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929B1 -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 Google Patents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2929B1 KR101332929B1 KR1020120002363A KR20120002363A KR101332929B1 KR 101332929 B1 KR101332929 B1 KR 101332929B1 KR 1020120002363 A KR1020120002363 A KR 1020120002363A KR 20120002363 A KR20120002363 A KR 20120002363A KR 101332929 B1 KR101332929 B1 KR 101332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gripping
- holding
- formwork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나 천장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푸집이 상하좌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체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즉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을 형성한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의 파지홀로 관통하는 파지볼트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 한쪽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한쪽의 파지판이 힌지부에 의해 다른 쪽의 파지판 방향으로 힌지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볼록형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을 형성한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의 파지홀로 관통하는 파지볼트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 중앙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양측 파지판이 상대 파지판 방향으로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되, 연결고정구의 파지판 내면 하부에 요철을 형성하고 파지판과 지지판의 외면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formwork to create a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to be quickly and easi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to maintain a solid assembly state as well as to quickly and easily disassemble the formwork for concrete The connection fixture of the
Support plate; A hold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holding hole thereon; A holding plate configured to hold a gripping bolt penetrating into the holding hole of the holding plate, the hinge plate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such that one holding plate is hing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holding plate by the hinge portion; A hold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holding hole thereon; Consists of a gripping bolt penetrating into the gripping hole of the gripping plate, forming a hinge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to configure the two gripping plate hinged in the direction of the gripping plate to form a connection fixture, irregularities i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ping plate of the connection fixture Forming and to form one or more force rib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나 천장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푸집이 상하좌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체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fixture of concrete casting form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to form a fast and easy connection to a plurality of formwork to maintain a solid assembly stat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fixture of concrete pouring formwork to be quickly and easily dismantled.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양측 거푸집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되 테두리에 연결프레임을 부착시킨 다수개의 거푸집을 구비하여 거푸집끼리 좌우로 맞댄 다음 연결프레임을 서로 볼트나 못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연결고정하는 수단으로 하여 거푸집이 서로 연결고정하여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평면을 이루도록 연결조립하여 거푸집 간의 유격으로 인한 양생시킨 콘크리트의 표면에 발생하는 요철부위를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양생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build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work, cast concrete mortar with both side mold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ve a plurality of formwork with a connecting frame attached to the rim so that the formwork is plac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n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fastening the separate fixtures such as bolts or nails to each other, the formwork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formwork, and to assemble the connection to form a plane to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due to the play between the formwork Minimizes irregularities that occur to prevent concrete curing failure.
최근에는 콘크리트벽체나 천장을 양생시킨 다음 표면에 미장이나 별도의 마감 없이 콘크리트 표면 그대로를 인테리어로 사용하는 누드벽체를 유지하는 건물이 많아짐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시에 형성되는 표면의 형상이 더욱 중요함에 따라 거푸집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과제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buildings that maintain concrete walls or ceilings and then maintain nude walls using the concrete surface as interior without plastering or additional finishing on the surface, the shape of the surface formed during concrete curing becomes more important. The narrowing of gaps between formwork is becoming an important task.
특히 단층건물과 같이 좁은 면적이나 벽체가 얇은 건물일 경우 건축비용을 낮추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거푸집을 목재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설치하고 해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area or a thin walled building such as a single-story building, it would be desirable to form the formwork with wood to quickly install and dismantle as need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respond quickly.
이때, 목재로 된 거푸집의 연결프레임을 서로 밀착시켜 연결고정하기 위하여 주로 고정 못으로 연결고정하거나 연결프레임에 별도의 체결공간을 형성하여 체결나사로 나사체결하고 있으므로 목재로 된 연결프레임이 손상되어 거푸집의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losely connect the connecting frames of wooden formwork to each other and fasten them, they are fixed by connecting nails or by forming a separate fastening space in the connecting frame and screwing them with fastening screw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cycle.
즉 고정 못으로 연결고정할 경우 각각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하나의 고정 못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하는 작업을 거쳐야 함은 물론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고정한 각각의 고정 못을 하나 둘 순차적으로 뽑아 내야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거푸집의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외주 연으로 구성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다수의 보조프레임으로 인해 해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나사못으로 인해 손상된 연결프레임의 응력이 약해지게 되는 구체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fixing the fixing nails,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constituting each formwork must be fixed by the worker with one fixing nail, and of course, when dismantling the form after curing the concrete, each fixing nail fixed Of both the frame and the outer frame to protect the formwork's panel, and the dismantling work is not easy due to the large number of auxiliary frames. The specific problem of weakening occurs.
또한, 체결나사로 거푸집을 연결고정할 경우 연결프레임에 형성한 체결공간에 결합나사를 끼운 다음 양측 연결프레임을 결착하여 나사체결 하여 거푸집끼리 연결조립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이는 서로 연결하는 거푸집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고자할수록 체결공간을 많이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별도의 작업이 소요됨은 물론 위해 외주 연으로 구성하는 연결프레임 내부로 다수의 보조프레임으로 인해 해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체결나사의 분실이나 변형으로 연결고정작업과 해체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구체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fastening the formwork with the fastening screw, the coupling screw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formed i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n the connecting frames are fastened by screwing the connecting frames on both sides. As more fastening spaces have to be formed, separate work is required to form the fastening spaces, as well as the dismantling work is not easy due to the large number of auxiliary frames inside the connecting frame composed of outer periphery. As a result, specific problems with difficulties in connection fixing and dismantling work will occur.
이와 같이 종래의 연결수단으로 다수의 거푸집을 연결고정하고 해체하는 작업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에 직접적인 손상을 가하게 되므로 목재로 된 거푸집의 재활용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음에도 거푸집을 생산하는 생산업체에서나 이를 취급하고 사용하는 시공업체에서는 이를 해결할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As described above, fixing and dismantling a plurality of formwork by means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means directly damages the connecting frame constituting the formwork, thereby reducing the recycling efficiency of wooden formwork. Construction companies that handle and use it have not been able to suggest a way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나사의 잠김과 풀림 작업만으로도 일정거리를 힌지작동하는 파지판이 구성된 연결고정구를 구성함으로써, 목재로 구성되는 다수의 거푸집을 서로 연결고정하도록 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거푸집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a connection fixture consisting of a gripping plate that hinges a certain distance only by the locking and loosening operation of the screw, so as to connect and secure a plurality of formwork consisting of wood It provides a fastening and connection process for concrete casting formwork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of its durability that allows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ormwork safely and quickly without damaging the formwork.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을 형성한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의 파지홀로 관통하는 파지볼트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 한쪽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한쪽의 파지판이 힌지부에 의해 다른 쪽의 파지판 방향으로 힌지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볼록형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을 형성한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의 파지홀로 관통하는 파지볼트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 중앙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양측 파지판이 상대 파지판 방향으로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support plate; A hold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holding hole thereon; A holding plate configured to hold a gripping bolt penetrating into the holding hole of the holding plate, the hinge plate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such that one holding plate is hing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holding plate by the hinge portion; A hold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holding hole thereon; Consists of a gripping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gripping plate of the gripping plate, by forming a hinge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to form a connecting fixture by the two gripping plate is configured to hinge in the direction of the relative gripping plate.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연결고정구의 파지판 내면 하부에 요철을 형성하고 파지판과 지지판의 외면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preferable to form irregulariti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to form one or more force rib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는 거푸집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작업만으로도 개별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거푸집을 서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밀착하여 연결하도록 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이 완성된 후 해체작업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건축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거푸집 설치로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은 유용한 발명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fixture of the concrete casting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 and accurate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ormwork of the individual construction only by quickly and easily detachable work without damaging the formwork, as well as concrete casting After this is completed, the dismantling work can also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grea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time for the formwork for concrete placement,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preventing the accidents caused by the formwork installation.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done.
또한, 연결 고정구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건설업계에서 널리 사용될 것이 명확한 다양한 이점이 있은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많고 큰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tur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has a variety of advantages that are clearly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lot of expectations and a larg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거푸집의 전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거푸집의 측면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거푸집을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거푸집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use state showing the front of the formwork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use state showing the side of the formwork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fixing the formwork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7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우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21)을 형성한 복수의 파지판(20)과; 상기 파지판(20)의 파지홀(21)로 관통하는 파지볼트(40)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10) 한쪽 측면 부와 한쪽의 파지판(20) 상부에 힌지부(30)를 형성하고 지지판(10)의 다른 쪽 측면 부와 다른 쪽의 파지판(20) 상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한쪽의 파지판(20)이 힌지부(30)에 의해 다른 쪽의 파지판(20) 방향으로 힌지작동하도록 하는 연결고정구(1)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6,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힌지부(30)는 지지판(10) 한쪽 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파지판(20)의 상부 측변을 따라서 원통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홀더(32)를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홀더(32) 내부에 중심축(31)을 관통하여 지지판(10)과 파지판(20)이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각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힌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파지홀(21)은 대칭으로 구성되는 파지판(20)의 상부 측 중심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작동의 원활성을 위해 상하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뿐만 아니라 상기 파지볼트(40)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한쪽에 볼트머리(42)가 있는 통상의 전나사 볼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파지볼트(40)의 끝단부터 한쪽의 파지판(20) 외부에서 각각의 파지홀(21)로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다른 쪽으로 돌출된 파지볼트(40)의 끝단 부에 너트(41)를 체결하여 파지판(20) 외부에 볼트머리(42)와 너트(41)가 구성되도록 하여 너트(41)의 체결상태 즉 볼트머리(42)와 너트(41)의 간격에 따라 파지판(20)의 하부 끝단이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하여 넓혀지거나 좁아지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때, 각각의 파지판(20) 외부 면과 너트(41)와 볼트머리(42) 사이에 와셔(43)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파지볼트(40)와 너트(41)의 조임 효과가 좋아짐은 물론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파지판(20)의 굽힘이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한 것이다.
At this time, by having a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연결고정구(1)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성하는 것으로서 우선, 연결고정구(1)의 파지판(20) 내부면 하부에 요철(22)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연결고정구(1)의 파지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It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nnecting
즉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 인접한 각각의 거푸집(2) 연결프레임(4)의 내측 면에 파지판(20)의 요철(22) 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파지볼트(40)와 너트(41)를 나사 체결하여 볼트머리(42)와 너트(41)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면 대칭으로 구성되는 파지판(20)의 간격이 힌지부(30)의 힌지작용에 의해 좁아지면서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인접한 거푸집(2)의 패널(3) 테두리에 구성된 연결프레임(4)의 내면에 파지판(20)의 요철(22)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결프레임(4)이 연결고정구(1)의 중심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각각의 거푸집(2)이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파지판(20)의 요철(22)이 연결프레임(4)의 접촉 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고정구(1)가 연결프레임(4)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파지효율을 높이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6, the
또한, 연결고정구(1)에 의해 서로 밀착된 각각의 거푸집(2)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나사체결된 파지볼트(40)와 너트(41)를 풀어서 볼트머리(42)와 너트(41)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면 대칭으로 구성되는 파지판(20)의 간격 또한 넓어지면서 파지판(20)의 요철(22)면이 연결프레임(4)의 내부 면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연결고정구(1)를 거푸집(2)에서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각각의 거푸집(2)이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거푸집(2)의 해체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disassemble the respective formwork (2)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ixing fixture (1) by loosening the
뿐만 아니라 파지판(20)과 지지판(10)의 외면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3)을 형성함으로써, 판 형태로 형성한 파지판(20)과 지지판(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한 휨이나 굽힘을 힘살(23)의 힘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one or
이때, 연결고정구(1)의 작용에 의한 기능으로 볼 때, 힘살(23)의 형상 방향은 힌지부(30)의 중심축(31)과 직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viewed as a function of the action of the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1)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거푸집(2)이 서로 밀착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를 이용하여 장착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으며, 거푸집(2)의 패널(3) 넓이에 따라 그 사용 수량을 달리하는 것으로 장착하는 위치는 패널(3)의 휨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보조프레임(5)이나 거푸집(2) 자체의 휨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지프레임(6)의 위치와 형상에 따라 장착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1)의 탈부착 작업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The
또한,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21)을 형성한 파지판(20)과; 상기 파지판(20)의 파지홀(21)로 관통하는 파지볼트(40)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10) 중앙에 힌지부(30)를 형성하여 양측 파지판(20)이 상대 파지판(20) 방향으로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칭으로 구성한 파지판(20)의 힌지작용이 지지판(10)의 중심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지판(20)에 가해지는 파지 힘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지 되는 연결프레임(4)에 가해지는 압력이 동일해 지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목적에 근접해지도록 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사이즈와 형상 및 모양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재질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두루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목재로 형성되는 거푸집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용이하여 적은 규모의 건축공사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되어 건축공사의 시간 단축과 안전사고 방지에도 일조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는 발명임을 알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applied to concrete pouring formwork of various materials, each composed of different size, shape, and shape. Especially, it is easy to apply to formwork made of wood, so it can be used quickly and easily for small scale construction work. It can be seen that the invention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us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and prevent accidents.
1: 연결고정구 2: 거푸집
3: 패널 4: 연결프레임
5: 보조프레임 6: 지지프레임
10: 지지판 20: 파지판
21: 파지홀 22: 요철
23: 힘살 30: 힌지부
31: 중심축 32: 홀더
40: 파지볼트 41: 너트
42: 볼트머리 43: 와셔 1: connecting fixture 2: formwork
3: panel 4: connecting frame
5: auxiliary frame 6: support frame
10: support plate 20: gripping plate
21: holding hole 22: irregularities
23: Strength 30: Hinge
31: central axis 32: holder
40: grip bolt 41: nut
42: bolt head 43: washer
Claims (4)
상기 지지판(1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지홀(21)과 내부면 하부에 는 요철(22)을 형성한 복수의 파지판(20)과;
상기 파지판(20)과 지지판(10)의 외면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3)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판(20)의 파지홀(21)로 관통하는 파지볼트(40)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10)의 한쪽 측면 부와 한쪽의 파지판(20) 상부에 힌지부(30)를 형성하고 지지판(10)의 다른 쪽 측면 부와 다른 쪽의 파지판(20) 상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한쪽의 파지판(20)이 힌지부(30)에 의해 다른 쪽의 파지판(20) 방향으로 힌지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A support plate 10;
A plurality of holding plates (2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0) and having a holding hole (2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unevenness (22) at a lower portion of an inner surface thereof;
One or more force ribs 23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gripping plate 20 and the supporting plate 10, and the gripping bolt 40 penetrates into the gripping hole 21 of the gripping plate 20, wherein the support plate The hinge part 30 is formed on one side part of the side 10 and the upper part of one holding plate 20, and the other side part of the supporting plate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other holding plate 20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connection fixture of the concrete pour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gripping plate 20 is configured to hing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gripping plate 20 by the hinge portion (3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2363A KR101332929B1 (en) | 2012-01-09 | 2012-01-09 |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2363A KR101332929B1 (en) | 2012-01-09 | 2012-01-09 |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81410A KR20130081410A (en) | 2013-07-17 |
| KR101332929B1 true KR101332929B1 (en) | 2013-11-26 |
Family
ID=489931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2363A Active KR101332929B1 (en) | 2012-01-09 | 2012-01-09 |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329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098444B (en) * | 2018-08-16 | 2020-10-16 | 江苏省苏中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building template |
| CN109610808B (en) * | 2018-11-11 | 2021-04-23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High-rise building aluminum formwork combined structure |
| US20220370322A1 (en) | 2019-12-30 | 2022-11-24 | Athena Co., Ltd. | Uv blocking composition comprising red algae-derived floridoside and amine group-containing compound |
| CN111155761A (en) * | 2020-01-22 | 2020-05-15 | 广东亚旺模架技术有限公司 | Clamping aluminum alloy building formwork syste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64100Y1 (en) * | 1999-07-13 | 2000-02-15 | 이승완 | Clamper for combinning molds |
| KR20110117563A (en) * | 2010-04-21 | 2011-10-27 | (주)블루폼 | Panel Joining Clamp and Panel Joining Method Using The Same |
-
2012
- 2012-01-09 KR KR1020120002363A patent/KR1013329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64100Y1 (en) * | 1999-07-13 | 2000-02-15 | 이승완 | Clamper for combinning molds |
| KR20110117563A (en) * | 2010-04-21 | 2011-10-27 | (주)블루폼 | Panel Joining Clamp and Panel Joining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81410A (en) | 2013-07-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52218B1 (en) | Exterior wall construction device of building | |
| KR100989771B1 (en) | Railing support | |
| US8844224B2 (en) | Utility dowel bracket | |
| KR101332929B1 (en) | Connection device of concrete side a mold | |
| KR100924652B1 (en) | Formwork panel for construction using honeycomb member | |
| TWM556760U (en) | Sealing structure for the bottom of a beam space between precast panels | |
| KR20080084130A (en) | Coupling Structure of Slab Construction Deck | |
| KR100788742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to finish narrow space | |
| KR20170022728A (en) | Spacing apparatus for fixing the formwork and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
| KR200436781Y1 (en) | Fixed band for pillar formwork. | |
| KR20110067665A (en)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 |
| KR20070027432A (en) | Binding holes for fixing reinforcing bar assemblies, formwork and ceiling panels with fastening pins | |
| KR100693374B1 (en) | Ceiling panel insert | |
| KR20100128473A (en) | Outer-wall construction apparatus for building | |
| KR101712851B1 (en) |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 |
| KR20160126551A (en) | The concrete placing device for preventing of cracks and rust | |
| KR20110035576A (en) | Insulation fixture | |
| KR20180089808A (en) | Framework for wall end | |
| KR200254795Y1 (en) | Form tie device | |
| KR100737995B1 (en) | Insert for installing ceiling finishes | |
| KR200226711Y1 (en) | Devic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
| KR20130076845A (en) | Hybrid assembly and the used wall construction method | |
| KR200163444Y1 (en) | Device for horizontal support bar of a mold | |
| KR200441943Y1 (en) | Slab formwork panels | |
| KR100540641B1 (en) | Formwork fastening device for concrete pour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