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232B1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 Google Patents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232B1 KR101335232B1 KR1020130057775A KR20130057775A KR101335232B1 KR 101335232 B1 KR101335232 B1 KR 101335232B1 KR 1020130057775 A KR1020130057775 A KR 1020130057775A KR 20130057775 A KR20130057775 A KR 20130057775A KR 101335232 B1 KR101335232 B1 KR 101335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otation
- slot
- clamping device
- clam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0—Clamping means, tong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에 클램핑 요소를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 레버를 회전함에 의해 클램핑 요소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양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롯 내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다시 회전레버를 원위치시킴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는 가벼운 원-터치 조작만으로 프로파일 슬롯에의 삽입 고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클램핑 요소의 마모가 없어 잦은 사용에도 헐거워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평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수직 프로파일이나 경사진 프로파일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등 활용 범위가 넓고 결착 안정성이 우수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clamping the elem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slot by rotating the rotary l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lamp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slot in the diagonally upwar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which can be separated by returning the rotary lever.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oothly inserted and fixed in the profile slot only by light one-touch operation, there is no wear of the clamping element is not loose in frequent use, excellent durability, excellent stability by being supported at a plurality of points At the same time, it can be widely used not only for horizontal profile but also for vertical profile or inclined profi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이 길게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프로파일 플레이트(profile plate) 형태의 실습 테이블에 실습 기자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고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a clamping device used to fix and remove training equipment at a desired position on a training table in the form of a profile plate having slot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about.
기술 공학 분야에 있어 학술적 연구나 기술 개발을 위한 실험은 물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실험 실습 기자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공기 역학, 유체 역할 및 전자 공학의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액츄에어터, 밸브, 계기, 컨트롤박스 등 실제 구조를 참조하여 실험이나 실습을 통해 실제와 같은 조건으로 연결 및 작동시켜 보는 경우가 많다. In the field of technical engineering, experiments for academic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as well as practical training for students, are used for various experimental and practical equipment.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aerodynamics, fluid roles, and electronics, they often refer to actual structures such as actuators, valves, gauges, and control boxes to connect and operate under realistic conditions through experiments or hands-on practice.
이러한 기자재를 사용하여 실험 또는 실습하기 위해 실습판에 기자재를 고정 배치함에 있어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원시 고정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배치를 변경하기가 어려우므로 실습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효율적인 실험 실습을 위해서는 기자재를 고정하고 분리하여 재배치하는 것이 신속히 진행될 필요가 있고 공압 또는 유압 장비 등의 작동시 또는 잦은 실습 및 실험에 의해서도 기자재가 위치 이동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종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에 따른 특허도 다량 출원된 바 있다.In the fixed placement of the equipment on the training board to experiment or practice using such equipment, the raw fixing method of fastening using bolts or the like takes a lot of time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ayout, so the training efficiency is low. Therefore, for efficient experiment practice, it is necessary to quickly fix, separate, and relocate the equipment, and to fix the equipment so that the equipment is not moved or flowed by the pneumatic or hydraulic equipment or by frequent practice and experimenta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such a function and many patents have been filed.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0567호는 슬롯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형 실습판에 갖가지 공압 또는 유압 장비 등의 실습 기자재를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클램핑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레버 부재를 조작하여 클램프 부재가 당겨지게 하면 그 클램프 부재가 실습판의 슬롯으로 삽입 또는 이탈할 수 있는 자세로 되면서 스프링은 강제로 수축되고 클램프 부재가 실습판의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 부재를 놓으면 수축돼 있던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클램프 부재가 슬롯의 개구부 일측 가장자리를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핑 장치는 실습판의 슬롯에 대해 그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한 방향으로만 클램핑되므로 실습 중 공기압이나 유압에 의한 진동에 기인하여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슬롯 방향으로 미끄러져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270567 proposes a clamp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raining equipment such as various pneumatic or hydraulic equipment on the profile type training boar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technique, when the clamp member is pulled by manipulating the lever member, the clamp member is in a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slot of the training plate while the spring is forcibly contracted and the clamp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training plate. When the lever member is released, the clamp member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one side edge of the opening of the slot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ich has been contracted. However, since the clamping device is clamped only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force acts on the slot of the training plate, the clamping device slides in the slo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force acts due to vibration by air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during training. The problem of losing flow has been foun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9291호는 대략 90도 회전하여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실습판의 슬롯 개구를 출입할 수 있는 자세와 그 개구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자세로 전환되는 회전형 클램핑 요소, 이 클램핑 요소가 달린 일측 기어 부재와 손잡이가 달린 타측 기어 부재가 맞물린 기어트레인을 구비하여 손잡이 조작에 따라 클램핑 요소의 자세가 전환됨으로써 슬롯 개구에 대해 고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실습 기자재를 수평이나 수직 또는 임의 각도의 경사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클램프 요소로서 가운데 부분에 1개만 형성된 클램핑 요소를 구비하므로 고정 결착력이 약하고, 또한 클램핑 요소로서 만곡된 돌기를 사용하므로 잦은 사용에 의해 합성 수지재의 클램핑 요소 만곡부가 금속 재질의 프로파일에 반복 압착됨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여 고정 결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59291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to the position that can enter and exit the slot opening of the training plat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posture that is fixed to the inside fixed to the opening It is equipped with a typical clamping element, a gear train in which one gear member with the clamping element and the other gear member with a handle are engaged so that the attitude of the clamping ele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andle operation so that it can be fixed or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slot opening so that the training equipment is leveled. However, a technique that can be fix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a vertical or arbitrary angle is proposed. However, in this technique, since the clamping element is provided with only one clamping element formed at the center, the clamping element is weak and the curved protrusion is used as the clamping element. As the compression occurs, abrasion occurs and the fixed binding force is weakened.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4976호에서는 클램핑 장치의 타측 기어 부재 대신 2개의 래크(rack)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프 요소가 달린 일측 기어 부재 양측에 나란히 맞물려 교호로 누름 조작되는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클램프 요소가 일측 래크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되고 타측 래크에 의해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클램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7212호에서는 일측 단부에 누름대가 구비되는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회전 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장치와 상기 회전장치를 지지하여 가동편의 누름대가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커버가 조립되는 지지대와 외곽 평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의 밑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 조립되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된 캠을 포함하는 클램프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버튼식 또는 푸쉬식 클램프 요소에서는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또한 잦은 사용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여 헐거워짐에 따라 고정 결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64976 has two racks (rack) instead of the other gear member of the clamping device is configured as a button type to be operated by pressing alternately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one gear member with the clamp element is clamped A clamping device is disclosed in which an element is brought into a locked state by one rack and a locked state is released by the other rack.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7212 to support the rotary device and the rotary device consisting of a movable piece having a pusher at one end and one or more rotating member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iece The pusher of the movable piece protrudes to one side, and the support and the outer flat surface of which the cover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are formed in a quadrangle,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and are assembled with the rotating member so as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 clamp device including a cam is proposed. However, such a button or push-type clamp element has been found to be a problem that is easy to break, and also wear problems caused by frequent use, loosening the fastening force as the problem was found.
그 밖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748호는 탈착부가 상면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안내레일과 가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 하부로 노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피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탈착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탈착부가 슬라이딩 이동 방식의 걸림수단에 의해 원터치 개념으로 슬롯에 장착되는 클램핑 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고정 방식이 걸림돌기를 슬롯에 억지로 밀어넣은 압입 방식을 사용하므로 잦은 사용에 의해 걸림돌기의 만곡부가 마모되어 헐거워짐으로써 고정 결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1개의 걸림돌기만을 사용하므로 특히 수직이나 경사 각도로 지지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46748 has a detachable portion including a removable member including a housin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 guide rail and a movable member provided on the housing, and a locking projection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s a structure comprising a mechanism, a clamping device is proposed in which the detachable part is mounted in a slot in a one-touch concept by a locking means of a sliding movement method. However, this technology uses a press-fit method in which the locking method is pushed into the slot forcibly, so that the curved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worn down and loosened by frequent use, which weakens the fixed binding force, and is particularly vertical because only one locking protrusion is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may be lowered when supported at an inclined angle.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7703호는 기존의 기어트레인 방식의 문제점, 즉 기어 산의 마모와 백래시로 인한 클램핑 불량 및 가공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레버 부재와 캠연동 수단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완충구의 탄력에 의해 잡아주는 역할만을 하므로 힘이 약하고 완충구가 탈리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37703 discloses a lever member and a cam interlocking mean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ear train method, that is, a problem of clamping failure and difficulty in machining due to wear and backlash of the gear mountain. The clamping device provided is proposed. However, since this technique only plays a role of holding by the elasticity of the shock absorber, there may be a problem of weak force and inferior stability when the shock absorber detache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6889호는 클램프 웨지에 의해 가압되어 슬롯 개구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가진 클램핑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케이스를 누르면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를 잡아 올리면 분리되어 원터치 조작으로 고정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클램핑 장치를 제안한다. 이 기술은 종래의 클램핑 장치에서 클램핑 요소가 쉽게 마모되어 헐거워지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마찰이 아닌 가압 방식으로 클램핑 요소가 슬롯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수평 프로파일에서는 유리하나 상부 케이스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분리가 되므로 수직 프로파일이나 경사진 프로파일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36889 has a clamping element having a latching jaw that is pressed by the clamp wedge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one side edge of the slot opening to press the upper case to hold the upper case in the fixed and fixed state It proposes a clamping device which is separated by lifting and fixed and separated by one-touch operation. This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element is prolonged in the conventional clamping device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clamping element to be easily worn and loosened so that the clamping element is fastened to the slot by a pressure method rather than friction. However, this technique is advantageous in the horizontal profile, but it is difficult to use in the vertical profile or the inclined profile because it can be separated simply by lifting the upper ca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가벼운 원-터치 조작만으로 프로파일 슬롯에의 삽입 고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클램핑 요소의 마모가 없어 잦은 사용에도 헐거워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평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수직 프로파일이나 경사진 프로파일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and fixing to the profile slot is made smoothly by only one-touch operation, there is no wear of the clamping element is not loose in frequent use, excellent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amp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is excellent in stability by being support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can be variously used for not only a horizontal profile but also a vertical profile or an inclined profil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습 기자재를 배치할 수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볼팅에 의해 결합되며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로 구성되며,It consists of a cover that can be placed training equipment and the main body is coupled by the cover and bolting and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profile plate,
상기 본체는 일측에 회전 레버의 회전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자형으로 구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레버축 삽입홀을 통하여 중심 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탄력으로 외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클램핑 돌기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롯에 밀착되는 제1클램핑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on one side, the rotary lever and the rotation through which the central shaft is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base member consisting of a box shape and the rotation lever shaf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lamping element that is moved to the spring elasticity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lamping projection is moved diagonally upward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t,
상기 회전 레버는 회전에 의해 제1클램핑 요소에 구비된 레버회전체 밀착부의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1클램핑 요소의 이동과 복귀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레버회전체 돌출부 및 레버회전체 요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외주면을 따라 반복 구비된 레버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The rotary lever moves along the curved portion of the lever rotating body contact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clamping element by rotation, and the lever rotating body protrusion and the lever rotating body recess are configured to repeat the movement and return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mounting train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r rotating body repeatedly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 우선, 실습판인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에 제1클램핑 요소를 삽입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45도와 같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1클램핑 요소의 단부에 구비된 제1클램핑 돌기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찰이 아닌 가압 방식으로 슬롯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 때 최소한 양 쪽 두 곳에서 밀착이 이루어지므로 결착 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정 상태에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평 실습판 뿐만 아니라 수직 실습판이나 경사진 실습판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1. First, when the first clamp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profile plate, which is a training plate, and rotates at an angle of, for example, 45 degrees, the first clamp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is diagonally upward. While moving,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ot in a pressing manner rather than a friction.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is made in at least two places, the binding stability is excellent and the rot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ixed, so it can be stably fixed to the vertical training plate or the inclined training plate as well as the horizontal training plate.
2. 또한, 회전 레버의 단부에도 제2클램핑 돌기가 구비되도록 하여 양 쪽에서는 터치 방식으로 밀착 고정시키고 가운데에서는 회전 방식으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최소한 3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시켜 줄 수 있어 결착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2. In addition, the second clamping protrusion is also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ry lever so that both sides can be fixed by touch method and in the center by the rotation method. You can.
3. 또한, 클램프 장치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회전 레버를 원위치시킴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 때 레버 회전체의 상면에 구비된 볼 스프링과 볼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부재가 중간 부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In addition, when the clamp device is to be detached, the rotary lever can be detached in a one-touch manner by repositioning the rotar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in the middle portion.
4. 또한, 가이드 부재가 슬롯에의 제1클램핑 요소 및 제2클램핑 요소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클램핑 장치를 지지해 줌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4.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facilitates the insertion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and the second clamping element into the slot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clamping device to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5. 또한,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 개구 안쪽에 클램핑 요소가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신축적으로 가압 접촉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함에 있어 베이스 부재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비됨에 의해 잦은 사용에 의해 미끄럼방지 부재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It is also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which absorbs vibrations and shocks while preventing slipping by elastically press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ofile plate while the clamping element is caught and fixed inside the slot opening of the profile plate. Since the base member and the injection molding are integrally provided, the non-slip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frequent use.
6. 또한, 기존 기술에서 회전 레버의 경우 잦은 사용에 의해 레버축과 레버 손잡이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레버축의 양단을 널링 가공하고 이와 같이 가공된 레버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회전 레버를 제조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레버축과 레버 손잡이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ever shaft and the lever handle are separated by frequent use of the rotary lever. By knurling both ends of the lever shaft and manufacturing the rotary lever by injection molding using the lever shaft thus processed As before, the lever shaft and the lever hand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도 1은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장착된 것과 이를 통해 실습기자재의 일종인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저면부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에 고정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회전 레버의 회전에 따라 본체의 구성 요소들이 변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본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미끄럼방지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볼 수용홀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레버 축이 널링 가공된 상태로 회전 레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rofile plate and a control box, which is a kind of training equipment, is disposed through the profile plat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bottom portion of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at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slot of a profile plate.
5A and 5B are top views of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components of the main body chang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non-slip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base member in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receiving hole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n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lever shaf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l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shaft is knurled in the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while indic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and thus are not limita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장착된 것과 이를 통해 실습기자재의 일종인 컨트롤 박스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100)은 프로파일 플레이트(10)의 개방부인 슬롯(11)에 체결되어 그 상면에 볼팅 등을 이용하여 컨트롤 박스(200) 등의 실습 기자재를 배치하여 실험 또는 실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rofile plate and a control box, which is a kind of training equipment, is disposed through the profile plate. 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는 실습 기자재를 볼팅이나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배치할 수 있는 커버(20)와 상기 커버와 볼팅에 의해 결합되며 프로파일 블레이트의 슬롯에 삽입 고정되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크게 케이스 역할을 하도록 상자형으로 구성된 베이스 부재(30)와 제1클램핑 요소(28) 및 회전 레버(26)로 구성이 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30)는 일측에 회전 레버(26)의 회전을 위한 개방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형성된 회전레버축 삽입홀(33)을 통해 회전 레버(26)의 중심 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1클램핑 요소(28)는 상기 회전 레버(26)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탄력으로 베이스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클램핑 돌기(28-3)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이 때, 상기 회전 레버(26)는 그 회전에 의해 제1클램핑 요소(28)에 구비된 레버회전체 밀착부(28-1)의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1클램핑 요소(28)의 이동과 복귀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레버회전체 돌출부(23-1) 및 레버회전체 요홈부(23-2)가 일정 간격으로 외주면을 따라 반복 구비된 레버회전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클램핑 요소(28)는 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레버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롯 내부의 상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제1클램핑 돌기(28-3)가 약간 대각선 상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 상방향이란 반드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포물선 등 미세 곡선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30)는 회전레버축 삽입홀(33)을 중심으로 바닥면에 제1클램핑 요소의 슬라이딩부(28-5)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단차가 구비된 슬라이딩 바닥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클램프 요소는 총 4개가 서로 쌍을 이루어 구비되므로 쌍을 이루는 2개씩 슬롯에 고정됨으로써 실습 기자재가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배치되든 수평으로 배치되든 또는 임의의 각도로 배치되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lamp elements are provided in pairs with each other in total, two pairs of pairs are fixed to the slots so that the training equipment is arranged vertically on the profile plate, horizontally or at an arbitrary angle. Can be fixed stably.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클램프 요소(28)는 최소한 양 쪽 두 곳에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클램핑 장치를 고정할 수 있으나, 회전 레버((26)의 단부에도 슬롯에 삽입되어 회전 레버의 회전에 의해 슬롯에 고정되는 제2클램핑 돌기(27)를 구비할 경우 최소 3곳 이상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클램핑 돌기(27)는 종래 기술과 같이 상부가 만곡되어 마찰력에 의해 압입되는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상부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마찰없이 지지해 주는 역할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저면부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bottom portion of a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회전레버(26)에서 레버회전체 요홈부(23-2)에 제1클램핑 요소(28)의 레버회전체 밀착부(28-1)의 만곡부가 접촉하여 제1클램핑 요소 스프링(28-2)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회전레버(26)에서 레버회전체 돌출부(23-1)에 제1클램핑 요소(28)의 레버회전체 밀착부(28-1)의 만곡부가 밀착되어 제1클램핑 요소 스프링(28-2)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클램핑 요소 스프링(28-2)의 가압에 따라 제1클램핑 요소(28)이 베이스 부재에 구비된 슬라이딩 바닥부(34)를 슬라이딩하면서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클램핑 요소(28)의 제1클램핑 돌기(28-3)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롯의 내부 상면에 압착된다. 이와 같은 압착에 의해서는 억지로 밀리면서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단지 터치 방식으로 누르고 있는 것이므로 고정력은 강하되 마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최소한 2곳에서 강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종래 1곳에서만 고정하는 방식에서 좌우로 회전하거나 이동되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3A shows the first
도 3a 및 도 3b에서는 회전레버가 베이스 부재의 개방구(36) 좌우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클램핑 요소(28)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회전레버(26)가 베이스 부재의 개방구(36) 가운데에 왔을 때 해제되고 좌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고정되는 방식도 가능하며 그 반대의 방식도 가능하다.3A and 3B show that th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밑면에는 프로파일 플레이트 슬롯에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35)가 구비되어 제1클램핑 돌기(28-3) 및 제2클램핑 돌기(27)의 슬롯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surface of th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슬롯에 고정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슬롯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슬롯에 삽입된 상태, 도 4c는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레버를 회전하여 제1클램핑 돌기(28-3)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클램핑 돌기(27)가 회전하여 슬롯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at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slot of a profile plate. 4A shows the stat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FIG. 4B shows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lot, and FIG. 4C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lamping protrusion 28-3 moves diagonally upward by rotating the rotary lever. And th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가 회전 레버의 회전에 따라 본체의 구성 요소들이 변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본체 평면도이다. 도 5a는 레버회전체(23)의 레버회전체 요홈부(23-2)와 제1클램핑 요소의 레버회전체 밀착부(28-1)의 만곡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제1클램핑 요소의 스프링(28-2)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레버회전체(23)의 레버회전체 돌축부(23-1)와 제1클램핑 요소의 레버회전체 밀착부(28-1)의 만곡부가 압착하고 있는 상태로서 제1클램핑 요소의 스프링(28-2)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 레버회전체 돌출부(23-1)와 레버회전체 요홈부(23-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각각 4개씩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4개씩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개씩만 구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클램핑 요소(28) 또한 2개만 구비될 수 있다. 5A and 5B are top views of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components of the main body chang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FIG. 5A shows a spring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rotating body groove portion 23-2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미끄럼방지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의 밑면에는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가압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완충 역할을 하는 미끄럼방지 부재(37)가 구비되되,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는 중심에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부재 고정편(31)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37)는 베이스 부재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미끄럼방지 부재 고정편(31)을 배치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미끄럼방지 부재(37)는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탈리되지 않으므로 잦은 사용에 의해 종래의 클램핑 장치와 같이 미끄럼방지 부재가 탈리되어 클램핑 장치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non-slip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base member in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볼 수용홀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레버 회전체(23)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상면에는 볼 스프링 삽입홀(21-1)이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 스프링 삽입홀(21-1)에 삽입된 볼 스프링(21)의 상부에 레버 회전체의 회전을 보조하는 볼(ball)(22)이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볼(22)은 레버 회전체(23)의 회전에 따라 커버(20)의 하면에 구비된 볼 수용홀(20-1)을 좌우로 볼 이동로(20-2)를 따라 이동하며 회전레버가 중간 부분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receiving hole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n the cla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장치에서 레버 축이 널링 가공된 상태로 회전 레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회전체(23)의 일측에는 레버 축(24)과 그 끝단에 구비된 레버 손잡이(2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 축의 양단은 널링(knurling)부(24-3)가 구비된 상태로 레버 손잡이(25) 및 레버 회전체의 레버 축 고정부(24-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잦은 사용에 의해 레버 축(24)과 레버 손잡이(25)가 레버 회전체(23)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lever shaf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l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shaft is knurled in the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10 : 프로파일 플레이트 11 : 슬롯
100 : 클램핑 장치 200 : 실습기자재(컨트롤박스)
20 : 커버 21 : 볼 스프링
21-1 : 볼 스프링 삽입홀 22 : 볼
23 : 레버회전체 23-1 : 레버회전체 돌출부
23-2 : 레버회전체 요홈부 24 : 레버 축
25 : 레버 손잡이 26 : 회전레버
27 : 제2클램핑 돌기 28 : 제1클램핑 요소
28-1 : 레버회전체 밀착부 28-2 : 제1클램핑 요소 스프링
28-3 : 제1클램핑 돌기 28-4 : 제1클램핑 연장부
28-5 : 제1클램핑 슬라이딩부 29 : 제1클램핑 요소 삽입홀
30 : 베이스 부재 31 : 미끄럼방지 부재 고정편
32 : 회전레버 수용부 33 : 회전레버 축 삽입홀
34 : 슬라이딩 바닥부 35 : 가이드부재
36 : 개방구 37 : 미끄럼방지 부재
40 : 고정볼트 40-1, 40-2 : 고정볼트 삽입홀10: profile plate 11: slot
100: clamping device 200: training equipment (control box)
20: cover 21: ball spring
21-1: ball spring insertion hole 22: ball
23: lever rotating body 23-1: lever rotating body projection
23-2: lever rotating body groove 24: lever shaft
25: lever handle 26: rotary lever
27: second clamping projection 28: first clamping element
28-1: lever rotating body contact portion 28-2: first clamping element spring
28-3: first clamping protrusion 28-4: first clamping extension
28-5: first clamping sliding part 29: first clamping element insertion hole
30
32: rotary lever receiving portion 33: rotary lever shaft insertion hole
34: sliding bottom portion 35: guide member
36: opening 37: non-slip member
40: fixing bolt 40-1, 40-2: fixing bolt insertion hole
Claims (8)
상기 본체는 일측에 회전 레버의 회전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자형으로 구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레버축 삽입홀을 통하여 중심 축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탄력으로 외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클램핑 돌기가 대각선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롯에 밀착되는 제1클램핑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는 회전에 의해 제1클램핑 요소에 구비된 레버회전체 밀착부의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1클램핑 요소의 이동과 복귀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레버회전체 돌출부 및 레버회전체 요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외주면을 따라 반복 구비된 레버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회전체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면에는 볼 스프링 삽입홀이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볼 스프링의 상부에 레버 회전체의 회전을 보조하는 볼(ball)이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볼은 레버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볼 수용홀을 좌우로 이동하며 회전레버가 중간 부분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It consists of a cover that can be placed training equipment and the main body is coupled by the cover and bolting and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profile plat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on one side, the rotary lever and the rotation through which the central shaft is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base member consisting of a box shape and the rotation lever shaf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lamping element that is moved to the spring elasticity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lamping projection is moved diagonally upward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t,
The rotary lever moves along the curved portion of the lever rotating body contact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clamping element by rotation, and the lever rotating body protrusion and the lever rotating body recess are configured to repeat the movement and return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at regular intervals. It includes a lever rotating body repeatedly provid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rotating body is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open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ball spring insertion hol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 lever rotating body on the top of the ball spring inserted into the ball spring insertion hole A ball is provided to assist the rotation of the ball, and the ball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ball receiving hol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rotating body to prevent the rotation lever from moving in the middle portion.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lamp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slot, the first clamping projection is diagonally upward so as to sl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to move upwards diagon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slot.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ing member of the first clamping element on the bottom surface around the rotary lever shaft insertion hole in the base member is configured to slide outwards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the step so that the sliding portion slides diagonally upward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bottom portion provided with.
The one-touch clamp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end of the rotary lever has a second clamp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ot and fixed to the slot by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The one-touch clamp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a guide member for guiding insertion into the profile plate slo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The base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is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that is pressed against the profile plate to prevent slipping and buffers, wherein the non-slip member includes a non-slip member fixing piece at the center of the base member.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integrally.
2. The lever shaft of claim 1, wherein a lever shaft and a lever handle provided at an end thereof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ver rotor, and both ends of the lever shaft are provided with a knurling portion.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fix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775A KR101335232B1 (en) | 2013-05-22 | 2013-05-22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775A KR101335232B1 (en) | 2013-05-22 | 2013-05-22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35232B1 true KR101335232B1 (en) | 2013-11-29 |
Family
ID=498588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77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232B1 (en) | 2013-05-22 | 2013-05-22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35232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77054B1 (en) * | 2014-09-03 | 2014-12-29 | 주식회사 애니비스 | potable education equipment for showing automatic process |
| KR20150116113A (en) * | 2014-04-04 | 2015-10-15 | (주)지오피케이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1659710B1 (en) * | 2016-05-30 | 2016-09-23 | 황경숙 | Shield Axis manufacturing method clamp for headlights high and low beam control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64574B1 (en) * | 2018-04-17 | 2018-06-04 | 박태열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1908031B1 (en) * | 2018-08-17 | 2018-10-15 | 주식회사 오토락 | A zig of electrode for electic discharge and nc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80030A (en) * | 2003-03-10 | 2004-09-18 | 주식회사 이디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0812991B1 (en) * | 2007-11-21 | 2008-03-13 | 이정훈 | Clamping device |
| KR20100137703A (en) * | 2009-06-23 | 2010-12-31 | 김인옥 | Clamping Device for Practice Equipment |
| KR101036889B1 (en) | 2009-06-12 | 2011-05-25 | 김창일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775A patent/KR10133523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80030A (en) * | 2003-03-10 | 2004-09-18 | 주식회사 이디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0812991B1 (en) * | 2007-11-21 | 2008-03-13 | 이정훈 | Clamping device |
| KR101036889B1 (en) | 2009-06-12 | 2011-05-25 | 김창일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training equipment |
| KR20100137703A (en) * | 2009-06-23 | 2010-12-31 | 김인옥 | Clamping Device for Practice Equipment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16113A (en) * | 2014-04-04 | 2015-10-15 | (주)지오피케이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1603094B1 (en) * | 2014-04-04 | 2016-03-15 | (주)지오피케이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1477054B1 (en) * | 2014-09-03 | 2014-12-29 | 주식회사 애니비스 | potable education equipment for showing automatic process |
| KR101659710B1 (en) * | 2016-05-30 | 2016-09-23 | 황경숙 | Shield Axis manufacturing method clamp for headlights high and low beam control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64574B1 (en) * | 2018-04-17 | 2018-06-04 | 박태열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KR101908031B1 (en) * | 2018-08-17 | 2018-10-15 | 주식회사 오토락 | A zig of electrode for electic discharge and nc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35232B1 (en) | One-touch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with no abrasion and good settlement | |
| US9878441B1 (en) | Socket holding frame | |
| US9914207B2 (en) | Socket holding frame | |
| US9663174B2 (en) | Water bottle cage for bi-directional clipping at two opposite sides | |
| JP6538125B2 (en) | Handlebar structure for suitcase | |
| CN101725808B (en) | Support device | |
| CN101424961B (en) | Buckle device | |
| KR20100137703A (en) | Clamping Device for Practice Equipment | |
| EP2500066A1 (en) | Exercise barbell | |
| JP5936295B1 (en) | Display shelf assembly structure and components thereof | |
| CN105299004A (en) | Rotary fixing device | |
| US20160354943A1 (en) | Mandolin slicer | |
| US20090308574A1 (en) | Heat sink assembly | |
| WO2015102089A1 (en) | Implement for toy blocks | |
| KR101100922B1 (en) |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equipment using magnet | |
| US7010999B1 (en) | Bi-directional adjustable spanner with a driving roller | |
| KR100459291B1 (en) | One-touch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 KR101551331B1 (en) |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 KR101640871B1 (en) | Desk leg coupled device | |
| KR20170035022A (en) | Selector type multi-driver set | |
| US20170114944A1 (en) | Support device for monitor or display | |
| KR101414730B1 (en) | Bicycle Pedal Assembly | |
| CN201995235U (en) | Electronic device | |
| KR101125541B1 (en) | Clamping device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 |
| JP6895930B2 (en) | Socket holding frame assembl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12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