 조사 범위를 구비하는 방제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제발광부는 상기 생장발광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빛이 조사되는 범위가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의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식물을 향하는 조사 방향 이외에 또 다른 조사 방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는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 및 조사 범위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배양기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공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와 결합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와 결합하며, 상기 식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에 의하면 식물 생장에 간접적인 영향인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의 조명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분위기에 적절하게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가 식물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제공되는 생장발광부 및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적인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제공되는 생장발광부 및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사 범위가 다수개인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가 식물에 적용되는 제3 및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를 구비하는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장발광부(110)는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인자로 작용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15: LE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15: LED)는 포괄적으로 적색 계열 및 청색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생장발광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5: LED)에서 조사되는 적색계열의 빛은 파장대역이 630nm이상 690nm이하의 범위로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하고, 발아 조절 등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개화를 조절하고 엽면적을 확대시키며, 생육을 촉진시키고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며, 절화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적색계열과 유사한 청색계열의 빛은 파장대역이 420nm이상 470nm이하의 범위로 식물의 출엽속도를 조절하고 광합성을 촉진시키며, 형태형성을 조절하고 웃자람을 방지하는 등 적색계열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장발광부(110)는 적색계열과 청색계열이 혼합된 빛일 수 있으며, 혼합된 경우에도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긍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적색계열 및 청색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빛에 의해 식물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는 적색계열의 파장대역과 청색계열의 파장대역에 흡수피크가 존재하는 식물의 클로로필이라고 색소가 상기 파장대역의 빛에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생장발광부(110)는 적색 및 청색 중 적어도 하나의 빛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740nm 파장대역의 근적외선(F-Red) 또는 405nm 파장대역의 근자외선(n-UV) 등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장대역의 빛이면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방제발광부(120)는 상기 생장발광부(11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25: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하는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방제발광부(120)는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외측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피조사부(190)에 조사되는 범위(A) 이상의 조사범위(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파장대역은 500nm이상 620nm이하의 범위로 녹색계열 및 황색계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충과 같이 식물의 성장에 방해를 주는 곤충은 황색계열 또는 녹색계열의 빛을 피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재배하려고 하는 식물의 외측 주변에 상기와 같은 황색 또는 녹색계열의 빛을 조사하면 상기 식물에 해충을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막과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범위(B)를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범위(A)이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해충의 식물에의 접근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는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생장발광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외측에는 방제발광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 범위에 의한 것으로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A)내에는 재배하려고 하는 대상인 식물이 배치되고,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B)는 상기 식물을 포함하도록 하는 범위(A) 이상으로 구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조사범위와 상기 방제발광부(120)의 조사범위가 일치될 수 있는 소정역영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방제발광부(120)가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외측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B)가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A)를 포함할 수 있으면 상기 방제발광부(120)와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배치상의 변경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생장발광부(110)와 상기 방제발광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의 조사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방제발광부(120)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125: LED)는 상기 생장발광부(110)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115: LED)보다 테이퍼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기설계된 조사범위를 고려하여 최초제조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를 고정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빛의 조사범위의 가변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의 각도를 추후에 조절하여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 및 조사 범위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식물 성장 및 생장에 필요한 조건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제발광부(120)를 생장발광부(110)와 비교하여 테이퍼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를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는지는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조사범위를 고려하여 방제발광부(120)를 테이퍼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가 식물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로 기술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재배하려는 식물의 외측벽부(180)에 결합되어 상기 식물(300)에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건물의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되는 하나의 작은 방이나, 식물재배용 비닐하우스 또는 공장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식물에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 빛을 조사하여 대량의 식물(300) 재배에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단일개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에 배치되는 식물(300)에 적용가능할 수 있으나, 다수개가 결합된 모듈로 적용하여 공장형으로 재배되는 식물(3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의 고정 수단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부에 착탈식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식물(300), 즉 상기 식물(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분 또는 상기 식물(300)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토양에 고정되는 지지부(130)와 결합하여 상기 식물에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30)와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의 결합관계는 나사결합, 본딩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조사범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부(130)는 높이가 조절되도록하는 높이조절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300)을 포함하는 화분의 상측에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가 위치되어 상기 식물(300)에는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생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파장대역의 발광다이오드(115: LED) 빛이 조사되고, 상기 식물의 외측에는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발광다이오드(125: LED) 빛에 의해 해충의 식물에의 접근이 차단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배양기(200)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 반사부(150), 지지부(130) 및 받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반사부(150)는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150)는 조명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을 조명등 또는 무드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150)에 의한 조명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의 범위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조사 방향이 다수방향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반사부(150)의 형상은 조명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뿔 형상 또는 사각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의 형상도 상기 반사부(1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도 3을 참조로 기술한 지지부(13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150)와 후술할 받침부(140)를 결합하는 구성요소로 일단은 상기 반사부(150) 또는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140)의 일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에는 상기 지지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부(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135)에 의해 식물(300)에 조사되는 발광다이오드(115, 125: LED)의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30)의 높이는 상기 높이조절부(135)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받침부(140)는 상기 지지부(130)를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재배하려는 식물(300)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로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200)는 생장발광부(110)를 통해 식물의 성장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발광다이오드(115: LED) 빛을 식물에 조사하고, 방제발광부(120)를 통해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사부(150)에 의해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인테리어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제공되는 생장발광부 및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적인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에 제공되는 생장발광부 및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사 범위가 다수개인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상기 방제발광부(120)와 상기 생장발광부(110)는 회전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빛의 조사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방제발광부(120)를 기준으로 생장발광부(110)를 상대적인 고정부라 가정하면,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방제발광부(120)를 회전시키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방제발광부(120)가 조사하는 빛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기술한 식물 배양기(200)에 적용시키면 식물의 재배를 위해 식물 방향으로 조사되던 생장발광부(110)와 방제발광부(120)의 빛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방향은 식물을 향하고,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방향은 식물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반사부(150)에 의해 조명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생장발광부(110)를 오프시킨 상태라면 상기 방제발광부(120)만으로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인테리어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조명기능은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것으로 앞서 언급한 대로 생장발광부(110)는 적색 또는 청색계열의 빛을 조사하므로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식물의 반대 방향으로 가변하여 적색 또는 청색의 조명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방제발광부(120)는 황색 또는 녹색 계열의 빛을 조사하므로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황색 또는 녹색의 조명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생장발광부(110) 및 방제발광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방제발광부(120)는 상측과 하측 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 모두에 발광다이오드(125: LED)가 결합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각각 일 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도 4를 참조로 기술한 식물 배양기(200)에 적용하면, 식물 성장, 생장 및 해충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조명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가 식물에 적용되는 제3 및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식물(300)이 배양되는 토양을 구비하는 화분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식물의 배치를 위해 중앙에 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홀에 인접하게는 생장발광부(110)가 위치하고 외측에는 방제발광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상측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고, 상기 생장발광부(110)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 외측에는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한 빛이 조사되게 된다.
비록, 도 7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반사부(15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측에 반사부(150)를 부가하여 다양한 색의 조명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공간을 구성하는 모서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원호 형상일 수 있으며, 생장발광부(110)에 의한 빛에 의해 식물을 성장시키고, 방제발광부(120)에 의한 빛에 의해 식물에의 해충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는 조사되는 범위가 가변적이거나 다수의 조사방향을 구비함으로써 조명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300)을 포함하는 식물 운반부(160)의 손잡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운반부(160)의 손잡이부는 다수의 식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받침대와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생장발광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생장발광부(110)의 외측에는 방제발광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사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방제발광부(120)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생장발광부(110) 및 상기 방제발광부(120)에 의한 방열을 고려하여 외측에는 코팅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팅부(170)에 의해 운반시에도 외부로의 열방출을 차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식물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100)는 생장발광부(110)의 조사범위 이상의 조사범위를 구비하는 방제발광부(120)에 의해 식물 재배시 외적인 요인인 해충을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물 재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가변적인 조사범위 또는 조사방향의 다양함으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 기능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의 조명 기능을 취사선택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분위기에도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100: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110: 생장발광부
120: 방제발광부 130: 지지부
140: 받침부 150: 반사부
160: 식물 운반부 170: 코팅부

Claims (8)

  1. 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생장발광부 및
    상기 생장발광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식물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며, 상기 생장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 이상의 조사 범위를 구비하는 방제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제발광부는 상기 생장발광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빛이 조사되는 범위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식물을 향하는 조사 방향 이외에 또 다른 조사 방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생장발광부 및 상기 방제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 및 조사 범위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를 공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와 결합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와 결합하며, 상기 식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부가 형성된 식물 배양기.


KR1020110036220A 2011-04-19 2011-04-19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20A KR101323829B1 (ko) 2011-04-19 2011-04-19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20A KR101323829B1 (ko) 2011-04-19 2011-04-19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91A KR20120118691A (ko) 2012-10-29
KR101323829B1 true KR101323829B1 (ko) 2013-10-31

Family

ID=4728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829B1 (ko) 2011-04-19 2011-04-19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0623B (zh) 2017-01-20 2022-05-27 查尔斯·H·奥斯特曼 发光结构
KR102477208B1 (ko) * 2020-11-10 2022-1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엽채류 스마트 팜 장치 및 엽채류 스마트 팜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585B1 (ko) * 1999-04-22 2001-09-24 김행석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식물 성ㆍ생장 육성장치
JP2004081100A (ja) *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植物育成貯蔵装置
JP2008118953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植物補光照明装置
KR20100012973U (ko) * 2009-06-22 2010-12-30 장경수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 촉성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585B1 (ko) * 1999-04-22 2001-09-24 김행석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식물 성ㆍ생장 육성장치
JP2004081100A (ja) *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植物育成貯蔵装置
JP2008118953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植物補光照明装置
KR20100012973U (ko) * 2009-06-22 2010-12-30 장경수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 촉성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91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9708B2 (ja) 照明装置
ES2989307T3 (es) Método de atenuación para una intensidad de luz constante
JP5571325B2 (ja) 照明器具
US20150319933A1 (en) Plant growth system using led lighting
CA2810429C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crop associated selection of spectral agricultural lighting programs
WO2012133130A1 (ja) 光照射装置、イチゴ栽培システムおよびイチゴ栽培方法
JP6814589B2 (ja) 植物生育促進装置、該植物生育促進装置を用いた植物生育促進システム、及び植物生育促進方法
KR101787430B1 (ko) 광보강 다단대차형 식물재배장치
KR101414473B1 (ko) 상,하부 성장 촉진램프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및 장치
KR101323829B1 (ko)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배양기
KR20110012878A (ko) 조명본체 위치 조절장치
KR101619461B1 (ko) led 육묘장치
JP2015057965A (ja) 苺栽培用スタンド
ES2969610T3 (es) Interfaz de usuario dinámica
JP5297894B2 (ja) 植物用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農業用ハウス
WO2015025409A1 (ja) 植物栽培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60192597A1 (en) Plant lighting apparatus
KR20120111872A (ko) 식물 재배장치
RU1219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варианты)
KR200247078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절화 및 분화식물의 품질유지용조명장치
JP3141966U (ja) 植物育成装置
RU192675U1 (ru) Многоярусный стеллаж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JP2017046651A (ja) 植物栽培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KR102282854B1 (ko) Led 조명을 이용한 식물 공장 및 그 재배 방법
KR200473448Y1 (ko) 원예용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0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0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