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47B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7847B1 KR101347847B1 KR1020130050171A KR20130050171A KR101347847B1 KR 101347847 B1 KR101347847 B1 KR 101347847B1 KR 1020130050171 A KR1020130050171 A KR 1020130050171A KR 20130050171 A KR20130050171 A KR 20130050171A KR 101347847 B1 KR101347847 B1 KR 101347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everage
- buoy
- receiving portion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a recess on their external surface for accommodating a small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용기 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주용기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내부가 빈 부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부용기는 주용기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는 주용기와 부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키는 투입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various beverages are stored, and in particular, various beverages can be stored at the same time, and a space is formed in the container so that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stored beverage can be accommodated. A container is formed in the main container, and an empty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coupl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maintains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t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material for improving / receiv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음료가 저장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음료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과 실용성이 증대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various beverages are stored, and in particular,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for various beverages, and to maintain /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stored beverages. will be.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과일음료, 물 등의 음료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담겨진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료용기는 알루미늄,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캔 또는 병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판매된 음료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제조한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음료용기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Generally, beverages such as carbonated beverages, fruit drinks, water, etc. are sold to consumers in various types of containers, and cans or bottles made of aluminum, glass, etc. are used. In addition, a beverage container for storing a beverage currently sold separately or a beverage manufactured by a user is also commercially available.
그러나, 상기의 음료용기는 통상적으로 한가지 음료만을 저장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다양한 음료를 음용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가지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음료용기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87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제안되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abl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to drink a variety of beverages are typically to be able to store only one bever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two kinds of beverages at the same time is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48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ing invention').
상기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가 병목 개구부(2a,2b)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분리판(7)에 의해 공간(1a,1b)이 구분되어 있어 두 가지 종류의 음료가 섞이지 않고 저장된다. In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인용발명은 단지 두 가지 종류의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각 공간(1a,1b)에 저장된 음료가 그 성질에 맞도록 유지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음료가 탄산음료와 같이 냉장보관을 요하는 것일 경우 상기 음료용기를 냉장고 등에 보관하여야 하며, 상온에 음료가 저장된 음료용기를 놔두는 경우 저장된 음료의 온도는 상온과 동일하게 되어 상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온장보관을 요하는 음료인 경우 상기 인용발명에 음료를 담는 것 자체만으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toring only two kinds of beverag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verages stored in the
이와 더불어, 최근 건강을 중요시 여기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바 음료의 성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consumers who value health in recent years, and there is a need for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용기 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store a variety of beverages at the same time, the object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is formed a space that can maintain /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stored beverage There is th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음료용기는 내부가 빈 주용기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내부가 빈 부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부용기는 주용기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는 주용기와 부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키는 투입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main container is empty,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empty container, the container is coupl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main container and In the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material for maintaining /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container and the auxiliary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용기와 부용기로 나뉘어져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부용기가 주용기에 결합되므로 하나의 용기로 운반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용기가 주용기에 결합됨으로 인해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투입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재로 인해 상기 주용기와 부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main container and a secondary container can store two or more beverages at the same time, and because the secondary contain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can be carried in one container can achieve the effect. In particular, the airtigh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to form a closed space to accommodate the input material, and the input material may maintain or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container and the auxiliary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의 또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에 적용되는 주용기가 다수의 용기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에 주머니가 더 포함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container applied to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ag in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용기 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주용기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내부가 빈 부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부용기는 주용기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는 주용기와 부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키는 투입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beverages can be stored at the same time, a space is formed in the container to accommodate a material that can maintain /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stored beverage, the container is formed in the empty container,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The empty container is inserted, the beverage container is coupled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in container and the bever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nput material for maintaining /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Suggest courag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음료용기는 첨부된 도면 2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to 10.
본 발명인 음료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음료가 저장되는 주용기(100)와, 상기 주용기(100)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 음료가 저장되는 부용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 각기 다른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용기(100)는 외형이 사각통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부용기(100)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100)에는 상기 음료가 유출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를 밀폐시키는 마개가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주용기(100)에는 부용기(200)가 결합되도록 수용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각기 다른 음료가 담긴 주용기(100)와 부용기(200)를 하나의 용기처럼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다. The
상기 수용부(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용기(1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주용기(100)의 종단면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상기 부용기(200)는 수용부(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길이가 상기 수용부(110)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결합시 상기 주용기(100)와의 사이에 공간(A)이 형성된다.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는 물, 탄산음료, 주류, 커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저장되며, 상기 공간(A)에는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투입재(10)가 수용된다. The
상기 투입재(10)는 저장된 음료가 냉동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드라이아이스, 보냉팩 등이 될 수 있으며, 저장된 음료가 보온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온팩과 같이 열을 발산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재(10)로 음이온 발생물질 등이 사용되어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 저장된 음료를 더욱 몸에 이롭도록 만들 수 있다. The
이러한 투입재(10)는 앞서 설명한 예를 포함하여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며, 직접 수용부(110) 내에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재(10)의 종류에 따라 밀봉팩 등과 같은 밀폐된 용기에 담긴 후 수용될 수 있다. 밀봉팩 등의 내부에 상기 투입재(10)가 구비됨으로써 투입재(1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공간(A)의 크기는 상기 부용기(200)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부용기(200)가 수용부(110)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용기(200)가 수용부(110)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부용기(200)의 외측면이 상기 수용부(110)와 맞닿으며 삽입되므로 상기 공간(A)이 완전히 밀폐된다. The size of the space (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용기(200)와 수용부(110)간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이 부용기(200)가 수용부(110)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지 않고, 상기 부용기(200)가 수용부(11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수용부(110)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용기(200)와 수용부(110)간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는 돌기와 홈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부(110)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용기(200)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용부(110)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용기(200)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또한,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용기(200)의 상단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부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부용기(200)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수용부(110)에 형성된 돌기에 얹혀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미세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부용기(200)의 상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탄성돌기(230)가 형성된 구조를 결합구조의 일 예로 채택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icro-projections 111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이러한 경우 상기 부용기(200)가 수용부(110)에 삽입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부용기(200)의 삽입시 탄성돌기(230)는 미세돌기(111)에 의해 걸림이 발생되며, 이때 상기 부용기(2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돌기(230)는 미세돌기(111)를 지나 억지끼워지게 되어 상기 공간(A)이 완전히 밀폐된다. In this case, when looking a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또한, 상기 수용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용기(20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내측을 향해 안착턱(112)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부용기(200)가 주용기(100)와 맞닿을 정도로 내려가 상기 공간(A)이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as shown in Figure 3, the
이렇게 상기 수용부(110)에 결합된 부용기(200)는 분리시에도 탄성돌기(230)가 미세돌기(111)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부용기(200)를 일정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겨야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A) 내에 수용되어 있는 투입재(10)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밀성이 보장됨은 물론, 운반시 부주의로 인해 상기 부용기(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이때 상기 부용기(20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0)가 형성되어, 상기 부용기(200)를 보다 손쉽게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210)는 핀고리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용기(200)의 너비는 수용부(110)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용기(200)의 외측면과 수용부(11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맞닿으며 나사결합될 수 있다. 앞서 돌기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부(110)에 안착턱(112)이 형성되어 상기 부용기(200)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나,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가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안착턱(112)이 없어도 무관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중 부용기(200)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공간(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상기 공간(A)은 부용기(2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용기(200)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수용부(110)까지 돌려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공간(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thread A does not have to be formed in the space A formed by the coupling of the
또한, 상기 부용기(200)는 수용부(110)에 나사산을 따라 돌려 끼워져 결합되므로, 상기 부용기(20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 회전손잡이(220)가 형성되어 상기 부용기(2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한편, 본 발명의 수용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용기(100)의 일측이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110)에 결합되는 부용기(200)는 수용부(110)가 오목하게 들어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용기(100)와 결합시 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Meanwhile, the
따라서, 상기 부용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으로 형성되어 주용기(100)와 결합시 밀폐된 공간(A)이 형성된다. Therefore, the
밀폐된 공간(A)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용기(200)는 수용부(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수용부(110)가 주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용기(200)를 보다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와 주용기(100)는 돌기와 홈구조로 결합이 가능하며, 주용기(100)의 외측면과 부용기(200)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form a closed space (A), the
본 발명인 음료용기의 주용기(100)는 다수의 용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용기(100)가 2개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용기(100)가 수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3가지의 음료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The
이러한 경우 상기 수용부(110)는 다수의 용기가 결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데, 다수의 용기 중 하나의 용기에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용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주용기(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용기는 상호 결합되는 면에 돌기와 홈구조를 이루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용기의 외측면에 별도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는바, 상기 공간(A)의 기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용기(100)에 부용기(200)가 결합되고, 상기 공간(A)에 투입재(10)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향상시키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용기(100)를 감싸는 주머니(30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투입재(10)의 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일 예로 상기 투입재(10)가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인 경우 상기 주머니(300)는 주용기(100)를 감싸 투입재(10)로부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로 전달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주머니(300)는 주용기(100)를 감싸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를 밀폐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용기(100)와 부용기(200)로 나뉘어져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부용기(200)가 주용기(100)에 결합되므로 하나의 용기로 운반이 가능한바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상기 부용기(200)가 주용기(100)에 결합됨으로 인해 밀폐된 공간(A)이 형성되어 투입재(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재(10)로 인해 상기 주용기(100)와 부용기(200)에 저장된 음료의 성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실용성이 뛰어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A : 공간 10 : 투입재
100 : 주용기 110 : 수용부
111 : 미세돌기 112 : 안착턱
200 : 부용기 210 : 손잡이
220 : 회전손잡이 230 : 탄성돌기
300 : 주머니A: space 10: input material
100: main container 110: receiving unit
111: fine protrusion 112: seating jaw
200: Bouillon 210: Handle
220: rotation handle 230: elastic projection
300: pocket
Claims (9)
상기 수용부(110)의 내경은 부용기(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부용기(200)가 삽입되었을때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A receiving portion 110 recessed in a 'U' shape is formed in the main container 100 which is empty inside, and the empty serving container 200 having an appearance of a 'U' shape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inserted, but the length of the buoy 200 is shorter than the recessed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form a space (A) between the main container 100 and the main container 100 and the buoy ( Input material 10 for maintaining /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beverage stored in 200 is accommoda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made of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uoy 200,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when the buoy 200 is inserted closely.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는 돌기와 홈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buoy 200 is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rojection and groove structure.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부용기(20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내측을 향해 안착턱(112)이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을 향해 미세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부용기(200)는 상단부에 외측을 향해 탄성돌기(230)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돌기(230)는 미세돌기(111)를 지나 억지끼워져 상기 공간(A)이 완전히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110 has a seating jaw 112 is formed toward the inner sid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uoy 200 is seated, the micro-projections 111 are formed toward the inner side at the top,
The buoy 200 is form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230 toward the outside at the upper end,
The elastic protrusion 230 is inserted through the fine protrusions 111,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A) is completely sealed.
상기 부용기(200)는 상면에 손잡이(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 200 is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수용부(110)와 부용기(2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110 and the beverage container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is formed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수용부(110)는 주용기(100)의 일측이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고, 상기 부용기(200)는 수용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주용기(100)와 결합시 공간(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container 100 is concave,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conca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eiving unit 110 when combined with the main container 100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상기 주용기(100)는 내부가 빈 다수의 용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용기가 결합되는 지점에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main container 100 is made of a plurality of empty container is coupled to the insid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re coupled.
상기 투입재(10)는 밀봉팩 내에 구비되고, 상기 공간(A)에 밀봉팩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material (10) is provided in a sealing pack,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ack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A).
상기 주용기(100)를 감싸는 주머니(3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The method of claim 1,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g 300 surrounding the main container (100).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0171A KR101347847B1 (en) | 2013-05-03 | 2013-05-03 | Beverage container |
| PCT/KR2014/003149 WO2014178549A1 (en) | 2013-05-03 | 2014-04-11 | Beverag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0171A KR101347847B1 (en) | 2013-05-03 | 2013-05-03 | Beverage contai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47847B1 true KR101347847B1 (en) | 2014-01-09 |
Family
ID=501445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01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7847B1 (en) | 2013-05-03 | 2013-05-03 | Beverage containe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47847B1 (en) |
| WO (1) | WO2014178549A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87472A (en) * | 2006-02-23 | 2007-08-28 | 정승찬 | Internal and external removable packaging |
| KR20100009239A (en) * | 2008-07-18 | 2010-01-27 | 김주일 | Beverage vessel set |
| KR101187880B1 (en) * | 2012-06-01 | 2012-10-08 | 남동문 | Heat insulation container with built-in pack |
| KR20120126556A (en) * | 2011-05-12 | 2012-11-21 | 김현순 | Handle for Packaging Box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120662A (en) * | 2011-04-25 | 2012-11-02 | 박선호 | A cooling case for liquor and drink |
-
2013
- 2013-05-03 KR KR1020130050171A patent/KR1013478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4-11 WO PCT/KR2014/003149 patent/WO20141785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87472A (en) * | 2006-02-23 | 2007-08-28 | 정승찬 | Internal and external removable packaging |
| KR20100009239A (en) * | 2008-07-18 | 2010-01-27 | 김주일 | Beverage vessel set |
| KR20120126556A (en) * | 2011-05-12 | 2012-11-21 | 김현순 | Handle for Packaging Box |
| KR101187880B1 (en) * | 2012-06-01 | 2012-10-08 | 남동문 | Heat insulation container with built-in pack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178549A1 (en)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71285B2 (en) |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 US9022252B2 (en) | Insulating holder with elastomer foam material | |
| JP2013533174A (en) | Liquid container | |
| JP5059979B1 (en) | Variable capacity container | |
| US20160362225A1 (en) | Connectible container | |
| WO2008029975A1 (en) | A cooling device | |
| KR200456968Y1 (en) | Multiple bond container | |
| KR101347847B1 (en) | Beverage container | |
| KR101376289B1 (en) | Kit for making mixture berverage | |
| KR20160015642A (en) | Multi-functional Container | |
| KR101187880B1 (en) | Heat insulation container with built-in pack | |
| US10059501B2 (en) | Penetrating bottle with high heat transfer rate | |
| KR101295227B1 (en) | A water bottle | |
| KR200463859Y1 (en) | Combinable function container | |
| KR200344346Y1 (en) | Duplex Bottle | |
| CN210433252U (en) | Novel double-layer cup mouth structure and vacuum cup with same | |
| KR101956915B1 (en) | Multi funtional plastic bottle | |
| KR200460978Y1 (en) | Water pail | |
| KR200244806Y1 (en) | cold-storage type portable beverage bucket | |
| KR20170031354A (en) | Preventing condensation beverage containers | |
| JP2001048244A (en) | Cylindrical cold-insulating tool | |
| KR20130038079A (en) | Vertically laminated liqued container | |
| KR20190057680A (en) | cooling vessel for pack type beverage | |
| KR100496630B1 (en) | beverage receptacle | |
| US20240400290A1 (en) |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