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138B1 -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 Google Patents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9138B1 KR101349138B1 KR1020120024316A KR20120024316A KR101349138B1 KR 101349138 B1 KR101349138 B1 KR 101349138B1 KR 1020120024316 A KR1020120024316 A KR 1020120024316A KR 20120024316 A KR20120024316 A KR 20120024316A KR 101349138 B1 KR101349138 B1 KR 1013491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ier
- pixels
- pixel
- type
- stereoscopic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영상 및 제 2 방향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 1 타입 픽셀과 제 2 타입 픽셀이 기 설정된 개수 단위로 반복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상기 제 1 타입 픽셀 및 상기 제 2 타입 픽셀이 수평 방향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픽셀 단위로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베리어 패턴의 구동을 제어하는 베리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 패턴의 간격은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단위의 픽셀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 detail,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 first type pixel and a second type pixel capable of displaying a first direction image and a second direction image are repeatedly arranged in predetermined number units; And a barrier pattern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modu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type pixel and the second type pixel are selectively visi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units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i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And a barri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arrier pattern, wherein the interval of the barrier pattern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해상도 영상 표시에 적합한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uitable for high resolution image display.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또는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은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함으로써 구현되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와 같이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경착용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와 비안경식 (나안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In general, a method of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or a 3D image) is implemented by illuminating different images on two eyes of a human,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es separate glasses for illuminating different images on two ey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necessary, it is divided into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non-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device.
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지만, 비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술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는 것만으로도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어 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에 의한 장치와 패럴랙스-베리어 (parallax-barrier) 방식에 의한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Spectacular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must bear the inconvenience of observer wearing special glasses, but non-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n feel stereoscopic image simply by staring at the screen without wearing the above glasses. Since the shortcomings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n be solved, many researches on this are being conducted. The non-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lenticular device and a parallax-barrier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영상 표시에 적합한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uitable for high resolution image displa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영상 및 제 2 방향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 1 타입 픽셀과 제 2 타입 픽셀이 기 설정된 개수 단위로 반복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상기 제 1 타입 픽셀 및 상기 제 2 타입 픽셀이 수평 방향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픽셀 단위로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베리어 패턴의 구동을 제어하는 베리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 패턴의 간격은,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단위의 픽셀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 first type pixel and a second type pixel capable of displaying a first direction image and a second direction image, respectively, are repeatedly arranged in a predetermined number unit; And a barrier pattern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modu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type pixel and the second type pixel are selectively visi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units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i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And a barrier modul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barrier pattern, wherein the interval of the barrier pattern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pixels in the predetermined number unit.
여기서, 상기 제 1 타입 픽셀 및 상기 제 2 타입 픽셀은 적색(R), 녹색(G), 청색(B) 광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ype pixel and the second type pixel may include subpixels that display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2개의 상기 제 1 타입 픽셀과 2개의 상기 제 2 타입 픽셀이 반복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리어 패턴은, 2개의 픽셀마다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first type pixels and the two second type pixels are arranged repeatedly, more preferably, the barrier pattern is a vertical direction every two pixel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즉,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t number is two. Further, the preset number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module.
또한, 상기 시청자의 좌안에는 상기 배리어 패턴의 간격 하나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타입 픽셀들이 입사되고, 상기 시청자의 우안에는 상기 배리어 패턴의 간격 하나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타입 픽셀들이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determined number of first type pixels are incident on the left eye of the viewer through one interval of the barrier pattern,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econd type pixels of the preset number are on the right eye of the viewer through one interval of the barrier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d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고해상도 영상 표시에 보다 적합하며 특히, 시청자에게 보다 큰 시야각을 제공하여 입체 영상 시청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uitable for displaying a high resolution image, and in particular, provides a larger viewing angle to a view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a는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1b는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 각각의 픽셀을 서브픽셀 단위로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가 2배로 증가한 경우, 각각의 픽셀을 서브픽셀 단위로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좌안을 통하여 보이는 2개의 픽셀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우안을 통하여 보이는 2개의 픽셀을 도시한다.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 barrier,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 barrier.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respectively captured by two camera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photographed using two cameras.
FIG. 4 is a front view of displaying each pixel in subpixel units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respective pixels incident to the left and right eyes are incident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of FIG. 4.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each pixel in units of subpixels when a pixel of a display module is doubl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each pixel inciden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enters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of FIG. 6.
8 is a front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parallax barr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each pixel inciden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incident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
FIG. 10 illustrates two pixels viewed through the left eye us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two pixels visible through the right eye us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around the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패럴랙스-베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parallax-barrier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 1a는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1b는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 barrier,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 barrier.
패럴랙스-베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두 눈에 각각 대응하는 수직방향(도 1b 의 Y-Y' 방향)을 향하는 좌측영상(L)과 우측영상(R)을 수평방향(도 1b에서 X-X'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한 디스플래이 모듈(10), 및 그 전단에 베리어(20; barrier)라 불리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막대 형태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L)에 해당하는 빛은 좌안으로만 입사되고, 우측영상(R)에 해당하는 빛은 우안으로만 입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베리어(20)를 배치하며, 이를 통해 분할된 2 개의 좌, 우 영상(L, R)이 분리 관측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In the parallax-barrier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left image L and the right side facing the vertical direction (YY 'direction in FIG. 1B)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And a
이하에서는 상술한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이용되는 입체 영상 컨텐츠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ereoscopic image content used in the parallax barrier method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respectively captured by two cameras.
2개의 카메라 또는 카메라 모듈은 도 2의 (1)과 같은 좌측 영상(L)과 도 2의 (2)와 같은 우측 영상(R)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영상(L)과 우측 영상(R)은 정지화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를 통한 일반적인 영상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The two cameras or camera modules may capture a left image L as shown in FIG. 2 (1) and a right image R as shown in FIG. 2 (2). As shown in FIG. 2, the left image L and the right image R may be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or may correspond to general image contents through respective cameras.
도 3은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photographed using two cameras.
구체적으로, 도 2의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은 입체 영상 생성 수단에 입력되어 각각 세로방향 열을 단위로 분할되어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합성된다. 이와 같이 공간적으로 교대로 배치된 좌우 영상은 도 1a 및 도 1b와 같은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좌안에는 좌측 영상만 보이고, 우안에는 우측 영상만이 보여 전체적으로 입체 영상으로 인지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photographed by the two cameras as shown in (1) and (2) of FIG. 2 are input to the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means and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vertical colum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ely placed and synthesized. In this way, the left and right images alternately arranged spatially are viewed as a stereoscopic image by showing only the left image in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in the right eye through the display module using the parallax barrier as shown in FIGS. 1A and 1B. .
종래의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우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각각 세로 방향 열을 단위로 분할되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합성된 입체 영상만이 사용자에게 입체 영상으로서 인지가 가능하였다. 다만,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셀 구조 패럴랙스-베리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특허출원번호 제 2005-0127631 호)에 따르면, 상술한 패럴랙스 베리어를 셀 방식으로 구현하여, 이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합성하는 경우, 합성의 방향은 어느 한 방향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입체 영상을 합성하는 방향과 이를 상영하는데 이용되는 패럴랙스 베리어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리어 방향을 조절하여 입체 영상을 상영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module, 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only a stereoscopic image synthesized by splitt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into vertical columns and arranging them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used. Recognition as stereoscopic images was possible. However, according to the "cell structure parallax barrier and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application No. 2005-0127631)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arallax barrier described above is a cell type. Therefore, in the case of synthesizing a stereoscopic image, the direction of the synthesis need not be limited to any one direction, and the synthesizing the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ing the same.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displayed by adjusting the barrier direction of the parallax barrier type display module.
한편, 종래의 TFT-LCD의 경우 R, G, B가 수형 방향으로 3 등분 되어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FT-LCD, R, G, and B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male direction and displayed.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 각각의 픽셀을 서브픽셀 단위로 표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displaying each pixel in units of a subpixel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5는 도 4의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respective pixels incident to the left and right eyes are incident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of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좌측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은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서브픽셀로 구성되고, 우측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 역시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서브픽셀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4 and 5, a pixel for displaying an image for the left side is composed of respective subpixels for displaying R, G, and B, and a pixel for displaying an image for the right side is also R, G, and B.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subpixels for display.
단, 도 4 및 도 5에서는 베리어 간 간격은 도 1a와 같이 3개의 서브픽셀로 구성된 좌안용 셀과 우안용 픽셀 각각에 대하여 시야각이 확보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베리어 간 간격은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므로, 시청자의 좌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좌측 영상(L)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고, 시청자의 우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우측 영상을(R)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다.However, in FIGS. 4 and 5, the distance between the barrier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viewing angle is secured for each of the left eye cell and the right eye pixel composed of three subpixels as shown in FIG. 1A. That is, since the inter-barrier interval corresponds to one pixel, the viewer's left eye can see the subpixels R, G, and B of the left image L through the interval, and the viewer's right eye sees the right image through the interval. The subpixels R, G, and B of (R) can be seen.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은 과거보다 2배 이상의 고화소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Meanwhil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display field, the display panel can display an image with a high pixel more than twice as high as in the past.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소가 2배로 증가한 경우, 각각의 픽셀을 서브픽셀 단위로 표시한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each pixel in units of subpixels when a pixel of a display module is doubl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7은 도 6의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each pixel inciden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enters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of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4와 마찬가지로 좌측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은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서브픽셀로 구성되고, 우측용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 역시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서브픽셀로 구성된다. 또한, 베리어 간 간격은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므로, 시청자의 좌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좌측 영상(L)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고, 시청자의 우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우측 영상(R)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다.6 and 7, as in FIG. 4, a pixel for displaying an image for the left side is composed of respective subpixels for displaying R, G, and B, and a pixel for displaying an image for the right side is also R, It consists of each subpixel for displaying G and B. In addition, since the interval between barriers corresponds to one pixel, the viewer's left eye can see the subpixels R, G, and B of the left image L through the interval, and the viewer's right eye can see the right image ( The subpixels R, G, and B of R) can be seen.
그러나, 베리어의 두께 및 간격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및 시청거리와 셀의 도트 피치에 따라 결정된다.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도 4 및 도 5와 같이 셀의 도트 피치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베리어 간 간격 역시 줄어들게 된다. 베리어 간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제품 설계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시야각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시청자가 원래 시청 위치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3D 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thickness and spacing of the barrie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viewing distance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and the dot pitch of the cell. As the resolution increases, the dot pitch of the cell is reduced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us the spacing between the barriers is also reduc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arriers is reduced, not only product design difficulties but also narrow viewing angles occur. Specifically, even if the viewer moves only slightly from the original viewing position, the 3D effect is reduc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은 R, G, B 3개의 서브픽셀로 구성되어 있고, 종래와 같이 좌측 영상용 화소와 우측 영상용 화소를 1개씩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는 경우라면, 시야각에 따라 색 변이(color shif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좌측용 영상과 우측용 영상 중 하나에서 R, G, B 3개의 서브픽셀 모두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베리어의 위치 및 간격과 시청자의 시야각에 따라 3개의 서브픽셀 중 하나 이상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색 변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one pixel is composed of three subpixels of R, G, and B, and in the case of arranging the left image pixel and the right image pixel alternately one by one as in the prior art, the color depends on the viewing angle. Color shift may occur. In other words, R, G, and B subpixels are not all visible in one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but one or more of the three subpixels may be invisible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barrier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viewer. have. In this case, color shift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6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parallax barr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 각각을 도 3과 같이 하나의 픽셀 단위로 번갈아 합성하는 것이 아닌, 복수의 픽셀 단위로 번갈아 합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synthesizing each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f FIG. 2 by one pixel unit as shown in FIG. 3, it is proposed to alternately synthesize the plurality of pixel units.
즉, 도 8의 도면과 같이 좌측 영상을 위한 픽셀(L)과 우측 영상을 위한 픽셀(R)이 하나씩 번갈아 구성되는 것이 아닌, 소정 개수의 좌측 영상을 위한 픽셀(L)들과 소정 개수의 우측 영상을 위한 픽셀(R)이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좌측 영상을 위한 픽셀(L)들과 2개의 우측 영상을 위한 픽셀(R)이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pixels L for the left image and the pixels R for the right image are not alternately configured, but the pixels L for the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images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he right images are not alternately configured. The pixels R for th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FIG.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pixels L for two left images and pixels R for two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arrang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리어 간격 역시 소정 개수의 픽셀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리어의 두께 및 간격은 하나의 픽셀의 도트 피치에 따라 결정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소정 개수의 픽셀 도트 피치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Nex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interval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and spacing of the barrie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ot pitch of one pixel,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determine 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 dot pitches.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통하여 좌안과 우안으로 입사되는 각각의 픽셀이 입사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each pixel inciden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incident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화소가 2배로 증가함에 따라 베리어 간 간격을 두 개의 픽셀에 대응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시야각의 증가를 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청자의 좌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2개 좌측 영상(L)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고, 시청자의 우안은 해당 간격을 통하여 2개 우측 영상(R)의 서브픽셀 R, G, B를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it can be seen that the viewing angle is increased by arranging the inter-barrier spacing to correspond to two pixels as the pixels are doubled. As a result, the viewer's left eye can see the subpixels R, G and B of the two left images L through the interval, and the viewer's right eye can see the subpixels R of the two right images R through the interval. You can see G, B.
또한, 2개의 좌측 영상을 위한 픽셀(L)들과 2개의 우측 영상을 위한 픽셀(R)이 번갈아 가면서 배치시킴으로써, 색 변이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color shift may be minimized by alternately arranging pixels L for two left images and pixels R for two right image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좌안을 통하여 보이는 2개의 픽셀을 도시한다. 특히, 도 10은 도 9와 같은 상황에서 시청자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한다.FIG. 10 illustrates two pixels viewed through the left eye us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0 assumes that the viewer's position moves to the left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9.
도 10을 참조하면, 시청자의 좌안은 2개의 좌측 영상 픽셀 중 첫 번째 픽셀(L1)의 G, B만을 볼 수 있고, 두 번째 좌측 영상 픽셀(L2)은 R, G, B만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과 같이 1개의 픽셀만을 좌안이 볼 수 있다면 G, B만이 입사됨에 따라 색 변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viewer's left eye can see only the G and B of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left image pixel L2 can see only the R, G and B. In this case, if only one pixel is visible to the left eye as in the prior art, color shift occurs as only G and B are incident.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2 개의 픽셀을 좌안이 볼 수 있다면, 두 번째 좌측 영상 픽셀(L2)의 R로 인하여 색 변이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첫 번째 좌측 영상 픽셀(L1)과 두 번째 좌측 영상 픽셀(L2)은 급격한 색 변화가 아닌 유사한 색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However, if two pixels are visible to the left ey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olor shift may be minimized due to R of the second left image pixel L2. This is because the first left image pixel L1 and the second left image pixel L2 generally display similar colors instead of sudden color changes.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럴랙스-베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우안을 통하여 보이는 2개의 픽셀을 도시한다. 특히, 도 11은 도 9와 같은 상황에서 시청자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한다.FIG. 11 illustrates two pixels visible through the right eye us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parallax-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1 assumes a case in which the viewer's position moves to the right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9.
도 10을 참조하면, 시청자의 좌안은 2개의 우측 영상 픽셀 중 첫 번째 픽셀(R1)의 R, G만을 볼 수 있고, 두 번째 우측 영상 픽셀(R2)은 R, G, B만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과 같이 1개의 픽셀만을 우안이 볼 수 있다면 R, G만이 입사됨에 따라 색 변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2 개의 픽셀을 우안이 볼 수 있다면, 두 번째 우측 영상 픽셀(R2)의 B로 인하여 색 변이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left eye of the viewer may see only R and G of the first pixel R1 among the two right image pixels, and the second right image pixel R2 may see only R, G and B. In this case, if only one pixel can see the right eye as in the related art, color shift occurs as only R and G are incident. However, if two pixels are visible to the right ey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olor shift may be minimized due to B of the second right image pixel R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도 상승에 따라 픽셀 도트 피치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색 변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ixel dot pitch decreases as the resolution increase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viewing angle and minimizing color shift can be provided.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베리어 모듈은 3D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베리어를 ON시키고, 2D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베리어를 OFF시키도록 설정되어 하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2D/3D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모니터 및 TV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가정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면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영상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barrier module may be set to turn on the barrier in the 3D display mode and to turn off the barrier in the 2D display mode so that on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may be used for 2D / 3D. have.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s any one of a monitor and a TV. However,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may be applied to various imaging apparatuses as long a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패럴랙스 베리어10: display module 20: parallax barrier
Claims (7)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상기 제 1 타입 픽셀 및 상기 제 2 타입 픽셀이 수평 방향에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픽셀 단위로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베리어 패턴의 구동을 제어하는 베리어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의 배리어 패턴 간격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 배치된 제1타입 픽셀들및 상기 제1타입 픽셀들과 이웃하며 2개 이상이 연속 배치된 제2타입 픽셀이 대응되며,
상기 시청자의 좌안에는 상기 배리어 패턴의 간격 하나를 통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 배치된 제 1 타입 픽셀들이 입사되고, 상기 시청자의 우안에는 상기 배리어 패턴의 간격 하나를 통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연속 배치된 제 2 타입 픽셀들이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A display module in which first type pixels and second type pixels capable of displaying the first direction image and the second direction image, respectively, are repeatedly arranged in a predetermined number unit; And
The barrier patter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modu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type pixel and the second type pixel are selectively visi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units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i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A barrier module for controlling driving,
At least one barrier type interval corresponds to first type pixels arranged at least two consecutively and a second type pixel arranged at least two consecutively adjacent to the first type pixels,
At least two first type pixels are arranged in the left eye of the viewer through one interval of the barrier pattern. And the second type pixels are incident.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 배치된 상기 제 1 타입 픽셀과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배치된 상기 제 2 타입 픽셀이 반복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t least two consecutively arranged first type pixels and at least two or more consecutively arranged second type pixels are arranged repeatedly,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베리어 패턴은,
2개의 픽셀마다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rrier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ry two pixel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t nu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modul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4316A KR101349138B1 (en) | 2012-03-09 | 2012-03-09 |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4316A KR101349138B1 (en) | 2012-03-09 | 2012-03-09 |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03019A KR20130103019A (en) | 2013-09-23 |
| KR101349138B1 true KR101349138B1 (en) | 2014-01-10 |
Family
ID=494525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24316A Active KR101349138B1 (en) | 2012-03-09 | 2012-03-09 |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491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38181B (en) * | 2014-09-11 | 2017-08-0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ual-view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ual-view display panel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06116A (en) * | 2005-07-07 | 2007-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Full parallax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2D / 3D image compatibility |
| WO2012030092A2 (en) | 2010-09-01 | 2012-03-08 |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 쓰리디 아시아 |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using a parallax barrier and having sub-cell element units |
-
2012
- 2012-03-09 KR KR1020120024316A patent/KR1013491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06116A (en) * | 2005-07-07 | 2007-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Full parallax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2D / 3D image compatibility |
| WO2012030092A2 (en) | 2010-09-01 | 2012-03-08 |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 쓰리디 아시아 |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using a parallax barrier and having sub-cell element unit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03019A (en) | 2013-09-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22975B1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 |
| KR100658545B1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picture | |
| US8711478B2 (en) | Stereoscopic display | |
| JP5351129B2 (en) | Oblique direction parallax barrier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 JP4602960B2 (en) | Display panel for 3D video display device and 3D video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US10045013B2 (en) | Pixel array,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 US8553074B2 (en) | Auto stereoscopic display improving brightness | |
| CN102169236B (en) | Odd-viewpoint, free and stereo sub-pixel arranging method based on vertical lenticular lens grating | |
| JP5772688B2 (en) |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 KR101329962B1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 |
| CN102668576A (en)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 |
| WO2014050819A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 US20120113510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 KR101232763B1 (en)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Subcell Element Based Parallax Barrier | |
| JP6134359B2 (en) | Imaging system | |
| CN203025421U (en) | Free stereoscopic display screen with vertical lenticular grating | |
| CN103176277B (en) | Hybrid multiplexing stereoscopic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 |
| CN101237589A (en) | A dynamic 3-D video making and display technology | |
| CN104835445B (en) | Display panel and its display drive method, display drive apparatus, display device | |
| KR101239058B1 (en) | The device of autostereosopic display seeing long distance range | |
| US8427591B2 (en) | 3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 |
| KR101349138B1 (en) | Auto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Parallax Barrier | |
| WO2015035713A1 (en) | Stereo display apparatus | |
| CN102681181A (en) | Nondestructive grating autostereoscopic display screen | |
| KR970064285A (en) | 3D imag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