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9470B1 -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470B1
KR101339470B1 KR1020110063299A KR20110063299A KR101339470B1 KR 101339470 B1 KR101339470 B1 KR 101339470B1 KR 1020110063299 A KR1020110063299 A KR 1020110063299A KR 20110063299 A KR20110063299 A KR 20110063299A KR 101339470 B1 KR101339470 B1 KR 10133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ball
frame member
lightweight
unit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2223A (en
Inventor
김석균
Original Assignee
김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균 filed Critical 김석균
Priority to KR102011006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470B1/en
Publication of KR201300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47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중공 슬라브 유닛은, 제1 단위가이드 및 제1 단위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단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되 슬라브를 구성하는 주근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케이지; 및 제1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경량볼과, 제2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경량볼과, 제1 경량볼 및 제2 경량볼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량볼 모듈을 구비하여, 슬라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제1 경량볼 및 제2 경량볼이 각각 제1 단위가이드 및 제2 단위가이드를 따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경량볼을 일체로 성형하여 경량볼 모듈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며 슬라브 시공에 필요한 주근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중공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공 슬라브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are a hollow slab uni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using the same. The hollow slab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arts including a first unit guide and a second unit gu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gu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stituting the slab. Cage including a connecting rebar provided to replace a portion of the main root;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coupled to the first unit guide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unit guide, the second lightweight ball coupled to the second unit guide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a lightweight ball module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to the first, when the concrete for the slab construction,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is moved upward along the first unit guide and the second unit guide,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can be buff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lding a number of lightweight balls integrally, not only can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ball module, but also to buffer buoyancy due to concrete placement and to omit a part of the main root required for slab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quality hollow slab,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llow slab unit that can shorten the air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substantially improving the ease of construction.

Description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Hollow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경량볼을 일체로 성형하여 경량볼 모듈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며 슬라브 시공에 필요한 주근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중공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lab unit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lab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ball module by mold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balls integrally, Hollow slab unit that can buckle high-quality hollow slabs by buffering buoyancy and omit some of the main roots needed for slab construction, and can shorten air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substantially improving construction convenienc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using the same.

최근, 건물의 고층화나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슬라브의 두께를 늘려 강도를 높이거나, 경량화나 차음성능 개선을 위해 슬라브 내부에 매설물을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중공 슬라브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Recently, the hollow slab method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lab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uilding or to secure a large living space, or to install a hollow inside the slab to improve the weight o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이러한 중공 슬라브는, 중앙에 중공형 경량볼을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슬라브 자중을 줄이고 비교적 우수한 단면성능을 가지며,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slab)의 장점 구현은 물론 층간 소음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The hollow slab is a structure having a hollow lightweight ball in the cent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lab as the panel weight is reduced and has a relatively good cross-sectional performance, and the advantages of long span and flatslab Of course, it ha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noise between floors.

종래의 중공 슬라브는 현장에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슬라브 거푸집을 동바리 등 지지물로 지지한 후, 슬라브 거푸집에 주근의 기능을 담당하는 하부철근을 배근하고 그 상부에 하부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하부 와이어메쉬 위에 경량볼을 배치하고 경량볼 위에 상부 와이어메쉬를 배치한 뒤, 주근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부철근을 배근한 다음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료한다.The conventional hollow slab is installed on the site and supports the slab formwork with a support such as a copper bar, and then reinforces the lower reinforcing bar to the slab formwork and places the lower wire mesh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wire mesh After placing the light ball on the top and the wire mesh on the top of the light ball, reinforce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then slab concrete.

그러나 종래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경량볼에 부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경량볼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미리 설계된 위치에 경량볼이 배치되지 못하며 결국 완성된 중공 슬라브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llow slab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buoyancy force acts strongly on the lightweight ball when placing concrete, the lightweight ball flow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crete placing, and thus, the lightweight ball is not disposed at the predesigned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finished hollow slab is degrad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슬라브 거푸집에 구멍을 천공하여 하부 와이어메쉬를 슬라브 거푸집에 고정하고 상부 와이어메쉬와 하부 와이어메쉬를 결속선에 의해 고정한 뒤 상부 와이어메쉬 및 하부 와이어메쉬 사이에 경량볼을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거푸집에 구멍을 천공해야만 하므로 한번 사용한 거푸집을 재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부 와이어메쉬 및 하부 와이어메쉬를 서로 결속하더라도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따른 경량볼의 미세한 유동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ower wire mesh is fixed to the slab formwork by drilling a hole in the slab formwork in the field, and the upper wire mesh and the lower wire mesh are fixed by the tie line, and then the lightweight ball between the upper wire mesh and the lower wire mesh is fixed. A method of inserting it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difficult to reuse the formwork once used because the hole must be drilled in the formwork, and even when binding the upper wire mesh and the lower wire mesh to each other, it is insufficient to prevent the minute flow of light balls due to buoyancy generated during concrete placing. There is thi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서도 경량볼의 유동을 제안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method has been proposed to propose the flow of lightweight balls without drilling holes in the formwork.

도 1은 트러스부재를 사용하여 경량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종래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2는 케이지를 사용하여 경량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종래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hollow slab for restricting the flow of light balls using a truss member,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hollow slab unit for restricting the flow of light balls using a cage. It is a schematic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은 상부 와이어메쉬(1)와 하부 와이어메쉬(4) 사이에 트러스부재(2)를 설치하고 상부 와이어메쉬(1), 하부와이어메쉬(4) 및 트러스부재(2)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내에 경량볼(3)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경량볼(3)의 유동을 제한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hollow slab construction method, a truss member 2 is installed between an upper wire mesh 1 and a lower wire mesh 4, and an upper wire mesh 1 and a lower wire mesh 4 are installed. And a method of inserting the lightweight ball 3 into the space defined by the truss member 2 to limit the flow of the lightweight ball 3.

이와 같은 방법은 거푸집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으므로 거푸집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따른 경량볼(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트러스부재(2)를 설치해야 하므로 트러스부재(3)의 용접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을 경량볼(3)이 그대로 흡수하게 되므로 종종 경량볼(3)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ethod does not puncture the formwork, so the formwork can be reused.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separate truss member (2) to prevent the flow of the light ball (3) due to the buoyancy generated during the concrete casting, so a lot of time and effort in the welding work of the truss member (3) There is a problem that is consumed. In addition,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lightweight ball (3) is often broken because the lightweight ball (3) is absorbed as it is buoyancy generat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중공 슬라브 유닛은 일측이 개방되고 다수의 철근을 연결하여 완성된 케이지(5) 내부의 한정되는 공간에 경량볼(4)을 삽입함으로써 경량볼(4)의 유동을 제한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hollow slab unit has one side open and connect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o insert the lightweight ball 4 into a limited space inside the cage 5 to complete the lightweight ball 4. Restrict flow.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시공하고자하는 중공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케이지(5)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러한 케이지(5)의 크기에 맞추어 경량볼(4)의 크기를 결정해야하므로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별개의 경량볼(4)을 제작하게 되어 시공비용이 늘어나고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method, the cage 5 is manufactu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llow slab to be constructed, and the size of the lightweight ball 4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ge 5 so that it is separa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lab. The lightweight ball (4) of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delayed.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을 경량볼(4)이 그대로 흡수하게 되므로 종종 경량볼(4)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uch a method is because the lightweight ball (4) is absorbed as it is buoyancy generated when placing concrete often has a problem that the lightweight ball (4) is broken.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케이지(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경량볼(4)을 삽입하고 있으므로, 시공하고자하는 중공 슬라브의 폭이 큰 경우 그만큼 많은 케이지(5)를 정 위치에 각각 배치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전체적인 공기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ball 4 is inserted only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age 5, when the width of the hollow slab to be constructed is large, the number of cages 5 must be arranged in the same position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manpower and time is consumed to increase the overall air and cost.

이와 함께, 도 1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 및 도 2의 중공 슬라브 유닛은 모두 주근으로 사용되는 하부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하부 와이어메쉬, 경량볼 및 상부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상부 와이어메쉬 위에 주근으로 사용되는 상부철근을 별도로 배근해야 하는 과정을 따르고 있는바 주근의 배근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의 경량볼이 낱개로 분리 제작되므로 경량볼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ollow slab of Figure 1 and the hollow slab unit of Figure 2 all reinforce the lower reinforcing bar used as a main bar, and arrange the lower wire mesh, lightweight ball and the upper wire mesh thereon, on the upper wire mesh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labor is spent in the reinforcement work of the main bar, and following the process to reinforce the upper reinforcing bar used as the main bar, and a large number of lightweight balls are produced separately to produce a light ball There is a problem that is consumed.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경량볼을 일체로 성형하여 경량볼 모듈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며 슬라브 시공에 필요한 주근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중공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lding a number of lightweight balls integrally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ball module, as well as to buffer buoyancy due to concrete placement and to omit a part of the main root required for slab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quality hollow slab, and to provide a hollow slab unit that can shorten air and reduce a construction cost by substantially improving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1 단위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단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되 슬라브를 구성하는 주근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케이지; 및 상기 제1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경량볼과, 상기 제2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경량볼과,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량볼 모듈을 구비하여, 슬라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이 각각 상기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2 단위가이드를 따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nit guide and a plurality of guide parts including a second unit gu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gu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guide unit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slab Cage includ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provided to replace a portion of the main constituting the; And a first light weight ball coupled to the first unit guide in a relative motion, a second light ball coupled to the second unit guide in a relative movement, and the first l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 ball. It is provided with a lightweight ball module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together with the first unit guide and the second unit guide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It is achieved by the hollow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buffered buoyancy due to the concrete pouring by moving upward.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에는 각각, 상기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2 단위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삽입홈이 좌우측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을 함께 성형할 때 언더컷(Undercut)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홈; 및 상기 경사홈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respectively, a pair of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first unit guide and the second unit guide is recessed from the left and right surfaces, respectively, the insertion groove is blow molded ( Blow molding) to lower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so that an undercut portion can be prevented when form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together. An inclined groove inclined toward the inclined groove;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groov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groove.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은 각각, 둘레를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챔퍼링(Chamfering)되는 제1 챔퍼링부; 상기 제1 챔퍼링부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체적증가부; 및 상기 체적증가부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챔퍼링부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챔퍼링되는 제2 챔퍼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may include: a first chamfering portion chamfer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along a circumference; A volume increas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hamfering part; And a second chamfer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volume increasing portion and chamfered to have a curvature greater than a curvature of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along a circumference.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은 각각,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지점에 인접한 일정 영역이 표면으로부터 곡면을 이루며 함몰형성되는 곡면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surface treatment part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from the surface.

상기 제1 단위가이드는, 상기 제1 경량볼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재; 상기 제1 경량볼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부재;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부재;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경량볼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unit guide may include a first frame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 second frame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 third frame membe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A first flange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a second flange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wherein the first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rame member have a lower side to determine a limit of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lightweight ball can rise. It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so as to narrow the width from the upper side.

상기 제2 단위가이드는, 상기 제2 경량볼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제4 프레임부재; 상기 제2 경량볼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제5 프레임부재; 상기 제3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4 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6 프레임부재; 상기 제4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3 플랜지부; 및 상기 제5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4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5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2 경량볼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guide may include a fourth frame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 fifth frame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 sixth frame membe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member and an upper end of the fourth frame member; A third flange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member; And a fourth flange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fth frame member, wherein the fourth frame member and the fifth frame member have a lower side to determine a limit of the height at which the second lightweight ball can rise. It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so as to narrow the width from the upper side.

상기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제5 플랜지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제1 플랜지부, 상기 제5 플랜지부 및 상기 제4 플랜지부의 하측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3개의 제1 연결철근; 및 상기 제3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6 프레임부재의 상측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 연결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the third flange portion are interconnected to form one fifth flange portion, and the connecting bars are equally spaced below the first flange portion, the fifth flange portion, and the fourth flange portion. Three first connecting rebars each disposed as a; And two second connecting bars respective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third frame member and the sixth frame member.

상기 중공 슬라브 유닛은,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의 상승 완료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철근에 이르는 거리와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철근에 이르는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hollow slab unit, and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to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ement when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is completed and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to the first connecting rebar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후 좌우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며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경량볼을 포함하는 경량볼 모듈; 및 상기 경량볼 모듈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경량볼 모듈은, 슬라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케이지를 따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weight ball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balls interconnected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tegrally molded through blow molding; And a cage into which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inserted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herein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moved upward along the cage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thereby cushioning buoyancy due to concrete placing. It is also achieved by a hollow slab unit.

상기 경량볼 모듈은, 전후 좌우방향으로 각각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적어도 4개의 경량볼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weight ball module may include at least four light weight balls integrally formed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that interconnects one sid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라브 패널의 상면에 다수의 하부근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일 방향으로 각각 배근하는 단계; 상기 하부근이 배근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조립된 다수의 중공 슬라브 유닛을 각각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 슬라브 유닛이 배치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상부근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일 방향으로 배근하는 단계; 및 완성된 슬라브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슬라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슬라브 유닛은, 전후 좌우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며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경량볼을 포함하는 경량볼 모듈; 및 상기 경량볼 모듈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경량볼 모듈은, 슬라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케이지를 따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중공 슬라브 유닛을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inforc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roo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panel in one direction b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ranging a plurality of hollow slab units each preassemb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muscles are arranged; Placing a plurality of upper roots in a direction to intersect with one an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slab unit is disposed; And constructing slabs by c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interior of the finished slab formwork, wherein the hollow slab units are interconnec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blow molding. Lightweight ball module including a light ball; And a cage into which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inserted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herein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moved upward along the cage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thereby cushioning buoyancy due to concrete placing. It is also achieved by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slab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경량볼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량볼 모듈과, 경량볼 모듈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경량볼 모듈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며 슬라브 시공에 필요한 주근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중공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공 슬라브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ball module, including a lightweight ball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weight balls integrally molded are integrally formed, and a cage in which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coupled relative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high quality hollow slabs by buffering buoyancy due to concrete pouring and to omit some of the roots needed for slab construction, and to shorten air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substantially improving construction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llow slab unit that can be.

도 1은 트러스부재를 사용하여 경량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종래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케이지를 사용하여 경량볼의 유동을 제한하는 종래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라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정면에서 바라본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을 사용하여 중공 슬라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중공 슬라브의 시공방법에 따라 완성된 중공 슬라브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hollow slab to limit the flow of the light ball by using a truss member.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hollow slab unit that restricts the flow of lightweight balls using a cag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sla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viewed from the fro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6 is a plan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g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hollow slab using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hollow slab comple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hollow slab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라브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정면에서 바라본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경량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중공 슬라브 유닛의 케이지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sla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ure 3 seen from the fron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ure 3 6 is a plan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ge of the hollow slab unit of FIG. 3.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라브 유닛(100)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케이지(110)와, 케이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브(S)를 구성하는 경량볼 모듈(1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hollow slab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ge ball 110 constituting the frame, the lightweight ball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age 110 to form a slab (S) 160.

본 발명의 경량볼 모듈(160)은 6개의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이 일체로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경량볼 모듈(160)은 2개 또는 4개 또는 8개 이상의 경량볼이 블로우 성형방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x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blow molding (Blow molding),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apparent that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two or four or eight or more lightweight balls through a blow molding method.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경량볼 모듈(160)을 구성하는 2개의 경량볼(170, 180)을 기준으로 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However,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wo lightweight balls 170 and 180 constituting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케이지(110)는 경량볼(170, 18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중공 슬라브 유닛(100)의 외부 프레임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가이드부(120)와, 가이드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철근(150)을 포함한다.The cage 1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lightweight balls 170 and 180 can be inserted and provides an outer frame of the hollow slab unit 100, and a plurality of guide parts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50 to interconnect the guide portion 120.

가이드부(120)는 중공 슬라브 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제1 단위가이드(130)와, 제1 단위가이드(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단위가이드(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120)는 지름 6mm 짜리 원형 철선을 사용하여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guide units 12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slab unit 100, the first unit guide 130 and the first unit guide 130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A second unit guide 140 i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unit 120 is provided using a 6 mm diameter circular iron wir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단위가이드(130)는 가이드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경량볼(170)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재(131)와, 제1 프레임부재(13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경량볼(170)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부재(132)와, 제1 프레임부재(131)의 상단부 및 제2 프레임부재(13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부재(133)와, 제1 프레임부재(13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제1 플랜지부(134)와, 제2 프레임부재(13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제2 플랜지부(135)를 포함한다.The first unit guide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120, and is fixed from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first frame member 131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 third frame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frame member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132. 133, a first flange portion 134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132. (135).

제1 프레임부재(131)는 제1 단위가이드(130)의 일측에 마련되어 그 일부가 제1 경량볼(170)의 일측에 삽입되는 구성이며, 제2 프레임부재(132)는 제1 단위가이드(130)의 타측에 마련되어 그 일부가 제1 경량볼(170)의 타측에 삽입되는 구성이다.The first frame member 1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unit guide 130,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has a first unit guide (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한편, 제1 프레임부재(131) 및 제2 프레임부재(132)는 각각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처럼 제1 프레임부재(131) 및 제2 프레임부재(132)를 경사지게 마련하는 것은, 케이지(110) 전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보다 좁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1 경량볼(170)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의 한계를 결정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are provided to be inclined so as to narrow the width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The inclining arrangement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in this way constitutes the entire cage 110 so that the upper width is narrower than the lower width, thereby achieving structural stability and at the same time. 1 lightweight ball 170 is to determine the limit of the height that can rise.

즉, 제1 프레임부재(131) 및 제2 프레임부재(132)를 각각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케이지(110)를 전도시킨 후 제1 경량볼(170)을 삽입하는 과정이 간편해지게 되며, 하측의 폭이 상측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케이지(110) 구조의 특성상 케이지(110)를 하부근(2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제1 경량볼(170)이 상승하는 경우 정확히 원하는 지점까지만 제1 경량볼(170)이 상승할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철근의 내부 피복두께(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를 맞출 수 있게 된다.That is, by inclining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respectively,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fter conducting the cage 110 becomes simple, and the width of the lower side is increased. When the cage 110 is st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oot 2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ge 110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ide,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rises according to the concrete placing. By limit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to rise only to exactly the desired point it is possible to match the inner coating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제3 프레임부재(133)는 제1 프레임부재(131)의 상단부와 제2 프레임부재(132)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며, 제1 플랜지부(134)는 제1 프레임부재(13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성이고, 제2 플랜지부(135)는 제2 프레임부재(13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3 프레임부재(133), 제1 플랜지부(134) 및 제2 플랜지부(135)에는 각각 후술하는 연결철근(150)이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가이드부(120)를 하나로 연결하게 된다.The third frame member 133 is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132, and the first flange 134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It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e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132. 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s 15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third frame member 133, the first flange portion 13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to connect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120 to one.

한편, 제2 단위가이드(140)는 횡방향으로 제1 단위가이드(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4 프레임부재(141)와, 제4 프레임부재(14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5 프레임부재(142)와, 제4 프레임부재(141) 및 제5 프레임부재(14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6 프레임부재(143)와, 제4 프레임부재(141)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3 플랜지부(144)와, 제5 프레임부재(14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4 플랜지부(14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guide 1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guide 130 in the lateral directio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frame member 141 and the fourth frame member 14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fth frame member 142, the sixth frame member 143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ourth frame member 141 and the fifth frame member 142, and an oute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member 141. And a third flange portion 144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a fourth flange portion 145 protruding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fth frame member 142.

제2 단위가이드(140)는 제1 단위가이드(1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바, 제1 단위가이드(130)에 제1 경량볼(170)이 결합되고 제2 단위가이드(140)에 제2 경량볼(180)이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2 단위가이드(140)의 각 구성에 관한 사항을 제1 단위가이드(130)의 각 구성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단위가이드(130)의 제2 플랜지부(135)와 제2 단위가이드(140)의 제3 플랜지부(144)는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5 플랜지부(F)를 이룬다.The second unit guide 140 is provid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unit guide 130,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s coupled to the first unit guide 130 and the second unit guide 140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is coupled, the matters relating to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unit guide 14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tters relating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first unit guide 130. Omit. In addition, the second flange portion 135 of the first unit guide 130 and the third flange portion 144 of the second unit guide 14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one fifth flange portion F.

전술한 가이드부(120)는 2개의 단위가이드(130, 140)를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가이드부(120)는 3개 이상의 단위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guide unit 120 has been described on the basis of including two unit guides 130 and 140, the guide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ree or more unit guides as necessary.

한편, 연결철근(150)은 다수의 가이드부(120)를 하나로 연결함과 동시에, 슬라브(S)를 구성하는 주근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150 is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so as to replace a portion of the main constituting the slab (S) at the same time as connecting a plurality of guide portion 120 as one.

연결철근(150)은 제1 플랜지부(134), 제5 플랜지부(F) 및 제4 플랜지부(145)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3개의 제1 연결철근(151, 152, 153)과, 제3 프레임부재(133) 및 제6 프레임부재(143)의 상측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 연결철근(154, 155)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bars 150 may include three first connecting bars 151, 152, and 153 respective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first flange part 134, the fifth flange part F, and the fourth flange part 145. And two second connecting bars 154 and 155 disposed on the third frame member 133 and the sixth frame member 143 at equal intervals, respectively.

제1 연결철근(151, 152, 153) 및 제2 연결철근(154, 155)은 다수의 가이드부(120)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본 실시예의 중공 슬라브 유닛(100)의 배치시 주근의 일부를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제1 연결철근(151, 152, 153) 및 제2 연결철근(154, 155)은 각각 하부근(20) 및 상부근(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철근을 사용하여 마련된다.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51, 152, and 153 and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54 and 155 connect the plurality of guide parts 120 integrally,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connecting bars when the hollow slab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y performing a function of replacing a part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nnecting bars (151, 152, 153)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s (154, 155), respectively, the lower bar (20) and upper It is provided using reinforcing bar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vicinity 30.

한편, 경량볼 모듈(160)은 가이드부(120)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120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can be moved to the upper side when placing concrete is provided to buffer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concrete placing.

경량볼 모듈(160)은 전술한 제1 단위가이드(130)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경량볼(170)과, 제2 단위가이드(140)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경량볼(180)을 포함한다.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s coupled to the first unit guide 130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is coupled to the second unit guide 140 in a relative movement. And 180.

제1 경량볼(170)은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챔퍼링부(172)와, 제1 챔퍼링부(17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체적증가부(173)와, 체적증가부(173)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챔퍼링부(174)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량볼(170)은 일견하여 볼 때 타원에 유사한 형상을 지닌다.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72, the volume increasing portion 173 extending downward of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72, and the volume increasing portion 173. The second chamfer 174 is extended to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has a similar shape to the ellipse when viewed at a glance.

하지만, 제1 챔퍼링부(172)의 모서리부분의 곡률은 제2 챔퍼링부(174)의 모서리부분의 곡률보다 작게 마련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타설의 편의성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충진성을 함께 고려한 것이다.However, the curvatur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72 is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econd chamfering portion 174,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onvenience of concrete pouring and filling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즉, 중공 슬라브에 있어서 경량볼은 콘크리트의 전체 타설량을 낮출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직육면체 형상의 경량볼을 사용하면 경량볼의 하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적은 양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완성된 슬라브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는 경량볼의 상측으로부터 부어지게 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경량볼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해진다.In other words, in the hollow slab, the lightweight ball is most preferably provid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as to lower the total amount of placing of concrete, but when the lightweight ball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used, a portion where the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weight ball may occur. In addition, if too little concrete is po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finished slab is degraded.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is pou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ght ball, a configuration is required for the concrete to be poured to move smoothly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 ball.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둘레를 따라 모서리부분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챔퍼링(Chamfering)되는 제1 챔퍼링부(172)를 마련하되 제1 챔퍼링부(172)의 곡률은 작게 함으로써 최대한 직육면체 형상에 가깝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이동에 무관한 중앙부분은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체적증가부(173)를 마련하여 중공 슬라브(S)의 중공정도를 높이도록 한다.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72 is chamfered so that the corner portion has a constant curvature along the circumference, but the curvature of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72 is small, so that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as close as possible. The central part irrelevant to the movement of the concrete is to increase the hollow degree of the hollow slab (S) by providing a volume increasing portion (173)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또한, 제2 챔퍼링부(174)의 곡률을 크게 함으로써 제1 경량볼(170)의 하측과 이에 인접한 제2 경량볼(180)의 하측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충진률을 높임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를 고루 분배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hamfering portion 174,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adjacent thereto, thereby increasing the filling rate of concrete.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evenly distributing the poured concrete using a vibrator or the like can be easily performed.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경량볼(170)의 형상은 변경될 수도 있다.Of cour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may be changed.

한편, 제1 경량볼(170)의 양측에는 제1 단위가이드(130)의 제1 프레임부재(131) 및 제2 프레임부재(132)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삽입홈(171)이 형성되며, 삽입홈(171)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하여서는 삽입홈(171)을 향해 표면으로부터 곡면을 이루며 함몰형성되는 곡면처리부(175)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insertion grooves 17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to insert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of the first unit guide 130,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region where the insertion groove 171 is formed, the curved surface treatment unit 175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from the surface toward the insertion groove 171 is formed.

삽입홈(171)은 제1 경량볼(170)이 제1 단위가이드(13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제1 경량볼(170)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171a)과, 경사홈(171a)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홈(171b)을 포함한다.Insertion groove 171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to move along the first unit guide 130, the inclined groove 171a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a vertical groove 171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groove 171a.

경사홈(171a)의 경사각도는 제1 프레임부재(131)의 경사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됨으로써 제1 경량볼(170)이 제1 프레임부재(13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groove 171a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frame member 131 to allow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to move along the first frame member 131.

수직홈(171b)은 제1 경량볼(170)의 이동과 무관하게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방법에 따라 경량볼 모듈(160)을 일체로 성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The vertical grooves 171b are provided to integrally form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according to a blow molding method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즉, 제1 경량볼(170)의 측면을 따라 수직홈(171b) 없이 경사홈(171a) 만을 형성시키게 되면 경량볼 모듈(160)을 일체로 제작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경량볼 모듈(160)의 성형 완료 후 탈형되는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That is, when only the inclined groove 171a is formed without the vertical groove 171b along the side of the first light ball 170,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to integrally manufacture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ar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There is a problem in demolding after completion of molding).

즉 제1 경량볼(170)을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상단부는 상부금형에 의해 하단부는 하부금형에 의해 성형되는데, 성형 완료 후 하부금형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를 탈형하고자 하면 하부금형까지 연장된 경사홈(171a)에 의해 생성된 부분이 언더컷(Undercut)으로 작용하게 되어 탈형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upper end is molded by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by the lower mold. The portion generated by the groove 171a acts as an undercut, which is a difficulty in demolding.

이러한 언더컷에 구애받지 않고 하부금형을 탈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여 금형을 특수하게 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량볼 모듈(160)의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홈(171b)을 마련한다.Regardless of the undercut, the mold is specially manufactured using a separate slide core in order to demould the lower mold. In this c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may be increased. To provide a vertical groove (171b) to be.

경사홈(171a) 및 수직홈(171b)에 따라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합형하고 블로우 성형방법에 따라 경량볼 모듈(160)을 일체로 제작하며, 제작완료 후에는 상부금형을 상측으로 하부금형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경량볼 모듈(160)이 금형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inclined groove 171a and the vertical groove 171b, and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integr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low molding method.After completion of manufacturing, the upper mold is lowered upward. By moving downward,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ld smoothly.

곡면처리부(175)는 제1 경량볼(170)의 전체 영역 중 경사홈(171a) 및 수직홈(171b)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서 표면이 경사홈(171a) 및 수직홈(171b) 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함몰되도록 하여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curved surface treatment unit 175 has a curved surface on the inclined grooves 171a and vertical grooves 171b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areas where the inclined grooves 171a and the vertical grooves 171b are formed among the entire areas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so as to form a depression.

곡면처리부(175)는 제1 경량볼(170) 내부의 중공률을 높이면서도 블로우 성형시 제1 경량볼(170)이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urved surface treatment unit 175 is provided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bursts during blow molding while increasing the hollow ratio inside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즉, 블로우 성형 방법에 따라 경량볼 모듈(160)을 제작하는 경우 경사홈(171a) 및 수직홈(171b)이 형성된 지점에는 강한 압력이 걸리게 되어 당해 부분이 파손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홈(171a, 171b)이 형성된 부분에 재료를 다른 부분보다 많이 투입함으로써 이를 보강하여야 한다.That is, when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low molding method,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a point where the inclined grooves 171a and the vertical grooves 171b are formed. In order to reinforce the material by inserting more material than the other part in the grooves (171a, 171b) is formed.

하지만, 재료를 많이 투입하게 되면 경량볼 모듈(160)의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1 경량볼(170) 내부의 중공률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곡면처리부(175)를 마련한다.However, if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added, the production cost of the light weight ball module 160 may not only be increased, but also a problem may occur in that the hollow ratio of the first light weight ball 170 is lowered. The processing unit 175 is provided.

즉, 곡면처리부(175)는 홈(171a, 171b)이 형성된 부분에 걸리는 압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재료의 추가투입 없이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That is, the curved surface processing unit 175 plays a role of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ortions where the grooves 171a and 171b are formed, thereby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ithout additional input of materials.

제2 경량볼(180)은 제1 경량볼(170)의 횡방향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1 챔퍼링부(182), 체적증가부(183) 및 제2 챔퍼링부(18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경량볼(18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삽입홈(181)이 형성되며, 삽입홈(181)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하여서는 곡면처리부(185)가 마련된다.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182, the volume increasing portion 183 and the second chamfering portion 184 Include. In addition, a pair of insertion grooves 181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and the curved surface treatment unit 185 is provided adjacent to the region where the insertion grooves 181 are formed.

제2 경량볼(180)은 제1 경량볼(1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2 경량볼(180)의 각 구성은 제1 경량볼(170)의 각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each configuration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연결부(C)는 제1 경량볼(170) 및 제2 경량볼(180)을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C)는 경량볼 모듈(160)이 블로우 성형 방법에 따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부 형태로 마련된다.Connection portion (C) is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integrally. As shown in Figure 4 and 7, the connection portion (C) is provided in the form of hollow hollow portion so that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according to the blow molding method.

한편, 제3 경량볼(191)은 제1 경량볼(170) 및 제2 경량볼(180)이 결합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경량볼(170)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제4 경량볼(192)은 제3 경량볼(191)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고, 제5 경량볼(193) 및 제6 경량볼(194)은 각각 제3 경량볼(191) 및 제4 경량볼(19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lightweight ball 191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180 is coupled, 4 lightweight ball 192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lightweight ball 191, the fifth lightweight ball 193 and the sixth lightweight ball 194 is the third lightweight ball 191 and the first 4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ght ball (192).

각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은 각각 연결부(C)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한 번의 블로우 성형 공정에 따라 일체로 제작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경량볼 모듈(160)은 2개 또는 4개의 경량볼 또는 8개 이상의 경량볼을 블로우 성형 방법에 따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Each of the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C),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blow molding process.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may be manufactured by integrally molding two or four lightweight balls or eight or more lightweight balls according to a blow molding method.

본 실시예의 경량볼 모듈(160)은 다수의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생산단가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케이지(110)에 삽입되는 과정도 간편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not only the production cost is lowered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but also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cage 110 can be simplified. .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중공 슬라브 유닛(100)을 사용하여 중공 슬라브(S)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hollow slab S using the hollow slab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슬라브(S)의 하면을 구성하기 위한 슬라브 패널(10)을 설치한 뒤에는 다수의 하부근(20)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슬라브 패널(10)의 상면에 일 방향으로 배근한다.First, after installing the slab panel 10 for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S), a plurality of lower root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placed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panel 10.

다음으로, 하부근(20)이 배근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조립된 다수의 중공 슬라브 유닛(100)을 각각 배치하는데, 중공 슬라브 유닛(100)을 선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Next, each of the plurality of hollow slab units 100 pre-assemb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oot 20 is arranged, the process of pre-assembling the hollow slab unit 100 is as follows.

다수의 가이드부(120)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한 뒤 가이드부(120)를 구성하는 제1 플랜지부(134), 제5 플랜지부(F) 및 제4 플랜지부(145)를 따라 등 간격으로 제1 연결철근(151, 152, 153)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고, 제3 프레임부재(133) 및 제6 프레임부재(143)를 따라 등 간격으로 제2 연결철근(154, 155)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After the plurality of guide parts 1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flange part 134, the fifth flange part F, and the fourth flange part 145 constituting the guide part 120, etc. 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51, 152, and 15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welding meth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ebars 154 and 155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third frame member 133 and the sixth frame member 143. ) Is combined by welding or the like.

케이지(1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제2 연결철근(154, 155)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케이지(110)를 전도시킨다.When the manufacturing of the cage 110 is completed, the cage 110 is inverted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bars 154 and 155 are supported from the ground.

다음으로, 가이드부(120)를 구성하는 단위가이드(130, 140)의 일단부로부터 경량볼 모듈(160)을 삽입한다. 이때 경량볼 모듈(160)은 6개의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단지 몇 번의 작업만으로 케이지(110)에 경량볼 모듈(160) 전체가 간단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Next,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unit guides 130 and 140 constituting the guide unit 120. At this time,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formed of six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integrally so that the entir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can be simply inserted into the cage 110 by only a few operations. do.

이와 같이 완성된 중공 슬라브 유닛(100)을 다시 전도시킨 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근(20)이 배근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공 슬라브 유닛(100)을 각각 배치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근(20)이 배근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연결철근(151, 152, 153)의 사이사이에 추가적인 하부근(미도시)을 배근할 수도 있다.After inverting the completed hollow slab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slab units 10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oots 20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n additional lower ba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ars 151, 152, and 153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20 is arranged.

제1 연결철근(151, 152, 153)은 중공 슬라브(S)를 구성하는 격자 상의 하부근(20) 중 일방향 하부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바 배근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51, 152, 153) is to play the role of one of the lower root of the lower root 20 on the lattice constituting the hollow slab (S) bar can be facilitated.

다음으로, 중공 슬라브 유닛(100)이 배치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상부근(30)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일 방향(하부근(20)의 배근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근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준비를 완료한다.Next, the plurality of upper root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slab unit 100 is disposed, thereby reinforcing in one directio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inforcement direction of the lower root 20). Complete preparation for casting.

하부근(20)과 마찬가지로 케이지(110)를 구성하는 제2 연결철근(154, 155)은 중공 슬라브(S)를 구성하는 격자 상의 상부근(30) 중 일방향 상부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바 배근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Like the lower muscle 20, the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54 and 155 constituting the cage 110 play a role of the upper one of the upper bars 30 on the lattice forming the hollow slab S. Convenience of back muscles can be aimed at.

콘크리트의 타설 준비가 완료되면, 슬라브 패널(10)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라브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써 슬라브(S)를 시공하게 된다.When the preparation of concrete is completed, the slab (S) is constructed by plac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slab formwork including the slab panel 10.

이때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경량볼 모듈(160)의 제1 경량볼(170)은 제1 프레임부재(131) 및 제2 프레임부재(13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함께 제2 경량볼(180)은 제4 프레임부재(141) 및 제5 프레임부재(14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다른 경량볼(191 내지 194)도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이 완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ightweight ball 170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moved upward along the first frame member 13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32 by buoyancy generat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2, the lightweight ball 180 is moved upward along the fourth frame member 141 and the fifth frame member 142, and the other lightweight balls 191 to 194 likewise moved together to the upper side to be generated during concrete pouring Buoyancy can be buffered.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이 계속 진행되면, 경량볼 모듈(160)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된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위치는 각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의 상면으로부터 제2 연결철근(154, 155)에 이르는 거리와 각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의 하면으로부터 제1 연결철근(151, 152, 153)에 이르는 거리가 동일한 위치를 의미한다.Whe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continues,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plac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a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to the second connecting rebars 154 and 155, and the first posi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The distance to the connecting bars 151, 152, and 153 means the same position.

이처럼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것은 철근의 내부 피복두께와 관련된 것이다.This limiting the raised height of the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194 is related to the inner covering thickness of the rebar.

일반적으로 철근의 피복두께라 함은 철근의 중성화 및 풍화방지와 내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콘크리트 외측면과 내부 철근 사이에 확보되어야 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In general,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 means the distance that should be secu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inner reinforcing bar to secure the neutralization, weathering prevention, and heat resistance of the reinforcing bar.

본 실시예의 중공 슬라브 유닛(100)은 경량볼 모듈(160)의 내부가 빈 중공형태이고 주근의 일부를 대체하도록 제1 연결철근(151, 152, 153) 및 제2 연결철근(154, 155)을 사용하여 케이지(110)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철근의 피복두께에 유사하게 연결철근(151 내지 155)과 경량볼 모듈(160) 상호 간의 거리(철근의 내부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단위가이드(130) 및 제2 단위가이드(140)의 상단부 폭을 조절하여 경량볼 모듈(16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철근의 내부 피복두께를 조정하도록 한다.Hollow slab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rst hollow reinforcing bar 151, 152, 153 and second connecting bars (154, 155) so that the interior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hollow hollow and replace a part of the main rod Since the cage 110 is configured using the sam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inner coating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 between the connecting bars 151 to 155 and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similarly to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ebar. It is. To this en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irst unit guide 130 and the second unit guide 140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to adjust the inner coating thickness of the rebar.

본 실시예의 중공 슬라브 유닛(100)은 다수의 경량볼(170, 180, 191 내지 194)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량볼 모듈(160)과, 경량볼 모듈(160)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110)를 포함하여 경량볼 모듈(160)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키며 슬라브 시공에 필요한 주근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중공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Hollow slab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g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weight balls (170, 180, 191 to 19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is coupled to the relative movement Including the 110, not only can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ball module 160, but also to buffer the buoyancy due to the concrete placement and to omit a part of the main root required for the slab construction by high-quality hollow slab It can be constructed an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air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substantial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중공 슬라브 유닛 110 : 케이지
120 : 가이드부 130 : 제1 단위가이드
140 : 제2 단위가이드 150 : 연결철근
160 : 경량볼 모듈 170 : 제1 경량볼
180 : 제2 경량볼 C : 연결부
100: hollow slab unit 110: cage
120: guide unit 130: first unit guide
140: second unit guide 150: connecting rebar
160: lightweight ball module 170: first lightweight ball
180: second lightweight ball C: connection portion

Claims (11)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1 단위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단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되 슬라브를 구성하는 주근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케이지; 및
상기 제1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경량볼과, 상기 제2 단위가이드에 대하여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경량볼과,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량볼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위가이드는,
상기 제1 경량볼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경량볼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경량볼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슬라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이 각각 상기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2 단위가이드를 따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A plurality of guide parts including a first unit guide and a second unit gu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gu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terconnecting the guide parts to replace a part of the main root forming the slab; Cage including a connecting reinforcement provided to be able to; And
A first lightweight ball coupled to the first unit guide in a relative motion, a second lightweight ball coupled to the second unit guide in a relative movement, and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It is provided with a lightweight ball module including a connection for connecting integrally,
The first unit guide,
A first frame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 second frame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A third frame member to be connected,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e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e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member,
The first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rame member is inclined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as to determine a limit of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lightweight ball can rise the first when placing concrete for slab construction. Hollow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 ball is moved upward along the first unit guide and the second unit guide respectively to buffer the buoyancy due to the concrete plac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에는 각각, 상기 제1 단위가이드 및 상기 제2 단위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삽입홈이 좌우측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을 함께 성형할 때 언더컷(Undercut)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홈; 및
상기 경사홈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respectively, a pair of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first unit guide and the second unit guide is recessed from the left and right surfaces, respectively,
The insertion groove may prevent an undercut portion from being formed when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re molded together through blow molding.
An inclined groov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nd
Hollow slab unit comprising a vertical groov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은 각각,
둘레를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챔퍼링(Chamfering)되는 제1 챔퍼링부;
상기 제1 챔퍼링부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체적증가부; 및
상기 체적증가부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챔퍼링부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챔퍼링되는 제2 챔퍼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respectively
A first chamfering portion chamfer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along the circumference;
A volume increas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hamfering part; And
And a second chamfer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volume increasing portion and chamfered to have a curvature greater than a curvature of the first chamfering portion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량볼 및 상기 제2 경량볼은 각각,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지점에 인접한 일정 영역이 표면으로부터 곡면을 이루며 함몰형성되는 곡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lightweight ball and the second lightweight ball, the hollow slab unit further comprises a curved portion formed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from the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가이드는,
상기 제2 경량볼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제4 프레임부재;
상기 제2 경량볼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제5 프레임부재;
상기 제3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4 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6 프레임부재;
상기 제4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3 플랜지부; 및
상기 제5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4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5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2 경량볼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unit guide,
A fourth frame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 fifth frame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ghtweight ball;
A sixth frame membe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member and an upper end of the fourth frame member;
A third flange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member; And
It includes a fourth flange portion which is ben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fth frame member,
And the fourth frame member and the fifth frame member are inclined to be narrow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as to determine a limit of the height at which the second lightweight ball can ri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제5 플랜지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제1 플랜지부, 상기 제5 플랜지부 및 상기 제4 플랜지부의 하측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3개의 제1 연결철근; 및
상기 제3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6 프레임부재의 상측에 등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라브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the third flange portion are interconnected to form a fifth flange portion,
The connecting rebar,
Three first connecting bars respective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below the first flange portion, the fifth flange portion, and the fourth flange portion; And
Hollow slab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seco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frame member and the sixth fram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63299A 2011-06-28 2011-06-28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39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299A KR101339470B1 (en) 2011-06-28 2011-06-28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299A KR101339470B1 (en) 2011-06-28 2011-06-28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23A KR20130002223A (en) 2013-01-07
KR101339470B1 true KR101339470B1 (en) 2013-12-10

Family

ID=4783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2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9470B1 (en) 2011-06-28 2011-06-28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4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04Y1 (en) 2014-01-28 2015-09-08 (주)윈하이텍 Rise preventing device of hollow materials for hollow core slab
KR20190054139A (en) * 2016-09-28 2019-05-21 헤인츠 그루페 베르발퉁스 게임베하 Production of concrete ceilings, concrete ceilings and kits and concrete ceil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21B1 (en) * 2013-06-10 2013-10-16 (주)광장구조기술사사무소 The hollow core slab structure using the multi functional rai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914667A (en) * 2019-03-21 2019-06-21 中北大学 A kind of superimposed prefabricated hollow floor slab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5583A (en) 2003-03-19 2004-10-14 Sekisui Plastics Co Lt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hollow concrete slab
KR100899339B1 (en) 2008-06-05 2009-05-26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Open spacer embedded in slab
KR20100065245A (en) * 2010-02-05 2010-06-16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2-way light weight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5583A (en) 2003-03-19 2004-10-14 Sekisui Plastics Co Lt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hollow concrete slab
KR100899339B1 (en) 2008-06-05 2009-05-26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Open spacer embedded in slab
KR20100065245A (en) * 2010-02-05 2010-06-16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2-way light weight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04Y1 (en) 2014-01-28 2015-09-08 (주)윈하이텍 Rise preventing device of hollow materials for hollow core slab
KR20190054139A (en) * 2016-09-28 2019-05-21 헤인츠 그루페 베르발퉁스 게임베하 Production of concrete ceilings, concrete ceilings and kits and concrete ceilings
KR102381670B1 (en) * 2016-09-28 2022-03-31 헤인츠 그루페 베르발퉁스 게임베하 Concrete ceilings, kits for producing concrete ceiling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crete ceil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23A (en)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2863B (en) Light guide assembly for structures and building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3097016U (en) Assembled-type concrete frame shear wall structure
KR101339470B1 (en) Void slab unit and voi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2926469A (en) Cast-in-situ heat-insulating beam, column and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10043943A (en) Donut shaped hollow body, 2-way hollow slab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765334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its connection part being concealed by coupled ribs and, precast concrete slab used therefor
KR101601630B1 (en) Hollow Core Insulation Deck Plate with Light Weight Body
KR20120053219A (en) Hollow core slab structure using air ball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82651B1 (en) Deck module with non-welding fixing type frame pannel for composit structure and composition slab using the deck module
KR20100065245A (en) 2-way light weight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KR101590180B1 (en)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lightweight body and ribs provided with wid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same
CN103603452B (en) Assembly type profile of tooth laminated floor slab
KR20130090664A (en) Method for reinforcing hollow core slab and hollow core slab thereof
KR20140110491A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216632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foam block structure
KR101027973B1 (en) Foam block structure for wall pouring
JP5832053B1 (en) Formwork structure for earthquake resistant wall
KR101124820B1 (en) Combination Structure
JP5943531B1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JP2006214212A (en) Floor slab construction method and formwork panel
KR20100128152A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integrity of beam-slab joint in double tee slab system
KR101220705B1 (en) Void slab unit and method for void slab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147530B1 (en) Void slab unit and method for void slab construction using the same
JP2005282010A (en) Concrete void slab
KR101601629B1 (en) Hollow Core Deck Plate with Light Weight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