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370B1 -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370B1
KR101335370B1 KR1020130121039A KR20130121039A KR101335370B1 KR 101335370 B1 KR101335370 B1 KR 101335370B1 KR 1020130121039 A KR1020130121039 A KR 1020130121039A KR 20130121039 A KR20130121039 A KR 20130121039A KR 101335370 B1 KR101335370 B1 KR 10133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current
current sensor
unit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1791A (en
Inventor
윤천영
홍준희
Original Assignee
홍준희
윤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희, 윤천영 filed Critical 홍준희
Priority to KR102013012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370B1/en
Publication of KR2013012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37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composite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Generates a current sensor that converts an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s it, an overcurrent detec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nd a switching unit drive signal whose logic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detector.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n overcurrent determination unit is provided.

Description

과전류 방지 장치{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시스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전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ystem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일반적으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채용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전력용 MOSFET 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이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력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리니어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general,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employ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converts a DC input voltage into a square wave voltage by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power MOSFET as a switch, To obtain a DC output voltage.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higher in efficiency and durability than conventional linear power supply devices, and is advantageous in size and weight by controlling the flow of electric power using a switching processor of a semiconductor device.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서는 과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측에서 전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전류 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전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다양한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various control methods such as limiting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current at the output side, reducing the current supply amount, or increasing the current supply amount can be applied.

그런데 정전류 공급 방식, 전류 모드 방식, 전압 모드 방식, 간차 발진 방식 등을 채택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경우 과전류가 감지된 후에도 그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게 되면 출력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dopting a constant current supply method, a current mode method, a voltage mode method, and a gap oscillation method, the output current continuously flows when the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after an overcurrent is detected.

*이와 같이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계속 지속되면 불필요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스위칭 소자나 기타 부품이 발열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부품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화재, 회로나 장비가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의 정상 운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If the current flows continuously, unnecessary power is supplied or the switching device or other parts are kept in a heat state, and the parts may be damaged, resulting in fire, circuit, or equipment. Normal operation of the system becomes difficul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941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994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222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1222

본 발명은 시스템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전류가 감지되면 과전류의 흐름을 즉시 차단할 수 있는 과전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immediately shutting off an overcurrent when an overcurrent that may cause a system malfunction is detecte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한다.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current sensor for converting the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s; An overcurrent detector driven according to a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nd an overcurrent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witching unit driving signal whose logic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및 보호 대상 장치의 전류 공급 라인에 형성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전류 센서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과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a current sensor for converting an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ltage signal; And a plurality of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urrent sensor and the switching unit formed in the current supply line of the device to be protected.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제 1 전류 센서의 순방향 전류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의 역방향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a current sensor for converting an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ltage signal; A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for detecting the overcurrent on the forward current path of the first current sensor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a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for detecting the overcurrent on the reverse path of the second current sensor and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ing unit.

본 발명에서는 과전류가 감지되는 즉시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대상 장치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flow can be blocked as soon as the overcurrent is detected, so that the target device can be efficiently protected.

더욱이 전류 감지를 위한 센서로 홀(Hall)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 홀 센서 출력단의 전압에 의해 양방향으로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와 같은 충방전 소자를 활용한 전원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과충전과 과방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Hall sensor is used as a sensor for current sensing,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sensed in both directions by the voltage at the Hall sensor output terminal.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wer supply system utilizing a charge / discharge element such as a secondary battery, overcharge and over discharge can be simultaneously detected.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 광학 스위칭 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광학 스위칭 소자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빛으로만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광학적 절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switching element can be applied to detect an overcurrent. Since an optical switching elemen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only between light input and output, it can have an optical isolation state because no current flows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Thu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internal device.

아울러, 과전류 감지부로서의 광학 스위칭 소자를 복수개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각 광학 스위칭 소자의 입력단에서 유입되는 전류량을 가변시키면 검출하고자 하는 과전류의 양을 운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고, 치명적인 과전류가 아닌 경고성 과전류 또한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optical switching elements as an overcurrent sensing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input terminal of each optical switching element is varied, the amount of the overcurrent to be detected can be changed as desired by the operator,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the over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ample of an optical switching ele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switching ele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10)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110), 전류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감지부(120)가 구동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과전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전류 판단부(130)를 포함한다.1, the overcurrent preven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sensor 110 for converting an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ltage signal, And an overcurrent judging unit 1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re driven in response to a signal output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과전류 판단부(130)의 출력 신호는 보호 대상 시스템의 전류 공급 라인에 접속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가 결정된다.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judging unit 13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current supply line of the system to be protected to determine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ing unit.

전류 센서(110)는 보호 대상 장치, 예를 들어 전원 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류 센서(110)는 홀 센서, 변류기, 저항기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홀 센서를 채택하는 경우 과전류를 양방향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urrent sensor 110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system, and converts it into a voltage. The current sensor 110 may be selected from a Hall sensor, a current transformer, a resistor,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Hall sensor is adopted, the overcurrent can be detected in both direc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과전류 감지부(120)는 전류 센서(110)의 출력 신호인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위칭 소자를 채택할 수 있다. 통상 포토 다이오드와 전자 스위치로 구성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빛으로만 신호가 송수신되므로 광학적 절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overcurrent sensing unit 120 may be a switching device that is determined to be driven according to a voltage signal,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current sensor 110, and may preferably adopt an optical switching device. An optical switching element, which is usually composed of a photodiode and an electronic switch, can be optically isolated since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only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ends. Thus, the internal device can be protected more efficiently.

한편,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는 과전류는 순간 펄스로 간주하고,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과전류는 차단해야 할 과전류로 판단한다. 그리고, 차단해야 할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overcurrent judging unit 130 regards the overcurrent which is maintained in less than the designated time as an instant pulse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judges that the overcurrent which is maintained over the designated time is an overcurrent to be cut off . When the overcurrent to be cut off is detected,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즉, 스위칭부는 과전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순간 펄스로 취급되는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며, 차단해야 할 과전류가 검출되는 오프되어 보호 대상 장치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That is, the switching unit maintains the ON state when an overcurrent is not detected, or when an overcurrent handled as an instantaneous pulse is detected, and when an overcurrent to be blocked is detected, the switching unit cuts off the current supply to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감지부(120)는 전류량 조절부(122), 광학 스위칭 소자(124) 및 풀다운부(126)를 포함한다.2,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120 includes a current amount control unit 122, an optical switching device 124, and a pull-down unit 126. [

먼저, 전류량 조절부(122)는 예를 들어,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에 따른 광학 스위칭 소자(124)로의 입력 전류량을 조정하여 과전류 검출의 기준치를 결정한다.The amount of current input to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current sensor 110 so that the reference value of the overcurrent detection is set to .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또는 포토 모스(Photo MOS)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스위칭 소자(124)를 적용함에 따라, 접지 상태가 서로 다른 전원 사이의 전류 패스 형성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빛으로만 신호를 주고 받으므로,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즉, 광학적 절연을 통해서 내부 장치를 더욱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can be formed using a photo coupler or a photo MOS. By applying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ormation of a current path between power sources having different ground states. In other words, since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sends and receives signals only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no current flows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That is, the internal device can be more reliably protected through optical insula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일 예시도로서,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다른 예시도로서, 포토 모스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switch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ase using a photocoupler,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switch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전류량 조절부(122)에 의해 전압 레벨이 결정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단자(단자 1)와 제 1 접지단자(AGND)(단자 2)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발광소자(1241, 1245) 및 발광소자(1241, 1245)에 흐르는 전류량이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 구동되어 제 1 전원전압 단자(VDD)(단자 4)와 출력단자(단자 3) 간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수광소자(1243, 1247)를 포함한다.3 and 4,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erminal 1)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AGND) (terminal 2)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whose voltage level is determined by the current- The first power voltage terminal VDD (terminal 4) and the output terminal (terminal) are driven whe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s 1241 and 1245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s 1241 and 1245 forming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rst power voltage terminal VDD 3 which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243, 1247.

광학 스위칭 소자(124)의 출력단(단자 3)과 제 2 접지단자(DGND) 간에는 풀다운부(126)가 구비되어, 출력 신호를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다.A pull-down section 126 is provid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terminal 3) of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DGND, so that the output signal can be outputted quickly.

입력단자(단자 1)에 접속되어 있는 전류량 조절부(122)에 의해 조정된 광학 스위칭 소자(124)의 입력 전류량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단자 4와 단자 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 검출 신호가 단자 3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When the input current amount of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adjusted by the current amount adjusting section 122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erminal 1)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terminal 4 and the terminal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3 < / RTI >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풀다운부(126)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전원전압단자(DVDD)와 단자 4 간에 풀업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ull-down unit 126 is shown in FIGS. 2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ull-up unit between the first power voltage terminal DVDD and the terminal 4.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포토 모스형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수광부측에 제 1 전원전압 단자(VDD)(단자 4)와 출력단자(단자 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1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also has a switching element 1249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DD (terminal 4) and the output terminal (terminal 3) to the light receiving unit side, As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광학 스위칭 소자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optical switching elements shown in Figs. 3 and 4 are only one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again,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outputs a switching unit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120.

이를 위해,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단자(단자 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입력받는 논리 소자(G1),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신호를 지정된 시간 지연시켜 논리 소자(G2)의 제 2 입력 신호로 제공하는 지연 회로(R1, C1)를 포함한다. 지연 회로는 저항소자(R1) 및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소자(R1)와 캐패시터(C1)의 시정수를 이용, 시정수 미만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과전류는 순간 펄스로 간주하여 스위칭부가 오프되지 않도록 하고, 시정수 이상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출력한다.The overcurrent determination unit 130 includes a logic element G1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terminal 3) of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120 as a first input signal, a logic circuit G1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120, And a delay circuit (R1, C1) for providing the second input signal of the logic element (G2) with a specified time delay. The delay circuit may comprise a resistance element R1 and a capacitor C1. By using the time constant of the resistor element R1 and the capacitor C1, the overcurrent maintained for a time less than the time constant is regarded as an instantaneous pulse so that the switching unit is not turned off, and an overcurrent The switching unit driving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10)는 전원 시스템과 같은 보호 대상 장치 내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류 센서(110)에서 검출하여 전압 신호로 출력하면, 과전류 감지부(120)의 광학 스위칭 소자(124)가 검출 전압 레벨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스위칭 소자(124)가 구동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는 과전류 판단부(130)로 제공된다. 과전류 판단부(130)는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유지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보호 대상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2, when the current sensor 110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device under protection, such as a power supply system, and outputs the detected voltage as a voltage signal, the overcurrent detecting device 10 shown in FIG. (124)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voltage level. The signal outputted as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 124 is driven is supplied to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When the overcurren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turns off the switching unit to prevent the overcurrent from flowing to the protection target apparatus.

아울러, 전류 센서(1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를 통칭하여 과전류 제어 회로로 지칭하여도 무방할 것이다.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that determine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urrent sensor 110 may collectively be referred to as an overcurrent control circuit.

이상에서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 전류 센서(110)와 스위칭부 사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are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current sensors 130 and 130. The overcurrent detecting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130 are used to block the overcurrent, 110 and the switching unit,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10-1)는 전류 센서(110)와 스위칭부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120-1, 130-1)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120-2, 130-2)를 포함한다.5 includes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120-1 and 130-1 and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120-1 and 120-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urrent sensor 110 and the switching unit. 2, and 130-2.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120-1, 130-1)에 구비되는 전류량 조절부(1221)와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120-2, 130-2)에 구비되는 전류량 조절부(1227)는 각각 저항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량 조절부(1221, 1227)의 크기는 같거나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데, 각기 다른 크기의 저항 소자를 채용하는 경우 하나의 과전류 방지 장치(10-1)에서 다양한 레벨의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urrent amount control unit 1227 provided in the current amount control unit 1221 and the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120-2 and 130-2 provided in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120-1 and 130-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resistors Device. The current amount regulating units 1221 and 122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size. In the case where resistance elements of different sizes are used, one overcurrent preventing apparatus 10-1 can detect the overcurrent of various levels have.

또한, 이와 같이 과전류 제어 회로(120-1/130-1, 120-2/130-2)를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류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스위칭 소자(1223, 1229)가 동작하지 않거나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면서 오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부(150), 바람직하게는 아날로그 버퍼부를 전류 센서(110)의 출력단에 추가로 구성하여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류 레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a plurality of the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120-1 / 130-1 and 120-2 / 130-2 are connected and used, the amount of the output current of the current sensor 110 can be reduced. In this case, the optical switching elements 1223 and 1229 may not operate or the output voltage of the current sensor 110 may be lowered, thereby malfunctioning. Therefore, the buffer unit 150, preferably an analog buffer un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sensor 110 to maintain the output current level of the current sensor 110 above a certain level.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225 및 1231은 각각 풀다운부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 부호 R2, R3는 각각 저항 소자를, C2, C3는 각각 캐패시터를, G2와 G3는 각각 논리 소자를 나타내며, 이들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한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reference numerals 1225 and 1231 denote pull-down portions, respectively.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0 shown in FIG. 2 are used to determine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0 and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12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nit 130 will be omitted.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과전류 방지 장치는 전류 센서(110)로서 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Hall sensor as the current sensor 110. [

홀 센서는 전류자계의 강도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응답성이 우수한 전류 센서이다. 즉, 전류의 방향에 수직으로 자장이 인가되면 출력이 변화하는 전류 자기 효과를 갖는 홀 소자를 이용한 센서로, 그 출력 신호가 아날로그이므로 시스템에서 컨버팅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소형,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The hall sensor is a current sensor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for convert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magnetic field into a voltage. That is, a sensor using a Hall element having a current magnetic effect in which the output changes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ince the output signal is analog, the system can be used directly without conversion process, , There is an economic advantage.

특히, 홀 센서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이 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전류 흐름의 순방향일 경우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출력 전압이 높아진다면, 그 역방향에 대해서는 반대로 전압이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순방향 및 역방향 모두에 대해 과전류 제어 회로(과전류 감지부 및 과전류 제어부)를 적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if a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Hall sensor and the output voltage becomes higher as the current flows mor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voltage is reversely lowe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an overcurrent control circuit (an overcurrent detection unit and an overcurrent control un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연료로 각광받고 있는 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한 전원 시스템은 과방전 문제 및 과충전 문제가 모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홀 센서를 이용하여 과전류 방지 장치를 구성하면 이차전지 모듈의 전류 흐름을 따라 양방향으로 과방전 및 과충전을 모두 검출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us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fue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oth the over discharge problem and the overcharge problem are all important issues. Therefore, if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is constructed using the hall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both overdischarge and overcharge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current flow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20)는 전류 센서(210),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를 포함한다.6,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urrent sensor 210, a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20, and a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30. [

제 1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20, 230)는 각각 과전류 감지부(221, 231) 및 과전류 판단부(223, 233)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 또는 이들과 유사한 회로나 소자를 참조하여 채택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220 and 230 include overcurrent sensing units 221 and 231 and overcurrent determination units 223 and 233, It can be adopted with reference to circuit or device.

전류 센서(210)는 홀 센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 대상 장치를 따라 흐르는 전류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로 전압 신호가 제공된다. 전류 센서(210)로부터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로의 전류 흐름을 순방향이라고 가정하고, 순방향 경로를 따라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 전류 센서(210)의 출력 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그 역방향 즉,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로 제공되는 전압레벨은 낮아지게 된다.The current sensor 2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hall sensor. The current sensor 210 convert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along the device under protection to a voltage level, and outputs a voltage signal to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20. Assuming that the current flow from the current sensor 210 to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20 is forward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along the forward path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current sensor 210 becomes high, 2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30 is lowered.

순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역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when the voltage level on the forward path is lowered, the voltage level on the reverse path rises.

따라서, 순방향 경로를 따라 흐르는 과전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에서 검출되어 스위칭부가 제어되게 되고, 역방향 경로를 따라 흐르는 과전류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에서 검출되어 스위칭부가 제어되게 된다.Accordingly, the overcurrent flowing along the forward path is detected by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20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and the overcurrent flowing along the reverse path is detected by the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30 so that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즉, 전원 시스템과 같은 보호 대상 장치에 대해 양방향으로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vercurrent in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such as the power supply system.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도 7에서, 보호 대상 장치(100)는 이차전지 모듈과 같은 연료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대상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외부 장치(미도시) 간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7,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100 may be a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fuel cell module such as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100 is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o 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supply the charged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

이러한 전원 시스템에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과전류 방지 장치(20)를 적용하는 경우, 과충전 여부는 예를 들어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를 통해서 검출하여 이차전지 모듈을 통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과방전 여부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를 통해 검출하여 이차전지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20 as shown in FIG. 6 is applied to such a power supply system, the overcurrent state is detected through, for example,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20 to prevent the over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 Similarly, overdischarge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230 to prevent an overcurrent from flowing to an external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10-1, 20 : 과전류 방지 장치
110 : 전류 센서
120, 120-1, 120-2, 221, 231 : 과전류 감지부
130, 130-1, 130-2, 223, 233 : 과전류 판단부
122, 1221, 1227 : 전류량 제어부
124, 1223, 1229 : 광학 스위칭 소자
126, 1225 : 풀다운부
150, 1231 : 버퍼부
10, 10-1, 20: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110: Current sensor
120, 120-1, 120-2, 221, and 231: an overcurrent sensing unit
130, 130-1, 130-2, 223, 233: Overcurrent judging unit
122, 1221, and 1227:
124, 1223, 1229: optical switching element
126, 1225: Pull-
150, and 1231:

Claims (7)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전류 센서의 순방향 전류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 및
상기 전류 센서의 역방향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A current sensor for converting an input curren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ltage;
A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 overcurrent on a forward current path of the current sensor to control a first switching unit; And
A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re is an overcurrent on a reverse path of the current sensor and to control a second switching unit;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urrent sensor comprises a hall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 각각은,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
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s,
An overcurrent detector driven according to a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sensor; And
An overcurrent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witching unit driving signal whose logic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uration of an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detection unit;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감지부는 광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includes an optical switch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 신호가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기 위한 상기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overcurrent determining unit outputs the switching unit driving signal for turning off the switching unit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overcurrent sensing un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는 연료 전지 모듈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입력받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연료 전지 모듈의 충전 패스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연료 전지 모듈의 방전 패스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sensor receives an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uel cell module, converts i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signal. The first overcurrent control circuit detects an overcurrent flowing through a charge path of the fuel cell module, and the second overcurrent control circuit. Is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th of the fuel cell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모듈은 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uel cell module is an overcurrent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0130121039A 2013-10-11 2013-10-11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39A KR101335370B1 (en) 2013-10-11 2013-10-11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39A KR101335370B1 (en) 2013-10-11 2013-10-11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03A Division KR20130022346A (en) 2011-08-24 2011-08-26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91A KR20130121791A (en) 2013-11-06
KR101335370B1 true KR101335370B1 (en) 2013-12-03

Family

ID=4985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370B1 (en) 2013-10-11 2013-10-11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3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7970B (en) * 2021-12-09 2024-11-29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Overcurrent protection method and related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211A (en) * 1994-10-19 1996-05-17 Canon Inc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JP2001229943A (en) 2000-02-14 2001-08-24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KR20080017824A (en) * 2006-08-22 2008-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ybrid battery pack and its charging method and discharg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211A (en) * 1994-10-19 1996-05-17 Canon Inc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JP2001229943A (en) 2000-02-14 2001-08-24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KR20080017824A (en) * 2006-08-22 2008-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ybrid battery pack and its charging method and discharg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91A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181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light source driving module and related backlight module
KR20130022346A (en)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US8582265B2 (en)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JP4849094B2 (en)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
JP4398312B2 (en) Semiconductor switch control device
WO2017179414A1 (en) Relay device
US10177649B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synchronous rectification circuit thereof
CN103050092B (en) A kind of protection circuit of backlight drive circuit,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indicator
KR101972304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998661B1 (en) Voltage monitoring method and circuit using the same i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KR101335370B1 (en)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WO2003058790A1 (en) Transient suppression apparatus for potentially explosive environments
TWI502853B (en) Short circuit control for high current pulse power supply
KR100781131B1 (en) Electronic solid state relay with overcurrent / short circuit relay
KR20140117332A (en)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KR101646070B1 (en) Circuit for sensing a short on plant
KR20130119405A (en) 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US20160336938A1 (en) Large-range input circuit
KR20110034875A (en) Overcurrent sensing circuit
US7330343B2 (en) Current-limiting protection circuit for a power supply
TWI445273B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TE539475T1 (en) MIRROR CONTROL SYSTEM
JP6229842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JP2007335999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relay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147258B1 (en) A positive direct current source overload cutoff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01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1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